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573A -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573A
KR20120088573A KR1020120007654A KR20120007654A KR20120088573A KR 20120088573 A KR20120088573 A KR 20120088573A KR 1020120007654 A KR1020120007654 A KR 1020120007654A KR 20120007654 A KR20120007654 A KR 20120007654A KR 20120088573 A KR20120088573 A KR 2012008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ocument
pickup roller
arm me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076B1 (ko
Inventor
히로유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34Article-retaining devices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articles to th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시트 급지 장치는 트레이 상의 시트를 소정의 처리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픽업 롤러 및 이것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부재와, 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암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픽업 롤러를 급지위치와 퇴피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기구와, 상기 요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에 시트가 적재되었을 때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WITH PICK UP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시트를 소정의 처리위치를 향해서 급지시키는 시트 급지 장치 및 상기 시트 급지 장치를 자동 원고 급지 장치로서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고 시트 상의 원고 화상에 의거해서 화상을 기록 시트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을 행하는 장치 본체와, 자동 원고 급지 장치 및 화상 판독부를 포함한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원고 트레이에 세팅된 원고 시트는 화상 판독부의 화상 판독 위치를 향해서 반송되어 그 원고 화상이 광학적으로 판독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을 미리 대전시키고, 이 드럼의 표면에 상기 원고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된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된 토너 화상은 기록 시트에 전사되고, 그 후 기록 시트에 정착된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원고 트레이에 세팅된 원고 시트를 송출하는 픽업 롤러를 포함한다. 이 픽업 롤러는 암부재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원고 시트가 원고 트레이에 세팅되기 전에는 급지 반송로의 상방으로 퇴피하고(퇴피위치), 세팅된 후에는 하강해서 원고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원고 시트를 송출한다(급지위치). 이러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있어서 급지 롤러의 구동축과, 픽업 롤러를 유지하는 롤러 유지 부재를 코일형상 스프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퇴피위치와 상기 급지위치 사이에서 픽업 롤러를 자세 변경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종래 기술 1). 상기 코일형상 스프링은 일정한 유지력을 갖고 구동축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 유지 부재에 대한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구동축의 회전력을 롤러 유지 부재에 전달하여 롤러 유지 부재를 요동시킨다. 한편, 상기 퇴피위치 또는 급지위치에 도달해서 롤러 유지 부재의 요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면 코일형상 스프링의 구동축에 대한 유지력은 개방되어 양자는 슬립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동축의 회전력은 롤러 유지 부재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픽업 롤러를 소정 위치에 대기시키기 위해서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전원 투입시에 픽업 롤러를 이동시키는 스탠바이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한 장치도 알려져 있다(종래 기술 2).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에 원고 시트를 세팅할 때 종종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하우징 상면을 이용해서 원고 시트의 일치 작업을 행한다. 이 일치 작업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생기는 진동은 퇴피위치에 있는 픽업 롤러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종래 기술 1과 같이 코일형상 스프링 등의 연결부재로 픽업 롤러의 퇴피위치의 상태가 비교적 느슨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픽업 롤러가 하강하면 원고 시트를 세팅할 수 있는 높이방향의 공간이 좁아져서 세팅시에 원고 시트가 젖혀져 버리는 문제나, 원고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이 일치되기 어려워 중송(Multi feed)이 발생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 1의 장치에 있어서 유지력이 큰 코일형상 스프링을 사용하면 픽업 롤러의 하강의 문제는 해소할 수 있지만, 암부재의 요동에 필요로 하는 토크가 커져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모터의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종래 기술 2의 장치에서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전원 투입시에 픽업 롤러를 소정 위치에 대기시키는 동작을 행하지만, 전원 투입 후에 발생되는 픽업 롤러의 하강의 문제에는 대처할 수 없다.
본 개시의 목적은 급지해야 할 시트를 확실하게 트레이에 세팅할 수 있고, 문제 없이 소정 위치에서 시트를 송출할 수 있는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 본 개시의 일국면에 의한 시트 급지 장치는 하우징, 트레이, 픽업 롤러, 암부재, 회전축, 연결부재, 요동기구, 제어부 및 검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에 부설되어 급지되는 시트가 적재된다.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트레이 상의 시트를 소정의 처리위치를 향해서 송출한다. 상기 암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소정 범위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픽업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회전축은 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암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지 않는다. 상기 요동기구는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트레이 상의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급지위치와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퇴피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트레이 상에 시트가 적재된 것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 시트의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기록 시트에 상기 원고 화상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에 상기 원고 시트를 자동 급지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포함하고, 이 자동 원고 급지 장치가 상기 시트 급지 장치의 구성을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원고 급송 유닛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원고 급송 유닛을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상부 커버 유닛을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 커버 유닛으로부터 내면의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픽업 롤러가 퇴피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픽업 롤러가 급지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픽업 롤러에 진동이 가해진 경우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로서 몸통내 배지형 복사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들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여도 좋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하우징 구조를 갖고 몸통내 공간(몸통내 배지부(24))을 구비한 장치 본체(2), 장치 본체(2)의 상면에 배치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 및 장치 본체(2)의 하측에 장착된 증설 급지 유닛(4)을 포함한다.
장치 본체(2)는 시트에 대해서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한다. 장치 본체(2)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1)의 상방에 설치되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상부 하우징(22)과, 하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2)을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23)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1)에는 화상 형성을 위한 각종 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하우징(22)에는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1), 상부 하우징(22) 및 연결 하우징(23)으로 둘러싸여지는 몸통내 공간이 화상 형성 후의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몸통내 배지부(24)로 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23)은 장치 본체(2)의 우측면의 측에 배치되고, 몸통내 배지부(24)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61)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내 배지부(24)로서 이용되는 상기 몸통내 공간은 장치 본체(2)의 앞면 및 좌측면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유저는 이들 개방부분으로부터 손을 넣어 몸통내 배지부(24)로부터 화상 형성 후의 시트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통내 공간의 저면(241)은 하부 하우징(21)의 상면에 의해 구획되고, 배출구(961)로부터 배출된 시트가 적재된다.
상부 하우징(22)의 앞면에는 조작 패널 유닛(25)이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 유닛(25)은 텐 키, 스타트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 키(251) 및 LCD 터치 패널(252) 등을 구비하고,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다. 유저는 조작 패널 유닛(25)을 통해 인쇄되는 시트의 매수 등을 입력하거나, 인쇄 농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1)에는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211)가 장착되어 있다. 증설 급지 유닛(4)도 또한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41,42)를 포함한다. 이들 급지 카세트(211,41,42)는 자동 급지용으로 설치된 카세트이며, 대량의 기록 시트를 사이즈별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211,41,42)는 하부 하우징(21) 또는 증설 급지 유닛(4)의 앞면으로부터 앞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하부 하우징(21)의 급지 카세트(211)만을 그리고 있다.
장치 본체(2)의 우측면에는 유저에게 수동 급지를 행하게 하기 위한 멀티 트레이 유닛(M)이 장착되어 있다. 멀티 트레이 유닛(M)은 수동 공급의 기록 시트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43)와, 상기 기록 시트를 하부 하우징(21) 내의 화상 형성부에 반입하는 급지 유닛(44)을 포함한다. 급지 트레이(43)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21)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미사용시에는 폐쇄 상태로 된다. 유저는 수동 급지를 행할 경우 급지 트레이(43)를 개방하고 그 위에 기록 시트를 적재한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는 장치 본체(2)의 상면에 그 후방측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이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는 장치 본체(2)에 있어서의 소정의 원고 판독 위치(제 1 콘택트 유리(222)가 장착된 위치)를 향해서 복사되는 원고 시트를 자동 급지한다. 한편, 유저가 수동 적재로 원고 시트를 소정의 원고 판독 위치(제 2 콘택트 유리(223)의 배치위치)에 적재할 경우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는 상방으로 개방된다.
도 2를 참조해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는 본체 하우징(30)(하우징), 원고 급지 트레이(31)(트레이), 원고 반송부(32), 원고 배지 트레이(33) 및 원고 반전 트레이(31B)를 구비한다. 본체 하우징(30)은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서, 원고 반송부(32)를 수용하는 좌측부분에 상방으로 융기된 전방 벽부(301) 및 후방 벽부(302)를 가짐과 아울러 우측부분에 대략 편평한 저층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원고 급지 트레이(31)는 화상 판독 위치로 급송되는 원고 시트가 적재되는 트레이로서, 본체 하우징(30)의 급송구(30H)로부터 연장되도록 본체 하우징(30)에 부설되어 있다. 원고 급지 트레이(31)에는 적재된 원고 시트의 폭맞춤을 행하기 위한 1쌍의 커서(311)가 구비되어 있다.
원고 반송부(32)는 원고 급지 트레이(31) 상의 원고 시트를 화상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원고 배지 트레이(33)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및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원고 반송부(32)는 본체 하우징(30)의 전방 벽부(301) 및 후방 벽부(302) 사이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커버 유닛(32U)을 포함한다. 이들 상세에 대해서는 도 4 등에 의거해서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고 배지 트레이(33)는 원고 화상이 광학적으로 판독된 후의 원고 시트가 배출되는 트레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우측에 있어서의 상기 저층부분의 상면이 원고 배지 트레이(33)로 되어 있다. 원고 반전 트레이(31B)는 양면에 원고 화상을 갖는 원고 시트의 판독시에 상기 원고 시트가 일시적으로 배출되는 트레이이다.
이어서, 도 3에 의거해서 장치 본체(2)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하부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토너 컨테이너(99Y,99M,99C,99K), 중간 전사 유닛(92), 화상 형성부(93), 노광 유닛(94), 및 상술한 급지 카세트(211)가 수용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3)는 풀컬러의 토너 상(像)을 형성하기 위해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 토너 상을 형성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0Y,10M,10C,10K)을 구비한다. 각 화상 형성 유닛(10Y,10M,10C,10K)은 감광체 드럼(11)과, 이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기(12), 현상 장치(13), 1차 전사 롤러(14) 및 클리닝 장치(1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11)은 그 축 둘레에서 회전하고, 그 둘레면에 정전 잠상 및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1)으로서는 어모퍼스실리콘(a-Si)계 재료를 사용한 감광체 드럼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기(12)는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대전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은 노광 유닛(94)에 의해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장치(13)는 감광체 드럼(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장치(13)는 2성분 현상제용의 것이고, 교반 롤러(16,17), 자기 롤러(18), 및 현상 롤러(19)를 포함한다. 교반 롤러(16,17)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함으로써 토너를 대전시킨다. 자기 롤러(18)의 둘레면에는 2성분 현상제층이 담지되고, 현상 롤러(19)의 둘레면에는 자기 롤러(18)와 현상 롤러(19)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토너가 수수(授受)됨으로써 형성된 토너층이 담지된다. 현상 롤러(19) 상의 토너는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공급되어 상기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1차 전사 롤러(14)는 중간 전사 유닛(92)에 구비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92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 드럼(11)과 닙부를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11) 상의 토너 상을 중간 전사 벨트(921) 상에 1차 전사한다. 클리닝 장치(15)는 토너 상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을 청소한다.
옐로우용 토너 컨테이너(99Y), 마젠타용 토너 컨테이너(99M), 시안용 토너 컨테이너(99C), 및 블랙용 토너 컨테이너(99K)는 각각 각 색의 토너를 저장하는 것이며, YMCK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유닛(10Y,10M,10C,10K)의 현상 장치(13)에 도시가 생략된 공급 경로를 통해서 각 색의 토너를 공급한다.
노광 유닛(94)은 광원이나 폴리곤 미러, 반사 미러, 편향 미러 등의 각종 광학계 기기를 갖고, 화상 형성 유닛(10Y,10M,10C,10K)의 각각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원고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광을 조사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유닛(92)은 중간 전사 벨트(921), 구동 롤러(922) 및 종동 롤러(923)를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921) 상에는 복수의 감광체 드럼(11)으로부터 토너 상이 리코팅(recoating)된다(1차 전사). 리코팅된 토너 상은 급지 카세트(211)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시트에 2차 전사부(98)에 있어서 2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921)를 주회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922) 및 종동 롤러(923)는 하부 하우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급지 카세트{211(41,42)}는 복수의 기록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트 다발을 수납한다. 급지 카세트(211)의 우단측 상부에는 픽업 롤러(212)가 배치되어 있다. 픽업 롤러(212)의 구동에 의해 급지 카세트(211) 내의 시트 다발의 최상층의 기록 시트가 1매씩 공급되어 반입 반송로(26)에 반입된다. 한편, 급지 트레이(43)에 적재된 수동 공급의 기록 시트는 급지 유닛(44)의 급지 롤러(45)의 구동에 의해 반입 반송로(26)에 반입된다.
반입 반송로(26)의 하류측에는 2차 전사부(98), 후술하는 정착 유닛(97) 및 배지 유닛(96)을 경유해서 배출구(961)까지 연장되는 시트 반송로(28)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반송로(28)의 상류부분은 하부 하우징(21)에 형성된 내벽과, 반전 반송 유닛(29)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 반송 유닛(29)의 외측면은 양면 인쇄시에 시트를 반전 반송하는 반전 반송로(291)의 한쪽 면을 구성하고 있다. 시트 반송로(28)의 2차 전사부(98)보다 상류측에는 레지스트 롤러쌍(27)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는 레지스트 롤러쌍(27)에 의해 일단 정지되고, 스큐 교정이 행해진 후 화상 전사를 위한 소정의 타이밍에서 2차 전사부(98)로 송출된다.
연결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정착 유닛(97)과 배지 유닛(96)이 수납되어 있다. 정착 유닛(97)은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2차 전사부(98)에 있어서 토너 상이 2차 전사된 기록 시트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정착 처리를 실시한다. 정착 처리된 컬러 화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는 정착 유닛(97)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배지 유닛(96)에 의해 배출구(961)로부터 몸통내 배지부(24)를 향해서 배출된다.
상부 하우징(22)의 상면에는 제 1 콘택트 유리(222)와 제 2 콘택트 유리(223)가 끼워 넣어져 있다. 제 1 콘택트 유리(22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로부터 자동 급송되는 원고 시트의 판독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콘택트 유리(223)는 수동 적재되는 원고 시트의 판독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원고 시트의 원고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주사 기구(224)와 촬상 소자(225)가 수용되어 있다. 주사 기구(224)는 광원, 이동 캐리지, 반사 미러 등을 포함하고,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 소자(225)로 도입한다. 촬상 소자(225)는 상기 반사광을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광전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 전기신호는 A/D 변환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노광 유닛(94)에 입력된다.
이어서, 도 4?도 8에 의거해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의 내부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의 요부(원고 반송부(32))의 단면도이다. 원고 반송부(32)는 원고 시트의 반송 경로가 되는 제 1?제 5 반송로(341?345)와, 이들 제 1?제 5 반송로(341?345)의 적소에 배치된 제 1?제 5 반송 롤러쌍(351?355)과,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적재된 원고 시트를 원고 반송부(32) 내로 보내주는 원고 급송 유닛(5)과, 원고 급지 트레이(31) 상에 원고 시트가 적재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부재(6)(검출부)를 구비한다. 도 5는 원고 급송 유닛(5)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원고 급송 유닛(5)을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술한 상부 커버 유닛(32U)을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내면의 가이드 부재(321)를 제거한 상태의 상부 커버 유닛(32U)의 사시도이다.
제 1, 제 2 및 제 3 반송로(341,342,343)는 상술한 급송구(30H)로부터 원고 화상의 광학적인 판독위치(X)를 경유해서 원고 시트를 원고 배지 트레이(33)에 배지하는 배지구(30E)까지 연장되는 U자형으로 만곡된 반송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4 및 제 5 반송로(344,345)는 양면에 원고 화상을 갖는 원고 시트의 판독시에 상기 원고 시트를 반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위치백 반송로이다.
제 1 반송로(341)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연결되어 급송구(30H)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하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이며, 원고 급송 유닛(5)으로부터 송출된 원고 시트가 최초로 통과하는 반송로이다. 이 제 1 반송로(341)의 상측 반송면은 상부 커버 유닛(32U)의 가이드 부재(321)(도 7 참조)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제 2 반송로(342)는 제 1 반송로(341)의 하류단으로부터 원고 판독 위치(X)인 제 1 콘택트 유리(222)의 대향위치까지 연장되는 원호상의 반송로이다. 이 제 2 반송로(342)의 한쪽의 반송면도 상부 커버 유닛(32U)의 가이드 부재(321)로 획정되어 있다. 제 3 반송로(343)는 제 1 콘택트 유리(222)와의 대향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배지구(30E)까지 약간 상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이다. 또한, 제 1 콘택트 유리(222)와의 대향위치에는 원고 시트를 제 1 콘택트 유리(222)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접면 가이드(36)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반송로(344)는 제 3 반송로(343)로부터 분기되어서 상방 우측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이다. 제 3 반송로(343)와 제 4 반송로(344)의 분기부에는 분류 레버(37)가 배치되어 있다. 분류 레버(37)는 통상의 편면 판독인 경우는 원고 시트를 제 3 반송로로 안내하지만, 원고 시트의 양면 판독이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편면 판독을 끝낸 해당 원고 시트를 표리 반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원고 시트를 제 4 반송로(344)로 안내한다. 제 5 반송로(345)는 제 4 반송로(344) 및 제 1 반송로(341)와 원고 반전 트레이(31B)에 연통한 대략 수평한 반송로이며, 표리 반전시키는 원고 시트를 제 4 반송로(344)로부터 받아들여 제 1 반송로(341)로 스위치백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이다.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반송 롤러쌍(351,352,353,354 및 355)은 각각 원고 시트를 반송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롤러(351A,352A,353A,354A 및 355A)와, 이것에 접촉되어서 종동 회전하는 종동 롤러(351B,352B,353B,354B 및 355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반송 롤러쌍(351)은 제 1 반송로(341)와 제 2 반송로(342) 사이에 배치되고, 크게 만곡되어 있는 제 2 반송로(342)를 향해서 원고 시트를 급송한다. 제 2 반송 롤러쌍(352)은 원고 판독 위치(X)의 직상류에 배치되어 이 원고 판독 위치(X)로 원고 시트를 보내준다. 제 3 반송 롤러쌍(353)은 원고 판독 위치(X)의 직하류에 배치되어 화상 판독 후의 원고 시트를 제 3 반송로(343) 또는 제 4 반송로(344)로 송출한다. 제 4 반송 롤러쌍(354)은 배지구(30E)의 근방에 배치되어 원고 시트를 원고 배지 트레이(33)를 향해서 배출한다. 제 5 반송 롤러쌍(355)은 정전 및 역전이 가능한 롤러쌍으로서 제 5 반송로(345)에 배치되어 원고 반전 트레이(31B)를 활용해서 원고 시트의 스위치백 반송을 실행한다.
원고 급송 유닛(5)은 픽업 롤러(51)와, 픽업 롤러(51)보다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원고 급지 롤러(52)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을 규제하는 1쌍의 스토퍼(53)와, 이들 부재를 유지하는 홀더(50)(암부재)와, 홀더(50)를 요동시키는 구동기구(56)(요동기구)와, 홀더(50)와 원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축(521)을 연결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연결부재)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고 급송 유닛(5)은 상부 커버 유닛(32U)에 장착되어 있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는 또한 구동기구(56)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7)(구동기구의 일부)와, 이 모터(7)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제어부)를 구비한다.
홀더(50)는 평판형상의 상판(500)과, 이 상판(500)과 일체의 리브부재로 이루어지는 앞판(501), 뒷판(502) 및 중간판(503)을 포함하는 박스형상의 부재이다. 앞판(501) 및 뒷판(502)에는 동축 상에 배열되는 전방 통형상부(504) 및 후방 통형상부(50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홀더(50)는 이 전방 통형상부(504) 및 후방 통형상부(505)의 통심 둘레에서 요동한다.
픽업 롤러(51)는 그 축 둘레에서 회전하는 회전력이 부여되어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를 1매씩 원고 반송부(32)(제 1 반송로(341))를 향해서 송출한다. 픽업 롤러(51)의 회전축은 뒷판(502) 및 중간판(503)의 우단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롤러(51)는 홀더(50)의 전방 통형상부(504) 및 후방 통형상부(505)의 통심 둘레의 요동에 의해 원고 급지 트레이(31) 상의 원고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급지위치(하방위치)와 원고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퇴피위치(상방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된다(나중에 도 9?도 11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하류단(312)에는 픽업 롤러(51)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처리 퍼트(313)가 배치되어 있다. 픽업 롤러(51)가 급지위치에 있을 때 픽업 롤러(51)와 처리 퍼트(313) 사이에 닙부가 형성되게 된다.
원고 급지 롤러(52)는 픽업 롤러(51)로부터 송출된 1매의 원고 시트를 더욱이 제 1 반송로(341)를 향해서 반송한다. 원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축(521)은 홀더(50)의 앞판(501) 및 뒷판(502)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고 시트의 급지 동작을 행할 때 회전축(521)에는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어 원고 급지 롤러(52)는 회전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원고 급지 롤러(52)에 대향해서 본체 하우징에는 종동 롤러(350)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홀더(50)의 전방 통형상부(504) 및 후방 통형상부(505)는 이 회전축(521)의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회전축(521)의 축심과 홀더(50)의 전방 통형상부(504) 및 후방 통형상부(505)의 통심은 동축이며, 이 때문에 원고 급지 롤러(52)는 홀더(50)가 요동해도 상하 이동하지 않고 상시 종동 롤러(350)와 급지 닙부를 형성하고 있다.
1쌍의 스토퍼(53)는 픽업 롤러(51)와 원고 급지 롤러(52)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홀더(50)의 앞판(501) 및 뒷판(502)의 외면측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53)는 홀더(50)에 맞물리는 맞물림부(531)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을 접촉 고정시키는 스토퍼편(532)과, 스토퍼편(532)을 맞물림부(53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533)을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편(532)은 전방으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는 맞물림부(531)에 접촉 고정되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다.
스토퍼편(532)은 픽업 롤러(51)가 퇴피 자세에 있을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하류단(312)으로 돌출해서 원고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을 규제한다. 한편, 홀더(50)가 요동해서 픽업 롤러(51)가 급지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편(532)은 홀더(50)의 우단이 하강하는데에 연동하여 그 하단이 들어올려져서 원고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의 규제를 해제한다. 원고 시트의 반송 중에 잼이 발생되어 유저가 원고 시트를 급지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인발하는 동작을 행한 경우 스토퍼편(532)은 핀(533)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원고 시트의 인발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다.
픽업 롤러(51)의 회전축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제 1 휠(54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축(521)에는 동일한 홈을 구비한 제 2 휠(542)이 고정되어 있다(도 6 참조). 이들 제 1, 제 2 휠(541,542)은 각각 픽업 롤러(51), 원고 급지 롤러(52)의 후방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제 2 휠(541,542)에 대해서 동력 전달용 무단 벨트(55)(전달기구)가 걸쳐져 있다. 무단 벨트(55)의 내주면에는 제 1, 제 2 휠(541,542)이 구비하는 홈과 맞물리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원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축(521)에 원고 시트를 송출하는 방향의 회전 구동력(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앞방향으로 볼 때 시계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면 그 회전력은 무단 벨트(55)를 통해 픽업 롤러(51)의 회전축에 전달된다. 그 결과, 픽업 롤러(51) 및 원고 급지 롤러(52)의 쌍방이 동기 회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521)에 부여되는 회전 구동력을 이용해서 픽업 롤러(51)를 회전시켜 시트의 송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홀더(50)의 요동과 픽업 롤러(51)의 회전을 같은 구동계로 실현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56)는 모터(7)(도 8참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원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축(521)에 전달하기 위한 기구이다. 구동기구(56)는 커플링부(561), 샤프트(562), 구동 입력부(563) 및 압박 스프링(564)을 구비하고 있다.
커플링부(561)는 회전축(521) 및 샤프트(562)와 맞물리는 부위이며, 회전축(521) 및 샤프트(562)를 수용하는 통형상을 갖는다. 커플링부(561)의 통벽에는 회전축(52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56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521)의 둘레벽으로부터는 핀(522)이, 또한 샤프트(562)의 둘레벽으로부터도 핀(565)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핀(522,565)이 홈부(561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맞물림이 달성되어 있다. 압박 스프링(564)은 커플링부(561)를 앞방향으로 바이어싱하고 있어 핀(522)에 대한 홈부(561A)의 맞물림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구동 입력부(563)는 모터(7)로부터 도시가 생략된 기어기구를 통해 회전 구동력이 부여된다. 커플링부(561), 샤프트(562) 및 구동 입력부(563)는 일체화되어 있어 구동 입력부(563)가 회전되면 커플링부(561)도 회전하고, 그 회전 구동력은 회전축(521)에 전달된다. 그것에 따라 픽업 롤러(51) 및 원고 급지 롤러(52)가 회전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그 코일부가 일정한 유지력을 갖고 회전축(521)과 일체의 보스(571)에 삽입됨과 아울러 홀더(50)에 대한 정방향 맞물림부 및 역방향 맞물림부를 구비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홀더(50)와 회전축(521)을 스프링 클러치의 형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홀더(50)의 요동이 규제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회전축(521)의 회전력을 홀더(50)에 전달하지만, 홀더(50)의 요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회전축(521)의 회전력을 홀더(50)에 전달하지 않는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또한,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 대신에 토크 리미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회전축(521)에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면 상기 유지력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회전축(521)과 일체 회전하여 상기 정방향 맞물림부가 홀더(5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홀더(50)는 회전축(521)의 축심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픽업 롤러(51)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급지위치로 이동한다. 픽업 롤러(51)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접촉 고정된 후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회전축(521)에 대한 권취력이 느슨해져서 회전축(521)(보스(571))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에 대해서 공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급지위치로 이동된 후에 회전축(521)의 회전력은 홀더(50)에 전달되지 않는다.
회전축(521)에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상기 역방향 맞물림부가 홀더(50)와 맞물려져서 홀더(50)를 회전축(521)의 축심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픽업 롤러(51)는 원고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퇴피위치로 이동한다. 도 4 및 도 5는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홀더(50)의 요동 범위는 상부 커버 유닛(32U)의 천판(320)과 원고 급지 트레이(31) 사이의 공간에 제한된다. 홀더(50)가 상부 커버 유닛(32U)의 천판(320)에 접촉 고정된 후에는 마찬가지로 회전축(521)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에 대해서 공전하게 되고, 퇴피위치로 이동된 후에 회전축(521)의 회전력은 홀더(5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렇게,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에 있을 때 홀더(5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보스(571)에 대한 유지력으로 상승한 자세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천판(320)으로부터 진동이 부여된 경우 홀더(50)가 하강해 버리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도 8을 참조해서 검지부재(6)는 프로브(61), 연결봉(62) 및 차광편(63)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봉(62)은 상부 커버 유닛(32U)의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일단에 프로브(61)가, 타단에 차광편(63)이 부착되어 있다. 프로브(61)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하류단(312)에 있어서 스토퍼(53)보다 상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차광편(63)은 도시가 생략된 포토인터럽터의 차광부재로서 기능한다.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원고 시트가 적재되면 상기 원고 시트에 의해 프로브(61)가 경도(傾倒)된다. 이 경도에 의해 연결봉(62)이 축 둘레에서 회동하고, 차광편(63)도 회동한다. 차광편(63)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포토인터럽터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광로가 차광된다. 이러한 차광 동작에 의거해서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원고 시트가 적재된 것이 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브(61)가 픽업 롤러(5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 대신에 프로브(61)를 픽업 롤러(51)보다 상류측에 배치해도 좋다. 이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프로브(61)에 상당하는 검지부재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측에 배치된다. 이 배치에 의하면 픽업 롤러(51)가 상기 진동에 의해 하강해 버린 경우라도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세팅된 원고를 상기 검지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모터(7)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모터로서는 DC 모터, 스테핑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8)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이나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부가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제어부(8)는 검지부재(6)가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홀더(50)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모터(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검지부재(6)가 원고 급지 트레이(31)로의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일시적(예를 들면 1초간)으로 모터(7)에 상기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것을 구동 입력부(563)에 부여해서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홀더(50)를 요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8)는 픽업 롤러(51)에 시트의 송출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모터(7)에 상기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픽업 롤러(51)가 급지위치를 취하도록 홀더(50)를 요동시킨다.
제어부(8)가 상기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이유를 도 9?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인 상태, 도 10은 픽업 롤러(51)가 급지위치인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1은 퇴피위치에 있는 픽업 롤러(51)(홀더(50))에 상부 커버 유닛(32U)의 천판(320)을 통해 진동이 가해진 경우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의 퇴피위치에서는 픽업 롤러(51)는 원고 시트(S)의 상방으로 퇴피하여 원고 시트(S)와는 접하지 않는다. 원고 시트(S)의 반송 방향 선단은 스토퍼(53)에 의해 규제되어 원고 시트(S)는 원고 반송부(32)에 진입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홀더(50)는 회전축(521)의 축 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해서 상승한 자세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홀더(50)의 상승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보스(571)에 대한 유지력이다.
도 9의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8)가 모터(7)를 통해 회전축(521)에 정방향(시계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상기 정방향 맞물림부와 홀더(50)가 맞물려져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홀더(50)는 회전축(521)의 축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자세가 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 롤러(51)는 급지위치로 이동한다. 급지위치에서는 픽업 롤러(51)는 원고 시트(S)의 상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픽업 롤러(51)의 회전에 의해 원고 시트(S)는 가이드(314)에 의해 원고 급지 롤러(52)와 종동 롤러(350)의 닙부로 안내되어 원고 반송부(32)에 진입한다.
픽업 롤러(51)가 급지위치로 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이 느슨해져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보스(571)에 대한 유지력이 개방된다. 따라서, 홀더(50)가 하강한 자세에 있어서 홀더(50)에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는 회전력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원고 시트(S)의 급지를 끝내면 모터(7)로부터 회전축(521)에 역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일시적으로 부여된다. 그러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상기 정방향 맞물림부와 홀더(50)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보스(571)에 대한 유지력을 회복한다. 이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상기 역방향 맞물림부와 홀더(50)가 맞물려져서 상기 유지력에 의거해서 홀더(50)를 하강 자세로부터 상승 자세로 들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유지력은 그다지 강하게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유지력을 지나치게 강하게 하면 홀더(50)가 원고 급지 트레이(31) 또는 천판(320)에 접촉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축(521)의 회전 부하가 커지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 경우, 회전축(521)의 회전 구동에 큰 토크가 필요하게 되어 모터(7)로서 고가이며 대형인 대출력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후, 다음 회의 원고 시트(S)의 급지가 행해질 때까지 픽업 롤러(51)는 퇴피위치에 있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로부터 하강해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그 주요인은 상부 커버 유닛(32U)의 천판(320)에 부여되는 진동이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유저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에 원고 시트를 세팅할 때 종종 자동 원고 급지 장치(3)의 천판(320)을 이용해서 원고 시트의 일치 작업을 행한다. 이 일치 작업에 따라 천판(320)에 생기는 진동은 천판(320)에 접촉하고 있는 홀더(50)에 전파되어 홀더(50)를 회전축(521)의 축 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 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이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약한 유지력으로 홀더(50)를 유지하고 있어 구속력이 약한 것에 기인한다.
홀더(50)의 시계방향의 회동에 따라 픽업 롤러(51)가 하강하면 원고 시트(S)를 세팅할 수 있는 높이방향의 공간이 좁아져서 세팅시에 원고 시트(S)의 선단이 젖혀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홀더(50)의 회동에 의해 스토퍼(53)도 회동 하여(도 11의 점선 참조) 원고 시트(S)의 선단 규제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원고 시트(S)의 급지 방향 선단이 원고 급지 롤러(52)와 종동 롤러(350)의 닙부 근방까지 들어가 버려 원고 시트(S)의 중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어부(8)는 원고 시트(S)의 급송동작의 초동시에 모터(7)에 상기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홀더(50)를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 요동의 실행 타이밍은 검지부재(6)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의 원고 시트(S)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이다. 검지부재(6)는 스토퍼(53)보다 시트 반송 방향(원고 시트(S)의 투입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령 도 11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업 롤러(51) 및 스토퍼(53)가 회동해 버려도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 이들을 복귀시켜 원고 시트(S)의 급지 방향 선단이 상기 닙부 근방까지 들어가기 전에 상기 선단을 스토퍼(53)로 규제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521)의 구동 입력부(563)에 부여하는 회전 구동력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픽업 롤러(51)의 위치 제어, 즉 상기 퇴피위치에 픽업 롤러(51)가 향하도록 홀더(50)를 요동시키고, 그 후 픽업 롤러(51)가 상기 급지위치를 취하도록 홀더(50)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급지가 개시될 때마다 픽업 롤러(51)를 퇴피위치로 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53)의 규제가 작용하는 상태를 회복시킬 수 있다.
그 후, 유저가 조작 패널 유닛(25)(입력부)에 복사 지시 조작을 부여하면 제어부(8)는 모터(7)에 상기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홀더(50)는 시계방향으로 요동함과 아울러 픽업 롤러(51) 및 원고 급지 롤러(52)는 회전해서 원고 시트(S)를 원고 반송부(32)를 향해 송출하는 것이다.
도 12는 제어부(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제어부(8)는 검지부재(6)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의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 검지부재(6)가 원고 시트를 검지하면(스텝 S1에서 YES) 제어부(8)는 모터(7)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만큼 역회전시킨다(스텝 S2). 이 역회전 동작에 의해 홀더(50)는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픽업 롤러(51)는 퇴피위치로 된다.
그 후, 제어부(8)는 조작 패널 유닛(25)이 복사 지시 조작을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 복사 지시 조작이 부여되면(스텝 S3에서 YES) 제어부(8)는 모터(7)를 정회전시킨다(스텝 S4). 이 정회전 동작에 의해 홀더(50)는 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픽업 롤러(51)는 급지위치로 된다. 또한, 픽업 롤러(51) 및 원고 급지 롤러(52)는 회전해서 원고 시트(S)를 원고 반송부(32)로 송출하는 급지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S5).
제어부(8)는 검지부재(6)의 센싱 결과를 감시해서(스텝 S6) 검지부재(6)가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스텝 S5의 급지 동작을 계속시킨다. 검지부재(6)가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스텝 S6에서 YES) 원고 시트(S)의 급송이 완료하게 되므로 제어부(8)는 모터(7)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만큼 역회전시킨다(스텝 S7). 이 역회전 동작에 의해 홀더(50)는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픽업 롤러(51)는 퇴피위치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하면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원고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픽업 롤러(51)가 퇴피위치를 향하도록 홀더(50)가 요동된다. 따라서, 유저가 천판(320)을 이용해서 원고 시트의 일치 작업을 행하는 등, 어떠한 요인으로 픽업 롤러(51)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유지력에 저항해서 상기 퇴피위치부터 하강하고 있었다고 해도 원고 시트의 세팅시에는 픽업 롤러(51)는 상기 퇴피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스토퍼(53)도 적정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원고 시트를 소정 위치에 확실에 세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급지해야 할 시트를 확실하게 트레이에 세팅할 수 있고, 문제없이 소정 위치에서 시트를 송출할 수 있는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설되고 급지되는 시트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 상의 시트를 소정의 처리위치를 향해서 송출하는 픽업 롤러;
    상기 하우징에 소정 범위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픽업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부재;
    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암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연결부재;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트레이 상의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급지위치와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퇴피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기구;
    상기 요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트레이 상에 시트가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급지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기구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기구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는 구동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상기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 입력부에 부여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고, 그 후 상기 픽업 롤러에 시트의 송출을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 입력부에 부여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급지위치를 취하도록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입력부에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었을 때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픽업 롤러에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픽업 롤러를 시트의 송출을 위해 회전시키는 전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 둘레에서 일체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급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픽업 롤러 및 상기 급지 롤러의 쌍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암부재의 상방에 위치하는 천판을 구비하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할 때 상기 천판에 접촉 고정되어 요동이 규제되고, 상기 급지위치를 향할 때 상기 트레이에 접촉 고정되어 요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트의 급지 경로에 돌출해서 시트의 급지 방향 선단을 규제하고,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급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트의 급지 경로로부터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급지 장치.
  7. 원고 시트의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
    기록 시트에 상기 원고 화상에 관한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는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화상 판독부에 상기 원고 시트를 자동 급지하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자동 원고 급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설되어 급지되는 상기 원고 시트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
    상기 원고 트레이 상의 상기 원고 시트를 화상 판독 위치를 향해 송출하는 픽업 롤러,
    상기 픽업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부재,
    그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암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되지 않는 범위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고 상기 암부재의 요동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암부재에 전달하지 않는 연결부재,
    상기 픽업 롤러는 상기 원고 트레이 상의 상기 원고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급지위치와 상기 원고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퇴피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하도록 상기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요동기구,
    상기 요동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원고 트레이 상에 상기 원고 시트가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에 대한 상기 화상 형성 처리의 실행 지시를 접수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기구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기구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는 구동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원고 시트의 적재를 검출했을 때 상기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 입력부에 부여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퇴피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암부재를 요동시키고, 그 후 상기 입력부가 상기 화상 형성 처리의 실행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정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 입력부에 부여해서 상기 픽업 롤러가 상기 급지위치를 취하도록 암부재를 요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07654A 2011-01-31 2012-01-26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2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8286A JP2012158422A (ja) 2011-01-31 2011-01-31 シート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1-018286 201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573A true KR20120088573A (ko) 2012-08-08
KR101421076B1 KR101421076B1 (ko) 2014-07-18

Family

ID=4565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654A KR101421076B1 (ko) 2011-01-31 2012-01-26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7373B2 (ko)
EP (1) EP2481694A3 (ko)
JP (1) JP2012158422A (ko)
KR (1) KR101421076B1 (ko)
CN (1) CN1026165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233A (ko) * 2015-07-31 2017-02-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급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593B2 (ja) * 2011-01-28 2013-12-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47040B2 (ja) * 2012-08-31 2016-01-20 株式会社Pfu 用紙搬送装置
JP6348733B2 (ja) 2013-06-24 2018-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136997B2 (ja) 2014-03-10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6047595B2 (ja) * 2015-01-30 2016-12-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666025B2 (ja) * 2015-06-10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537383B2 (ja) * 2015-07-14 2019-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99697B2 (ja) * 2015-07-27 2018-03-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813269B2 (ja) * 2016-02-18 2021-01-13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供給装置、読取装置及び制御方法
JP6536462B2 (ja) * 2016-04-15 2019-07-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631700B2 (ja) * 2016-05-19 2020-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35076B2 (ja) * 2017-03-13 2020-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862976B2 (ja) * 2017-03-22 2021-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16050A (ja) * 2017-12-27 2019-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892837B2 (ja) * 2018-03-20 2021-06-23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
JP7093517B2 (ja) * 2018-11-26 2022-06-30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346149B2 (ja) * 2019-08-09 2023-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22124776A (ja) * 2021-02-16 2022-08-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3047071A (ja) * 2021-09-24 2023-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ストッパ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390B2 (ja) 1991-11-28 2001-07-23 株式会社リコー 自動給紙装置の駆動制御方法
JPH08310668A (ja) * 1995-05-19 1996-11-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51832B2 (ja) * 1999-08-27 2008-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3742296B2 (ja) * 2000-12-19 2006-02-01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給紙装置
KR100413694B1 (ko) * 2002-04-02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JP3968046B2 (ja) * 2003-04-08 2007-08-2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自動送り装置
JP2005015206A (ja) 2003-06-27 2005-01-20 Kyocera Mita Corp シート材給送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03797B1 (ko) * 2003-07-23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장치
JP4040586B2 (ja) * 2004-02-20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原稿自動読取り装置
JP4284654B2 (ja) * 2004-03-23 2009-06-24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382561B2 (ja) * 2004-04-09 2009-12-16 ニスカ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
US7275741B2 (en) * 2004-06-01 2007-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sheet media
JP2006103840A (ja) * 2004-10-01 2006-04-20 Canon Finetech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70001374A1 (en) * 2005-06-13 200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fee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506867B2 (en) * 2007-04-04 2009-03-24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Paper feeding device
JP4494434B2 (ja) * 2007-05-07 2010-06-3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自動送り装置
JP2010037020A (ja) * 2008-08-01 2010-02-18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58822B2 (ja) 2008-09-02 2010-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JP2011018286A (ja) 2009-07-10 2011-01-27 Toshiba Corp 交通画像情報提供システム
US8052139B1 (en) * 2010-09-03 2011-11-08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Document feeding mechanism having stopper means
TWI386318B (zh) * 2010-11-26 2013-02-21 Primax Electronics Ltd 自動饋紙裝置之擋紙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233A (ko) * 2015-07-31 2017-02-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급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16588B (zh) 2015-07-29
KR101421076B1 (ko) 2014-07-18
JP2012158422A (ja) 2012-08-23
EP2481694A2 (en) 2012-08-01
US8517373B2 (en) 2013-08-27
CN102616588A (zh) 2012-08-01
US20120193863A1 (en) 2012-08-02
EP2481694A3 (en)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076B1 (ko) 픽업 롤러를 구비한 시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358593B2 (ja)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512357B1 (ko)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215635B2 (en) Manual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5618934B2 (ja) 画像形成装置
US9977375B2 (en) Image forming device
US10266353B2 (en) Document sheet transport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20140145392A1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6051314B2 (ja)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857811B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 the same
JP5553929B2 (ja)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64447B2 (ja) ジョイント機構、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36433B2 (ja) ジョイント機構、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75547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21020768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0911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0165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