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184A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9184A KR20140109184A KR1020130023576A KR20130023576A KR20140109184A KR 20140109184 A KR20140109184 A KR 20140109184A KR 1020130023576 A KR1020130023576 A KR 1020130023576A KR 20130023576 A KR20130023576 A KR 20130023576A KR 20140109184 A KR20140109184 A KR 201401091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groove
- barrel
- lens barrel
- optical axis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경통 조립체는 1 배럴과,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배럴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럴은 상기 제2 배럴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 이동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배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탄성 이동핀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충격성을 개선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과 같은 촬영장치에 장착되는 경통 조립체는 렌즈군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갖는 광학계를 구현한다. 경통 조립체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광학계를 광각렌즈나 망원렌즈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다양한 시야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통 조립체는 렌즈군을 지지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배럴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통 조립체는,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통 조립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촬영장치를 의도치 않게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된 렌즈 배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이 강제로 끼워져 경통 조립체가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워지거나,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을 연결하는 이동핀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내충격성이 향상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시 간편한 조작으로 정상 작동이 가능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경통 조립체는, 제1 배럴과,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배럴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배럴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배럴은, 상기 제2 배럴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 이동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배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탄성 이동핀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이동핀은, 상기 제1 배럴에 고정 설치되며, 수용홈이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일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된 상기 탄성 이동핀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가이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영역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원주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수의 서브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가이드홈은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2 가이드홈보다 홈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2 가이드홈의 타단보다 홈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은, 기준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위치보다 광축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한 광각 위치와, 상기 광각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광각 위치보다 광축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한 망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일단이 상기 광각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이 상기 기준 위치에 연결된 광각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망원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이 상기 광각 위치와 상기 망원 위치 사이에 연결된 망원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각 위치와 상기 망원 위치 사이에는, 상기 광각 위치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부와, 상기 하향 경사부와 상기 망원 위치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원 가이드홈의 타단이 상기 상향 경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배럴과 상기 제2 배럴이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럴은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군을 지지하는 렌즈 배럴이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배치된 캠 배럴일 수 있다.
상기 제2 배럴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렌즈군을 지지하는 제3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배럴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 이동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3 배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3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제3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제3 가이드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3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을 제3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럴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며 광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직진 가이드홈이 마련된 외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상술한 경통 조립체; 및 상기 경통 조립체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는,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을 연결하는 이동핀을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이동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강제 침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의 초점 거리 조절을 위한 제1 가이드홈과 별도로 분리된 제2 가이드홈을 설치함으로써,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된 탄성 이동핀을 간편한 조작으로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충격시 경통 조립체의 신속한 작동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통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의 탄성 이동핀의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도 5의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a의 렌즈 배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도 8의 탄성 이동핀이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b의 XI-XI를 따라 절단한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의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캠 배럴의 제2 가이드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b는 도 12의 렌즈 배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a의 XIV-XIV를 따라 절단한 제1 가이드홈의 단면도,
도 15는 도 4의 캠 배럴과 제2 렌즈배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4의 제1 렌즈배럴, 캠 배럴, 제2 렌즈배럴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통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렌즈 배럴의 탄성 이동핀의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도 5의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a의 렌즈 배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도 8의 탄성 이동핀이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b의 XI-XI를 따라 절단한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의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캠 배럴의 제2 가이드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 내지 도 13b는 도 12의 렌즈 배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렌즈 배럴과 캠 배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a의 XIV-XIV를 따라 절단한 제1 가이드홈의 단면도,
도 15는 도 4의 캠 배럴과 제2 렌즈배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4의 제1 렌즈배럴, 캠 배럴, 제2 렌즈배럴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경통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경통 조립체(1)와 촬상소자(101: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촬영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경통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장치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촬영장치가 작동할 때에는 경통 조립체(1)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장치로부터 광축(Z축)의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경통 조립체(1)가 촬영장치로부터 돌출하여 신축함으로써 경통 조립체(1)의 광학렌즈(미도시)들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경통 조립체(1)가 피사체 영상의 배율을 조정하는 줌 동작이나 피사체의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 동작 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통 조립체(1)는, 3단으로 펼쳐지도록 작동하여 광학 줌 기능을 수행한다. 경통 조립체(1)는 베이스(100)에 설치된 외부 원통(90), 외부 원통(9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원통(60), 제1 원통(20) 및 제1 렌즈배럴(10)을 구비한다. 제2 원통(60)은 외부 원통(90)으로부터 광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되며, 제1 원통(20)은 제2 원통(6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렌즈배럴(10)은 제1 원통(2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통 조립체(1)에서는 베이스(100)에 고정된 외부 원통(90)으로부터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렌즈배럴(10), 제1 원통(20) 및 제2 원통(60)이 3단으로 펼쳐짐으로써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경통 조립체(1)의 구조는 3단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펼쳐지도록 작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100)와 외부 원통(90)의 외측 면에는 줌 기능의 실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경통 조립체(1)를 구비한 촬영장치는, 예를 들어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화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캠코더나,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경통 조립체(1)가 촬영장치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경통 고정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경통 조립체(1)는 촬영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장착되는 경통 교환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경통 조립체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편의상 도 1의 경통 조립체(1)가 광각단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통 조립체(1)는 제1 렌즈군(11)을 지지하는 제1 렌즈배럴(10)과, 제1 렌즈배럴(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원통(20)과, 제1 렌즈배럴(10)의 내측에 배치된 캠 배럴(40)과, 제1 원통(2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원통(20)과 캠 배럴(4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원통(60)과, 제2 원통(60)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원통(90)을 구비한다. 외부 원통(90)은 경통 조립체(1)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 구조물의 기능을 한다. 제2 렌즈군(31)을 지지하는 제2 렌즈배럴(30)과 제3 렌즈군(51)을 지지하는 제3 렌즈배럴(50)은 캠 배럴(4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4 렌즈군(71)을 지지하는 제4 렌즈배럴(70)은 제2 원통(60)의 내측에 배치된다.
경통 조립체(1)가 작동하여 줌 기능을 실행할 때에는 제1 렌즈배럴(10)이 광축 방향(Z축 방향)의 최전방으로 돌출한다. 제1 렌즈배럴(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렌즈군(11)을 지지한다. 제1 렌즈배럴(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15)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이동핀(16)을 구비한다. 제1 렌즈군(11)은 렌즈 지지부(12)를 개재하여 제1 렌즈배럴(10)의 전방에 결합된다. 제1 렌즈배럴(10)은 제1 렌즈군(11)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3)가 결합된다. 제1 렌즈배럴(1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함으로써 제1 렌즈군(11)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원통(2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렌즈배럴(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원통(20)은 내주면에 광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직진 가이드홈(21)을 구비한다. 제1 돌기(15)는 제1 직진 가이드홈(21)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 원통(20)의 외주면에 제2 돌기(22)를 구비한다.
제1 원통(20)의 외측에는 제2 원통(60)이 배치된다. 제2 원통(6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서브 원통(61)과 제2 서브 원통(66)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서브 원통(6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기어(62)를 구비한다. 기어(6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부(5)가 연결되므로, 구동부(5)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이 기어(62)로 전달되어 제1 서브 원통(61)이 외부 원통(9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서브 원통(61)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63)를 구비한다.
제2 서브 원통(66)은 제1 서브 원통(61)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및 제3 직진 가이드홈(68)을 구비한다. 제2 직진 가이드홈(67)에 제2 돌기(22)가 삽입되어, 제1 원통(20)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3 직진 가이드홈(68)에는 후술할 직진 가이드 부재(80)의 제6 돌기(83)가 삽입된다. 또한, 제2 서브 원통(66) 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안내부(69)를 구비한다.
외부 원통(90)은 제2 원통(60)의 외측에 배치되며, 단부에는 베이스(100)가 결합된다. 베이스(100)에는 제1 내지 제4 렌즈군(11,31,51,71)을 통과한 영상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101)가 배치된다. 촬상소자(101)는 제1 내지 제4 렌즈군(11,31,51,7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촬상소자(101)는 예를 들어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일 수 있다. 외부 원통(90)의 내주면에는 제2 안내부(91)를 구비한다. 제3 돌기(63)는 제2 안내부(91)에 삽입되며, 제1 서브 원통(61)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촬상소자(101)와 제4 렌즈군(71) 사이에는 결상렌즈(110)가 배치된다. 결상렌즈(110)는 초점 조정 기능의 실현을 위해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캠 배럴(4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렌즈배럴(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캠 배럴(40)의 외주면에는 제1 렌즈배럴(10)의 제1 탄성 이동핀(16)이 삽입되도록 광축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가이드홈(41)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홈(41)은 제1 탄성 이동핀(16)의 움직임을 안내함으로써, 제1 렌즈배럴(10)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캠 배럴(40)의 외주면에는 제4 돌기(46)를 구비한다. 제4 돌기(46)는 제2 서브원통(40)에 형성된 제1 안내부(69)를 관통하여 제1 서브원통(61)에 연결된다. 캠 배럴(40)은 제4 돌기(46)를 통해 제1 서브원통(61)과 함께 회전된다.
캠 배럴(40)의 내측에는 제2 렌즈배럴(30), 제3 렌즈배럴(5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렌즈배럴(30)은 제2 렌즈군(31)을 지지하며, 제3 렌즈배럴(50)은 제3 렌즈군(51)을 지지한다. 캠 배럴(40)의 내주면에는 제2 렌즈배럴(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3 가이드홈(43)과, 제3 렌즈배럴(5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5 가이드홈(45)을 구비한다. 제2 렌즈배럴(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 이동핀(32)을 구비한다. 제2 탄성 이동핀(32)은 제3 가이드홈(43)에 삽입되어, 제2 렌즈배럴(3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3 렌즈배럴(5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5 돌기(52)를 구비한다. 제5 돌기(52)가 제5 가이드홈(45)에 삽입되어, 제3 렌즈배럴(5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2 렌즈배럴(30) 및 제3 렌즈배럴(50)은 캠 배럴(40)에 의해 광축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렌즈배럴(30, 50)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하기 위해, 제2 렌즈배럴(30) 및 제3 렌즈배럴(50) 각각의 외주면에는 돌출영역(30P, 50P)이 형성되며, 제2 렌즈배럴(30) 및 제3 렌즈배럴(50)과 캠 배럴(40) 사이에는 제2 렌즈배럴(30)의 광축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는 직진 가이드 부재(80)가 배치될 수 있다.
직진 가이드 부재(80)는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절개부(81, 82)를 구비한다. 제1 절개부(81)는 광축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절개되며, 제2 절개부(82)는 광축 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절개된다.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절개부(81, 82)에 제2 및 제3 렌즈배럴(50)의 돌출영역(30P, 50P)이 가이드 됨으로써, 제2 및 제3 렌즈배럴(50)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을 따라 직진 운동할 수 있다. 직진 가이드 부재(80)는 제6 돌기(83)를 구비한다. 제6 돌기(83)는 제2 서브원통(66)에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직진 가이드홈(68)에 결합될 수 있다. 직진 가이드 부재(80)는 제3 직진 가이드홈(68)에 결합되어,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2 및 제3 렌즈배럴(30, 50)은 직진 가이드 부재(80)의 제1 및 제2 절개부(81, 82)에 결합되므로, 직진 가이드 부재(80)와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렌즈배럴과 캠 배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렌즈배럴(10)은 캠 배럴(40)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이동핀(16)을 구비한다. 캠 배럴(40)은 제1 탄성 이동핀(16)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가이드홈(41) 및 제2 가이드홈(42)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홈(41)은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가이드홈(42)은 일단(421A1)이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22A2)이 제1 가이드홈(41)에 연결된다.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렌즈배럴(10)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된다.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가이드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렌즈배럴(10)에 가해지는 외력(F)의 크기에 따라 제1 가이드홈(4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가이드홈(4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 이동핀(16)은 외부로부터 제1 렌즈배럴(1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거나, 소정 크기 미만의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가이드홈(4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외부로부터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 가이드홈(42)에 삽입된다. 소정 크기의 외력(F)의 예로는, 0.5 Kg의 쇠구슬을 제1 렌즈배럴(10)로부터 15 ~ 20 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켰을 때 제1 렌즈배럴(10)에 가해지는 외력(F)일 수 있다.
제1 탄성 이동핀(16)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 작용시,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 가이드홈(4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탄성 이동핀(16)이 외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이동핀(16)이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캠 배럴(40)에 제1 렌즈배럴(10)이 강제 침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홈(41)과 제2 가이드홈(42)의 홈 깊이가 달라지더라도, 제1 가이드홈(41)과 제2 가이드홈(42)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 이동핀(16)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과 같이 제1 탄성 이동핀(16)은 몸체부(161), 돌출부(163) 및 탄성부(165)를 포함한다. 몸체부(161)는 제1 렌즈배럴(10)에 고정 설치되며, 수용홈(G)을 구비한다. 돌출부(163)는 일부가 몸체부(16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용홈(G)에 삽입된다. 돌출부(163)의 돌출된 단부는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시 파손을 방지하도록 경사면(163S)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165)는 몸체부(161)와 돌출부(163) 사이에 배치되어, 돌출부(16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165)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조 특성상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또는 물질 특성상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돌출부(163)는 몸체부(161)에 형성된 스토퍼(S)에 의해 돌출 높이가 제한된다.
도 7a 내지 7b는 도 5의 제1 렌즈배럴과 캠 배럴의 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가이드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캠 배럴(40)의 회전에 따라 제1 가이드홈(41)을 따라 이동한다. 제1 탄성 이동핀(16)의 이동에 따라, 제1 렌즈배럴(10)이 광축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1 가이드홈(41)은 기준 위치(411), 광각 위치(412) 및 망원 위치(413)를 포함한다. 기준 위치(411)는 경통 조립체(1)가 작동되기 전 상태 또는 경통 조립체(1)가 작동 종료된 상태일 때,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에 결합되는 위치이다. 기준 위치(411)에 제1 탄성 이동핀(16)이 위치할 때, 제1 렌즈배럴(10)과 캠 배럴(40)이 중첩된다. 광각 위치(412)는 제1 렌즈배럴(10)이 광각단(10W)에 위치할 때,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에 결합되는 위치이며, 망원 위치(413)는 제1 렌즈배럴(10)이 망원단(10T)에 위치할 때,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에 결합되는 위치이다. 캠 배럴(40)의 회전에 따라, 제1 탄성 이동핀(16)은 기준 위치(411)에 위치되거나, 도 7a와 같이 광각 위치(412)에 위치되거나, 도 7b와 같이 망원 위치(413)에 위치될 수 있다. 광각 위치(412)와 망원 위치(413) 사이에는 광각 위치(412)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부(414)와, 하향 경사부(414)와 망원 위치(413)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부(415)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7a의 제1 렌즈배럴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1 렌즈배럴과 캠 배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력(F)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2 가이드홈(42)에 삽입된다.
제2 가이드홈(42)은 외력(F)에 의해 이동되는 제1 탄성 이동핀(16)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편, 내부로 삽입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으로 회복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 가이드홈(42)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이 삽입되는 제1 영역(421)과, 제1 영역(421)에 삽입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으로 가이드하는 제2 영역(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21)의 일단(421A1)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21A2)은 제2 영역(422)에 연결된다. 제2 영역(422)의 타단(422A2)은 제1 가이드홈(41)에 연결된다.
제1 영역(421)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42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421A)들이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탄성 이동핀(16)이 외력(F)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9는 도 8의 IX-IX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력(F)에 의해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은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421A)들에 삽입, 이탈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되어, 어느 서브 가이드홈(4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이 정지된다.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421A)의 홈 깊이(d21)는 제1 가이드홈(41)의 홈 깊이(d1)가 얕을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421A)의 일단(421A1)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21A2)은 제2 영역(422)에 연결된다. 제2 영역(422)은 원주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도 10a 및 10b는 도 8의 제1 탄성 이동핀이 제1 가이드홈(41)으로 회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제1 탄성 이동핀(16)이 서브 가이드홈(421A)에 삽입된 상태(도 8 참조)에서 캠 배럴(40)이 회전하면, 제1 탄성 이동핀(16)은 서브 가이드홈(421A)을 따라 이동한다. 서브 가이드홈(421A)을 따라 이동하는 제1 탄성 이동핀(16)은 도10a와 같이 서브 가이드홈(421A)에 연결된 제2 영역(422)으로 이동된다. 도10a의 캠 배럴(40)이 화살표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면, 제1 탄성 이동핀(16)은 도 10b와 같이 제1 가이드홈(41)의 기준 위치(411)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져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경통 조립체(1)를 분리하는 등의 복잡한 수리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촬영장치의 필수적인 조작 태양 중 하나인 종료 동작만으로도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촬영장치는 통상적으로 종료 동작에 의해 도 2와 같이 경통 조립체가 수납된 상태가 되며, 이 때, 제1 탄성 이동핀(16)을 기준 위치(411)에 위치되도록 캠 배럴(40)이 회전한다.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으로 회복되면,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제1 가이드홈(41)은 제2 가이드홈(42)보다 홈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홈(41)은 제2 가이드홈(42)의 일단(422A2), 즉 제1 가이드홈(41)과의 연결 영역보다 홈 깊이가 깊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0b의 XI-XI를 따라 절단한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홈(42)이 제1 가이드홈(41)보다 홈의 깊이보다 얕기 때문에(d22<d1), 제2 가이드홈(42)에서 제1 가이드홈(41)으로 제1 탄성 이동핀(16)의 이동이 자유로운 반면, 제1 가이드홈(41)에서 제2 가이드홈(42)으로 이동은 제한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홈(42)은 제1 탄성 이동핀(16)의 정상적인 작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으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홈(4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홈(42)은 광각 가이드홈(42W)과 망원 가이드홈(42T)을 포함할 수 있다. 광각 가이드홈(42W)과 망원 가이드홈(42T) 각각은 상술한 제1 영역(421)과 제2 영역(422)을 포함한다. 광각 가이드홈(42W)은 일단(421A1)이 광각 위치(412)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22A2)이 기준 위치(411)에 연결된다. 망원 가이드홈(42T)은 일단(421A1)이 망원 위치(413)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22A2)이 광각 위치(412)와 망원 위치(413) 사이에 배치된 상향 경사부(415)에 연결될 수 있다. 광각 가이드홈(42W)은 제1 탄성 이동핀(16)을 기준 위치(411)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망원 가이드홈(42T)은 제1 탄성 이동핀(16)을 상향 경사부(415)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망원 가이드홈(42T)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상향 경사부(415)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의 하향 경사부(414)를 거쳐 기준 위치(411)로 회복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렌즈배럴(10)은 하강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렌즈배럴(10)이 연속적으로 하강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제2 렌즈배럴(30; 도 3 참조)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충돌 방지는 제2 렌즈배럴(30)이 작동 종료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과정을 포함할 경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캠 배럴의 제2 가이드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도 12의 제1 렌즈배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제1 렌즈배럴과 캠 배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2 가이드홈(42')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가이드홈(42')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이 삽입되는 제1 영역(421)과, 제1 영역(421)에 삽입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제1 가이드홈(41)으로 가이드하는 제2 영역(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21)의 일단(421B1)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격되며, 제2 영역(422)의 일단(422B2)은 제1 가이드홈(41)에 연결된다.
제1 영역(421)은 광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수의 서브 가이드홈(4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질 때, 서브 가이드홈(421B)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된 제1 탄성 이동핀(16)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서브 가이드홈(421B)은 단수 개이지만 외력(F)이 가해지는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탄성 이동핀(16)이 서브 가이드홈(42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탄성 이동핀(16)이 제1 가이드홈(41)의 광각 위치(4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가이드홈(41)의 광각 위치(412)에서 이탈되며, 도 13a와 같이 제2 가이드홈(42')의 제1 영역(421)에 삽입된다. 도 14는 도 13a의 XIV-XIV를 따라 절단한 캠 배럴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영역(421)은 제2 영역(422)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421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21)에 삽입된 제1 탄성 이동핀(16)은 경사면(421S)을 따라 제2 영역(422)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탄성 이동핀(16)은 경사면(421S)에 의해 외력(F)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제2 영역(422)과 연결되는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제1 영역(421)이 캠 배럴(40)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캠 배럴(4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13a의 캠 배럴(40)이 화살표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면, 제1 탄성 이동핀(16)은 도 13b와 같이 제1 가이드홈(41)의 기준 위치(411)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 가이드홈(41)의 깊이는 제2 가이드홈(42')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캠 배럴과 제2 렌즈배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제1 렌즈배럴, 캠 배럴, 제2 렌즈배럴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렌즈군(31)을 지지하는 제2 렌즈배럴(30)은 캠 배럴(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배럴(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 이동핀(32)을 구비한다. 제2 탄성 이동핀(32)은 탄성 변형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도 6의 제1 탄성 이동핀(16)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캠 배럴(40)의 내주면에는 제2 탄성 이동핀(32)이 삽입되며 원주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3 가이드홈(43)과, 일단(441A1)이 제3 가이드홈(43)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442A2)이 제3 가이드홈(43)에 연결된 제4 가이드홈(44)을 구비한다.
제2 탄성 이동핀(32)은 정상적인 작동과정에서는 제3 가이드홈(43)을 따라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2 렌즈배럴(3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캠 배럴(40)의 회전에 따라 제2 렌즈배럴(30)과 제1 렌즈배럴(10)이 근접 또는 이격된다.
제1 렌즈배럴(10)과 제2 렌즈배럴(30)은 도 16과 같이 캠 배럴(40)의 회전에 의해 근접 또는 접촉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렌즈배럴(10)에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 제1 탄성 이동핀(16)은 제1 가이드홈(41)으로부터 이탈되고, 제1 렌즈배럴(10)은 제1 탄성 이동핀(16)이 이탈하여 이동한 거리만큼 광축 방향으로 후진, 즉 하강한다. 제1 렌즈배럴(10)과 근접 또는 접촉하는 제2 렌즈배럴(30)은 제1 렌즈배럴(10)과의 접촉을 통해 외력(F)을 전달 받게 되며, 그에 따라 제2 탄성 이동핀(32)이 제3 가이드홈(4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탈된 제2 탄성 이동핀(32)은 제4 가이드홈(44)에 삽입된다. 제4 가이드홈(44)은 캠 배럴(40)의 회전시 제2 탄성 이동핀(32)을 제3 가이드홈(43)으로 회복되도록 가이드한다. 제4 가이드홈(44)은 제3 가이드홈(43)의 광각 위치(432)로부터 이격되며, 기준 위치(431)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2 탄성 이동핀(32)이 광각 위치(432)에서 제3 가이드홈(43)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캠 배럴(40)의 회전에 의해 제2 탄성 이동핀(32)을 제3 가이드홈(43)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제4 가이드홈(44)을 제3 가이드홈(43)의 광각 위치(432) 부근에 형성한 이유는, 제1 및 제2 탄성 이동핀(16, 32) 각각이 광각 위치(412, 432)에서 위치할 때, 제2 렌즈배럴(30)과 제1 렌즈배럴(10)이 도 16과 같이 서로 근접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탄성 이동핀(16, 32)이 광각 위치(412, 432)에 위치할 때, 제1 렌즈배럴(10)에 외력(F)이 작용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캠 배럴(40)과 제2 렌즈배럴(30) 사이에 제2 탄성 이동핀(32)과 제4 가이드홈(44)을 설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제2 렌즈배럴(30)과 캠 배럴(40) 사이의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가이드홈(44) 역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제1 영역(441) 및 제2 영역(4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장치의 최전방에 돌출된 제1 렌즈배럴(10)에 외부 충격(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제1 렌즈배럴(10)과 그 내측에 배치된 캠 배럴(40)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대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캠 배럴(40)이 회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캠 배럴(40)은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 없이 회전하거나, 직진 이동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 경통 조립체 5 : 구동부
10 : 제1 렌즈배럴 11 : 제1 렌즈군
12 : 렌즈 지지부 13 : 보호케이스
15 : 제1 돌기 16 : 제1 탄성 이동핀
161 : 몸체부 163 : 돌출부
165 : 탄성부 20 : 제1 원통
21 : 제1 직진 가이드홈 22 : 제2 돌기
30 : 제2 렌즈배럴 31 : 제2 렌즈군
32 : 제2 탄성 이동핀 40 : 캠 배럴
41 : 제1 가이드홈 411 : 기준 위치
412 : 광각 위치 413 : 망원 위치
42, 42' : 제2 가이드홈 42W : 광각 가이드홈
42T : 망원 가이드홈 421 : 제1 영역
421A, 421B : 서브 가이드홈 422 : 제2 영역
43 : 제3 가이드홈 44 : 제4 가이드홈
45 : 제5 가이드홈 46 : 제4 돌기
50 : 제3 렌즈배럴 51 : 제3 렌즈군
52 : 제5 돌기 60 : 제2 원통
61 : 제1 서브 원통 62 : 기어
63 : 제3 돌기 66: 제2 서브 원통
67 : 제2 직진 가이드홈 68 : 제3 직진 가이드홈
69 : 제1 안내부 70 : 제4 렌즈배럴
71 : 제4 렌즈군 80 : 직진 가이드 부재
81 : 제1 절개부 82 : 제2 절개부
83 : 제6 돌기 90 : 외부 원통
91 : 제2 안내부 100 : 베이스
101 : 촬상소자 110 : 결상렌즈
10 : 제1 렌즈배럴 11 : 제1 렌즈군
12 : 렌즈 지지부 13 : 보호케이스
15 : 제1 돌기 16 : 제1 탄성 이동핀
161 : 몸체부 163 : 돌출부
165 : 탄성부 20 : 제1 원통
21 : 제1 직진 가이드홈 22 : 제2 돌기
30 : 제2 렌즈배럴 31 : 제2 렌즈군
32 : 제2 탄성 이동핀 40 : 캠 배럴
41 : 제1 가이드홈 411 : 기준 위치
412 : 광각 위치 413 : 망원 위치
42, 42' : 제2 가이드홈 42W : 광각 가이드홈
42T : 망원 가이드홈 421 : 제1 영역
421A, 421B : 서브 가이드홈 422 : 제2 영역
43 : 제3 가이드홈 44 : 제4 가이드홈
45 : 제5 가이드홈 46 : 제4 돌기
50 : 제3 렌즈배럴 51 : 제3 렌즈군
52 : 제5 돌기 60 : 제2 원통
61 : 제1 서브 원통 62 : 기어
63 : 제3 돌기 66: 제2 서브 원통
67 : 제2 직진 가이드홈 68 : 제3 직진 가이드홈
69 : 제1 안내부 70 : 제4 렌즈배럴
71 : 제4 렌즈군 80 : 직진 가이드 부재
81 : 제1 절개부 82 : 제2 절개부
83 : 제6 돌기 90 : 외부 원통
91 : 제2 안내부 100 : 베이스
101 : 촬상소자 110 : 결상렌즈
Claims (21)
- 제1 배럴과,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배럴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배럴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배럴은, 상기 제2 배럴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 이동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배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홈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탄성 이동핀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이동핀은,
상기 제1 배럴에 고정 설치되며, 수용홈이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일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된 상기 탄성 이동핀을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 가이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영역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연결된 경통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가이드홈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영역에 연결되는 경통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원주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된 경통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수의 서브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가이드홈은,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영역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경통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2 가이드홈보다 홈의 깊이가 깊은 경통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은 상기 제2 가이드홈의 타단보다 홈의 깊이가 깊은 경통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은,
기준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위치보다 광축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한 광각 위치와, 상기 광각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광각 위치보다 광축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한 망원 위치를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홈은,
일단이 상기 광각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이 상기 기준 위치에 연결된 광각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망원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타단이 상기 광각 위치와 상기 망원 위치 사이에 연결된 망원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위치와 상기 망원 위치 사이에는,
상기 광각 위치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부와, 상기 하향 경사부와 상기 망원 위치에 연결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 가이드홈의 타단이 상기 상향 경사부에 연결된 경통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이동핀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배럴과 상기 제2 배럴이 중첩되는 경통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럴은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군을 지지하는 렌즈 배럴이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배치된 캠 배럴인 경통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렌즈군을 지지하는 제3 배럴을 더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럴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 이동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배럴은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3 배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원주 방향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3 가이드홈과, 일단이 상기 제3 가이드홈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제3 가이드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이 상기 제3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제2 탄성 이동핀을 제3 가이드홈으로 회복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경통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럴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돌기가 삽입되며 광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직진 가이드홈이 마련된 외통을 더 포함하는 경통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통 조립체; 및
상기 경통 조립체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576A KR20140109184A (ko) | 2013-03-05 | 2013-03-05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US14/014,651 US8928996B2 (en) | 2013-03-05 | 2013-08-30 |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PCT/KR2013/010782 WO2014137055A1 (en) | 2013-03-05 | 2013-11-26 |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EP13195934.8A EP2775335A1 (en) | 2013-03-05 | 2013-12-05 |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CN201410053511.XA CN104035181A (zh) | 2013-03-05 | 2014-02-17 | 透镜镜筒组件和具有该透镜镜筒组件的拍摄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576A KR20140109184A (ko) | 2013-03-05 | 2013-03-05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184A true KR20140109184A (ko) | 2014-09-15 |
Family
ID=4976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576A KR20140109184A (ko) | 2013-03-05 | 2013-03-05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28996B2 (ko) |
EP (1) | EP2775335A1 (ko) |
KR (1) | KR20140109184A (ko) |
CN (1) | CN104035181A (ko) |
WO (1) | WO201413705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1386A (ko) * | 2015-04-09 | 2016-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38515B2 (ja) * | 2012-10-31 | 2017-11-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装置 |
JP6524414B2 (ja) * | 2014-09-12 | 2019-06-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レンズ鏡筒 |
CN105530441A (zh) * | 2014-09-30 | 2016-04-27 | 南京理工大学 | 基于耦合透镜的红外与微光图像配准前端光机结构 |
JP6576030B2 (ja) * | 2014-10-28 | 2019-09-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の組立方法 |
WO2016104547A1 (ja) * | 2014-12-26 | 2016-06-30 | 株式会社ニコン | レンズ鏡筒、カメラ |
JP6435857B2 (ja) * | 2014-12-26 | 2018-12-12 | 株式会社ニコン | 光学機器 |
JP6436788B2 (ja) * | 2015-01-13 | 2018-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
JP2016200791A (ja) * | 2015-04-09 | 2016-12-01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
US10859896B2 (en) * | 2017-02-08 | 2020-12-08 | Sony Corporation | Lens adjustment mechanism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
KR20210044105A (ko) | 2019-10-14 | 2021-04-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및 카메라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48966A (ja) | 2000-08-07 | 2002-02-15 | Tamron Co Ltd | ズームレンズ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 |
JP2004085932A (ja) * | 2002-08-27 | 2004-03-18 | Pentax Corp | ズームレンズ鏡筒の繰出カム機構及び繰出カム機構 |
JP5074695B2 (ja) | 2006-02-17 | 2012-11-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 |
JP2008003272A (ja) | 2006-06-22 | 2008-01-10 | Casio Comput Co Ltd |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JP2009048118A (ja) * | 2007-08-22 | 2009-03-05 | Olympus Imaging Corp | カムフォロアおよびレンズ鏡枠 |
JP5009334B2 (ja) * | 2009-05-01 | 2012-08-22 | Hoya株式会社 | レンズ枠の退避構造 |
JP5473473B2 (ja) | 2009-08-17 | 2014-04-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11154347A (ja) * | 2009-12-28 | 2011-08-11 | Panasonic Corp | レンズ鏡筒 |
JP5273063B2 (ja) | 2010-01-29 | 2013-08-28 | 株式会社ニコン | 光学装置及び光学機器 |
JP2011158792A (ja) | 2010-02-03 | 2011-08-18 | Canon Inc | 撮像装置 |
JP2012053445A (ja) * | 2010-08-04 | 2012-03-15 | Canon Inc |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
JP5882625B2 (ja) | 2010-08-18 | 2016-03-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KR101797036B1 (ko) | 2011-02-11 | 201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줌 렌즈 경통 조립체 |
-
2013
- 2013-03-05 KR KR1020130023576A patent/KR2014010918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8-30 US US14/014,651 patent/US892899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6 WO PCT/KR2013/010782 patent/WO201413705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05 EP EP13195934.8A patent/EP277533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2-17 CN CN201410053511.XA patent/CN104035181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1386A (ko) * | 2015-04-09 | 2016-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28996B2 (en) | 2015-01-06 |
WO2014137055A1 (en) | 2014-09-12 |
CN104035181A (zh) | 2014-09-10 |
EP2775335A1 (en) | 2014-09-10 |
US20140253793A1 (en) | 2014-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09184A (ko)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US7463824B2 (en) | Collapsible lens barrel | |
US8730600B2 (en) | Lens barrel | |
US20060115254A1 (en) |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 |
US8134784B2 (en) | Lens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extension/retrac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image pickup apparatus body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60047197A (ko) | 접을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 |
JP4455350B2 (ja) | 撮像装置 | |
US10082639B2 (en) | Lens barrel | |
JP2007219435A (ja) |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 |
JP2011039386A (ja) | 沈胴式レンズ鏡筒 | |
JP2005173413A (ja) |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 |
US8840326B2 (en) | Lens barrel assembl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430258B2 (ja) | レンズ鏡筒 | |
KR102072225B1 (ko) | 줌 렌즈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JP5854255B2 (ja) | レンズ鏡胴、撮像装置および情報装置 | |
JP4710340B2 (ja) | レンズ鏡筒 | |
EP1998203B1 (en) | Lens barrel and camera | |
JP2009009115A (ja) |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 |
JP4661246B2 (ja) |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 |
KR100620591B1 (ko) | 줌과 포커싱 기능을 갖는 렌즈 광학구조 | |
JP2007206710A (ja) | レンズ鏡筒 | |
JP6971817B2 (ja) |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 |
KR20150104461A (ko) |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 |
KR200384369Y1 (ko) | 줌과 포커싱 기능을 갖는 렌즈 광학구조 | |
JP2015232584A (ja) |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