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053A -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053A
KR20090052053A KR1020070118566A KR20070118566A KR20090052053A KR 20090052053 A KR20090052053 A KR 20090052053A KR 1020070118566 A KR1020070118566 A KR 1020070118566A KR 20070118566 A KR20070118566 A KR 20070118566A KR 20090052053 A KR20090052053 A KR 2009005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rotating
tabl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2053A/ko
Publication of KR2009005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05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이스 상에서 허브를 통하여 회전 중심축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측에는 그 상하측과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단에는 원형의 테이블 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서 배치되고 이의 선단에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브라켓의 1 피치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곡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전후진하는 작동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전단이 힌지 장착되는 메인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선단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닌 고정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는 그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브라켓의 핀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규제핀을 지니며 상기 규제핀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 서브 작동 실린더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다차종에 대응하여 복수의 팔레 트가 장착된 테이블 플레이트를 회전 브라켓의 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70118566
턴, 테이블, 공압, 실린더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TURN TABLE DEVICE FOR VEHICLE BODY ASSEMBLING LIN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에 적용되는 턴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차종에 대응하여 복수의 팔레트들이 장착된 테이블 플레이트를 그 팔레트에 대응하는 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 공정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개의 파트 부품을 수많은 조립 및 용접 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차 제조 과정에서 특히, 차체 조립 과정은 프레스 공정을 통해 생산된 차체 패널을 조립하여 화이트 보디 상태의 차체로서 제작하고, 이렇게 제작된 차체에 플로워,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를 장착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된다.
특히, 차체의 조립 공정에서는 팔레트에 차체 파트 부품을 투입하고 그 팔레트를 다른 위치로 회전시켜 차체 파트 부품을 취출시킬 수 있는 턴 테이블 장치가 제공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턴 테이블 장치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회전 중심축(101)을 통해 회전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회전부의 상측에 사각형의 테이블 플레이트(103)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103)에는 한 쌍의 팔레트(1)가 서로 대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02)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수단으로서 피니언 기어(104) 및 그 피니언 기어(104)와 치합되는 랙기어(105)가 구비되는데, 상기 피니언 기어(104)는 회전부(102)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랙기어(105)는 회전부(102)의 외측에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106)의 작동 로드(107) 선단에 장착된다.
따라서 작동 실린더(106)의 작동 로드(107)를 전진시키게 되면, 피니언 기어(104)와 랙기어(105)에 의해 테이블 플레이트(103)는 일측 방향으로 90도 또는 180도 회전하게 되고, 작동 실린더(106)의 작동 로드(107)를 후진시키게 되면 테이블 플레이트(103)는 역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로써 종래에서는 팔레트(1)에 로딩된 차체 파트 부품을 테이블 플레이트(103)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취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턴 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테이블 플레이트(103)가 단순히 90도 또는 180도 만큼 정회전 및 역회전되기 때문에, 다차종의 팔레트(1)를 테이블 플레이트(103)에 적용할 수 없게 되며, 팔레트(1)에 대한 차체 파트 부품의 로딩 주기가 짧아 부품 로딩 인원이 증가하게 되고, 특히 테이블 플레이트(103)의 회전 동작이 90도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체 파트 부품의 로딩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차종에 대응하여 복수의 팔레트들이 장착된 테이블 플레이트를 그 팔레트에 대응하는 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는, 베이스 상에서 허브를 통하여 회전 중심축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측에는 그 상하측과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단에는 원형의 테이블 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서 배치되고 이의 선단에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브라켓의 1 피치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곡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전후진하는 작동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전단이 힌지 장착되는 메인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선단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닌 고정 브 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는 그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브라켓의 핀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규제핀을 지니며 상기 규제핀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 서브 작동 실린더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각 회전 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토퍼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블록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위치 결정핀을 지니며 상기 위치 결정핀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제2 서브 작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작동 실린더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2 피치 구간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블록에는 상기 위치 결정핀의 선단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 형태의 단면을 지닌 너클형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측면와 하측면에는 상기 규제핀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멍에는 상기 규제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쉬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다차종에 대응하여 복수의 팔레트가 장착된 테이블 플레이트를 회전 브라켓의 피치 만큼 연속적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차종의 혼류 생산에 대응 가능하며, 테이블 플레이트의 크기에 따라 팔레트의 배열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차체 파트 부품의 로딩 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1회에 많은 양의 차체 파트 부품을 로딩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물류의 인원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고, 생산 설비 구성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여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턴 테이블 장치(100)는 팔레트(1)에 로딩된 차체의 파트 부품을 회전시켜 소정의 위치로 취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턴 테이블 장치(100)의 구성은 베이스(10) 상의 중앙에서 허브(11)를 통하여 회전 중심축(12)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회전 중심축(12)의 외측에는 회전 하우징(13)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하우징(13)은 도 4에서와 같이 그 상하단에 배치되는 레이디얼 베어링(14)을 통하여 회전 중심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 하우징(13)의 하단은 허브(11)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서 개재되는 스러스트 베어링(15)을 통하여 회전 중심축(1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하우징(13)의 상단에는 원형의 테이블 플레이트(16)가 장착되고, 그 테이블 플레이트(16)의 상면에는 복수의 팔레트(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와 테이블 플레이트(16) 사이에는 그 테이블 플레이트(1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유닛(50)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회전구동유닛(50)은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13)의 외주면에는 회전 중심축(12)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서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 브라켓(21)이 장착되는 바, 상기 각 회전 브라켓(21)의 선단에는 핀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회전 브라켓(21)은 볼트를 통하여 회전 하우징(13)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그 회전 하우징(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5개소로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구동유닛(50)은 회전 브라켓(21)의 1 피치 구간에 대응하여 베이스(10) 상에 설치되는 곡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51)이 구비되고, 그 가이드 레일(51)에 대하여 전후진하는 작동 로드(52)를 가지면서 베이스(10)의 상면에 힌지 장착되는 메인 작동 실린더(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51)은 핀홀(22)이 형성된 회전 브라켓(21)의 선단 부분에 대응하여 그 회전 브라켓(21)의 1 피치 구간에 해당하는 곡률을 지니며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작동 실린더(53)는 통상적인 구조의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며, 베이스(10)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힌지 브라켓(54)에 이의 전단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 작동 실린더(53)의 작동 로드(52) 선단에는 회전 브라켓(21)의 선단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고정 브라켓(55)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5)은 도 5에서와 같이, ⊃ 형태의 단면을 지닌 너클형 몸체(56)를 구비하며, 그 몸체(56)의 상측면와 하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구멍(57)이 각각 형성되고, 그 구멍(57)의 내주에는 가이드 부쉬(58)가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5)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쉬(58)를 통하여 회전 브라켓(21)의 핀홀(2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규제핀(61)을 가지면서 그 규제핀(61)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작동 실린더(62)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1 서브 작동 실린더(62)는 통상적인 구조의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규제핀(61)은 제1 서브 작동 실린더(62)의 작동으로서 가이드 부쉬(58)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 되며,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55)의 상측면 및 하측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 브라켓(21)의 핀홀(2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55)의 하면에는 가이드 레일(51)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65)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턴 테이블 장치(100)에는 테이플 플레이트(16)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유닛(7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위치결정유닛(70)은 테이플 플레이트(16)와 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위치결정유닛(70)은 각각의 회전 브라켓(21)에 대응하여 테이블 플레이트(16)의 하면 가장자리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스토퍼 블록(71)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 블록(71)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위치 결정핀(74)의 선단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핀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유닛(70)은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블록(71)에 대응하여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는 통상적인 구조의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는 회전 브라켓(21)의 2 피치 구간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이의 작동 로드(72a)에는 스토퍼 블록(71)의 핀홈(73)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위치 결정핀(74)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결정핀(74)은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그 작동 로드(72a)가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 됨에 따라, 이의 선단이 스토퍼 블록(71)의 핀홈(73)에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끼워지거나 그 핀홈(73)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전 브라켓(21)의 선단 부분이 고정 브라켓(55)의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규제핀(61)은 제1 서브 작동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가이드 부쉬(58)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회전 브라켓(21)의 핀홀(22)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 위치 결정핀(74)은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후진되면서 스토퍼 블록(71)의 핀홈(73)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브라켓(21)이 규제핀(61)에 의해 고정 브라켓(55)에 규제된 상태로 메인 작동 실린더(53)의 작동 로드(52)가 전진하게 되면, 고정 브라켓(55)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블록(65)이 곡선형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테이블 플레이트(16)는 회전 브라켓(21)의 1 피치에 해당하는 각도 만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 작동 실린더(53)는 힌지 브라켓(54)에 힌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곡선형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블록(65)의 동작 궤적에 대응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6 참조).
이렇게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16)의 1 피치 회전이 완료되면, 규제핀(61)은 제1 서브 작동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즉, 상기 규제핀(61)은 회전 브라켓(21)의 핀홀(22)로부터 이탈되면서 가이드 부쉬(58)를 통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위치 결정핀(74)은 제2 서브 작동 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 결정핀(74)은 스토퍼 블록(71)의 핀홈(73)에 끼워지면서 테이블 플레이트(16)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메인 작동 실린더(53)의 작동 로드(52)를 후진된다. 그러면, 고정 브라켓(55)은 회전 브라켓(21)의 규제를 해제한 상태로 테이블 플레이트(16)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일련의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테이블 플레이트(16)를 일정한 각도 만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브라켓(21)의 피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다차종 팔레트들(1)을 테이블 플레이트(16)의 상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21)의 피치 만큼 테이블 플레이트(16)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팔레트들(1)에 로딩된 차체 파트 부품을 취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적용되는 회전 하우징 부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 브라켓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메인 작동 실린더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턴 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 구성도이다.

Claims (6)

  1. 베이스 상에서 허브를 통하여 회전 중심축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회전 중심축의 외측에는 그 상하측과 상기 허브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하우징의 상단에는 원형의 테이블 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서 배치되고 이의 선단에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브라켓의 1 피치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곡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전후진하는 작동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전단이 힌지 장착되는 메인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선단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닌 고정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는 그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브라켓의 핀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규제핀을 지니며 상기 규제핀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 서브 작동 실린더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테이플 플레이트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유닛이 구비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각 회전 브라켓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토퍼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블록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위치 결정핀을 지니며 상기 위치 결정핀을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제2 서브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작동 실린더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2 피치 구간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서 구비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블록에는 상기 위치 결정핀의 선단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핀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 형태의 단면을 지닌 너클형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측면와 하측면에는 상기 규제핀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구멍에는 상기 규제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쉬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작동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KR1020070118566A 2007-11-20 2007-11-20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Withdrawn KR20090052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66A KR20090052053A (ko) 2007-11-20 2007-11-20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66A KR20090052053A (ko) 2007-11-20 2007-11-20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53A true KR20090052053A (ko) 2009-05-25

Family

ID=4085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66A Withdrawn KR20090052053A (ko) 2007-11-20 2007-11-20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205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3195A (zh) * 2010-06-22 2010-10-20 济南易恒技术有限公司 汽车第三代轮毂单元装配线
KR101220105B1 (ko) * 2011-01-19 2013-01-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KR101276939B1 (ko) * 2009-10-27 2013-06-19 동아산기 주식회사 복식형 테이블 산업용 세척기
KR101426581B1 (ko) * 2010-12-03 2014-08-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428134B1 (ko) * 2010-12-03 2014-08-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CN104819822A (zh) * 2015-04-20 2015-08-05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高超声速推进风洞模型的支撑系统
CN105436871A (zh) * 2016-01-26 2016-03-30 青岛力鼎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轮毂螺栓浮动旋转压紧装置
CN108706061A (zh) * 2018-07-31 2018-10-26 张家港市智周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安装用支架结构
CN110052806A (zh) * 2019-05-15 2019-07-26 科瑞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电池控制板与连接器的压合装置
CN113844570A (zh) * 2021-09-27 2021-12-28 江苏星驰电动科技有限公司 车辆底盘组装线、车辆底盘组装方法
KR20220130322A (ko) 2021-03-18 2022-09-27 김동조 차체 조립용 턴테이블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939B1 (ko) * 2009-10-27 2013-06-19 동아산기 주식회사 복식형 테이블 산업용 세척기
CN101863195A (zh) * 2010-06-22 2010-10-20 济南易恒技术有限公司 汽车第三代轮毂单元装配线
CN101863195B (zh) * 2010-06-22 2011-09-07 济南易恒技术有限公司 汽车第三代轮毂单元装配线
KR101426581B1 (ko) * 2010-12-03 2014-08-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428134B1 (ko) * 2010-12-03 2014-08-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220105B1 (ko) * 2011-01-19 2013-01-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CN104819822A (zh) * 2015-04-20 2015-08-05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高超声速推进风洞模型的支撑系统
CN105436871A (zh) * 2016-01-26 2016-03-30 青岛力鼎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轮毂螺栓浮动旋转压紧装置
CN108706061A (zh) * 2018-07-31 2018-10-26 张家港市智周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安装用支架结构
CN110052806A (zh) * 2019-05-15 2019-07-26 科瑞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电池控制板与连接器的压合装置
CN110052806B (zh) * 2019-05-15 2024-01-02 科瑞自动化技术(苏州)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电池控制板与连接器的压合装置
KR20220130322A (ko) 2021-03-18 2022-09-27 김동조 차체 조립용 턴테이블 장치
CN113844570A (zh) * 2021-09-27 2021-12-28 江苏星驰电动科技有限公司 车辆底盘组装线、车辆底盘组装方法
CN113844570B (zh) * 2021-09-27 2024-05-03 海南康控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车辆底盘组装线、车辆底盘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2053A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CN101190647B (zh) 轮胎装配器及轮胎的装配方法
US8882094B2 (en) Vehicle body moving cart
CN1325321C (zh) 操纵车身面板的设备
CN104280242B (zh) 发动机测试设备
CN1965135B (zh) 叶片式抹地机
US7854293B2 (en) Steering operated by linear electric device
CN101304858A (zh) 带铰链机构的模具组件及关闭模具组件的方法
CN115835997A (zh) 轨道可伸缩电动管柱
JP2000219005A (ja) タイヤ装着用ハブナット締結装置
CN104525875A (zh) 伺服控制高速多工位制芯机
EP3643866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EP1843918B1 (en) Step for a vehicle
US11454062B2 (en) Bidirectional door opening module
KR101305179B1 (ko) 차체의 휠 하우스용 헤밍장치
CN113714801B (zh) 一种汽车安全带插锁螺栓组装机
KR20090048866A (ko) 차량의 루프패널용 지그장치
US10173648B2 (en) Assembly for washing vehicles
KR100844569B1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KR101638346B1 (ko) 차량용 범퍼 안착장치
KR100621908B1 (ko) 차체용 벅 사이드 게이트
CN216861342U (zh) 一种盖板开关机构
JP4746596B2 (ja) 組立用治具
KR100428306B1 (ko) 로터리 캠 프레스 장치
KR101333088B1 (ko) 자동차 차체 용접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