KR20120092423A - 줌 렌즈 경통 조립체 - Google Patents

줌 렌즈 경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423A
KR20120092423A KR1020110012471A KR20110012471A KR20120092423A KR 20120092423 A KR20120092423 A KR 20120092423A KR 1020110012471 A KR1020110012471 A KR 1020110012471A KR 20110012471 A KR20110012471 A KR 20110012471A KR 20120092423 A KR20120092423 A KR 2012009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zoom
optical axis
axis dir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51B1 (ko
Inventor
김영은
이찬호
오현민
정희윤
김봉찬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51B1/ko
Priority to US13/280,575 priority patent/US8520319B2/en
Priority to MX2013008694A priority patent/MX2013008694A/es
Priority to PCT/KR2012/000272 priority patent/WO2012108625A2/en
Priority to AU2012215314A priority patent/AU2012215314B2/en
Priority to EP12744184.8A priority patent/EP2673670A4/en
Priority to CA2826084A priority patent/CA2826084A1/en
Priority to RU2013141554/28A priority patent/RU2584092C2/ru
Priority to JP2013553341A priority patent/JP6069226B2/ja
Priority to BR112013020373A priority patent/BR112013020373B8/pt
Priority to CN201210023240.4A priority patent/CN102636864B/zh
Priority to TW101104250A priority patent/TWI519839B/zh
Publication of KR2012009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23A/ko
Priority to ZA2013/06146A priority patent/ZA201306146B/en
Priority to US13/969,147 priority patent/US86701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한 제1 줌링과,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며,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링과, 제2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구비하고 제1 줌링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줌링과,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과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는 제3 돌기를 구비하며 회전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줌링과 제2 줌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원통과, 외측으로 돌출된 제4 돌기를 구비하며 가이드 링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1 돌기가 결합하는 제1 홈부와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3 돌기가 결합하는 제2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여 제1 줌링과 제1 원통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원통과, 제4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제2 원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 원통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원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줌 렌즈 경통 조립체{Zoom lens barrel assembly}
실시예들은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된 상태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을 구현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에 장착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갖는 광학계를 구현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광학계를 광각렌즈나 망원렌즈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다양한 시야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렌즈군을 지지하는 경통(barrel)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예를 들어, 5배줌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3개의 경통을 이용한 3단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3단의 경통 조립체에서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촬영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이 카메라의 본체에 수납되는데,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컴팩트 카메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납된 상태에서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두께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컴팩트 카메라에서도 예를 들어 5배줌의 고성능 줌 기능이 요구되고 있어서,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성능 줌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5배줌 기능을 구현한 상술한 3단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는 기본적으로 3개의 경통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수납된 상태에서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수납된 상태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을 구현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개수가 줄어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통의 개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이 실현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한 제1 줌링과,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며,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링과, 제2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구비하고 제1 줌링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줌링과,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과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는 제3 돌기를 구비하며 회전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줌링과 제2 줌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원통과, 외측으로 돌출된 제4 돌기를 구비하며 가이드 링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1 돌기가 결합하는 제1 홈부와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3 돌기가 결합하는 제2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여 제1 줌링과 제1 원통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원통과, 제4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제2 원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 원통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원통을 구비한다.
제2 줌링은 외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2 줌링과 제1 원통의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부에 결합하여 제2 줌링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원통은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할 수 있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기어와 결합하여 제2 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외부 경통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에 대응하도록 베이스에 배치되는 광학 소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광학 소자와 제2 렌즈군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을 지지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줌링과, 제3 줌링에 결합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초점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홈부는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고, 제2 안내 구멍은 가이드 링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여 가이드 링에 대한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의 단부로부터 가이드 링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여 가이드 링에 대한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홈부는 제2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1 줌링을 제2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부와, 제1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제2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1 줌링을 제2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줌링 안내홈은, 제1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단부로부터 제1 원통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2 줌링을 제1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진 경사부와 후진 경사부로부터 제1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2 줌링을 제1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줌링과 제2 원통이 2단으로 펼쳐지는 2단 구조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서도 5배의 고배율 광학줌을 구현할 수 있어서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 요소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수납된 상태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수납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광각렌즈로 조정되어 줌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망원렌즈로 조정되어 줌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2단으로 펼쳐지며 작동하여 5배의 광학 줌 기능을 수행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베이스(90)에 설치된 외부 원통(80)과, 외부 원통(8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을 구비한다. 제2 원통(70)은 외부 원통(80)으로부터 광축 방향(Z 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줌링(20)은 제2 원통(7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는 베이스(90)에 고정된 외부 원통(8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이 2단으로 펼쳐짐으로써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체 두께를 축소할 수 있어서, 소형 및 박형의 카메라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90)와 외부 원통(80)의 외측 면에는 줌 기능의 실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와, 초점 조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초점 구동부(7)가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렌즈군(10)을 지지하는 제1 줌링(20)과, 제1 줌링(20)의 외측에 배치된 가이드 링(30)과, 제2 렌즈군(40)을 지지하는 제2 줌링(50)과, 제1 줌링(20)과 제2 줌링(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원통(60)과, 가이드 링(3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원통(70)과, 제2 원통(70)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원통(80)을 구비한다.
외부 원통(80)은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의 기능을 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작동하여 줌 기능을 실행할 때에는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Z축 방향)의 최전방으로 돌출한다. 제1 줌링(2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렌즈군(10)을 지지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21)를 구비한다. 제1 렌즈군(10)은 렌즈 지지부(11)를 개재하여 제1 줌링(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함으로써 제1 렌즈군(10)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링(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줌링(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가이드 링(30)은 내측 벽면에 제1 줌링(20)의 제1 돌기(21)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31)과, 광축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32)을 구비한다. 제1 안내 구멍(31)은 제1 돌기(21)의 움직임을 안내함으로써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 링(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직선 가이드 돌기(35)가 외부 원통(80)의 내측 벽면에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 형성된 직선 홈부(85)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링(30)은 제2 원통(70)의 내측에 배치되지만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 링(30)은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제2 원통(70)과 함께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링(30)의 내측에는 제1 원통(60)이 배치된다. 제1 원통(6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61)를 구비하며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원통(60)의 제3 돌기(61)는 가이드 링(30)의 제2 안내 구멍(32)에 삽입되므로, 가이드 링(30)이 제1 원통(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원통(60)의 외경은 제1 줌링(20)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이 가이드 링(30)에 의해 안내되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 원통(60)이 제1 줌링(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원통(60)의 내측에는 제2 줌링(5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줌링(50)은 제2 렌즈군(40)을 지지한다. 제2 렌즈군(40)은 렌즈 지지부(41)를 개재하여 제2 줌링(50)에 결합한다.
제2 줌링(50)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51)를 구비한다. 제2 줌링(50)의 제2 돌기(51)는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62)에 삽입되므로, 제1 원통(6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돌기(51)가 제2 줌링 안내홈(62)에 의해 안내되어 제2 줌링(5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줌링(50)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줌링(50)의 외측 벽면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52)가 형성된다. 제2 줌링(50)과 제1 원통(60)의 사이에는 절개부(52)에 결합하여 제2 줌링(50)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5)가 배치된다. 가이드부(55)는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 안내홈(64)에 결합되므로, 가이드부 안내홈(64)이 가이드부(5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원통(60)이 회전한다. 가이드부(55)는 절개부(52)에 결합되므로, 가이드부(55)의 제2 줌링(50)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원통(6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2 렌즈군(40)의 제1 렌즈군(10)에 대한 광축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어 줌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원통(6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줌링(50)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절개부(52)와 가이드부(55)가 사용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원통(6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줌링(50)의 광축 방향에서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 핀(pin)과, 핀이 삽입되도록 제2 줌링(50)에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 구멍과 같은 변형된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가이드 링(30)의 외측에는 제2 원통(7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원통(7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4 돌기(71)를 구비한다. 제2 원통(70)의 내측 벽면에는 가이드 링(30)의 제1 안내 구멍(31)을 통과한 제1 돌기(21)가 결합하는 제1 홈부(72)와 제2 안내 구멍(32)을 통과한 제3 돌기(61)가 결합하는 제2 홈부(73)가 형성된다. 이로써 제2 원통(70)은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제1 홈부(72)는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타측 가장자리(79)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경사부(72a)와, 제1 경사부(72a)의 단부로부터 일측 가장자리(78)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경사부(72b)를 구비한다.
제1 경사부(72a)는 제1 줌링(20)을 제2 원통(70)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경사부(72b)는 제1 줌링(20)을 제2 원통(70)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외부 원통(80)의 내측 벽면에는 제3 홈부(82)가 형성된다.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2 원통(70)의 제4 돌기(71)가 제3 홈부(82)에 결합하므로, 외부 원통(80)이 제2 원통(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원통(7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의 제3 홈부(8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원통(70)의 외측 벽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어(75)가 설치된다. 기어(75)에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5)가 연결되므로, 구동부(5)가 발생한 구동력이 기어(75)에 전달되어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외부 원통(80)의 단부에는 베이스(90)가 결합되며, 베이스(90)에는 제1 렌즈군(10)과 제2 렌즈군(40)을 통과한 영상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소자(91)가 배치된다. 광학 소자(91)는 제1 렌즈군(10)과 제2 렌즈군(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광학 소자(91)와 제2 렌즈군(40)의 사이에는 제3 렌즈군(100)이 배치된다. 제3 렌즈군(100)은 초점 조정 기능의 실현을 위해 광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렌즈군(100)은 제3 줌링(110)에 의해 지지된다. 제3 줌링(110)에는 초점 구동부(7)가 결합된다. 초점 구동부(7)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제3 줌링(11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3 렌즈군(100)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제2 안내 구멍(32)은 가이드 링(30)의 일측 가장자리(38)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부(32a)와, 유지부(32a)의 단부로부터 가이드 링(30)의 타측 가장자리(39)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변경부(32b)를 구비한다.
유지부(32a)는 제2 원통(70)이 회전하기 시작한 초기의 소정 구간 동안 가이드 링(30)에 대한 제1 원통(60)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변경부(32b)는 가이드 링(30)에 대한 제1 원통(60)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62)은, 제1 원통(60)의 일측 가장자리(68)에서 타측 가장자리(69)를 향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62a)와, 직선부(62a)의 단부로부터 제1 원통(60)의 타측 가장자리(69)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후진 경사부(62b)와, 후진 경사부(62b)로부터 일측 가장자리(68)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전진 경사부(62c)를 구비한다.
직선부(62a)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후진 경사부(62b)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진 경사부(62c)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수납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광각렌즈로 조정되어 줌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망원렌즈로 조정되어 줌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외부 원통(80)의 내측으로, 제2 원통(70)과, 제1 원통(60)과, 제1 줌링(20)이 모두 수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고배율의 광학줌을 구현하면서도 외부 원통(80)에 대해 제2 원통(70)과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2단의 경통 구조를 채택하므로, 수납된 상태에서 매우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5)가 작동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외부 원통(80)에 대해 제2 원통(70)이 회전한다. 제2 원통(70)의 회전력은 제2 원통(70)의 제1 홈부(72)와 결합된 제1 줌링(20)의 제1 돌기(21)와 제2 홈부(73)와 결합된 제1 원통(60)의 제3 돌기(61)에 전달된다.
제2 원통(70)이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 링(30)은 외부 원통(8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제2 원통(70)과 함께 외부 원통(8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이드 링(30)의 제1 안내 구멍(31)을 통과하는 제1 돌기(21)에 의해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30)의 제2 안내 구멍(32)을 통과하는 제3 돌기(61)에 의해 제1 원통(60)이 가이드 링(30)에 대하여 회전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원통(70)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렌즈군(10)과 제2 렌즈군(4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므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망원단으로 조정되거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각단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5: 구동부 62: 제2 줌링 안내홈
7: 초점 구동부 62a: 직선부
10: 제1 렌즈군 62b: 후진 경사부
20: 제1 줌링 64: 가이드부 안내홈
21: 제1 돌기 70: 제2 원통
30: 가이드 링 71: 제4 돌기
31: 제1 안내 구멍 72a: 제1 경사부
32b: 변경부 72: 제1 홈부
32a: 유지부 72b: 제2 경사부
32: 제2 안내 구멍 73: 제2 홈부
35: 직선 가이드 돌기 75: 기어
40: 제2 렌즈군 80: 외부 원통
50: 제2 줌링 82: 제3 홈부
51: 제2 돌기 85: 직선 홈부
11, 41: 렌즈 지지부 90: 베이스
52: 절개부 91: 광학 소자
55: 가이드부 100: 제3 렌즈군
60: 제1 원통 110: 제3 줌링
61: 제3 돌기 38, 68, 78: 일측 가장자리
62c: 전진 경사부 39, 69, 79: 타측 가장자리

Claims (8)

  1. 제1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한 제1 줌링;
    상기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링;
    제2 렌즈군을 지지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줌링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줌링;
    상기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는 제3 돌기를 구비하며, 회전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줌링과 상기 제2 줌링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원통;
    외측으로 돌출된 제4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링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구멍을 통과한 상기 제1 돌기가 결합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한 상기 제3 돌기가 결합하는 제2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여 상기 제1 줌링과 상기 제1 원통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원통; 및
    상기 제4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원통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원통;을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줌링은 외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줌링과 상기 제1 원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줌링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은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통에 결합하는 베이스와,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광학 소자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와 상기 제2 렌즈군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렌즈군과, 상기 제3 렌즈군을 지지하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줌링과, 상기 제3 줌링에 결합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초점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2 안내 구멍은 상기 가이드 링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가이드 링에 대한 상기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링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여 상기 가이드 링에 대한 상기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2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줌링을 상기 제2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원통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줌링을 상기 제2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줌링 안내홈은, 상기 제1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의 상기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2 줌링을 상기 제1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후진 경사부와 상기 후진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1 원통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2 줌링을 상기 제1 원통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20110012471A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181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1A KR101817651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US13/280,575 US8520319B2 (en) 2011-02-11 2011-10-25 Zoom lens barrel assembly
BR112013020373A BR112013020373B8 (pt) 2011-02-11 2012-01-11 conjunto de barril de lentes para zoom
AU2012215314A AU2012215314B2 (en) 2011-02-11 2012-01-11 Zoom lens barrel assembly
EP12744184.8A EP2673670A4 (en) 2011-02-11 2012-01-11 Zoom lens barrel assembly
CA2826084A CA2826084A1 (en) 2011-02-11 2012-01-11 Zoom lens barrel assembly
MX2013008694A MX2013008694A (es) 2011-02-11 2012-01-11 Ensamble de carcasa de lentes de zoom.
JP2013553341A JP6069226B2 (ja) 2011-02-11 2012-01-11 ズームレンズ鏡筒組立体
PCT/KR2012/000272 WO2012108625A2 (en) 2011-02-11 2012-01-11 Zoom lens barrel assembly
RU2013141554/28A RU2584092C2 (ru) 2011-02-11 2012-01-11 Узел тубуса объектива с переменным фокусным расстоянием
CN201210023240.4A CN102636864B (zh) 2011-02-11 2012-01-29 缩放透镜镜筒组件
TW101104250A TWI519839B (zh) 2011-02-11 2012-02-09 變焦鏡頭鏡筒組件
ZA2013/06146A ZA201306146B (en) 2011-02-11 2013-08-15 Zoom lens barrel assembly
US13/969,147 US8670188B2 (en) 2011-02-11 2013-08-16 Zoom lens barre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1A KR101817651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23A true KR20120092423A (ko) 2012-08-21
KR101817651B1 KR101817651B1 (ko) 2018-02-21

Family

ID=4662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471A KR101817651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520319B2 (ko)
EP (1) EP2673670A4 (ko)
JP (1) JP6069226B2 (ko)
KR (1) KR101817651B1 (ko)
CN (1) CN102636864B (ko)
AU (1) AU2012215314B2 (ko)
BR (1) BR112013020373B8 (ko)
CA (1) CA2826084A1 (ko)
MX (1) MX2013008694A (ko)
RU (1) RU2584092C2 (ko)
TW (1) TWI519839B (ko)
WO (1) WO2012108625A2 (ko)
ZA (1) ZA20130614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660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CN112099290A (zh) * 2019-06-18 2020-12-18 三星电机株式会社 折叠模块
KR20230140235A (ko) * 2022-03-29 2023-10-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류 추진형 검측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51B1 (ko) * 2011-02-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TWI471628B (zh) * 2011-12-07 2015-02-01 Ability Entpr Co Ltd 鏡頭機構
KR102072225B1 (ko) * 2012-10-05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CN103336400A (zh) * 2013-06-20 2013-10-02 杭州同尊信息技术有限公司 摄像机后焦调节机构组件
CN105700154B (zh) * 2016-03-23 2018-03-27 浙江东方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助视器成像镜头
TWI701492B (zh) * 2017-06-30 2020-08-11 大陸商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定焦攝像模組及其調焦裝置和調焦方法
JP6619827B2 (ja) * 2018-01-18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型モータ及び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1327B2 (ja) * 1995-02-07 2003-07-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3段繰り出しズームレンズ鏡筒
US6046864A (en) * 1997-09-30 2000-04-04 Fuji Photo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assembly for a camera
US6072639A (en) * 1998-01-29 2000-06-06 Fuji Photo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assembly including a clutch mechanism for a camera
JP3762602B2 (ja) * 2000-02-01 2006-04-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レンズ枠案内装置
US6657795B2 (en) * 2000-03-31 2003-12-02 Fuji Photo Optical Co., Ltd. Zoom lens device
KR100378482B1 (ko) 2000-07-29 2003-03-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경통 조립체
US6636362B2 (en) * 2001-03-22 2003-10-2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665129B2 (en) * 2001-03-22 2003-12-16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and a zoom lens barrel
JP3787298B2 (ja) * 2001-10-31 2006-06-2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6873472B2 (en) * 2002-05-07 2005-03-29 Pentax Corporation Cam ring, and a zoom lens barrel with the cam ring
KR100865776B1 (ko) * 2002-05-24 2008-10-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장치
KR100547999B1 (ko) 2003-12-10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WO2006011610A1 (en) * 2004-07-26 2006-02-02 Ricoh Company, Ltd. Lens barrel, camera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7454132B2 (en) * 2005-01-19 2008-11-18 Canon Kabushiki Kaisha Linkage mechanism between zoom lens barrel unit and zoom member, camera, and method of assembling illumination range-changing device and zoom finder device
JP2007114532A (ja) 2005-10-20 2007-05-10 Sony Corp レンズ鏡筒
JP2007271792A (ja) * 2006-03-30 2007-10-18 Eastman Kodak Co 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969917B2 (ja) * 2006-05-25 2012-07-04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08046503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筒
US7511900B2 (en) * 2006-08-18 2009-03-31 Olympus Imaging Corp. Lens barrel
JP4959407B2 (ja) 2006-09-04 2012-06-20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駆動装置、ズーム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8151938A (ja) 2006-12-15 2008-07-03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9037162A (ja) * 2007-08-03 2009-02-19 Panasonic Corp 円筒成形品、レンズ鏡筒、カメラ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4487216B2 (ja) * 2008-01-18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383347B2 (ja) * 2008-07-02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5483842B2 (ja) 2008-08-06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770062B (zh) * 2008-12-27 2011-06-29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变焦镜头
JP2011022321A (ja) * 2009-07-15 2011-02-03 Nikon Corp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430270B2 (ja) * 2009-07-28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影装置
KR101095707B1 (ko) 2009-07-30 2011-1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용 마스크
JP5337093B2 (ja) * 2010-04-07 2013-1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KR101817651B1 (ko) * 2011-02-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1797036B1 (ko) * 2011-02-11 201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660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CN112099290A (zh) * 2019-06-18 2020-12-18 三星电机株式会社 折叠模块
US11297174B2 (en) 2019-06-18 2022-04-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d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40235A (ko) * 2022-03-29 2023-10-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류 추진형 검측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306146B (en) 2014-10-29
US20120206820A1 (en) 2012-08-16
MX2013008694A (es) 2013-08-29
KR101817651B1 (ko) 2018-02-21
CN102636864A (zh) 2012-08-15
EP2673670A4 (en) 2017-09-27
AU2012215314B2 (en) 2015-06-11
JP6069226B2 (ja) 2017-02-01
CA2826084A1 (en) 2012-08-16
WO2012108625A2 (en) 2012-08-16
CN102636864B (zh) 2015-09-09
AU2012215314A1 (en) 2013-09-26
EP2673670A2 (en) 2013-12-18
BR112013020373B8 (pt) 2021-07-20
RU2584092C2 (ru) 2016-05-20
WO2012108625A3 (en) 2012-11-22
US8670188B2 (en) 2014-03-11
TW201237494A (en) 2012-09-16
TWI519839B (zh) 2016-02-01
RU2013141554A (ru) 2015-03-20
US8520319B2 (en) 2013-08-27
JP2014505276A (ja) 2014-02-27
BR112013020373A2 (pt) 2016-10-25
US20130335832A1 (en) 2013-12-19
BR112013020373B1 (pt)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2423A (ko) 줌 렌즈 경통 조립체
JP6524414B2 (ja) レンズ鏡筒
JP4817877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3120357A (ja) 交換レンズ
JP7120244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20120092422A (ko) 줌 렌즈 경통 조립체
JP6436787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KR20120133649A (ko) 경통 조립체
JP2011154310A (ja) 光学装置及び光学機器
JP4953969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WO2015049813A1 (ja) レンズ鏡筒
JP2011022321A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2007003581A (ja) レンズ鏡筒
JPWO2014010215A1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7120245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5077935A (ja) レンズ鏡筒
WO2014129276A1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6971817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5275257A (ja) レンズ移動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2013200508A (ja) Af防振ブロックを備えるレンズ鏡筒
JP2008250202A (ja) レンズ鏡胴および撮影装置
JP2013200507A (ja) Af防振ブロックを備えるレンズ鏡筒
JP2013033139A (ja) 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5315958A (ja) レンズ保持構造、ファインダ装置、撮影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