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980A -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980A
KR20120083980A KR1020110005246A KR20110005246A KR20120083980A KR 20120083980 A KR20120083980 A KR 20120083980A KR 1020110005246 A KR1020110005246 A KR 1020110005246A KR 20110005246 A KR20110005246 A KR 20110005246A KR 20120083980 A KR20120083980 A KR 2012008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astened
rotation
frame
rot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105B1 (ko
Inventor
송창석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하이동수단;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이동수단과 체결되며, 상하이동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이동수단; 회전축을 통해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회전이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프레임; 및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흡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s of vehicle}
본 발명은 부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조립라인에 설치되어 부품을 이송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다수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제작되며, 이로 인해, 차량조립라인에는 각종 부품들을 각 공정별로 이송 및 운반하는 작업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통상, 상기와 같은 부품의 이송 및 운반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부품을 이송하거나, 로봇을 사용하여 부품을 이송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부품을 이송하는 방법은 작업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이 중량물인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송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다. 나아가, 반복적인 부품이송작업은 작업자에게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로봇을 사용하여 이송하는 방법은 고가의 로봇으로 인해 초기 투자비 및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로봇은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로 설계되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작업자가 아니면 돌발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로봇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이를 복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공정간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흔히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차량조립라인 현장에서는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관리가 용이한 한편, 각 공정간 부품이송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시스템 내지 이송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간결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각 공정간 부품이송을 수행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하이동수단;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과 체결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이동수단; 회전축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전이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흡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바디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고, 작동아암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이동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체결되어 직선운동하는 렉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렉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온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렉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부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는,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쇼크업소버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쇼크업소버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위치고정핀과, 상기 위치고정핀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되며, 장공(長空) 형태의 위치조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위치조정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진공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조립라인에 설치되어 내장재와 같은 차량용 부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조립라인의 조립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한 쌍의 흡착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연속적인 부품이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조립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이동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가 차량조립라인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3 작동상태도이다.
도 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4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를 보여주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를 보여주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고정프레임(110),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된 상하이동수단(150), 고정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120),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이동수단(160), 회전축()을 통해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체결되는 회전프레임(130), 회전프레임(13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흡착부(14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0)은 차량조립라인의 융착설비(미도시) 등에 설치되며,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의 하부구조를 지지한다. 고정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H'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이동수단(150)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지지플레이트(120)와 체결되어 지지플레이트(120)를 상하 이동시킨다. 이때, 상하이동수단(150)은 에어실린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실린더(150)는 바디부(151)가 고정프레임(11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작동아암(152)이 지지플레이트(120)에 체결된다. 따라서, 에어실린더(150)의 작동아암(151)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20)가 상하 이동된다.
한편, 에어실린더(150)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하이동수단(150)으로 두 개의 에어실린더(150)가 장착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에어실린더(15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수단(150)으로는 에어실린더(150)이외에도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하이동수단(150)이 두 개의 에어실린더(150)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플레이트(120)는 고정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에어실린더(150)와 체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프레임(130)은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체결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30)은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121)을 통해 체결되어, 지지플레이트(1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회전이동수단(160)이 장착된다. 회전이동수단(160)은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체결된 회전프레임(130)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이동수단(160)은 액츄에이터(161), 렉기어(162), 피니온기어(1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이동수단(16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액츄에이터(161)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에 장착되며, 렉기어(162)는 액츄에이터(161)에 체결되어 액츄에이터(161)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동작한다. 피니온기어(163)는 지지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회전축(121)에 체결되며, 렉기어(162)와 치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회전이동수단(160)은 액츄에이터(161)가 작동되면, 액츄레이터(161)에 체결된 렉기어(161)가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때, 렉기어(161)와 치합되어 있는 피니온기어(163)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회전축(121)이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축(121)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프레임(130)이 회전한다.
한편, 회전이동수단(160)은 한 쌍의 부시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부시부(164)는 각각 지지플레이트(120)에 체결되며, 렉기어(161)의 이동경로 상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부시부(164)는 액츄에이터(161)가 작동하여 렉기어(161)가 전후진 동작시 렉기어(161)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회전이동수단(160)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회전이동수단(16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프레임(130)에는 한 쌍의 흡착부(140)가 장착된다. 한 쌍의 흡착부(140)는 각각 회전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내장재 등 차량의 조립부품(미도시)을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흡착부(140)는 가이드브라켓(141) 및 진공패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141)은 회전프레임(130)의 하부에 체결되며, 장공(長空) 형태의 위치조정홀(141a)이 형성된다. 진공패드(142)는 가이드브라켓(141)에 체결되어 위치조정홀(141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진공흡착방식으로 상기 조립부품의 표면에 흡착된다.
또한, 가이드브라켓(141) 및 진공패드(142)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프레임(130)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흡착부(140)에 각각 다섯 쌍씩의 가이드브라켓(141) 및 진공패드(142)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가이드브라켓(141) 및 진공패드(14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170)는 고정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홀(미표시)에 삽입체결되며, 일단부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된다. 가이드바(170)는 에어실린더(150)가 작동하여 지지플레이트(120)가 상하이동시,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플레이트(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가이드바(170)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상하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지지플레이트(120)의 상하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170)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네 개의 가이드바(170)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가이드바(17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한 쌍의 쇼크업소버(181)와 스토퍼(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쇼크업소버(181)는 각각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체결되며, 지지플레이트(120)와 회전프레임(130)을 결합시키는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된다.
스토퍼(182)는 회전프레임(130)의 상부에 체결되며, 쇼크업소버(181)와 대응된다. 즉, 회전프레임(130)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스토퍼(182)는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에 체결된 쇼크업소버(181)와 접촉하여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을 구속한다. 반대로, 회전프레임(130)이 타측으로 회전하면, 스토퍼(182)는 지지플레이트(120)의 타측에 체결된 쇼크업소버(181)와 접촉하여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을 구속한다. 따라서, 한 쌍의 쇼크업소버(181)와 스토퍼(182)는 회전프레임(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되며, 회전프레임(130)은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쇼크업소버(181)와 스토퍼(182)에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위치고정핀(191)과 위치고정홈(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핀(191)은 지지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위치고정홈(192)은 위치고정핀(191)과 대응되도록 회전프레임(1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위치고정핀(191)은 위치고정홈(192)에 체결되어 회전프레임(1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130)이 일측으로 회전하여 쇼크업소버(181)와 스토퍼(182)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면, 위치고정핀(191)이 하측방향으로 작동되어 위치고정홈(192)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130)은 더이상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회전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핀(191)과 위치고정홈(192)은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플레이트(120)에 위치고정핀(191)이 두 개 장착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프레임(130)에도 두 개의 위치고정홈(192)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위치고정핀(191)과 위치고정홈(19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가 차량조립라인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조립작업대(10)와 융착설비(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립작업대(10)에서는 차량용 내장재와 같은 부품의 조립작업이 이뤄지며, 융착설비(20)에서는 조립작업대(10)에서 조립작업이 이뤄진 부품을 열융착시키는 작업이 이뤄진다.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상하이동 및 회전이동을 통하여 조립작업대(10)에서 조립이 완료된 부품을 융착설비(20)로 이송시킨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조립작업대(10)에서 부품(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가 하강하여 흡착부(140)를 통해 부품(30)이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에어실린더(150)가 하강하면, 에어실린더(150)에 체결된 지지플레이트(120) 및 지지플레이트(120)에 체결된 회전프레임(13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프레임(130)이 충분히 하강하여 흡착부(140)와 조립작업대(10)에 위치한 부품(30)이 인접하게 되면, 진공패드(142)가 진공흡착방식으로 부품(30)의 표면에 흡착된다. 이때, 진공패드(142)는 가이드브라켓(141)에 형성된 위치조정홀(141a)를 따라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부품(30)의 형상에 따라 진공패드(14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부품(30)이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에 고정되면, 에어실린더(150)가 상승하여 지지플레이트(120) 및 회전프레임(130)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흡착부(140)에 고정되어 있는 부품(3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부품(3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위치고정핀(191)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홈(192)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부품(3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회전프레임(130)이 부품(30)의 하중으로 인해 회전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3 작동상태도이다. 도 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 4 작동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부품(3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회전이동수단(160)에 의해 회전프레임(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위치고정홈(192)에 결합되어 있던 위치고정핀(191)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전프레임(130)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어서, 액츄에이터(161)가 작동하여 렉기어(162)가 일측으로 전진된다. 렉기어(162)가 전진됨에 따라 렉기어(162)와 치합된 피니온기어(163)가 회전되며, 이로 인해, 회전축(121) 및 회전축(121)에 체결된 회전프레임(130)이 회전된다.
회전프레임(130)이 180도 회전하면, 스토퍼(182)가 지지플레이트(120)의 일측에 장착된 쇼크업소버(181)에 접촉하여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을 구속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130)은 더이상 회전되지 않으며,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이 정지되면, 위치고정핀(191)이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홈(192)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이 구속되며, 회전프레임(130)은 회전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130)의 회전 및 위치고정이 완료되면, 에어실린더(150)가 하강한다. 에어실린더(150)가 하강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20) 및 회전프레임(130)이 하측으로 이동되며, 흡착부(140)에 고정되어 있는 부품(3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부품(3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융착설비(20)에 안착되면, 부품(30)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진공패드(142)가 떨어져 나가고, 다음 공정인 열융착공정 등이 이뤄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은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회전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흡착부(1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측의 흡착부(140)는 융착설비(20) 측에 부품(30)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반대편에 있는 흡착부(140)에서는 새롭게 조립이 완료된 부품이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조립라인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차량조립라인에 설치되어 내장재와 같은 차량용 부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간결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100)는 한 쌍의 흡착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연속적인 부품이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정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조립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142: 진공패드 163: 피니온기어
110: 고정프레임 150: 에어실린더 164: 부시부
120: 지지플레이트 151: 바디부 170: 가이드바
121: 회전축 152: 작동아암 181: 쇼크업소버
130: 회전프레임 160: 회전이동수단 182: 스토퍼
140: 흡착부 161: 액츄에이터 191: 위치고정핀
141: 가이드브라켓 162: 렉기어 192: 위치고정홈

Claims (8)

  1.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하이동수단;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과 체결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된 회전이동수단;
    회전축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회전이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흡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바디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고, 작동아암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체결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체결되어 직선운동하는 렉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렉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온기어를 구비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렉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부시부를 구비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쇼크업소버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쇼크업소버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위치고정핀과,
    상기 위치고정핀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되며, 장공(長空) 형태의 위치조정홀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위치조정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진공패드를 구비하는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KR1020110005246A 2011-01-19 2011-01-19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KR10122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46A KR101220105B1 (ko) 2011-01-19 2011-01-19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46A KR101220105B1 (ko) 2011-01-19 2011-01-19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980A true KR20120083980A (ko) 2012-07-27
KR101220105B1 KR101220105B1 (ko) 2013-01-11

Family

ID=4671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246A KR101220105B1 (ko) 2011-01-19 2011-01-19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0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30B1 (ko) * 2013-11-21 2015-02-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CN105438318A (zh) * 2015-11-30 2016-03-30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车体支撑调整机构
CN105800310A (zh) * 2016-05-04 2016-07-27 上海凯思尔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移载pcb板的双面吸附系统
KR101695188B1 (ko) 2016-07-06 2017-01-11 김법년 부품장착용 무전원 수동식 다축기계장치
KR101695185B1 (ko) 2016-07-06 2017-01-11 주식회사에이치엔엠이엔지 자동차부품용 장착용 공압브레이크를 이용한 무전원 수동식 다축기계장치
CN106935900A (zh) * 2017-05-10 2017-07-07 哈工大机器人集团(哈尔滨)华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铝排自动上料的顶升系统
CN107685791A (zh) * 2017-07-27 2018-02-13 山东临工工程机械有限公司 装载机后车架自动上装配线装置
KR20180035967A (ko) * 2016-09-29 2018-04-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CN108081299A (zh) * 2016-11-23 2018-05-29 塔工程有限公司 照相机模块的部件的拾取单元和照相机模块的装配设备
KR102450370B1 (ko) * 2022-08-09 2022-10-04 최호림 양쪽에 흡착패드가 형성된 흡착기구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이송하기 위한 유리판 로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969U (ko)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그라스 장착장치
JP2005059746A (ja) * 2003-08-13 2005-03-10 Shengzhou Enterp Co Ltd 自動車の屋根に取り付ける屋外日よけ装置
JP4825539B2 (ja) * 2006-02-21 2011-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ーク取付け方法
KR20090052053A (ko) * 2007-11-20 2009-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30B1 (ko) * 2013-11-21 2015-02-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CN105438318A (zh) * 2015-11-30 2016-03-30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车体支撑调整机构
CN105800310A (zh) * 2016-05-04 2016-07-27 上海凯思尔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移载pcb板的双面吸附系统
KR101695188B1 (ko) 2016-07-06 2017-01-11 김법년 부품장착용 무전원 수동식 다축기계장치
KR101695185B1 (ko) 2016-07-06 2017-01-11 주식회사에이치엔엠이엔지 자동차부품용 장착용 공압브레이크를 이용한 무전원 수동식 다축기계장치
KR20180035967A (ko) * 2016-09-29 2018-04-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CN108081299A (zh) * 2016-11-23 2018-05-29 塔工程有限公司 照相机模块的部件的拾取单元和照相机模块的装配设备
CN106935900A (zh) * 2017-05-10 2017-07-07 哈工大机器人集团(哈尔滨)华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铝排自动上料的顶升系统
CN106935900B (zh) * 2017-05-10 2019-03-01 哈工大机器人集团(哈尔滨)华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铝排自动上料的顶升系统
CN107685791A (zh) * 2017-07-27 2018-02-13 山东临工工程机械有限公司 装载机后车架自动上装配线装置
KR102450370B1 (ko) * 2022-08-09 2022-10-04 최호림 양쪽에 흡착패드가 형성된 흡착기구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이송하기 위한 유리판 로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105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05B1 (ko)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JP4367666B2 (ja) ねじ締付装置
JP5916137B2 (ja) ワーク搬入装置
KR101430908B1 (ko) 다관절 로봇이 탑재된 3차원 갠트리 이송시스템의 결합구조물
JP4692163B2 (ja) ワーク位置決め支持装置及びワーク位置決め支持方法
JP2013119385A (ja) 車体組立システム
US20180361567A1 (en) Robot system
JP4584845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09539624A5 (ko)
TWI520890B (zh) 搬送裝置及轉移壓機裝置
KR101191374B1 (ko) 지그 교환 장치
WO2016151835A1 (ja) キャスタ付移動式架台及び加工機械ライン
JP5660207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
JPS62238098A (ja) 長尺材溶接治具
KR102089277B1 (ko) Co2 용접부스용 로봇캐리지 및 그 로봇캐리지가 구성된 차종교환형 일체형 Co2 용접부스
CN104992832A (zh) 一种新型变压器组装工作台
JP7468369B2 (ja) 締結装置
JP2007152416A (ja) 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装置及び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方法
KR101296537B1 (ko) 자동화 로봇용 클램핑 기구
KR20130000755U (ko)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JP2017087327A (ja) サブアッセンブリの回転システム
KR101246302B1 (ko) 용접피더기의 고정장치
KR20130091162A (ko) 다차종 차체 조립 시스템의 사이드 패널 얼라인 장치
JP5170225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JP4303077B2 (ja) センタレス研削盤の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