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57B1 -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2357B1 KR101512357B1 KR1020130111780A KR20130111780A KR101512357B1 KR 101512357 B1 KR101512357 B1 KR 101512357B1 KR 1020130111780 A KR1020130111780 A KR 1020130111780A KR 20130111780 A KR20130111780 A KR 20130111780A KR 101512357 B1 KR101512357 B1 KR 101512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topper
- rotation
- shaft
- conveying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34—Article-retaining devices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articles to the sepa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65H2403/421—Spur gearing involving at least a gear with toothless por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2—Cam mechanisms involving radial plate c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부와, 시트 반송로와, 급지 부재와, 구동부와, 스토퍼와, 연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적재부로부터 시트 반송로를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급지 부재는 상기 시트 반송로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되어 상기 시트를 반송한다. 구동부는 상기 급지 부재를 회전 구동시킨다. 스토퍼는 상기 급지 부재보다 상기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되어 돌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시트가 상기 급지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동부는 상기 급지 부재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반송로로 출몰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자동 원고 판독부에 배치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원고 반송 장치에서는 복수매의 원고(원고다발)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에 대향해서 급지 유닛이 배치된다. 급지 유닛은 픽업 롤러와 급지 롤러를 구비한다. 픽업 롤러가 원고를 보내면 급지 롤러에 의해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1매의 원고가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자동 원고 반송 장치 중 급지 유닛이 대향하는 위치에 원고다발이 강한 기세로 삽입되면 급지 롤러의 주변에 상기 복수매의 원고가 끼워져버린다. 이 결과, 급지 롤러에 의해 1매씩 원고가 보내지는 것이 방해되어버린다. 종래, 원고 적재 시에 픽업 롤러와 급지 롤러 사이로 돌출되어 원고가 급지 롤러의 주변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알려져 있다. 스토퍼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의 커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토퍼는 상기 커버 부재에 배치된 고정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원고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고다발의 일단 가장자리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커버 부재의 상부에 원고다발을 충돌시키면 급지 유닛에 진동이 가해져 급지 유닛이 이동해버린다. 이 경우, 스토퍼가 고정 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스토퍼가 규제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결과, 원고의 진입을 규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급지 위치로의 시트의 진입을 규제하는 스토퍼의 위치 변경과 자세의 유지를 안정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의한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부와, 시트 반송로와, 급지 부재와, 구동부와, 스토퍼와, 연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적재부로부터 시트 반송로를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급지 부재는 상기 시트 반송로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되어 상기 시트를 반송한다. 구동부는 상기 급지 부재를 회전 구동시킨다. 스토퍼는 상기 급지 부재보다 상기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되어 돌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시트가 상기 급지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동부는 상기 급지 부재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반송로로 출몰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시트 반송 장치와 판독부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 반송 장치는 원고로서의 시트를 반송한다. 판독부는 상기 시트 반송로에 배치되는 화상 판독 위치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시트의 원고 화상을 판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판독 장치와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원고 화상에 따라 시트에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요부인 원고 반송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지 장치의 요부인 원고 반송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판독 장치(3)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요부인 원고 반송부(32)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로서 동체 내 배지형 복사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들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기이어도 좋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하우징 구조를 갖고 동체 내 공간을 구비한 장치 본체(2), 장치 본체(2)의 상면에 배치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시트 반송 장치) 및 장치 본체(2)의 하방측에 조립된 증설 급지 유닛(4)을 포함한다.
장치 본체(2)는 시트에 대하여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한다. 장치 본체(2)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1)의 상방에 배치되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상부 하우징(22)과, 하부 하우징(21)과 상부 하우징(22)을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23)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1)에는 화상 형성을 위한 각종 기기가 수용되고, 상부 하우징(22)에는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유닛(3B)(판독부)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자동 원고 급송 장치(3A) 및 화상 판독 유닛(3B)에 의해 화상 판독 장치(3)가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21), 상부 하우징(22) 및 연결 하우징(23)으로 둘러싸이는 동체 내 공간이 화상 형성 후의 시트를 수용할 수 있는 동체 내 배지부(24)로 되어 있다. 연결 하우징(23)은 장치 본체(2)의 우측면의 측에 배치되고, 동체 내 배지부(24)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961)(도 3)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 내 배지부(24)로서 이용되는 상기 동체 내 공간은 장치 본체(2)의 앞면 및 좌측면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유저는 이들 개방 부분으로부터 손을 넣어 동체 내 배지부(24)로부터 화상 형성 후의 시트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체 내 공간의 저면(241)은 하부 하우징(21)의 상면에서 구획되고, 배출구(961)로부터 배출된 시트가 적재된다.
상부 하우징(22)의 앞면에는 조작 패널 유닛(25)이 돌출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 유닛(25)은 텐 키, 스타트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 키(251) 및 LCD 터치패널(252) 등을 구비하고,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다. 유저는 조작 패널 유닛(25)을 통해 인쇄되는 시트의 매수 등을 입력하거나 인쇄 농도 등을 입력하거나 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1)에는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211)가 장착되어 있다. 증설 급지 유닛(4)도 또한 화상 형성 처리가 실시되는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41, 42)를 포함한다. 이들 급지 카세트(211, 41, 42)는 자동 급지용에 설치된 카세트이며, 대량의 기록 시트를 사이즈별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급지 카세트(211, 41, 42)는 하부 하우징(21) 또는 증설 급지 유닛(4)의 앞면으로부터 바로 앞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하부 하우징(21)의 급지 카세트(211)만을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2)의 우측면에는 유저에게 수동 급지를 행하게 하기 위한 멀티트레이 유닛(M)이 장착되어 있다. 멀티트레이 유닛(M)은 수동의 기록 시트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43)와, 상기 기록 시트를 하부 하우징(21) 내의 화상 형성부로 반입하는 급지 유닛(44)을 포함한다(도 3). 급지 트레이(43)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2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폐쇄 상태가 된다. 유저는 수동 급지를 행할 경우, 급지 트레이(43)를 개방하여 그 위에 기록 시트를 적재한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는 장치 본체(2)의 상부 하우징(22)의 상면에 그 후방측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이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는 상부 하우징(2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폐쇄 상태)로 장치 본체(2)에 있어서의 소정의 원고 판독 위치를 향해서 복사되는 원고 시트를 자동 급지한다. 한편, 유저가 수동으로 원고 시트를 소정의 원고 판독 위치에 적재할 경우에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는 상방으로 열린다(개방 상태).
도 2를 참조해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는 본체 하우징(30), 원고 급지 트레이(31)(시트 적재부), 원고 반송부(32), 원고 배지 트레이(33)를 구비한다. 본체 하우징(30)은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이다.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는 원고 반송부(32)를 수용하는 좌측 부분에 상방으로 융기된 전방벽부(301) 및 후방벽부(302)를 가짐과 아울러 우측 부분에 거의 플랫한 저층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원고 급지 트레이(31)는 화상 판독 위치로 급송되는 원고 시트가 적재되는 트레이로서, 본체 하우징(30)의 급송구(30H)로부터 연장되도록 본체 하우징(30)에 부설되어 있다. 원고 급지 트레이(31)에는 적재된 원고 시트의 폭맞춤을 행하기 위한 한쌍의 커서(311)가 구비되어 있다.
원고 반송부(32)는 원고 급지 트레이(31) 상의 원고 시트를 화상 판독 위치를 경유해서 원고 배지 트레이(33)까지 반송하는 반송로 및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원고 반송부(32)는 본체 하우징(30)의 전방벽부(301)및 후방벽부(302) 사이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커버 유닛(32U)을 포함한다. 이들 상세에 대해서는 도 4에 의거하여 후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고 배지 트레이(33)는 원고 화상이 광학적으로 판독된 후의 원고 시트가 배출되는 트레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우측에 있어서의 상기 저층 부분의 상면이 원고 배지 트레이(33)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에 의거하여 장치 본체(2)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하부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토너 컨테이너(99Y, 99M, 99C, 99Bk), 중간 전사 유닛(92), 화상 형성부(93), 노광 유닛(94) 및 상술의 급지 카세트(211)가 수용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3)는 풀 컬러의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의 각 토너상을 형성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0Bk)을 구비한다. 각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0Bk)은 감광체 드럼(11)과, 이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배치된 대전기(12), 현상 장치(13), 1차 전사 롤러(14) 및 클리닝 장치(1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11)은 그 축 둘레로 회전하고, 그 둘레면에 정전 잠상 및 토너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1)으로서는 아모르퍼스 실리콘(a-Si)계 재료를 사용한 감광체 드럼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기(12)는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대전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은 노광 유닛(94)에 의해 노광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장치(13)는 감광체 드럼(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장치(13)는 2성분 현상제용의 것이며, 교반 롤러(16, 17), 자기 롤러(18) 및 현상 롤러(19)를 포함한다. 교반 롤러(16, 17)는 2성분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함으로써 토너를 대전시킨다. 자기 롤러(18)의 둘레면에는 2성분 현상제층이 담지되고, 현상 롤러(19)의 둘레면에는 자기 롤러(18)와 현상 롤러(19)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토너가 전달됨으로써 형성된 토너층이 담지된다. 현상 롤러(19) 상의 토너는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으로 공급되고, 상기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1차 전사 롤러(14)는 중간 전사 유닛(92)에 구비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921)를 끼워서 감광체 드럼(11)과 닙부를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11) 상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921) 상에 1차 전사한다. 클리닝 장치(15)는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을 청소한다.
옐로우용 토너 컨테이너(99Y), 마젠타용 토너 컨테이너(99M), 시안용 토너 컨테이너(99C) 및 블랙용 토너 컨테이너(99Bk)는 각각 각 색의 토너를 저류하는 것이며, YMCBk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0Bk)의 현상 장치(13)에 도시 생략된 공급 경로를 통해서 각 색의 토너를 공급한다.
노광 유닛(94)은 광원이나 폴리곤 미러, 반사 미러, 편향 미러 등의 각종 광학계 기기를 갖고,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0Bk)의 각각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원고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광을 조사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유닛(92)은 중간 전사 벨트(921), 구동 롤러(922) 및 종동 롤러(923)를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921) 상에는 복수의 감광체 드럼(11)으로부터 토너상이 덧칠된다(1차 전사). 덧칠된 토너상은 급지 카세트(211)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시트에 2차 전사부(98)에 있어서 2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921)를 주회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922) 및 종동 롤러(923)는 하부 하우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급지 카세트[211(41, 42)]는 복수의 기록 시트가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시트다발을 수납한다. 급지 카세트(211)의 우단측의 상부에는 조출(繰出) 롤러(212)가 배치되어 있다. 조출 롤러(212)의 구동에 의해 급지 카세트(211) 내의 시트다발의 최상층의 기록 시트가 1매씩 투입되고, 반입 반송로(26)로 반입된다. 한편, 급지 트레이(43)에 적재된 수동의 기록 시트는 급지 유닛(44)의 반송 롤러(45)의 구동에 의해 반입 반송로(26)로 반입된다.
반입 반송로(26)의 하류측에는 2차 전사부(98), 후술하는 정착 유닛(97) 및 배지 유닛(96)을 경유해서 배출구(961)까지 연장되는 반송로(28)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28)의 상류 부분은 하부 하우징(21)에 형성된 내벽과, 반전 반송 유닛(29)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 반송 유닛(29)의 외측면은 양면 인쇄 시에 시트를 반전 반송하는 반전 반송로(291)의 한쪽 면을 구성하고 있다. 반송로(28)의 2차 전사부(98)보다 상류측에는 레지스트 롤러쌍(27)이 배치되어 있다. 시트는 레지스트 롤러쌍(27)에서 일단 정지되고, 스큐 교정이 행해진 후 화상 전사를 위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2차 전사부(98)로 보내진다.
연결 하우징(23)의 내부에는 정착 유닛(97)과 배지 유닛(96)이 수납되어 있다. 정착 유닛(97)은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2차 전사부(98)에 있어서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 시트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정착 처리를 실시한다. 정착 처리된 컬러 화상이 부착된 기록 시트는 정착 유닛(97)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배지 유닛(96)에 의해 배출구(961)로부터 동체 내 배지부(24)를 향해서 배출된다.
상부 하우징(22)에는 화상 판독 유닛(3B)(판독부)이 배치된다. 화상 판독 유닛(3B)은 콘택트 유리(222)와, CIS 유닛(224)과, 화상 처리 유닛(225)을 포함한다. 콘택트 유리(222)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로부터 자동 급송되는 원고 시트와, 상면에 원고면을 아래로 해서 적재되는 고정 원고에 대향해서 이들 원고의 화상이 판독되기 위한 판독면이 된다.
CIS 유닛(224)은 원고 시트의 원고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CIS 유닛(224)은 전후 방향(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이동부에 의해 좌우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CIS 유닛(224)은 도시되지 않은 LED 광원과, GRIN(Graded-Index) 렌즈와, CIS(밀착형 이미지 센서: Contact Image Sensor)를 포함한다. LED 광원으로 조명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 어레이상으로 배치된 GRIN 렌즈를 통해 라인상으로 배치된 CIS로 광전 변환되어 원고의 화상이 판독된다. CIS로 광전 변환된 원고 화상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유닛(225)으로 보내진다. 화상 처리 유닛(225)은 원고 화상의 판독 조건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노광 유닛(94)으로 보낸다.
이어서, 도 4에 의거하여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요부인 원고 반송부(32)의 단면도이다. 원고 반송부(32)는 원고 시트(P)의 반송 경로가 되는 제 1~제 3 반송로(341~343)(시트 반송로)와, 이들 제 1~제 3 반송로(341~343)의 적소에 배치된 제 1 반송 롤러쌍(351) 및 제 2 반송 롤러쌍(352)과,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를 원고 반송부(32) 내로 보내주는 원고 급송 유닛(5)을 구비한다.
제 1, 제 2 및 제 3 반송로(341, 342, 343)는 상술하는 원고 급지 트레이(31)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어 원고 시트(P)가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 반송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제 2 및 제 3 반송로(341, 342, 343)는 급송구(30H)로부터 원고의 화상의 광학적인 원고 판독 위치(X)를 경유해서 원고 시트(P)를 원고 배지 트레이(33)에 배지하는 배지구(30E)까지 연장되는 U자형으로 만곡한 시트 반송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반송로(341)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연속해서 급송구(30H)로부터 좌측방에 대략 원호형상을 가지면서 제 1 반송 롤러쌍(351)까지 다소 하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이다. 제 1 반송로(341)는 원고 급송 유닛(5)으로부터 보내진 원고 시트(P)가 최초로 통과하는 반송로이다. 이 제 1 반송로(341)의 상측 반송면은 상부 커버 유닛(32U)의 제 1 가이드 부재(355)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제 2 반송로(342)는 제 1 반송로(341)의 하류단으로부터 원고 판독 위치(X)를 형성하는 접면 가이드(36)와의 대향 위치까지 연장되는 원호상의 반송로이다. 또한, 접면 가이드(36)는 콘택트 유리(222)(도 3)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유리(222)와의 사이에서 원고 판독 위치(X)를 형성한다. 제 2 반송로(342)의 하측 반송면은 원호상의 제 2 가이드 부재(361)에 의해 획정되고, 제 2 반송로(342)의 상측 반송면은 제 2 가이드 부재(361)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원호상의 제 3 가이드 부재(362)에 의해 획정된다.
제 3 반송로(343)는 접면 가이드(36)와의 대향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배지구(30E)까지 다소 상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이다. 제 3 반송로(343)의 입구측은 콘택트 유리(222) 상에 배치된 원고 배출 가이드(365)와, 상기 원고 배출 가이드(365)의 상방에 대향 배치되는 제 4 가이드 부재(363)에 의해 획정된다.
원고 급송 유닛(5)은 제 1 반송로(341)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 급송 유닛(5)은 상부 커버 유닛(32U)의 하면(320)에 조립되어 있다. 원고 급송 유닛(5)은 각 구성 부품을 지지하는 홀더(50)와, 픽업 롤러(51)와, 상기 픽업 롤러(51)에 대하여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급지 롤러(52)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51)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선단부(좌단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후기 모터(40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P)를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보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30)의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선단부에는 픽업 롤러(51)와 대향하는 위치에 대향 패드(313)가 배치되어 있다. 픽업 롤러(51)는 원고 시트(P)에 접촉하기 위해서 화살표(D1)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픽업 롤러(51)와 대향 패드(313) 사이에 원고 시트(P)가 협지되는 닙부(A1)가 형성된다. 또한, 원고 시트(P)의 급지 동작이 종료되면 픽업 롤러(51)는 다시 원고 시트(P)로부터 이간되도록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픽업 롤러(51)의 이동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지 롤러(52)는 제 1 반송로(341)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후기하는 모터(40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픽업 롤러(51)로부터 보내진 원고 시트를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1매씩 더 반송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30)에는 급지 롤러(52)에 대향해서 분리 패드(350)가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패드(350)의 더 하방에는 상기 분리 패드(350)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350a)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50a)의 압박력에 의해 급지 롤러(52)와 분리 패드(350) 사이에서 닙부(B1)가 형성된다.
제 1, 제 2 반송 롤러쌍(351, 352)은 각각 원고 시트를 반송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롤러(351A, 352A)와, 이것에 접촉되어서 종동 회전하는 종동 롤러(351B, 35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반송 롤러쌍(351)은 제 1 반송로(341)와 제 2 반송로(342) 사이에 배치되어 원고 급송 유닛(5)으로부터 보내진 원고 시트를 원고 판독 위치(X)를 향해서 급송한다. 제 2 반송 롤러쌍(352)은 제 3 반송로(343)의 종단에 배치되어 원고 판독 위치(X)에 있어서 판독 동작이 종료된 원고 시트(P)를 배지구(30E)로부터 원고 배지 트레이(33)를 향해서 급송한다.
이어서, 도 5~도 8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5)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5)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원고 급송 유닛(5)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원고 급송 유닛(5)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원고 급송 유닛(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원고 급송 유닛(5)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설명을 위하여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구조를 상하 반전시켜서 나타내고 있다.
원고 급송 유닛(5)은 상술한 홀더(50)와, 픽업 롤러(51)와, 급지 롤러(52)를 구비한다. 또한, 원고 급송 유닛(5)은 픽업 롤러 샤프트(511)와, 입력 맞물림부(512)와, 전달 맞물림부(513)를 구비한다. 또한, 원고 급송 유닛(5)은 급지 롤러 샤프트(521)와, 모터(400)(구동부)(도 5)와, 벨트 지지체(522)와, 원웨이 클러치(523)와, 벨트(53)와, 토크 리미터(54)를 구비한다.
홀더(50)는 원고 급송 유닛(5)의 하우징이며, 픽업 롤러(51), 급지 롤러(52) 등을 지지한다. 홀더(50)는 천판(501)과, 후방측벽(502)과, 전방측벽(503)과, 제 1 지지판(504)과, 제 2 지지판(505)을 구비한다.
천판(501)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부재이다. 후방측벽(502) 및 전방측벽(503)은 각각 천판(501)의 전후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벽부이다. 도 6b를 참조해서 제 1 지지판(504) 및 제 2 지지판(505)은 후방측벽(502)과 전방측벽(503) 사이에서 전방측벽(50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내벽부이다. 제 1 지지판(504) 및 제 2 지지판(505)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해지도록 천판(501)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된다.
픽업 롤러 샤프트(511)는 픽업 롤러(51)의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된다. 픽업 롤러 샤프트(511)는 후방측벽(502)과 제 2 지지판(50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픽업 롤러(51)는 제 2 지지판(505)의 바로 후방측에서 픽업 롤러 샤프트(511)에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입력 맞물림부(512)는 후방측벽(502)의 전방측에서 픽업 롤러 샤프트(511)에 축지지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도 5를 참조해서 입력 맞물림부(512)는 벨트 지지부(512A)와, 제 1 플랜지부(512B)와, 입력편(512C)을 구비한다. 제 1 플랜지부(512B)는 입력 맞물림부(512)의 축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원판 부재이다. 제 1 플랜지부(512B)의 전후에 각각 입력편(512C) 및 벨트 지지부(512A)가 배치된다. 벨트 지지부(512A)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벨트(53)가 걸쳐진다. 벨트(53)로부터 벨트 지지부(512A)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입력편(512C)은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 맞물림부(513)에 전달하기 위한 돌출편이다. 입력편(512C)은 제 1 플랜지부(512B)의 둘레 방향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전달 맞물림부(513)는 입력 맞물림부(512)와 픽업 롤러(51) 사이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전달 맞물림부(513)는 입력 맞물림부(512)의 회전 구동력을 픽업 롤러(51)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전달 맞물림부(513)는 전달편(513A)과, 제 2 플랜지부(513B)와, 전달 기어부(513C)를 구비한다. 제 2 플랜지부(513B)는 전달 맞물림부(513)의 축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원판 부재이다. 제 2 플랜지부(513B)의 전후에 각각 전달 기어부(513C) 및 전달편(513A)이 배치된다. 전달편(513A)은 제 2 플랜지부(513B)의 둘레 방향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또한, 입력 맞물림부(512)의 입력편(512C)과 전달편(513A)은 회전 둘레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입력편(512C)으로부터 전달편(513A)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될 때에 약간의 시간차가 발생한다. 전달 기어부(513C)는 제 2 플랜지부(513B)의 측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 톱니(래칫 기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하는 픽업 롤러(51)는 후방측의 측면에 롤러 기어(51A)를 구비한다. 롤러 기어(51A)는 전달 기어부(513C)가 동일 피치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어 톱니(래칫 기어)로 이루어진다. 전달 기어부(513C)와 롤러 기어(51A)가 맞물림으로써 전달 기어(513C)로부터 픽업 롤러(51)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급지 롤러 샤프트(521)(회전 샤프트)는 상술하는 급지 롤러(52)를 축지지하고, 급지 롤러(52)의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된다. 급지 롤러 샤프트(521)는 도시되지 않은 조인트부 또는 기어를 통해 모터(400)에 연결된다. 또한, 급지 롤러 샤프트(521)는 후방측벽(502) 및 전방측벽(503)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측벽(502)의 좌단부에 형성된 제 1 노치부(502A)에 제 1 베어링(521A)이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전방측벽(503)의 좌단부에 형성된 베어링 장착부(503D)에 제 2 베어링(521B)이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급지 롤러 샤프트(521)는 제 1 베어링(521A) 및 제 2 베어링(52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터(400)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연결되어 급지 롤러 샤프트(521)를 회전 구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400)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게 되어 급지 롤러 샤프트(521)[급지 롤러(52)]를 제 1 방향[도 6b 및 도 7의 화살표(R1)] 및 제 1 방향과는 반대측의 제 2 방향[도 6b 및 도 7의 화살표(R2)]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급지 롤러(52)는 제 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원고 시트(P)를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한다[도 5 및 도 7의 화살표(PD)].
벨트 지지체(522)는 제 1 베어링(521A)의 전방측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고정된 원통 부재이다. 벨트 지지체(522)의 외주부에 벨트(53)가 걸쳐진다.
벨트(5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 지지체(522)와 입력 맞물림부(512)의 벨트 지지부(512A) 사이에 소정의 장력을 갖고 길게 가교되어 있다. 벨트(53)는 모터(400)에 의해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을 픽업 롤러 샤프트(511)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원웨이 클러치(523)는 벨트 지지체(522)의 전방측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축지지된다. 원웨이 클러치(523)는 급지 롤러(52)의 정회전(제 1 방향)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회전을 급지 롤러(52)로 전달한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523)는 시트에 의해 급지 롤러(52)가 급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급지 롤러(52)를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대하여 공전시킨다. 이 결과, 급지 롤러(52)보다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의 구동 롤러(351A)(도 4)에 의해 원고 시트(P)가 반송되었을 경우에 급지 롤러(52)가 상기 원고 시트(P)의 반송을 방해하는 것이 억제된다.
토크 리미터(54)는 급지 롤러(52)와 전방측벽(503) 사이에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축지지되어 있다. 토크 리미터(54)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토크 리미터(54)는 제 1 회전 토크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와 일체적으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회전 토크보다 큰 제 2 회전 토크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대하여 공전한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회전 토크는 급지 롤러(52)의 회전의 시작 시에 발생한다. 또한, 제 2 회전 토크는 급지 롤러(52)의 정상 회전 시의 토크에 상당한다.
토크 리미터(54)는 접촉부(541)(도 8)(접촉편)를 구비한다. 접촉부(541)는 토크 리미터(54)의 외주부로부터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다. 또한, 접촉부(541)의 선단부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축 방향으로 약간의 높이를 갖고 돌출되어 있다. 토크 리미터(54) 및 접촉부(541)는 후술하는 스토퍼(63)의 위치를 변경하는 연동부(8)로서 기능한다.
또한, 원고 급송 유닛(5)은 스토퍼 어세이(61)와, 레버 샤프트(60)(지지 샤프트)를 구비한다. 스토퍼 어세이(61)는 홀더(50)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에 한쌍 배치된다. 한쌍의 스토퍼 어세이(61)는 각각 후방측벽(502) 및 전방측벽(503)을 따라 배치된다. 스토퍼 어세이(61)는 스토퍼 지지부(62)와, 스토퍼(63)를 구비한다. 스토퍼 지지부(62)는 스토퍼(6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스토퍼 지지부(62)는 레버 샤프트(60)에 의해 지지된다. 스토퍼(63)는 스토퍼 지지부(6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고, 스토퍼(63)는 회동 지점부(64)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회동 지점부(64)는 스토퍼(63)의 측면에 개구된 구멍부에 스토퍼 지지부(62)의 선단부에 형성된 축부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토퍼(63)의 회동에 있어서 스토퍼(63)의 상단부(63A)는 스토퍼 지지부(62)로부터 돌출되는 돌기(62A)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토퍼(63)의 스토퍼 지지부(62)에 대한 회전 각도는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자세에 있어서 스토퍼(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로 규제된다.
스토퍼(63)는 원고 급지 트레이(31)와 급지 롤러(52) 사이에 있어서 제 1 반송로(341)(도 4)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된다. 스토퍼(63)는 제 1 반송로(341)로의 돌출 상태에 있어서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되는 원고 시트(P)가 급지 롤러(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복수의 원고 시트(P)가 적재될 때에 상기 원고 시트(P)가 강하게 급지 롤러(52)측으로 들어가면 원고 급지 롤러(52)와 분리 패드(350) 사이의 닙부(B1)(도 4)에 원고 시트(P)가 끼워져 버린다. 이 경우, 원고 시트(P)를 1매씩 급송하는 급지 롤러(52)의 기능이 방해되어 버린다. 따라서,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적합하게 억제된다.
레버 샤프트(60)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가 연신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홀더(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 샤프트(60)는 후방측벽(502)에 개구된 대략 U자상의 제 1 샤프트 지지부(502B)(도 6)와, 동일하게 전방측벽(503)에 개구된 대략 U자상의 제 2 샤프트 지지부(503C)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레버 샤프트(60)는 스토퍼 어세이(61)를 지지한다. 즉,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토퍼 지지부(62)에 개구된 단면으로 볼 때에 D자 형상의 구멍부(도시되지 않음)에 레버 샤프트(60)의 일단에 형성된 D면부(60A)가 장착됨으로써 레버 샤프트(60)와 스토퍼 어세이(61)가 일체가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은 도 8의 레버 샤프트(60)의 타단측에도 마찬가지로 배치된다. 레버 샤프트(60)는 이하에 기재되는 연동부(8)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원고 급송 유닛(5)은 연동부(8)를 구비한다. 연동부(8)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스토퍼(63)를 제 1 반송로(341)로 출몰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동부(8)는 급지 롤러(52)의 상기 제 2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스토퍼(63)를 제 1 반송로(341)로 돌출시키고, 상기 제 1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스토퍼(63)를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시킨다. 연동부(8)는 상술하는 토크 리미터(54) 및 레버 샤프트(60)에 추가하여 레버(70)(연결 부재)와, 제 1 기어부(60B)(피맞물림 기어)를 구비한다(도 8).
레버(70)는 전방측벽(50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70)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제 1 방향[도 8의 화살표(R1)] 및 상기 제 2 방향[도 8의 화살표(R2)]의 회전에 대응해서 접촉부(541)에 접촉되고, 레버 샤프트(60)를 제 3 방향[도 8의 화살표(R3)] 및 제 3 방향과는 반대인 제 4 방향[도 8의 화살표(R4)]으로 회전시킨다. 레버(70)는 레버 본체(71)와, 지점부(72)와, 제 1 돌기부(73)와, 제 2 돌기부(74)와, 제 2 기어부(75)(맞물림 기어)를 구비한다.
레버 본체(71)는 레버(70)의 본체 부분이며, 대략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는 세장 형상의 부재이다. 지점부(72)는 레버 본체(7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이다. 지점부(72)는 전방측벽(503)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레버축(503A)에 삽입 통과된다. 이 결과, 레버(70)가 지점부(72)를 지점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 1 돌기부(73)는 지점부(72)로부터 토크 리미터(54)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부이다. 또한, 제 2 돌기부(74)는 제 1 돌기부(73)보다 제 1 방향의 하류측에 있어서 지점부(72)로부터 토크 리미터(54)를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어 제 1 돌기부(73)와의 사이에서 두 갈래 형상을 이룬다. 즉,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는 지점부(72)로부터 다른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는 토크 리미터(54)의 회전에 따라 접촉부(541)에 접촉된다. 제 2 기어부(75)는 지점부(72)에 대하여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와는 반대측으로 레버 샤프트(60)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제 2 기어부(75)는 레버 본체(71)의 단부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인접해서 배치된 복수의 기어 톱니로 이루어진다.
제 1 기어부(60B)는 레버 샤프트(60)의 외주부이며, 레버(70)의 제 2 기어부(75)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제 1 기어부(60B)는 제 2 기어부(75)와 마찬가지로 원호상으로 인접해서 배치된 복수의 기어 톱니로 이루어진다. 레버(70)의 지점부(72)가 전방측벽(503)의 레버축(503A)에 삽입 통과되면 제 1 기어부(60B)와 제 2 기어부(75)가 맞물린다. 이 결과, 레버(70)의 지점부(72) 둘레의 회동에 따라 레버 샤프트(60)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9~도 16을 참조해서 스토퍼(63)의 규제 기능 및 출몰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원고 급송 유닛(5)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원고 급송 유닛(5)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4는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도 12의 원고 급송 유닛(5)의 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도 11은 급지 롤러(52)가 역회전되어(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도 16은 급지 롤러(52)가 정회전되어(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토퍼(63)의 규제 기능에 대해서>
도 9~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급지 롤러(52)의 급지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 급지 롤러(52)의 역회전에 의해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된다. 이 결과, 도 10의 화살표(D10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원고 시트(P)가 급지 롤러(52)를 향해서 강하게 들어갔을 경우에도 원고 시트(P)가 급지 롤러(52)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레버(70)의 주변의 배치에 대해서 부언하면 토크 리미터(54)의 접촉부(541)는 상방을 향해서 돌출된 자세를 취하고, 레버(70)의 제 1 돌기부(73)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70)는 지점부(72)에 대하여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측이 상방을 향하고, 제 2 기어부(75)측이 약간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결과,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기어부(75)에 맞물려 있는 제 1 기어부(60B)도 약간 하방을 향해서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기어부(60B) 및 제 2 기어부(75)에 있어서 각각의 원호상으로 배열된 기어 중 상단부의 기어 부분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 샤프트(60)의 양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어세이(61) 중 스토퍼(63)는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63)의 상단부(63A)는 스토퍼 지지부(62)로부터 돌출되는 돌기(62A)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화살표(D101) 방향으로 원고 시트(P)가 들어갔을 경우, 상단부(63A)가 돌기(62A)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토퍼(63)가 회동 지점부(6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원고 시트(P)가 급지 롤러(52)를 향해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원고 시트(P)가 도 10의 화살표(D101)의 방향으로 들어갔을 경우 스토퍼(63) 및 스토퍼 지지부(62)에 전달되는 압박력에 의해 레버 샤프트(60)의 제 1 기어부(60B) 및 제 2 기어부(75)에 대하여 도 11의 화살표(D111)의 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경우, 레버(70)가 지점부(72) 둘레로 회전되어 토크 리미터(54)가 잘못 회전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의 화살표(D10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73)의 접촉부(541)에 대한 압박력이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축심 또는 축심 근방을 향해서 부여된다. 따라서, 토크 리미터(54)를 회전 시키는 둘레 방향의 힘이 접촉부(541)에 부여되기 어렵다. 이 결과, 스토퍼(63)를 향해 원고 시트(P)가 강하게 들어갔을 경우에도 토크 리미터(54) 및 급지 롤러(52)가 잘못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스토퍼(63)의 출몰 동작에 대해서>
도 9~도 11의 상태에 있어서 자동 원고 급지 장치(3A)의 급지 동작이 개시되면 상술하는 모터(400)에 의해 급지 롤러 샤프트(521)가 정방향(제 1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6b, 도 8, 도 9의 화살표(R1)]. 상술한 바와 같이 토크 리미터(54)는 급지 롤러(52)의 시작 시의 저토크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와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도 10의 화살표(103)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접촉부(541)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에 따라 접촉부(541)는 제 1 돌기부(73)로부터 이탈되어 제 1 돌기부(73)보다 제 1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 2 돌기부(74)에 접촉한다. 이 결과, 레버(70)가 지점부(72) 둘레로 회동되어 레버(70)의 제 2 기어부(75)측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2 기어부(75)에 맞물린 제 1 기어부(60B)도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이동되어[도 11의 화살표(D111)] 레버 샤프트(60)가 스토퍼(63)를 끌어 올리도록 회전된다[도 9의 화살표(D91), 도 11의 화살표(D112, D113)]. 이 결과, 도 12~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촉부(541), 레버(70), 레버 샤프트(60)가 배치되어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2~도 16에서는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된 스토퍼(63)가 스토퍼 지지부(62)에 대하여 대략 직교한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되는 것에 있어서, 스토퍼(63)가 회동 지점부(64)를 지점으로 해서 자중에 의해 회동하고,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스토퍼(63)의 하단부가 픽업 롤러(51) 및 급지 롤러(52)의 둘레면의 최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스토퍼(63)가 원고 시트의 반송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지 롤러(52)의 급지 동작 시에는 픽업 롤러(51)가 하방측으로 이동되도록 홀더(50)가 회동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스토퍼(63)의 하단부가 원고 시트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도 12~도 16에서 나타내어지는 상태에 있어서 레버(70)의 주변의 배치에 대해서 부언하면, 토크 리미터(54)의 접촉부(541)는 대략 우측방을 향해서 돌출된 자세를 취하고, 레버(70)의 제 2 돌기부(74)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도 14 참조). 이때 접촉부(541)는 제 1 돌기부(73)와 제 2 돌기부(74)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레버(70)는 지점부(72)에 대하여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측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제 2 기어부(75)측이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결과, 제 2 기어부(75)에 맞물려 있는 제 1 기어부(60B)도 약간 상방을 향해서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기어부(60B) 및 제 2 기어부(75)에 있어서 각각의 원호상으로 배열된 기어 중 하단부의 기어 부분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레버 샤프트(60)의 양단부에 고정된 스토퍼 어세이(61) 중 스토퍼 지지부(62)는 상방이며 또한 좌측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고, 스토퍼(63)는 좌측방이며 또한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63)는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어도 좋다.
도 12~도 16에 나타내어지는 상태에 있어서 급지 롤러(52) 및 픽업 롤러(51)가 회전되면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된 원고 시트(P)가 제 1 반송로(341)로 보내진다. 상기 급지 동작이 종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모터(400)가 역전된다. 이 결과, 급지 롤러 샤프트(521)가 역방향(제 2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6b, 도 8, 도 9의 화살표(R2)]. 정회전 시와 마찬가지로 토크 리미터(54)는 급지 롤러(52)의 시작 시의 저토크에 있어서 급지 롤러 샤프트(521)와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도 14의 화살표(D141)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접촉부(541)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에 따라 접촉부(541)는 제 2 돌기부(74)로부터 이탈되고, 다시 제 1 돌기부(73)에 접촉한다. 이 결과, 레버(70)가 지점부(72) 둘레로 회동되어 레버(70)의 제 2 기어부(75)측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2 기어부(75)에 맞물린 제 1 기어부(60B)도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이동되어[도 16의 화살표(D161)] 레버 샤프트(60)가 스토퍼(63)를 하방으로 밀어내도록 회전된다[도 9의 화살표(D92), 도 16의 화살표(D162, D163)]. 이 결과, 다시 도 9~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촉부(541), 레버(70), 레버 샤프트(60)가 배치되어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스토퍼(63)의 제 1 반송로(341)로의 출몰 동작이 실현된다. 특히, 급지 롤러(52)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고 시트(P)를 반송할 때에 스토퍼(63)는 제 1 반송로(341)로부터 퇴피된다. 또한, 급지 롤러(52)의 제 2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스토퍼(63)가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된다. 이 때문에 급지 롤러(52)의 급지 동작 시에는 스토퍼(63)가 원고 시트(P)의 반송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급지 롤러(52)가 시트 반송 방향으로 원고 시트(P)를 반송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토퍼(63)가 원고 시트(P)의 위치를 적합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리미터(54)에 의해 급지 롤러(52)가 제 1 및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시작 시의 토크를 이용해서 접촉부(54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촉부(541)가 레버(70)에 접촉함으로써 레버 샤프트(60)가 회전되어 스토퍼(63)의 출몰 동작이 적합하게 실현된다.
<홀더(50)의 회동 동작에 대해서>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홀더(50)가 회동되어 픽업 롤러(51)의 상하 이동이 실현된다. 홀더(50)는 도 6b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제 1 돌출부(503B)를 구비한다. 또한, 홀더(50)는 도 6a 및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제 2 돌출부(503E)를 구비한다.
제 1 돌출부(503B)는 전방측벽(503)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1 돌출부(503B)는 접촉부(541)의 회전 궤도 내에 진입하도록 돌출된다. 도 14를 참조해서 접촉부(541)는 급지 롤러(52)의 정회전에 따라 제 2 돌기부(74)를 하방측으로 밀어 내린 후 제 1 돌출부(503B)(도 7)에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541)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축 방향으로 폭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541)의 축 방향의 일단측이 제 2 돌기부(74)에 접촉한 채로 접촉부(541)의 타단측이 제 1 돌출부(503B)에 접촉한다. 제 1 돌출부(503B)에 접촉한 접촉부(541)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홀더(50)를 하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 결과, 급지 롤러 샤프트(521)를 지점으로 해서 홀더(50)의 픽업 롤러(51)측이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즉, 홀더(50)가 급지 롤러 샤프트(521) 둘레로 제 1 방향으로 회동된다[도 9의 화살표(R1A) 참조]. 그리고, 픽업 롤러(51)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되는 원고 시트(P)에 접촉함으로써 홀더(50)의 회동이 정지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503E)는 전방측벽(503)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2 돌출부(503E)는 접촉부(541)의 회전 궤도 내에 진입하도록 돌출된다. 도 14를 참조해서 접촉부(541)는 급지 롤러(52)의 역회전에 따라 제 1 돌기부(73)의 하면에 접촉한 후 제 2 돌출부(503E)에 접촉한다. 이때,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촉부(541)의 선단부가 제 1 돌기부(73)에 접촉한 채 접촉부(541)의 기단부(541A)(도 11, 도 14)가 제 2 돌출부(503E)에 접촉한다. 제 2 돌출부(503E)에 접촉한 접촉부(541)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홀더(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 결과, 급지 롤러 샤프트(521)를 지점으로 해서 홀더(50)의 픽업 롤러(51)측이 상방으로 밀어 내려진다. 즉, 홀더(50)가 급지 롤러 샤프트(521) 둘레로 제 2 방향으로 회동된다[도 9의 화살표(R2A) 참조]. 이 결과, 원고 급지 트레이(31)의 원고 시트(P)로부터 픽업 롤러(51)가 상방으로 이간된다. 그리고, 홀더(50)의 천판(501)이 상부 커버 유닛(32U)(도 4)에 접촉함으로써 홀더(50)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홀더(50)가 회동되어 픽업 롤러(51)의 상하 이동이 실현된다. 따라서, 접촉부(541)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63)의 퇴피 동작과, 픽업 롤러(51)의 급지 위치로의 이동이 적합하게 실현된다. 또한, 접촉부(541)의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63)의 돌출 동작과, 픽업 롤러(51)의 비급지 위치로의 이동이 적합하게 실현된다. 특히, 급지 롤러(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접촉부(541)가 제 1 돌기부(73) 및 제 2 돌기부(74)에 접촉함으로써 레버(70)가 다른 방향으로 회동되어 레버 샤프트(60)가 제 3 및 제 4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레버(70)에 의해 접촉부(541)의 이동이 스토퍼(63)의 출몰 동작에 정밀도 좋게 변환된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토퍼(63)가 원고 급지 트레이(31)와 급지 롤러(52) 사이에 있어서 제 1 반송로(341)로 출몰 가능하게 된다. 스토퍼(63)는 돌출 상태에 있어서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적재되는 원고 시트(P)가 급지 롤러(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원고 급지 트레이(31)에 원고 시트(P)가 적재될 때에 급지 롤러(52)의 주변에 원고 시트(P)가 강하게 들어가 급지 롤러(52)의 반송 기능이 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연동부(8)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스토퍼(63)를 제 1 반송로(341)로 출몰시킨다. 이 때문에 스토퍼(63)의 출몰 동작에 전용의 구동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급지 롤러(5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스토퍼(63)의 위치 변경과 자세의 유지를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반송로(341)로 돌출된 스토퍼(63)를 향해서 원고 시트(P)가 강하게 들어가면 레버 샤프트(60)로부터 레버(70)에 전해진 외력이 제 1 돌기부(73)로부터 접촉부(541)로 전달된다. 이때, 제 1 돌기부(73)의 접촉부(541)에 대한 압박력이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축심 또는 축심 근방을 향해서 부여된다. 이 때문에 접촉부(541)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토크 리미터(54)가 회전되는 것이나 급지 롤러(52)가 이동되는 것이 적합하게 억제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고다발의 일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자동 원고 급송 장치(3A)에 진동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제 1 돌기부(73)와 접촉부(541)가 서로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토크 리미터(54) 및 이것을 지지하는 급지 롤러 샤프트(521)의 회전이 적합하게 억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송 장치(3A)를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3) 및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스토퍼(63)의 위치 변경과 자세의 유지를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화상 판독 위치에 원고 시트(P)를 안정되게 반송할 수 있다. 이 결과, CIS 유닛(224)으로 대표되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원고 화상에 따라 시트에 화상이 안정되게 형성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 원고 급송 장치(3A), 화상 판독 장치(3) 및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로서 자동 원고 급송 장치(3A)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시트 적재부로서의 급지 카세트(211)나 급지 트레이(43)에 적재되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93)를 향해서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시트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시트에 대하여 화상 형성부(93)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된다.
(2)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지 롤러(52)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스토퍼(63)의 출몰 동작이 실현되는 실시형태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동부(8)는 픽업 롤러(51)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스토퍼(63)를 제 1 반송로(341)로 출몰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3)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반송로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시트를 반송하는 급지 부재로서 급지 롤러(52)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지 부재는 회전되는 벨트 부재 등이어도 좋다.
Claims (10)
- 시트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부;
상기 시트가 상기 시트 적재부로부터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 반송로;
상기 시트 반송로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되어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급지 부재;
상기 급지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급지 부재보다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되고, 돌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되는 상기 시트가 상기 급지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급지 부재의 회전 구동에 연동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반송로로 출몰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상기 급지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급지 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반송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급지 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반송로로 돌출시키고, 상기 제 1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반송로로부터 퇴피시키는 시트 반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부재를 축지지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급지 부재의 상기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회전 샤프트가 연신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에 축지지되고, 제 1 회전 토크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회전 토크보다 큰 제 2 회전 토크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에 대하여 공전하는 토크 리미터;
상기 토크 리미터로부터 상기 회전 샤프트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의 회전에 대응해서 상기 접촉편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 샤프트를 제 3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과는 반대의 제 4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샤프트의 상기 제 3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시트 반송로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지지 샤프트의 상기 제 4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시트 반송로로 돌출되는 시트 반송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급지 부재와 반대측에서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시트 적재부의 상기 시트를 상기 급지 부재를 향해서 보내는 픽업 롤러; 및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접촉편의 회전 궤도 내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 1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 1 돌출부에 더 접촉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회전 샤프트 둘레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시트에 접촉시키는 시트 반송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촉편의 상기 회전 궤도 내에 상기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상기 제 2 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 2 돌출부에 더 접촉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상기 회전 샤프트 둘레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시트로부터 이간시키는 시트 반송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지점부;
상기 지점부로부터 상기 토크 리미터를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 1 돌기부;
상기 제 1 돌기부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로부터 상기 토크 리미터를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1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두 갈래 형상을 이루는 제 2 돌기부; 및
상기 지점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부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향해서 설치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샤프트는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림되는 피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접촉편이 상기 제 2 돌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지점부 둘레로 회동하면, 상기 피맞물림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상기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 3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접촉편이 상기 제 1 돌기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지점부 둘레로 상기 제 2 돌기부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피맞물림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샤프트가 상기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 4 방향으로 회동하는 시트 반송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이 상기 제 1 돌기부에 접촉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시트 반송로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의 상기 접촉편에 대한 압박력이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심 또는 축심 근방을 향해서 부여되는 시트 반송 장치. - 원고로서의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지된 시트 반송 장치; 및
상기 시트 반송로에 배치되는 화상 판독 위치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 7 항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 및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원고 화상에 따라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 반송 장치; 및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05249A JP5753827B2 (ja) | 2012-09-19 | 2012-09-19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JPJP-P-2012-205249 | 2012-09-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779A KR20140037779A (ko) | 2014-03-27 |
KR101512357B1 true KR101512357B1 (ko) | 2015-04-16 |
Family
ID=491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780A KR101512357B1 (ko) | 2012-09-19 | 2013-09-17 |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70855B2 (ko) |
EP (1) | EP2711777B1 (ko) |
JP (1) | JP5753827B2 (ko) |
KR (1) | KR101512357B1 (ko) |
CN (1) | CN10366288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48302B2 (ja) * | 2013-10-28 | 2016-07-06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JP2016052921A (ja) * | 2014-09-02 | 2016-04-14 | 船井電機株式会社 |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タ |
JP6047595B2 (ja) * | 2015-01-30 | 2016-12-21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JP6477539B2 (ja) * | 2016-02-25 | 2019-03-06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ローラー駆動伝達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
JP6536462B2 (ja) * | 2016-04-15 | 2019-07-03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
JP6848309B2 (ja) * | 2016-09-30 | 2021-03-2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6635076B2 (ja) * | 2017-03-13 | 2020-01-22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原稿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7346149B2 (ja) * | 2019-08-09 | 2023-09-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給送装置、記録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
JP2021143053A (ja) * | 2020-03-12 | 2021-09-2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
JP2023047071A (ja) * | 2021-09-24 | 2023-04-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シートストッパ及び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0782A (ja) | 2007-05-07 | 2007-09-13 | Kyocera Mita Corp | 用紙自動送り装置 |
US20080203652A1 (en) | 2007-02-27 | 2008-08-28 | Pfu Limited | Sheet feeding device |
US20120161383A1 (en) | 2010-12-28 | 2012-06-28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conveying device |
JP2012153522A (ja) * | 2011-01-28 | 2012-08-16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78928A (ja) * | 1981-11-05 | 1983-05-12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6164817A (ja) * | 1992-11-18 | 1994-06-10 | Hitachi Ltd | ファクシミリ装置 |
JPH06305595A (ja) * | 1993-03-26 | 1994-11-01 | Toshib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H06305594A (ja) | 1993-04-20 | 1994-11-01 | Victor Co Of Japan Ltd | 記録装置 |
JP3574068B2 (ja) * | 2000-11-28 | 2004-10-06 | ニスカ株式会社 |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JP4040586B2 (ja) * | 2004-02-20 | 2008-01-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原稿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原稿自動読取り装置 |
JP2011213447A (ja) * | 2010-03-31 | 2011-10-27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給紙装置、給紙装置を用いた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給紙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US8919761B2 (en) * | 2010-12-28 | 2014-12-30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conveying device |
JP2012246122A (ja) * | 2011-05-31 | 2012-12-13 | Brother Industries Ltd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2012
- 2012-09-19 JP JP2012205249A patent/JP5753827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9-12 US US14/024,708 patent/US8970855B2/en active Active
- 2013-09-12 EP EP13004444.9A patent/EP271177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3-09-12 CN CN201310415568.5A patent/CN10366288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9-17 KR KR1020130111780A patent/KR1015123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03652A1 (en) | 2007-02-27 | 2008-08-28 | Pfu Limited | Sheet feeding device |
JP2007230782A (ja) | 2007-05-07 | 2007-09-13 | Kyocera Mita Corp | 用紙自動送り装置 |
US20120161383A1 (en) | 2010-12-28 | 2012-06-28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conveying device |
JP2012153522A (ja) * | 2011-01-28 | 2012-08-16 |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779A (ko) | 2014-03-27 |
JP2014058390A (ja) | 2014-04-03 |
JP5753827B2 (ja) | 2015-07-22 |
CN103662883A (zh) | 2014-03-26 |
EP2711777A1 (en) | 2014-03-26 |
US8970855B2 (en) | 2015-03-03 |
EP2711777B1 (en) | 2017-07-19 |
CN103662883B (zh) | 2016-09-07 |
US20140078528A1 (en)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2357B1 (ko) | 시트 반송 장치, 이것을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8517373B2 (en) | Sheet feeder with pickup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358593B2 (ja) |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9242819B2 (en) | Sheet conveyance apparatus ensuring reduced damage of stopper | |
US845401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junction unit | |
US20120242035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771590B2 (ja) |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
JP2009015095A (ja) | 画像形成装置 | |
US10266353B2 (en) | Document sheet transport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
US9592979B2 (en) |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 |
JP5553929B2 (ja) | 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5961729B2 (ja) |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
JP5564447B2 (ja) | ジョイント機構、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5675547B2 (ja)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 |
JP5836433B2 (ja) | ジョイント機構、シート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