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036B1 - 줌 렌즈 경통 조립체 - Google Patents

줌 렌즈 경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36B1
KR101797036B1 KR1020110012470A KR20110012470A KR101797036B1 KR 101797036 B1 KR101797036 B1 KR 101797036B1 KR 1020110012470 A KR1020110012470 A KR 1020110012470A KR 20110012470 A KR20110012470 A KR 20110012470A KR 101797036 B1 KR101797036 B1 KR 10179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ing
zoom
optical axis
zoo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422A (ko
Inventor
이찬호
김영은
오현민
정희윤
김봉찬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36B1/ko
Priority to US13/301,923 priority patent/US8456756B2/en
Priority to GB1200269.7A priority patent/GB2488007A/en
Priority to CN201210021357.9A priority patent/CN102636860B/zh
Priority to TW101103883A priority patent/TWI446054B/zh
Publication of KR2012009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03B3/12Power-operated focusing adapted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인입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줌링과,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1 줌링을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가이드 링과, 제1 줌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줌링의 내측에 삽입된 수납 위치와 제1 줌링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조정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수납 위치에서 인입부에 수납되고 수납 위치에서 조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인입부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원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줌 렌즈 경통 조립체{Zoom lens barrel assembly}
실시예들은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된 상태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을 구현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에 장착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갖는 광학계를 구현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광학계를 광각렌즈나 망원렌즈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다양한 시야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렌즈군을 지지하는 경통(barrel)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예를 들어, 5배줌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3개의 경통을 이용한 3단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3단의 경통 조립체에서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촬영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이 카메라의 본체에 수납되는데,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컴팩트 카메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납된 상태에서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두께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컴팩트 카메라에서도 예를 들어 5배줌의 고성능 줌 기능이 요구되고 있어서,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성능 줌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는 렌즈군이 미리 정해진 스트로크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구성 요소들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안내홈이나 구멍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수납된 상태에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을 구현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개수가 줄어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통의 개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배율의 줌 기능이 실현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인입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줌링과,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제1 줌링을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가이드 링과, 제1 줌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줌링의 내측에 삽입된 수납 위치와 제1 줌링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조정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수납 위치에서 인입부에 수납되고 수납 위치에서 조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인입부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원통을 구비한다.
인입부의 일측 단부에 제1 줌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는 제2 돌기와 접하는 부분에서 만곡되는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1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된 제1 홈부와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가이드링의 외측에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원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원통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3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제2 원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2 원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원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원통은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할 수 있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기어와 결합하여 제2 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홈부는 제2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개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진입부와, 진입부의 단부로부터 제2 원통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안내 구멍은 가이드 링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여 가이드 링에 대한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의 단부로부터 가이드 링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여 가이드 링에 대한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기를 구비하며 제1 원통의 내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줌링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1 원통은 내측에 제4 돌기가 결합하도록 연장하는 제2 줌링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줌링은 외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고,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2 줌링과 제1 원통의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부에 결합하여 제2 줌링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줌링이 제1 원통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제1 줌링의 인입부에 제1 원통의 제2 돌기가 수납되므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의 외측에 제2 원통을 배치하여 제1 원통과 제1 줌링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줌링의 제1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홈부의 일부분을 제2 원통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개방시킴으로써 수납된 상태에서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도 제1 원통의 제2 돌기가 인입부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여 힘을 전달하므로 제1 줌링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줌링과 제2 원통이 2단으로 펼쳐지는 2단 구조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서도 5배의 고배율 광학줌을 구현할 수 있어서,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2 원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원통의 내측 벽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1 줌링과 제1 원통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2단으로 펼쳐지며 작동하여 5배의 광학 줌 기능을 수행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베이스(90)에 설치된 외부 원통(80)과, 외부 원통(8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을 구비한다. 제2 원통(70)은 외부 원통(80)으로부터 광축 방향(Z 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줌링(20)은 제2 원통(7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는 베이스(90)에 고정된 외부 원통(8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이 2단으로 펼쳐짐으로써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1 줌링(20)과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체 두께를 축소할 수 있어서, 소형 및 박형의 카메라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90)와 외부 원통(80)의 외측 면에는 줌 기능의 실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와, 초점 조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초점 구동부(7)가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줌 렌즈 경통 조립체는, 제1 줌링(20)과, 제1 줌링(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링(30)과, 제1 줌링(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원통(60)을 구비한다.
제1 줌링(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21)와 일측 단부의 일측 가장자리(28)에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는 인입부(22)를 구비한다.
줌 렌즈 경통 조립체가 작동하여 줌 기능을 실행할 때에는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Z축 방향)의 최전방으로 돌출한다. 제1 줌링(20)은 제1 렌즈군(1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렌즈군(10)은 렌즈 지지부(11)를 개재하여 제1 줌링(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함으로써 제1 렌즈군(10)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링(3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줌링(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가이드 링(30)은 내측 벽면에 제1 줌링(20)의 제1 돌기(21)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제1 안내 구멍(31)과, 광축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32)을 구비한다. 제1 안내 구멍(31)은 제1 돌기(21)의 움직임을 안내함으로써 제1 줌링(2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줌링(20)의 내측에는 제1 원통(60)이 배치된다. 제1 원통(6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61)를 구비하며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원통(60)의 제2 돌기(61)는 가이드 링(30)의 제2 안내 구멍(32)에 삽입되므로, 가이드 링(30)이 제1 원통(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원통(60)의 외경은 제1 줌링(20)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이 가이드 링(30)에 의해 안내되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 원통(60)이 제1 줌링(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납 위치와 제1 줌링(2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조정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제1 원통(60)이 제1 줌링(20)의 내측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제1 원통(60)의 제2 돌기(61)는 제1 줌링(20)의 인입부(22)에 수납되고, 수납 위치에서 조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할 때 제2 돌기(61)가 인입부(22)의 일측 단부를 가압한다.
가이드 링(30)의 외측에는 제2 원통(7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원통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71)를 구비한다. 제2 원통(70)의 내측 벽면에는 가이드 링(30)의 제1 안내 구멍(31)을 통과한 제1 돌기(21)가 결합하는 제1 홈부(72)와 제2 안내 구멍(32)을 통과한 제2 돌기(61)가 결합하는 제2 홈부(73)가 형성된다. 이로써 제2 원통(70)은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줌링(20)과 제1 원통(60)의 움직임을 안내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2 원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원통의 내측 벽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홈부(72)는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외부로 개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진입부(72c)와, 진입부(72c)의 단부로부터 제2 원통(70)의 타측 가장자리(79)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부(72d)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진입부(72c)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이유는 제2 원통(70)의 높이(t)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기술 분야에서는 줌 렌즈의 광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는 경통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시작되도록 경통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경통의 높이를 최소화하기가 어렵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72)의 시작 지점에 해당하는 진입부(72c)가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홈부(72)의 시작 지점을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제2 원통(70)의 높이(t)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경사부(72d)는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타측 가장자리(79)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경사부(72a)와, 제1 경사부(72a)의 단부로부터 일측 가장자리(78)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경사부(72b)를 구비한다.
제1 경사부(72a)는 제1 줌링(20)을 제2 원통(70)에 대해 광축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경사부(72b)는 제1 줌링(20)을 제2 원통(70)에 대해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원통(70)의 외측에는 제2 원통(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부 원통(80)이 배치된다. 외부 원통(80)은 줌 렌즈 경통 조립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의 기능을 한다.
외부 원통(80)의 내측 벽면에는 제3 홈부(82)가 형성된다.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2 원통(70)의 제3 돌기(71)가 제3 홈부(82)에 결합하므로, 외부 원통(80)이 제2 원통(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원통(7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의 제3 홈부(8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원통(70)의 외측 벽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어(75)가 설치된다. 기어(75)에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5)가 연결되므로, 구동부(5)가 발생한 구동력이 기어(75)에 전달되어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링(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직선 가이드 돌기(35)가 외부 원통(80)의 내측 벽면에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 형성된 직선 홈부(85)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링(30)은 제2 원통(70)의 내측에 배치되지만 제2 원통(70)이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 링(30)은 외부 원통(8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제2 원통(70)과 함께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제1 원통(60)의 내측에는 제2 줌링(5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줌링(50)은 제2 렌즈군(40)을 지지한다. 제2 렌즈군(40)은 렌즈 지지부(41)를 개재하여 제2 줌링(50)에 결합한다.
제2 줌링(50)은 외측으로 돌출된 제4 돌기(51)를 구비한다. 제2 줌링(50)의 제4 돌기(51)는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62)에 삽입되므로, 제1 원통(6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돌기(61)가 제2 줌링 안내홈(62)에 의해 안내되어 제2 줌링(5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줌링(50)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줌링(50)의 외측 벽면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52)가 형성된다. 제2 줌링(50)과 제1 원통(60)의 사이에는 절개부(52)에 결합하여 제2 줌링(50)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5)가 배치된다. 가이드부(55)는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 안내홈(64)에 결합되므로, 가이드부 안내홈(64)과 가이드부(5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원통(60)이 회전한다. 가이드부(55)는 절개부(52)에 결합되므로, 가이드부(55)의 제2 줌링(50)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원통(60)이 회전함에 따라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2 렌즈군(40)의 제1 렌즈군(10)에 대한 광축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어 줌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원통(6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줌링(50)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절개부(52)와 가이드부(55)가 사용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원통(6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줌링(50)의 광축 방향에서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 핀(pin)과, 핀이 삽입되도록 제2 줌링(50)에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내 구멍과 같은 변형된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외부 원통(80)의 단부에는 베이스(90)가 결합되며, 베이스(90)에는 제1 렌즈군(10)과 제2 렌즈군(40)을 통과한 영상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소자(91)가 배치된다. 광학 소자(91)는 제1 렌즈군(10)과 제2 렌즈군(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광학 소자(91)와 제2 렌즈군(40)의 사이에는 제3 렌즈군(100)이 배치된다. 제3 렌즈군(100)은 초점 조정 기능의 실현을 위해 광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렌즈군(100)은 제3 줌링(110)에 의해 지지된다. 제3 줌링(110)에는 초점 구동부(7)가 결합된다. 초점 구동부(7)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제3 줌링(11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3 렌즈군(100)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제2 안내 구멍(32)은 가이드 링(30)의 일측 가장자리(38)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부(32a)와, 유지부(32a)의 단부로부터 가이드 링(30)의 타측 가장자리(39)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변경부(32b)를 구비한다.
유지부(32a)는 제2 원통(70)이 회전하기 시작한 초기의 소정 구간 동안 가이드 링(30)에 대한 제1 원통(60)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변경부(32b)는 가이드 링(30)에 대한 제1 원통(60)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원통(60)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제2 줌링 안내홈(62)은, 제1 원통(60)의 일측 가장자리(68)에서 타측 가장자리(69)를 향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직선부(62a)와, 직선부(62a)의 단부로부터 제1 원통(60)의 타측 가장자리(69)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후진 경사부(62b)와, 후진 경사부(62b)로부터 일측 가장자리(68)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전진 경사부(62c)를 구비한다.
직선부(62a)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후진 경사부(62b)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진 경사부(62c)는 제2 줌링(50)이 제1 원통(60)에 대해 광축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1의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1 줌링과 제1 원통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줌 렌즈 경통 조립체의 제1 원통(60)이 제1 줌링(20)의 내측에 수납된 수납 상태에 있다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제1 원통(60)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이드 링(30)을 포함한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1 원통(60)이 제1 줌링(20)의 내측에 수납된 수납 상태에서는, 제1 원통(60)의 제2 돌기(61)가 제1 줌링(20)의 일측 가장자리(28)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부(22)에 수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원통(60)의 제2 돌기(61)는 가이드 링(30)의 제2 안내 구멍(32)을 통과하여 외부 원통(80)의 제3 홈부(82)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외부 원통(80)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 원통(80)의 회전력이 제2 돌기(61)를 통해 제1 원통(60)에 전달됨으로써, 제1 원통(60)이 회전할 수 있다.
제1 원통(60)이 회전함과 동시에 제1 줌링(20)의 제1 돌기(21)가 제2 원통(70)의 제1 홈부(72)의 진입부(72c)에 삽입되어 제1 돌기(21)가 제1 홈부(72)를 따라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홈부(72)의 진입부(72c)는 제2 원통(70)의 일측 가장자리(78)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제1 돌기(21)가 진입부(72c)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아니므로, 제1 원통(60)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초기 시점에서는 제1 돌기(21)의 운동이 제1 홈부(72)에 의해 완전하게 구속된 상태가 아니다.
제1 원통(60)의 제2 돌기(61)는 제2 원통(70)의 제2 홈부(73)에 결합된 상태이고 가이드 링(30)의 제2 안내 구멍(32)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이므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키므로 인입부(2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경사부(22a)를 가압한다. 경사부(22a)는 제1 줌링(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 돌기(61)와 접하는 부분에서 곡선부(R)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2 돌기(61)를 통해 제1 원통(60)의 힘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제1 돌기(21)가 진입부(72c)에서 제1 경사부(72a)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0: 제1 렌즈군 61: 제2 돌기
100: 제3 렌즈군 62: 제2 줌링 안내홈
11, 41: 렌즈 지지부 62a: 직선부
110: 제3 줌링 62b: 후진 경사부
20: 제1 줌링 62c: 전진 경사부
21: 제1 돌기 64: 가이드부 안내홈
22: 인입부 7: 초점 구동부
22a: 경사부 70: 제2 원통
28, 38, 68, 78: 일측 가장자리 71: 제3 돌기
30: 가이드 링 72: 제1 홈부
31: 제1 안내 구멍 72a: 제1 경사부
32: 제2 안내 구멍 72b: 제2 경사부
32a: 유지부 72c: 진입부
32b: 변경부 72d: 경사부
35: 직선 가이드 돌기 73: 제2 홈부
39, 69, 79: 타측 가장자리 75: 기어
40: 제2 렌즈군 80: 외부 원통
5: 구동부 82: 제3 홈부
50: 제2 줌링 85: 직선 홈부
51: 제4 돌기 90: 베이스
52: 절개부 91: 광학 소자
55: 가이드부 R: 곡선부
60: 제1 원통

Claims (10)

  1.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인입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줌링;
    상기 제1 줌링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돌기가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줌링을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안내 구멍과,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가이드 링; 및
    상기 제1 줌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줌링의 내측에 삽입된 수납 위치와 상기 제1 줌링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조정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인입부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조정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인입부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제1 원통;을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줌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2 돌기와 접하는 부분에서 만곡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구멍을 통과한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된 제1 홈부와 상기 제2 안내 구멍을 통과한 제2 돌기가 삽입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링의 외측에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원통을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돌기가 삽입되는 제3 홈부를 내측에 구비하며, 상기 제2 원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원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원통을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은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배치되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2 원통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개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원통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 구멍은 상기 가이드 링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가이드 링에 대한 상기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링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를 이루며 연장하여 상기 가이드 링에 대한 상기 제1 원통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원통의 내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줌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통은 내측에 상기 제4 돌기가 결합하도록 연장하는 제2 줌링 안내홈을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줌링은 외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줌링과 상기 제1 원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줌링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20110012470A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179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0A KR101797036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US13/301,923 US8456756B2 (en) 2011-02-11 2011-11-22 Zoom lens barrel assembly
GB1200269.7A GB2488007A (en) 2011-02-11 2012-01-09 A zoom lens barrel assembly with inlet portion formed in a first zoom ring
CN201210021357.9A CN102636860B (zh) 2011-02-11 2012-01-20 缩放透镜镜筒组件
TW101103883A TWI446054B (zh) 2011-02-11 2012-02-07 可變焦距透鏡鏡筒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70A KR101797036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22A KR20120092422A (ko) 2012-08-21
KR101797036B1 true KR101797036B1 (ko) 2017-12-12

Family

ID=4578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470A KR101797036B1 (ko) 2011-02-11 2011-02-11 줌 렌즈 경통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56756B2 (ko)
KR (1) KR101797036B1 (ko)
CN (1) CN102636860B (ko)
GB (1) GB2488007A (ko)
TW (1) TWI446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651B1 (ko) * 2011-02-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KR102072225B1 (ko) * 2012-10-05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20140109184A (ko) * 2013-03-05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CN116974033B (zh) * 2023-09-25 2023-12-15 季华实验室 一种致动装置、变焦镜头和相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501A (ja) 2006-08-18 2008-02-28 Olympus Corp レンズ鏡筒
JP2010033048A (ja) 2008-07-02 2010-02-12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0169734A (ja) 2009-01-20 2010-08-05 Canon Inc レン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82B1 (ko) * 2000-07-29 2003-03-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경통 조립체
US6519096B2 (en) * 2001-03-22 2003-02-1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990291B2 (en) * 2002-08-27 2006-01-24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having a moving optical element support frame
US7106961B2 (en) * 2002-08-27 2006-09-12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advancing/retracting mechanism
US7085486B2 (en) * 2002-08-27 2006-08-0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a rotatable ring
US7010224B2 (en) * 2002-08-27 2006-03-07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rotation transfer mechanism
US6963694B2 (en) * 2002-08-27 2005-11-0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2006058769A (ja) 2004-08-23 2006-03-02 Sony Corp 沈胴式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4749393B2 (ja) 2007-08-03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円筒成形品、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円筒成形品の製造方法
JP5053129B2 (ja) * 2008-03-06 2012-10-17 Hoya株式会社 遮光構造及び遮光構造を有するレンズ鏡筒
JP2009222874A (ja) * 2008-03-14 2009-10-01 Hoya Corp レンズ鏡筒
JP5306911B2 (ja) * 2009-06-09 2013-10-02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2011002743A (ja) * 2009-06-22 2011-01-06 Hoya Corp 可変開口絞機構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鏡筒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501A (ja) 2006-08-18 2008-02-28 Olympus Corp レンズ鏡筒
JP2010033048A (ja) 2008-07-02 2010-02-12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0169734A (ja) 2009-01-20 2010-08-05 Canon Inc レン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22A (ko) 2012-08-21
TW201243417A (en) 2012-11-01
US8456756B2 (en) 2013-06-04
TWI446054B (zh) 2014-07-21
GB2488007A (en) 2012-08-15
US20120206821A1 (en) 2012-08-16
CN102636860B (zh) 2016-01-20
CN102636860A (zh) 2012-08-15
GB201200269D0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51B1 (ko) 줌 렌즈 경통 조립체
JP4817877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8368807B2 (en) Imaging device
KR101797036B1 (ko) 줌 렌즈 경통 조립체
JP2011154204A (ja) 撮影装置
JP2006201252A (ja) 撮像装置
JP4699126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6178304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装置
JP2005134783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974026B2 (en) Lens moving device and installation unit
JP2010169816A (ja) レンズ鏡筒
JP2011022321A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2006201601A (ja) 沈胴式のカメラ用レンズ鏡胴
JP2005215106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4106277A (ja) レンズ鏡筒
JP2005077935A (ja) レンズ鏡筒
JP5504106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4874747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0169734A (ja) レンズ装置
JP2010026035A (ja) 光学部材、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4362706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7264528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6301672A (ja) レンズ保持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5079018A (ja) レンズ鏡筒
JP2013200507A (ja) Af防振ブロックを備える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