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81B1 -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Google Patents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581B1 KR101426581B1 KR1020100122555A KR20100122555A KR101426581B1 KR 101426581 B1 KR101426581 B1 KR 101426581B1 KR 1020100122555 A KR1020100122555 A KR 1020100122555A KR 20100122555 A KR20100122555 A KR 20100122555A KR 101426581 B1 KR101426581 B1 KR 101426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table
- rail
- stage
- moving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 공정 설비는, 레일(2a)을 따라 하부 프레임(11)을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다시 실어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는, 롤러(112)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 테이블(100)과, 상기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를 승강시키는 유압 리프트(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상부 프레임을 턴 테이블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선행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작업장 바닥에서 선행공정을 수행하던 것에 비해 작업이 한층 쉽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부 프레임을 싣고 회전하는 턴 테이블을 도입하여 방향 전환과 이송이 용이하고 상부 프레임의 선행 조립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는 물론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로 이루어진다.
상부 선회체(20)는, 상부 프레임(40)에 탑재되는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26)로 이루어지고,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에는 상기한 작업장치(30) 및 유압 장치가 연결된다.
작업장치(30)는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붐(31)으로부터 암(32), 버킷(bucket)(33)이 관절연결되고, 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붐 실린더(35), 암 실린더(36) 및 버킷 실린더(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은,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별도로 조립해 나간 다음, 공정 라인의 마지막 지점에서 합류하여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연결하고, 이어지는 라인에서 작업 장치(30)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에는,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과 궤도(12) 및 선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 등을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과,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 등을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하는 상부조립라인(4)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하부조립라인(2)과 상부조립라인(4)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서로 합류되어,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조립라인(2)과 상부조립라인(4)에는 하부 주행체(10)와 상부 선회체(20)가 동일하게 그들의 전방 부분이 선행하도록 하여 조립 라인을 따르도록 하여 조립의 오류를 줄이고 최후의 합류와 반출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부 프레임(4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부분이 더 무거워 무게중심이 전방 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지게차(6)로 들어올려 반입할 때에는 전방 부분이 지게차(6)에 가깝게 탑재하여야 전도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게차(6)에 의해 조립 라인으로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은, 전방 부분이 뒤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조립라인(4)에 투입되기 전에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하여 들어올린 다음 180도 방향 전환하여 전방 부분이 선행하도록 한 후 상부조립라인(4)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상부 프레임(40)은 매우 넓고 무겁기 때문에 천장 크레인(8)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크다. 또한, 안전사고의 염려나 천장 크레인(8)의 느린 속도 때문에 방향 전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까지 발생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방향 전환을 위해,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조립라인(2)과 같은 다른 공정에서는 천장 크레인(8)을 사용할 수 없어 대기하여야 하는 시간이 많아져서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을 천장 크레인(8)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부조립라인(4)의 길이가 그만큼 짧아져서, 상부선행공정, 즉 전장포설공정(상부 프레임에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공정)을 작업장 바닥에서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고, 그에 따라 하부조립라인(2)과 공정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는 폐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프레임을 싣고 회전하는 턴 테이블을 사용하여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부 프레임의 방향 전환과 이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프레임의 선행 조립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는 물론 작업공간 확보와 작업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유리한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을 이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는,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26) 등이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 설비로서, 레일(2a)을 따라 하부 프레임(11)을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다시 실어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는, 롤러(112)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 테이블(100)과, 상기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를 승강시키는 유압 리프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는 이동 대차(50)의 반입을 위한 반입 레일(101)이 설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턴 테이블(100) 상에는 상기 반입 레일(101)과 연결되어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사이에는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반출 레일(102)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는,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를 왕복하는 좌우이송 대차(200)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 상에는 이동 대차(50)를 이동시켜 싣기 위한 연결 레일(212)이 설치되며, 상기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기 상부조립라인(4) 사이에는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 대차(50)가 이동하기 위한 로딩 레일(301)이 설치된다.
상기 턴 테이블(100)의 양측 하부 작업장 바닥과 상기 턴 테이블(100)의 하면에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범위를 180도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115)(116)가 설치된다.
턴 테이블(100)의 하부 작업장 바닥 또는 베이스(103)에는 가이드 관(104)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104)에는 턴 테이블(100)의 유압 리프트(14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호스(150)가 감기고, 가이드 관(104)에 감긴 유압호스(150)의 말단은 턴 테이블(100)을 통과하여 유압 리프트(140)의 유압 실린더(142)에 연결된다.
좌우이송 대차(200)는, 상면에 상기 연결 레일(212)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및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를 포함한다.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동력에 의해 왕복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 또는 기어에 맞물리는 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에 의하면,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턴 테이블은 지지대를 승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그에 의해 이동 대차를 실을 수 있으므로 공정간 상부 프레임의 이동이 쉬워진다.
또한, 상부 프레임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에 배선 등의 전기 설비를 설치하는 등의 선행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작업장 바닥에서 선행공정을 수행하던 것에 비해 작업이 한층 쉽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턴 테이블 스테이지, 좌우 이송 스테이지 및 로딩 스테이지에 의해 상부조립라인이 연장된 효과가 합해져서 공정간 밸런스 유지에 더욱 유리하다.
또한, 턴 테이블에는 유압 리프트가 설치되지만, 유압 리프트에 연결되는 유압 호스를 적절히 배열하여 턴 테이블 회전 시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이 테이블 스테이지, 좌우이송 스테이지 및 로딩 스테이지로 잘 정렬되고, 차지하는 공간도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공정 설비 중, 턴 테이블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의 유압 리프트에 대한 유압 호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턴 테이블에 이동 대차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이동 대차에 상부 프레임을 내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좌우이송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굴삭기 조립 공정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공정 설비 중, 턴 테이블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턴 테이블의 유압 리프트에 대한 유압 호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턴 테이블에 이동 대차가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이동 대차에 상부 프레임을 내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좌우이송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조립 공정 설비는, 레일(2a)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프레임(11), 궤도(12)를 포함하는 하부 장치를 결합하여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과,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 엔진을 포함하는 상부 장치를 결합하여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100)에 싣고 180도 각도로 회전하여 방향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40)의 전방이 선행하도록 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가 마련되는 한편,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나온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대차(200)에 탑재하고 상부조립라인(4) 초입까지 좌우 방향으로 횡단 이동 가능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가 마련되며, 상부조립라인(4) 초입에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부터 이송되어 온 좌우이송 대차(200)를 멈추고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하기 위해 대기하고 반입을 안내하는 로딩 스테이지(30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전방에는 턴 테이블(100)로 이동 대차(50)를 반입시키기 위한 반입 레일(101)이 배치되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사이에는 반출 레일(102)이 설치되어 이동 대차(50)를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이동시켜 좌우이송 대차(200)에 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에는 횡단 레일(201)이 설치되어 이동 대차(50)를 실은 좌우이송 대차(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 사이에는 로딩 레일(301)이 설치되어, 로딩 스테이지(300a)에 와있는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게차(6)를 통해 작업장으로 반입된 방향이 거꾸로 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하고, 이동 대차(50)에 실어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이동한 후,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함께 실어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횡단하여 이송한 다음, 로딩 스테이지(3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을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에 선행 공정, 즉, 배선 등의 전기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장 바닥에서 수행하던 것에 비해 작업이 한층 쉽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정 간에 밸런스 유지에 유리하다. 또한, 작업장이 테이블 스테이지(100a),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및 로딩 스테이지(300a)로 잘 정렬되어 있고 차지하는 공간도 콤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각 스테이지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 있어서, 전술한 턴 테이블(100)은 작업장 바닥의 베이스(103)에 복수의 롤러(112)의 지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는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된다. 이의 연결 레일(120)은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 설치된 반입 레일(101)과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설치되어 반입 레일(101)을 따라 이동해 오는 이동 대차(50)가 턴 테이블(100) 위로 올라와 실릴 수 있도록 한다.
턴 테이블(100)의 양측, 즉, 상기 양측 연결 레일(120)의 외측에는 상부 프레임(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가 배치되고, 이의 지지대(130)는 유압 리프트(140)에 의해 지지 된다. 유압 리프트(140)는 지지대(1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실린더(142)와 피스톤(144)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144)의 단부는 상기 지지대(130)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턴 테이블(100)의 반출 측에는 반출 레일(102)이 설치된다. 반출 레일(102)은 턴 테이블(100)의 상면에 설치된 연결 레일(120)과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가지고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는, 턴 테이블(100)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턴 테이블(100)을 전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보다 작업자가 항상 주의를 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주의 속에서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15)(116)가 설치된다. 즉, 2개의 스토퍼(115)는 턴 테이블(100)의 양측 하부 작업장 바닥에 180도 각도를 이루어 설치되고, 하나의 스토퍼(116)는 턴 테이블(100)의 하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턴 테이블(100)을 양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스토퍼(115)와 스토퍼(116)가 맞닿아 회전이 멈춰지게 된다. 턴 테이블(100)의 회전이 멈춰진 시점에는, 턴 테이블(100)의 연결 레일(120)은 반입 레일(101) 및 반출 레일(102)과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지게차에 의해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에서 지지대(130)의 상부에 안착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에 전기설비를 포설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리프트(140)와 지지대(130) 위에 높게 얹힌 상태에서 전장 포설 작업을 수행하면 작업이 수월하고 작업 시간도 적게 든다.
도 6 및 도 7은 턴 테이블(100) 상면에 설치된 유압 리프트(140)에 유압 호스(150)를 연결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도 8 및 도 9에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유압 호스(150)의 연결 구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100)의 하부 작업장 바닥 또는 베이스(103) 상에는 가이드 관(104)이 설치되고, 유압 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된 유압 호스(150)는 턴 테이블(100) 하부의 롤러(112)와 롤러(1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턴 테이블(100) 아래로 들어와 상기 가이드 관(104) 둘레에 감긴다. 가이드 관(104)에 감긴 유압 호스(150)의 말단은 턴 테이블(100)을 통과하여 유압 리프트(140)의 유압 실린더(142)에 연결된다. 턴 테이블(100)에는 유압 호스(150)를 잡아주기 위한 커넥터(155)가 설치되고, 커넥터(155)에는 유압 배관(171, 172)이 접속되며, 유압 배관(171, 172)은 분배기(161, 162)에서 두 갈래로 분기된 후 각각 유압 리프트(14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유압 호스(150)를 가이드 관(104)의 둘레에 감은 후 유압 리프트(140)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턴 테이블(1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관(104)으로부터 유압 호스(150)가 일정량 풀리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다시 가이드 관(104)에 감겨 처음의 상태가 됨으로써 턴 테이블(100) 회전 시 유압 호스(150)의 꼬임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전장 포설 등 선행 작업을 실시한 이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리프트(140)를 상승시켜 상부 프레임(40)을 들어올리고, 반입 레일(101)(도 1 및 도 4 참조)과 그에 연결되는 연결 레일(120)을 따라 이동 대차(50)를 턴 테이블(100)로 이동시켜 상부 프레임(40) 아래로 진입시킨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리프트(140)를 하강시키면 상부 프레임(40)이 이동 대차(50)에 실린다. 이처럼 상부 프레임(40)을 실은 이동 대차(50)를 반출 레일(102)(도 3 및 도 4 참조)을 따라 이동시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도 3 참조)의 좌우이송 대차(200)(도 3 참조)에 다시 싣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이송 대차(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3을 병행 참조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송 대차(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를 포함한다. 롤러(220)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부터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설치되어 있는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게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에는 프레임(222)이 설치되어 보강하고 있으며, 롤러(220)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장착된다. 한편, 이동 대차(50)는 전후방의 롤러(52) 장치가 연결대(54)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전술한 반출 레일(102)(도 11 참조)과 동일한 높이와 폭을 유지하는 연결 레일(212)이 설치된다.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반출 레일(102)을 따라 이동해 오는 이동 대차(50)의 롤러(52)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의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설치된 연결 레일(212) 위로 굴러들어와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탑재되게 된다.
따라서, 좌우이송 대차(200)는 이동 대차(50)를 실은 채 횡단 레일(201)을 따라 롤러(220)를 굴려 이동하게 된다. 도 10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이송 대차(200)는, 좌우이송 스테이지(도면상 우측)에서 로딩 스테이지(도면상 좌측)로 이동하고, 이동을 멈추면 좌우이송 대차(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면에 설치된 연결 레일(212)이 로딩 스테이지(300a)의 반출 측에 설치된 로딩 레일(301)과 일치하게 되어, 로딩 레일(301)을 따라 이동 대차(50)를 굴려 상부조립라인(4)으로 반입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좌우이송 대차(200)가 동력에 의해 왕복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50)에 의해 피니언(240)을 회전시키면, 피니언(240)이 맞물림 레일(23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해 좌우이송 대차(200)를 밀게 됨으로써, 좌우이송 대차(200)의 롤러(20)가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굴러 로딩 스테이지(300a)로 이송된다. 로딩 스테이지(300a)에서 상부 프레임(40)이 탑재된 이동 대차(50)를 상부조립라인(4)으로 보낸 다음에는, 피니언(240)을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면 좌우이송 대차(200)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로 구성하고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을 바닥에 길게 깔아놓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피니언(240)을 기어(gear)로 구성하고, 맞물림 레일(230)은 기어에 맞물리는 랙(rack)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2 : 하부조립라인 2a : 레일
4 : 상부조립라인 4a : 레일
6 : 지게차 8 : 전장 크레인
10 : 하부 주행체 20 : 상부 선회체
22 : 운전실 캡 24 : 엔진
26 : 카운터 웨이트 30 : 작업장치
31 : 붐 32 : 암
33 : 버킷 35 : 붐 실린더
36 : 암 실린더 37 : 버킷 실린더
40 : 상부 프레임 50 : 이동 대차
52 : 롤러 54 : 연결대
100a : 턴 테이블 스테이지 100 : 턴 테이블
101 : 반입 레일 102 : 반출 레일
103 : 베이스 104 : 가이드 관
110 : 회전판 112 : 롤러
115, 116 : 스토퍼 120 : 연결 레일
130 : 지지대 140 : 리프트
142 : 유압 실린더 144 : 피스톤
150 : 유압 호스 155 : 커넥터
171, 172 : 유압 배관 200a : 좌우이송 스테이지
200 : 좌우이송 대차 201 : 횡단 레일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12 : 연결 레일
220 : 롤러 222 : 프레임
230 : 맞물림 레일 240 : 피니언
250 : 모터 252 : 축
300a : 로딩 스테이지 301 : 로딩 레일
4 : 상부조립라인 4a : 레일
6 : 지게차 8 : 전장 크레인
10 : 하부 주행체 20 : 상부 선회체
22 : 운전실 캡 24 : 엔진
26 : 카운터 웨이트 30 : 작업장치
31 : 붐 32 : 암
33 : 버킷 35 : 붐 실린더
36 : 암 실린더 37 : 버킷 실린더
40 : 상부 프레임 50 : 이동 대차
52 : 롤러 54 : 연결대
100a : 턴 테이블 스테이지 100 : 턴 테이블
101 : 반입 레일 102 : 반출 레일
103 : 베이스 104 : 가이드 관
110 : 회전판 112 : 롤러
115, 116 : 스토퍼 120 : 연결 레일
130 : 지지대 140 : 리프트
142 : 유압 실린더 144 : 피스톤
150 : 유압 호스 155 : 커넥터
171, 172 : 유압 배관 200a : 좌우이송 스테이지
200 : 좌우이송 대차 201 : 횡단 레일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12 : 연결 레일
220 : 롤러 222 : 프레임
230 : 맞물림 레일 240 : 피니언
250 : 모터 252 : 축
300a : 로딩 스테이지 301 : 로딩 레일
Claims (7)
- 하부 주행체(10)와, 하부 주행체(10) 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프레임(40) 상에 운전실 캡(22), 엔진(24) 및 카운터 웨이트(26) 등이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20)와, 상부 선회체(20) 전방에 장착되는 작업장치(30)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 설비로서,
레일(2a)을 따라 하부 프레임(11)을 이동시켜 가면서 하부 주행체(10)를 조립해 완성하는 하부조립라인(2);
상기 하부조립라인(2)의 레일(2a)과 나란한 레일(4a)을 따라 상부 프레임(40)을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 선회체(20)를 조립해 완성하는 상부조립라인(4);
작업장에 반입된 상부 프레임(40)을 회전시켜 상부 프레임(40)의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는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 및
한쪽은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로부터 상부 프레임(40)을 싣고 이동되어 오는 이동 대차(50)를 다시 실어 횡단 레일(201)을 따라 상부조립라인(4) 초입의 로딩 스테이지(300a)까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를 포함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는, 롤러(112)의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 테이블(100)과, 상기 턴 테이블(10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를 승강시키는 유압 리프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초입에는 이동 대차(50)의 반입을 위한 반입 레일(101)이 설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의 턴 테이블(100) 상에는 상기 반입 레일(101)과 연결되어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연결 레일(120)이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 스테이지(100a)와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 사이에는 이동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반출 레일(102)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는,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를 왕복하는 좌우이송 대차(200)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 상에는 이동 대차(50)를 이동시켜 싣기 위한 연결 레일(212)이 설치되며,
상기 로딩 스테이지(300a)와 상기 상부조립라인(4) 사이에는 상부조립라인(4)의 레일(4a)로 이동 대차(50)가 이동하기 위한 로딩 레일(30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100)의 양측 하부 작업장 바닥과 상기 턴 테이블(100)의 하면에는 턴 테이블(100)의 회전범위를 180도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115)(1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100)의 하부 작업장 바닥 또는 베이스(103)에는 가이드 관(104)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관(104)에는 턴 테이블(100)의 유압 리프트(140)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호스(150)가 감기고, 가이드 관(104)에 감긴 유압호스(150)의 말단은 턴 테이블(100)을 통과하여 유압 리프트(140)의 유압 실린더(1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는,
상면에 상기 연결 레일(212)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및
상기 횡단 레일(201)을 따라 구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좌우이송 스테이지(200a)와 로딩 스테이지(300a) 사이를 동력에 의해 왕복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대차(200)에는 모터(250)에 의해 구동하는 피니언(240)이 설치되고, 작업장 바닥에는 상기 피니언(240)에 맞물리는 맞물림 레일(2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240)은 체인 구동을 위한 스프로킷 휠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 레일(230)은 스프로킷 휠에 맞물리는 체인 또는 기어에 맞물리는 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2555A KR101426581B1 (ko) | 2010-12-03 | 2010-12-03 |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2555A KR101426581B1 (ko) | 2010-12-03 | 2010-12-03 |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1295A KR20120061295A (ko) | 2012-06-13 |
KR101426581B1 true KR101426581B1 (ko) | 2014-08-05 |
Family
ID=4661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2555A KR101426581B1 (ko) | 2010-12-03 | 2010-12-03 |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5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767B1 (ko) * | 2012-02-24 | 2013-08-21 | 주식회사 에버다임 | 턴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KR102257314B1 (ko) * | 2020-10-13 | 2021-05-31 |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 대차, 지능형 분기처리용 대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CN114379680B (zh) * | 2022-01-29 | 2024-05-24 | 三丰智能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工程机械重型车架空中对中及校正转挂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9721A (ko) * | 1997-12-31 | 1999-07-26 | 양재신 | 자동차 조립공정의 언더바디 이송방법 |
KR20030015461A (ko) * | 2001-08-14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
KR20070082052A (ko) * | 2006-02-14 | 2007-08-20 | 아시스트 신꼬, 인코포레이티드 | 방향 전환 장치 |
KR20090052053A (ko) * | 2007-11-20 | 2009-05-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
-
2010
- 2010-12-03 KR KR1020100122555A patent/KR1014265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9721A (ko) * | 1997-12-31 | 1999-07-26 | 양재신 | 자동차 조립공정의 언더바디 이송방법 |
KR20030015461A (ko) * | 2001-08-14 | 2003-02-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
KR20070082052A (ko) * | 2006-02-14 | 2007-08-20 | 아시스트 신꼬, 인코포레이티드 | 방향 전환 장치 |
KR20090052053A (ko) * | 2007-11-20 | 2009-05-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1295A (ko) | 2012-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41256B (zh) | 一种用于机器人焊接设备的物料输送系统 | |
CN111906531B (zh) | 电力机车轮驱单元装配线 | |
CN103144951B (zh) | 搬运装置 | |
CN211140612U (zh) | 一种rgv小车 | |
KR102108710B1 (ko) | 합판 운반장치 | |
KR101428134B1 (ko) |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
KR101426581B1 (ko) |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 |
KR101873546B1 (ko) | 중량물 이송 대차 | |
CN105712101B (zh) | 钢桶装车平台 | |
US3176853A (en) | Mobile lift apparatus | |
CN107350699B (zh) | 一种焊接转运翻转变位装置及翻转焊接箱型梁的方法 | |
JP5421172B2 (ja) | 溶接ライン | |
CN105417394A (zh) | 岸边集装箱起重机 | |
JP2012246127A (ja) | 搬送設備 | |
CN109533847B (zh) | 一种用于掘进机料车上下轨道的转运机 | |
JP5475577B2 (ja) | X線検査用車両搬送装置 | |
CN110203689A (zh) | 多工位烤炉运输装置 | |
CN103043388B (zh) | 筒体输送车 | |
CN211283500U (zh) | 一种洁净门式起重机 | |
CN214989828U (zh) | 一种桁架式吊装旋转臂 | |
JP2011183252A (ja) | ダイコータ用台車 | |
CN112623783A (zh) | 一种可移动混合锅原位翻转出料装置及其操作方法 | |
JPH02194297A (ja) | 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自動資材搬送方法 | |
CN104444183A (zh) | 输送升降一体机 | |
JP3813074B2 (ja) | ワーク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