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650A - 분립체 살포 장치 - Google Patents

분립체 살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650A
KR20120084650A KR1020110095160A KR20110095160A KR20120084650A KR 20120084650 A KR20120084650 A KR 20120084650A KR 1020110095160 A KR1020110095160 A KR 1020110095160A KR 20110095160 A KR20110095160 A KR 20110095160A KR 20120084650 A KR20120084650 A KR 2012008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mount
state
feeding
granula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810B1 (ko
Inventor
마사아끼 니시나까
시게끼 하야시
겐이찌 이와미
유우끼 시모이께
가즈마사 요시다
마꼬또 야스다
유끼후미 야마나까
아끼라 나오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8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9/0092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01M21/043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by chemic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과제)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 크게 상이한 복수종의 분립체를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조출량의 조절 조작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저류부(24)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25)과, 그 조출 수단(25)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확산 수단(27)과,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출 수단(25)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조출량 조정 수단이 구비되고, 조출량 조정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분립체 살포 장치{GRANULAR MATERIAL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그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확산 수단과, 최소 조절 위치와 최대 조절 위치의 사이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수동 조작식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조출량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립체 살포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조출 수단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그레이팅에 의해 분립체의 일례로서의 약제를 소정량씩 조출하도록 구성되고, 조출량 조정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작식 조절 조작구로 설정되는 조출량이 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04793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포장의 단위 면적당 일정량(예를 들면, 10아르당 1㎏ 정도)을 공급하는 1개의 종류의 분립체(약제)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절 조작구로 원하는 조출량을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포장에 살포되는 분립체(약제)로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포장의 단위 면적당 다량(예를 들면, 10아르당 3㎏ 정도)으로 필요로 되는 분립체(약제)가 이용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하, 필요 공급량이라고 한다)이 다량인 분립체와 필요 공급량이 소량인 분립체의 어느 것이어도 동일한 분립체 살포 장치를 이용하여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종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면 이들 상이한 종류의 분립체의 각각에 대하여 조절 조작구로 원하는 조출량을 설정하는 조절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분립체 살포 장치를 이용하여 필요 공급량이 다량인 분립체와 필요 공급량이 소량인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절 조작구에 의한 조출량의 조절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조절 조작구를 조작해야 할 조작 범위의 전체 범위가 넓어지고, 어느 하나의 종류의 분립체를 이용하여 조출량 조절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절 조작구의 조작해야 할 조작 범위가 전체 범위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그 결과, 조정 조작구를 약간 조작한 것만으로 크게 분립체의 조출량이 변화되는 등, 조절 조작구에 의한 조절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져서 조출량의 조절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없는 것이 되는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 크게 상이한 복수종의 분립체를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조출량의 조절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살포 장치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그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확산 수단과, 최소 조절 위치와 최대 조절 위치의 사이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수동 조작식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조출량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의 상기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출량 조정 수단이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이 지령되면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전환된다.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되면,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된다.
또한,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와는 상이한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되면,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것은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상기 어느 하나의 조절 조작 상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 많은 분립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다른 조절 조작 상태보다도 큰 값이 되는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한다. 또한,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 적은 분립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다른 조절 조작 상태보다도 작은 값이 되는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분립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조정 조작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는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 정도를 해당하는 종류의 분립체에 따라 적절한 변화 정도로 설정할 수 있고, 조출량의 조절 조작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살포 대상 개소의 단위 면적당 필요로 되는 살포량이 크게 상이한 복수종의 분립체를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조출량의 조절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분립체 살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수동 조작식 전환 조작구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 조작식 전환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를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에서 분립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어느 것인지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통지 수단에 의해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어느 것인지를 통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지 수단의 통지 내용으로부터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부적절한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된 채로 작업이 행해지는 등의 불리함이 없고, 조출량의 조절 조작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3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측의 소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는, 최대 조절 위치측의 대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 비하여 상기 조절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가 작아지는 형태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대 조절 위치측의 대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는, 조절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이하, 분립체의 단위 변화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크지만,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측의 소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는, 최대 조절 위치측의 대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 비하여 분립체의 단위 변화량이 작아진다.
예를 들면,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걸친 조절 조작구의 전체 조작 영역에 있어서, 분립체의 단위 변화량이 동일하면 대측 조작 영역에 있어서는 그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에 대한 분립체의 단위 변화량이 적절한 것이어도, 소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는 그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분립체의 단위 변화량이 지나치게 커서 원하는 조출량으로 조절하는 것이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대측 조작 영역뿐만 아니라 소측 조작 영역에 있어서도 조절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분립체의 단위 변화량)를 적절한 것으로 하여 조출량의 조절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고, 조출량의 조절을 한층더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4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조출 수단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가 상기 확산 수단에 공급되는 공급 경로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공급 경로 내에 통과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와, 그 셔터 부재를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에 교대로 전환하는 형태로, 또한 상기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과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의 시간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형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셔터 부재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과 개방 상태에 교대로 전환되어 저류부로부터 공급 경로를 통하여 분립체가 조출되어 확산 수단에 공급되어 확산 살포된다. 그리고, 조출량 조정 수단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과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의 시간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통과용 개구의 개구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는 상태에서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약제 살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약제 살포 장치의 설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약제 살포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약제 살포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전기 제어 유닛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확산 방출 기구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조출 기구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조출 기구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1은 조출 기구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조출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약제 살포 장치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14는 조절 조작 위치와 개방 작동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별도 실시 형태의 조절 조작 위치와 개방 작동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살포 장치를 승용형 이앙기에 장비한 약제 살포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2)을 구비한 주행 기체(3)의 전방부측에 엔진(4) 및 미션 케이스(5)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3)의 중앙부에 스티어링 핸들(6) 등을 장비한 조종부(7)와 운전 좌석(8)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주행 기체(3)의 좌우 양측에 예비 모 탑재대(9)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3)의 후방에는 리프트 실린더(10)의 조작에 의해 링크 기구(11)를 통하여 승강 조작 가능하게 모심기 장치(12)가 연결되고, 그 모심기 장치(12)의 후방에 분립체로서의 예를 들면 제초제 등의 약제를 살포하는 분립체 살포 장치로서의 약제 살포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12)는 4조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5)에는 변속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12)는 1개의 피드 케이스(14)에 연결된 기체 좌우 방향에 연장하는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2개의 전동 케이스(15)가 후방을 향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15)의 후방부의 좌우 양측부에 모심기 아암(18)이 크랭크 기구(17)에 의해 상하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심기 아암(18)에 모심기 갈고리(22)가 구비되어 있고, 모심기 장치(12)의 하부에는 접지 플로트(19)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심기 장치(12)에는 모 탑재대(20)가 좌우로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 가로 이송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모 탑재대(20)가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할 때마다 적재된 모를 소정량만큼 하방에 보내는 벨트식 세로 이송 장치(21)가 모 탑재대(20)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이 전동 케이스(15)에 전달되어 모심기 아암(18)이 구동되는 한편,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모 탑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 구동되어 모 탑재대(20)의 하부로부터 상하에 요동 운동하는 모심기 아암(18)이, 그 선단부에 구비된 모심기 갈고리(22)에 의해 1그루씩 모를 취출하여 농지면에 이식하는 것으로, 모 탑재대(20)가 왕복 가로 이송의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면, 피드 케이스(14)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세로 이송 장치(21)가 구동되어 모 탑재대(20)에 적재된 모가 하방에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약제 살포 장치(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전동 케이스(15)에 각각 고정되어 가설된 지지 프레임(23A)의 중간부로부터 지주(23B)를 고정 세워 설치하고 있고, 이 지주(23B)의 상부에 모 이식 상태에 있어서 농지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약제 살포 장치(13)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살포 장치(13)는 약제를 저류하는 저류부로서의 저류 호퍼(24)와, 그 저류 호퍼(24)의 하부에 위치하여 저류되는 약제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으로서의 조출 기구(25)와, 조출되어 공급 경로로서의 안내 통로(26)(도 5 참조)를 통하여 낙하 공급되는 약제를 확산시키는 회전식 확산 수단으로서의 확산 방출 기구(27)와, 조출 기구(2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 유닛(2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출 기구(25) 및 확산 방출 기구(27)는 케이싱(29)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케이싱(29)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확산 방출 기구(27)에 약제를 낙하 공급하는 안내 통로(26)를 구성하는 통부(3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은 좌우 양측의 분할 케이싱 부분(29a, 29b)을 맞춤면끼리에서 접속하는 좌우 2개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기구(25)는 약제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된 금속제 개구 형성판(32)과, 통과용 개구(31)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약제의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금속제 셔터 부재(33)와, 그 셔터 부재(33)를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솔레노이드(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가 상하에 포개지는 상태로 설치되고, 셔터 부재(33)가 개구 형성판(32)에 형성된 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면 폐쇄 상태가 되어 약제의 낙하 공급이 정지되고, 셔터 부재(33)가 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하면, 통과용 개구(31)가 개방되어 개방 상태가 되고, 이 개방 상태에서는 통과용 개구(31)를 통하여 약제가 하방에 낙하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통과용 개구(31)의 하방측에서는 셔터 부재(33)만이 존재하고 있고, 셔터 부재(33)의 하방에는 다른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약제가 막히기 어려운 구성이 되어 있다.
통과용 개구(3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의 개구 폭(L1)이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개구 폭(L2)보다도 작아지도록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하면서도 솔레노이드(34)에 의한 셔터 부재(33)의 이동 조작량을 짧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개구 형성판(32)에는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되는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에 하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하향 굴곡편(32b)이 형성되고, 그와 반대인 솔레노이드(34)측 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상향 굴곡편(3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면 부분(32a)의 개구측 단부와 솔레노이드(34)측 단부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측부 각각에 셔터 부재(33)가 하방에 이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셔터 부재(33)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도록 대략 역 ㄷ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지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형성판(32)은, 하향 굴곡편(32b)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35)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이어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또한 상향 굴곡편(32c)이 케이싱(29)의 통부(30)의 외측의 단부 테두리부(36)에 결합하여 셔터 부재(33)가 솔레노이드(34)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이어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셔터 부재(33)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솔레노이드(34)의 조작 로드(37)에 대하여 연결 핀(38)으로 피봇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개구 형성판(32)의 하측에 접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지지부(32d)에 의해 개구 형성판(32)으로부터 상하에 이격하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 ,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의 개구 차폐 개소(33A)보다도 솔레노이드(34)측에 접근한 개소에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의 사이에 들어가는 약제를 하방에 낙하시키기 위해서 상하 방향에 관통하는 긁어내기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있어서의 통부(30)의 가로 일측 개소에는 솔레노이드(34)를 수납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수납실(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 개소에는 확산 방출 기구(27)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1)를 수납하기 위한 모터 수납실(42)이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수납실(40)측의 통부(30)의 측벽에는 셔터 부재(33)와 개구 형성판(32)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슬릿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슬릿 구멍(43)의 상측에는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를 수평 자세로 지지하기 위한 광폭 안내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광폭 안내부(44)의 상면에는 통과용 개구(31)를 향할수록 하방에 경사지는 경사면(45)이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 구멍(43)의 상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측부에는 개구 형성판(32)의 플로팅을 방지하는 양측 가이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 구멍(43)의 하부측에는 폭 방향 양측부에 셔터 부재(33)를 받아 지지하는 하측 가이드부(47)가 형성됨과 함께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 긁어내기 구멍(39)의 하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확산 방출 기구(27)에 안내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배출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33)는 솔레노이드(34)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49)이 와셔(50)를 통하여 연결 핀(38)에 작용함으로써 폐쇄 위치(통과용 개구(31)를 폐쇄하는 위치)에 이동 압박되고,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9)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당김 조작함으로써 개방 위치(통과용 개구(31)를 개방하는 위치)에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방출 기구(27)는 옆을 향한 자세의 받이면(51A)을 구비함과 함께 아래를 향한 회전 축심 주위에서 구동 회전되는 받이체(51)와, 그 받이체(51)의 받이면(51A)에 세워 설치된 확산용 날개체(52)와, 받이체(51)를 아래를 향한 회전 축심(Y) 주위에서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4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받이체(51)는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상태로 판면이 옆을 향한 자세가 되도록 설치된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확산용 날개체(52)가 둘레 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상태로 또한 받이체(5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접근한 상태로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체(5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을 포함하는 그 주위의 영역은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확산용 날개체(52)가 존재하지 않는 날개 없음 영역(Q)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용 날개체(52)는 둘레 방향을 따라 약 60도씩 등간격을 두고 분산 배치되는 상태로 6개 구비되어 있고, 각 확산용 날개체(52)는 받이체(51)의 반경의 약 절반 거리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고, 또한 횡폭의 대략 절반 거리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상태로 받이체(5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접근한 위치에 세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용 날개체(52)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 단부 테두리는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높아지는 경사 테두리(52A)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용 날개체(52)의 상단 테두리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확산용 날개체(52)의 상하 높이가 받이체(51)의 받이면(51A)의 경사만큼 직경 방향 외측일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이체(51) 및 확산용 날개체(52)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받이체(51)에는 전동 모터(41)의 구동축(53)에 외부 삽입하는 통축부(80)도 일체 형성되어 있고, 통축부(80)는 전동 모터(41)의 구동축(53)에 외부 삽입 장착되어 그것에 횡 방향에 장착된 비스(bi)를 구동축(53)에 압접하여 받이체(51)가 구동축(53)과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의해 일체 형성된 통부(30)에 의해 구성되는 안내 통로(26)가 받이체(51)에 있어서의 날개 없음 영역(Q)에 약제를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받이체(51)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Y)을 포함하는 그 주위의 영역은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확산용 날개체(52)가 존재하지 않는 날개 없음 영역(Q)으로서 형성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통로(26)의 하단의 출구(54)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날개 없음 영역(Q)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받이체(51)는 중앙부가 하향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받이체(51)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받이면(51A)이 회전 축심(Y)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중간 오목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약제를 둘레 방향에 고르게 하는 기능을 보다 발휘시키기 쉽도록 하고 있다.
안내 통로(26)가 조출 기구(25)측 개구 면적을 출구(54)측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이 안내 통로(26)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 통로(26)를 형성하는 4개의 내면 중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내면 55(도 9 참조)의 상하 도중 개소에 출구(54)측을 향할수록 직경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안내 통로(26)의 폭이 순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있다. 단, 받이체(51)의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면(57)은 상하 방향을 따라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이체(51)에 있어서의 상방측에는 상부측을 구획하는 천장벽부(58A)가 설치되고, 또한 받이체(51)의 외주측에는 둘레 방향의 일부의 영역으로부터 약제가 외측에 확산 방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용 세로벽(58B)이 구비되고, 또한 이 규제용 세로벽(58B)의 양측부의 각각에 받이체(5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외측에 확산 방출되는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을 조정하는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은 볼트(Bo)에 의해 천장벽부(58A)에 설치되어 있고, 볼트(Bo)를 풀어 좌우 회전 위치를 변경시켜 다시 체결함으로써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개방 각도)을 변경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약제의 확산 방출 방향(개방 각도)을 변경 조정함에 있어서, 볼트(Bo)를 푸는 조작에 의해 위치 조정하는 구성 대신에, 확산 방향 조정판(59, 60)을 천장벽부(58A)에 대하여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마찰에 의해 위치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수동 조작으로 마찰 지지력에 저항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규제용 세로벽(58B)은 케이싱(29)에 일체 성형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받이체(51)의 외주연의 근방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약 반주에 걸쳐 받이체(51)의 외주부를 덮도록 소정의 상하 폭을 갖는 상태로 또한 외주연을 따르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약제 살포 장치(13)는 최소 조절 위치와 최대 조절 위치의 사이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수동 조작식 조절 조작구로서의 포텐시오미터식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에 기초하여 조출 기구(25)에 의한 약제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조출량 조정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66)가 구비되고, 이 제어 장치(66)가 약제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약제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약제의 조출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어 장치(66)의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K)의 일례인 조정 조작구로서의 한 쌍의 전환 스위치(69, 70)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66)는 전기 제어 유닛(28)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기체(3)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고, 엔진(4)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61)(예를 들면, 전조등 등을 점등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발전기 등)에서 발전된 전력이 전기 제어 유닛(28)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3)에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4)은 리코일식 시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기 제어 유닛(28)은 충전식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형식의 작업기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식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작업기여도 어느 형식의 작업기이여도 적절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전기 제어 유닛(28)은 전원 온오프 스위치(62)를 통하여 공급되는 발전기(61)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정류 회로(63)에 의해 정류한 후 제1 레귤레이터 회로(64)에 의해 직류 12V로 전압 조정하고, 그 직류 12V의 전력을 전동 모터(41) 및 솔레노이드(34)의 구동용 전력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1 레귤레이터 회로(64)의 출력을 제2 레귤레이터 회로(65)에 의해 직류 5V로 전압 조정하여 제어 장치(66)의 구동용 전력으로서 이용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직류 12V의 전력은 제어 장치(66)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67)를 통하여 솔레노이드(34)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레귤레이터 회로(64)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 12V의 단자와 솔레노이드(34)의 입력 단자를 스위칭 트랜지스터(67)를 우회하여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하여 강제적으로 솔레노이드(34)를 개방 작동시키기 위한 강제 배출 스위치(81)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강제 배출 스위치(81)는 누름 조작에 의해 온 상태로 되고, 손을 떼면 오프 상태에 복귀되도록 복귀 압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직류 12V의 전력은 제어 장치(66)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 신호(PU)에 의해 전동 모터(41)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하는 구동 회로(71)와, 펄스 신호(PU)를 반전시키는 반전 회로(72)와, 반전 회로(72)에 의해 출력되는 반전 신호에 의해 펄스 신호(PU)가 오프시에 전동 모터(41)에서 발생하는 역기전압(유기 전압)(VX)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73)를 구비하고, 이 검출 회로(73)의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66)에 피드백하여 전동 모터(41)에 공급되는 전력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원하는 회전수로 받이체(51)를 회전하는 상태로 되도록, 제어 장치(66)가 구동 회로(71)에 출력하는 펄스 신호의 듀티비를 변경하여 전동 모터(4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 역기전압은 그때의 전동 모터(41)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전압값이고, 이와 같은 역기전압에 기초하여 모터 회전수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은 주지의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발전기(61)에 의한 발전 상태가 변동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전원 전압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어도 전동 모터(41)에 의해 받이체(51)를 최대한 원하는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심기 장치(12)에 있어서의 세로 이송 장치(21)가 이송 작동한 것을 검출하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가 구비되고, 이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의 출력이 제어 장치(66)에 입력되어 있고, 제어 장치(66)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서 검출되는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할 때마다 설정 시간(후술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폐쇄 상태에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 모터(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71)의 구동 상태가 제어되어 원하는 회전수로 받이체(51)를 회전 구동하게 된다.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지면,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하게 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살포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승용형 이앙기가 모 이식 작동을 실행하면서 주행을 행하고 있을 때에 주행 기체(3)가 설정 거리 주행할 때마다 4조분의 이미 심은 모가 존재하는 영역(약제 공급 대상 영역)에 약제를 살포 공급할 수 있고, 포장의 단위 면적당 원하는 양의 약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환 스위치(69, 70)는 각각 누름 조작식 스위치로 구성되고, 누름 조작됨으로써 제어 장치(66)가 전환 스위치(69, 70)에서 지령되는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전환 스위치(69, 70)의 누름 조작으로 조절 조작 상태가 설정되어 있으면, 각 전환 스위치(69, 70)에 대응하는 표시 램프(74, 75)(인디케이터)(통지 수단의 일례)가 점등하여 그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환 스위치(69, 70) 및 표시 램프(74, 75) 외에 전원 온오프 스위치(62), 살포량 조절기(68), 강제 배출 스위치(81)의 각각이 수납 케이스(76)의 가로 일측면에 배열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각 전환 스위치(69, 70)로 설정되는 조절 조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전환 스위치(69)가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조정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3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개방 작동용 설정 시간(약제의 조출량에 상당)(이하, 개방 작동 시간이라고 칭한다)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적은 상태로 되는 제1 조절 조작 상태(T1)가 설정된다.
또한, 다른 쪽 전환 스위치(70)가 조작되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개방 작동 시간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개방 작동 시간이 제1 조절 조작 상태(T1)보다도 커지는 제2 조절 조작 상태(T2)가 설정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포장의 단위 면적당 적은 양(예를 들면, 10아르당 1㎏ 정도)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조절 조작 상태(T1)가 사용되고, 포장의 단위 면적당 많은 양(예를 들면, 10아르당 3㎏ 정도)을 공급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조절 조작 상태(T2)가 사용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측의 소측 조작 영역(W1)에 있을 때에는, 최대 조절 위치측의 대측 조작 영역(W2)에 있을 때에 비하여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가 작아지는 형태로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에 기초하여 개방 작동 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측 조작 영역(W1)에 있어서,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 폭이, 그때의 개방 작동 시간에 대하여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고 적절한 변화 폭으로 되어 조절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최소 조절 위치측의 일부의 좁은 영역을 소측 조작 영역(W1)으로서 설정하고, 그 이외를 대측 조작 영역(W2)으로서 설정하여, 그 대측 조작 영역(W2)에 있을 때에는 소측 조작 영역(W1)에 있을 때보다도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가 크지만, 이 대측 조작 영역(W2)의 범위 내에서는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는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제어 장치(66)는 세로 이송 검출 센서(82)에서 검출되는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할 때마다 전환 스위치(69, 70)의 조작에 기초한 조절 조작 상태와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정 위치의 정보로부터 설정되는 개방 작동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만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에 폐쇄 상태에 복귀시키도록 솔레노이드(3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유닛(28)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부품이 수납 케이스(76)의 내부에 조립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납 케이스(76)를 케이싱(29)에 도시하지 않은 비스에 의해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유닛(28)과 주행 기체(3)의 사이에서의 전기 배선(77)은 도중에 구비된 커넥터(78)에 의해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76)의 가로 일측면에 살포량 조절기(68)와 한 쌍의 전환 스위치(69, 70)를 기체 전후 방향에 배열하여 그들이 근접하는 상태로 배열하여 구비되어 있고, 살포량 조절기(68)를 조작하여 조출량을 조절할 때에 약제의 종류에 따라 전환 스위치(69, 70)를 전환하는 조작이 적절하게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78)의 접속을 해제하여 전기 배선(77)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76)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제어 유닛(28)은 케이싱(29)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제어 유닛(28)뿐만 아니라 약제 살포 장치(13) 전체도 지주(23B)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9)에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절곡한 지지 브래킷(89)이 나사 고정 상태로 고정되고, 한편 지주(23B)의 상부에 측면에서 볼 때 L자형 받이구(88)가 고정 상태로 구비되고, 이 받이구(88)에 좌우 한 쌍의 버클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받이구(88)에는 그 세로면부(88A)의 하단에 지지 브래킷(89)의 하단 테두리(89A)를 받아 지지하는 하측 받이부(88B)가 형성됨과 함께, 세로면부(88A)의 상부에는 지지 브래킷(89)에 형성된 결합 구멍(89B)이 서로 끼워맞춤 결합하여 받아 지지하는 상측 받이부(88C)가 형성되고, 받이구(88)의 세로면부(88A)와 지지 브래킷(89)의 세로면부(89C)가 접촉한 상태에서, 각 받이부(88B, 88C)로 지지 브래킷(89)을 받아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의 버클 기구(87)를 지지 브래킷(89)에 형성된 걸림부(89D)에 결합시킨 상태로 위치 지지 가능 및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작업 종료 후에 주행 기체를 물로 세척하는 경우에 전기 제어 유닛(28)만을 제거하거나 버클 기구(87)를 떼어냄으로써 약제 살포 장치(13) 전체를 제거해 둘 수 있다.
포장 내에서 모 이식 작업이 종료한 후에 저류 호퍼(24)에 약제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저류 호퍼(24)에 구비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85)를 제거하고, 배출구(86)를 개방하여 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지만, 배출구(86)로부터 배출할 수 없는 저류 호퍼(24)의 저부나 약제 살포 장치(13)의 내부에 남아 있는 약제를 배출시킬 때에는 강제 배출 스위치(81)를 온 상태로 하여 솔레노이드(34)를 개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받이체(51)는 회전하고 있지만, 낙하하는 약제를 받이체(51)를 덮도록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회수 주머니에 의해 회수하게 된다.
[별도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K)이 수동 조작식 전환 조작구로서의 한 쌍의 누름 조작식 전환 스위치(69, 70)로 2종류의 분립체에 대응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대신하여 다음 (1-1) (1-2) (1-3)과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1-1) 2위치로 전환 가능한 토글식 전환 스위치나 복수의 위치에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 스위치로 구성하여도 된다.
(1-2) 수동 조작식 전환 조작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 기체(3)측으로부터 전환용 조작 정보가 지령되고, 그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 조작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주행 기체(3)의 조종부(7)에 구비된 조작구(도시하지 않음)의 정보가 커넥터(78)로 접속 분리 가능한 배선(77)을 통하여 제어 장치(66)에 전달되는 구성이나, 또는 주행 기체(3)측의 제어 장치에 출하국이나 출하 지역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환용 정보가 출하시의 본기측의 설정 변경에 따라 배선(77)을 통하여 제어 장치(66)에 전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1-3) 분립체의 종류는 2종류에 한하지 않고, 3종류 이상의 분립체에 대응하도록 3개 이상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 수단으로서 표시 램프(74, 7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화상 표시 정보에 의해 문자 정보로 표시하는 구성이나 음성에 의해 통지하는 구성 등이어도 되고, 이와 같은 통지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최소 조절 위치측의 일부의 좁은 영역을 소측 조작 영역(W1)으로서 설정하고, 그 이외를 대측 조작 영역(W2)으로서 설정하여, 대측 조작 영역(W2)의 범위 내에서는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를 향하여 순차 위치가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살포량 조절기(68)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걸친 전체 조작 범위의 어느 위치에서나, 그 위치보다 소측 조작 영역에서는 그 위치보다 대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 비하여 살포량 조절기(68)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개방 작동 시간의 변화가 작은 것이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 형성판(32)과 셔터 부재(33)에 의해 통과용 개구(31)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를 들면 통과용 개구(31)가 형성된 개구 형성판(32), 솔레노이드(34)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33)에 더하여 셔터 부재(33)를 하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누름 조작하는 판 스프링식 압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상하에 포갠 3층 구조로 하는 등,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이송 장치(21)의 이송 작동이 설정 횟수 행해진 것을 검출할 때마다 셔터 부재(33)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도록 솔레노이드(34)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그 대신에 주행 기체(3)의 주행 속도에 따라 솔레노이드(34)의 개폐 동작을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모터(41)가 소정의 회전 속도로 받이체(51)를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별도 구비되는 조절용 조작 수단의 조작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41)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어 장치(66)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모터(41)가 받이체(5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솔레노이드(34)가 전동 모터(41)의 가로측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지만, 전동 모터(41)와 솔레노이드(34)가 상하 방향에 위치를 비켜서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립체로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약제에 한하지 않고 비료나 종자 등 다른 분립체를 살포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분립체를 설정량씩 조출하여 확산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분립체 살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24 : 저류부
25 : 조출 수단
26 : 공급 경로
27 : 확산 수단
31 : 통과용 개구
33 : 셔터 부재
34 : 액추에이터
66 : 조출량 조정 수단
68 : 조절 조작구
69, 70 : 전환 조작구
74, 75 : 통지 수단
K :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

Claims (5)

  1. 저류부에 저류되는 분립체를 조출하는 조출 수단과, 그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되는 분립체를 포장에 확산 방출시키는 확산 수단과, 최소 조절 위치와 최대 조절 위치의 사이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한 수동 조작식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조출 수단에 의한 분립체의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조출량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이며,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할 때의 조절 조작 상태로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로부터 최대 조절 위치에 변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이 점차 증대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조절 조작 상태이고 또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동일한 때의 분립체의 조출량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의 상기 조절 조작 상태의 전환을 지령하는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조작 상태 전환 수단이 수동 조작식 전환 조작구로 구성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의 조절 조작 상태가 복수의 조절 조작 상태 중 어느 것인지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 위치가 최소 조절 위치측의 소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는, 최대 조절 위치측의 대측 조작 영역에 있을 때에 비하여 상기 조절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의 변화에 대한 분립체의 조출량의 변화가 작아지는 형태로, 상기 조절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분립체의 조출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 수단이, 상기 저류부로부터 분립체가 상기 확산 수단에 공급되는 공급 경로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공급 경로 내에 통과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와, 그 셔터 부재를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출량 조정 수단이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에 교대로 전환하는 형태로, 또한 상기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과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의 시간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조출량을 변경 조정 가능한 형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립체 살포 장치.

KR1020110095160A 2011-01-20 2011-09-21 분립체 살포 장치 KR101812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9749A JP4892104B1 (ja) 2011-01-20 2011-01-20 粉粒体散布装置
JPJP-P-2011-009749 2011-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650A true KR20120084650A (ko) 2012-07-30
KR101812810B1 KR101812810B1 (ko) 2017-12-27

Family

ID=4590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60A KR101812810B1 (ko) 2011-01-20 2011-09-21 분립체 살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92104B1 (ko)
KR (1) KR101812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056A (ko) * 2014-04-22 2015-10-3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 작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4609B2 (ja) * 2012-10-09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散布装置
JP6061827B2 (ja) * 2013-09-24 2017-01-18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3165B2 (ja) 1996-01-22 1999-11-29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薬剤散布装置
JP3922960B2 (ja) * 2002-04-12 2007-05-30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用の薬剤散布装置
JP4089365B2 (ja) 2002-09-13 2008-05-28 井関農機株式会社 粉粒体吐出機
JP3881000B2 (ja) * 2005-11-22 2007-02-1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前処理装置の昇降・駆動制御装置
JP4966910B2 (ja) * 2008-04-17 2012-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船外機
JP5088260B2 (ja) * 2008-07-29 2012-12-0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056A (ko) * 2014-04-22 2015-10-3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 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810B1 (ko) 2017-12-27
JP2012147734A (ja) 2012-08-09
JP4892104B1 (ja)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650A (ko) 분립체 살포 장치
JP5735261B2 (ja) 薬剤散布装置
KR101361439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KR101296057B1 (ko) 분립체 살포 장치
JP6419007B2 (ja) 水田作業機
JP5054835B1 (ja)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KR100624560B1 (ko) 분립체토출기
JP5498409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5411831B2 (ja) 水田作業機
KR20120139533A (ko) 작업차용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
JP2000083427A (ja) 粉粒体繰出し装置
JP5702176B2 (ja) 乗用型田植機
CN104823951B (zh) 作业机
JP5258933B2 (ja) 作業車用のソレノイド駆動装置
JP5698013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5735357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5735356B2 (ja) 作業車用の電源供給装置
JP6870655B2 (ja) 移植機
JP5698015B2 (ja) 水田作業機
JP3907355B2 (ja) 供給装置付き苗植付装置
JP3922959B2 (ja) 田植機用の薬剤散布装置
JP2001178214A (ja) 供給装置付き苗植付装置
KR20190044658A (ko) 이앙기
JP5984609B2 (ja) 粉粒体散布装置
JP2002101708A (ja) 散布装置付き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