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088B1 - 자동차 차체 용접건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 용접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088B1
KR101333088B1 KR1020130015239A KR20130015239A KR101333088B1 KR 101333088 B1 KR101333088 B1 KR 101333088B1 KR 1020130015239 A KR1020130015239 A KR 1020130015239A KR 20130015239 A KR20130015239 A KR 20130015239A KR 101333088 B1 KR101333088 B1 KR 10133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welding
actuator
upper a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주)우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1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the actu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25J15/006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with different types of end effectors, e.g. gripper and welding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 용접라인에서 두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을 적용하여 각기 다른 차종을 하나의 건으로 용접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툴 체인저를 이용하여 두 개의 건을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건으로 두 종류의 건(X-GUN + J-GUN)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건으로써 두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용접건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고, 툴 체인저 삭제로 인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수부위 용접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 용접건{Welding gun for car welding line}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 용접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차체 용접라인에서 두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을 적용하여 각기 다른 차종을 하나의 건으로 용접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프레스에서 차체 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 공장으로 옮겨와서 차체 각 부분이 용접 및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 상태의 차체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차체는 플로워,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의 장착과정을 거치게 되고, 도장공정으로 이동하여 도색 처리되며, 의장공장에서는 엔진, 트랜스 미션, 내ㆍ외장재 등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차체를 조립할 때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패널을 용접 고정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이때의 패널을 용접할 때에는 주로 스폿 용접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양산시에 차체 골격은 통상 플로어 골격과, 측방 골격, 루프 및 카울 골격 등으로 구분되어 제작된 후 조립되어, 도어와 트렁크리드 및 후드 등과 같은 부품을 제외한 차체 골격이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차량 조립라인에서 임시로 조립된 차체를 차체 용접라인에서 용접하여 차체 골격을 완성하는데, 차체를 구성하는 패널들이 느슨하게 미리 조립된 상태로 차체 용접라인으로 이동되면 다수의 용접 로봇에 의해 스폿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완전한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차체 용접라인은 용접건이 부착된 다수의 용접 로봇을 구비하여, 컨베이어 장치 등에 의해 이동된 차체를 대상으로 작업공정의 고정부위에 차체 용접용 게이트(Gate)를 결합 및 고정한 후, 용접 로봇을 동작시켜 차체를 스폿 용접하게 된다.
보통 스폿 용접은 다른 용접에 비해 기열 시간이 매우 짧고 작업시간이 빠른 한편, 가열 범위가 좁아 잔류응력이나 변경이 작은 이점이 있는 등 자동차 생산시스템의 용접라인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폿 용접은 용접팁이 부착된 용접건의 작동상태에 따라 보통 수직방향에서 차체를 가압 용접하도록 한 쌍의 용접건이 수직으로 각각 작동되는 방식과, 차체의 측벽부를 가압 용접하도록 한 쌍의 용접건이 측면방향으로 각각 작동되는 방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차체의 용접을 위한 용접건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1999-025345호에는『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자동차 차체 용접라인에서 다차종 대응시 기존에 수직방향 용접건(X-GUN)과 측면방향 용접건(J-GUN)을 각기 다른 차종에 적용해야 할 경우, 별도의 툴 체인저를 사용하여 각각의 용접건을 교체한 후에 용접을 실시해야 하고, 이로 인해 사이클 타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등 생산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특히, 내측 판넬의 용접을 위해 용접홀을 통과하여 용접해야 할 경우, 용접조건이 안좋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등 특수부위 용접시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툴 체인저를 이용하여 두 개의 건을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건으로 두 종류의 건(X-GUN + J-GUN)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건으로써 두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용접건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고, 툴 체인저 삭제로 인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수부위 용접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후단부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하여 로봇에 취부되는 건 프레임과, 상기 건 프레임의 선단부 내에 그 중간부가 샤프트에 의해 함께 체결됨과 동시에 결속되어 중간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부 암 및 하부 암과, 상기 상부 암의 선단부에 지지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이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 운동하면서 용접을 수행하는 제1건과, 상기 하부 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제1건과 마주접하면서 용접을 수행하는 제2건과, 상기 상부 암과 하부 암의 각 후단측에 있는 핀 결합부에 로드측과 블럭측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제1건 및 제1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상부 암 전체를 회전시켜주는 제2액추에이터 및 이것을 지지하는 제2액추에이터 블럭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제1건과 제2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건으로 두 종류의 건(X-GUN + J-GUN)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내부 패널의 용접을 위해 외부 패널의 홀을 통과하여 증타를 해야 하는 등의 특수부위 용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제1액추에이터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장치와, 상기 벨트 전동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제1건을 직선 운동시켜주는 볼스크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상부 암과 하부 암 간의 중간부위는 상부 암의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 내에 하부 암의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샤프트를 체결하여 일체 결속되도록 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건과 제2건의 경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접하는 각각의 생크 및 이때의 각 생크을 지지하기 위한 각각의 홀더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로봇에 마운팅되어 자동화라인 용접시 건 교체시간을 없애 총 용접시간(CYCLE TIME)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툴 체인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건을 로딩해야 하는 다이 2개, 추가 건 1개 등을 없앨 수 있어 공간적으로도 효율이 높다.
셋째, 내측 판넬 용접을 위해 외측 판넬에 있는 용접홀을 이용하여 증타를 해야 할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특수부위 용접에 유리하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1b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이 가능한 제1건과 제2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건을 사용하여, 특수 부위 용접 등 전체적인 차체 용접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차체 용접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스폿 용접용 로봇에 취부되는 건 프레임(11)이 마련된다.
상기 건 프레임(11)은 후단부의 마운팅 브라켓(10)과 이 마운팅 브라켓(10)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판체를 일체 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 프레임(11)은 마운팅 브라켓(10)에 있는 다수의 홀을 통해 스폿 용접용 로봇에 체결구조로 취부되어, 로봇의 거동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접을 위한 건을 지지하고 또 건의 오픈 상태 및 클로즈 상태의 거동을 위한 수단으로 2개의 암, 즉 상부 암(13)과 하부 암(14)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암(13)은 제1건(16)을 지지하면서 제1건(16)의 스트로크 만으로는 회피 불가능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큰 오픈량으로 회전하는 암으로서, 길이 중간부에는 아래쪽으로 수직 연장되는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액추에이터(19)와의 연결을 위한 핀 결합부(18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암(13)은 중간부의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를 통해 건 프레임(11)의 선단부 내에, 즉 양쪽 판체 사이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하부 암(14)의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와 함께 결속됨과 동시에 건 프레임(11)의 판체 간을 관통하는 샤프트(12)에 의해 같이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상부 암(13)은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에 체결되는 샤프트(12)를 중심축으로 하여 위아래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때의 상부 암(13)의 회전을 통해 제1건(16)이 큰 오픈량으로 벌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암(14)은 상부 암(13)이 가지는 제1건(16)과 짝을 이루는 제2건(17)을 지지하는 암으로서, 길이 중간부에는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액추에이터 블럭(20)과의 연결을 위한 핀 결합부(18b)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암(14)은 중간부의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를 통해 건 프레임(11)의 선단부 내에서 샤프트(12)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상부 암(13)의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 내에 결속된 상태에서 샤프트(12)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암(13)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ㄷ"자 형상의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의 내측으로 하부 암(14)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가 삽입되며, 각 체결부의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샤프트(12)에 의해 함께 체결되므로서, 상부 암(13)과 하부 암(14)은 하나의 중심축을 공유하면서 일체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암(14)의 경우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에 체결되는 샤프트(12)를 중심축으로 하여 위아래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부 암(13)이 회전될 때 상대적으로 가만히 있으면서 이때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암(13)을 회전시켜주는 수단, 즉 제1건(16)을 큰 오픈량으로 벌려주기 위해 상부 암(13)을 회전시켜주는 수단으로 제2액추에이터(19)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19)는 제1액추에이터(15)와 마찬가지로 볼스크류 구동장치, 벨트 전동장치 및 모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의 동력이 벨트 전동장치를 통해 볼스크류 구동장치로 전달되므로서, 볼스크류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이와 볼스크류 전동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로드가 움직이게 되고, 결국 상부 암(13)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19)의 경우에는 실린더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 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액추에이터(19)는 제2액추에이터 블럭(20)상에 로드를 윗쪽으로 향하게 한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제2액추에이터(19)는 건 프레임(11)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부 암측 및 하부 암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 암(13)을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액추에이터(19)의 로드는 제1핀(26)에 의해 상부 암(13)의 후단부에 있는 "ㄷ"자 형상의 핀 결합부(18a) 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 블럭(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 결합부(18c)는 제2핀(27)에 의해 하부 암(14)의 후단부에 있는 "ㄷ"자 형상의 핀 체결부(18b) 내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암(13)은 제2액추에이터(19)의 전진 작동시(로드 상승시) 하부 암(14)과 나란한 수평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고, 제2액추에이터(19)의 후진 작동시(로드 하강시) 샤프트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건(16)이 위로 들려진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19)의 스트로크와 내경 등을 조절하게 되면, 힘과 오픈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널 용접 부위로 제1건(16)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액추에이터(15)가 마련된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15)는 상부 암(13)측에 설치되어 제1건(16)을 패널 용접 부위까지 직선 이동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모터 동력을 벨트로 전달하여 볼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암(13)의 선단부에는 제1액추에이터 브라켓(28)이 설치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 브라켓(28)에는 볼스크류 구동장치(23)가 내장되어 있는 볼스크류 하우징(29)이 수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스크류 구동장치(23)의 상단부에는 벨트 하우징(30)이 수평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벨트 하우징(30)의 내부에는 모터측 동력을 볼스크류측으로 전달하는 벨트 전동장치(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 전동장치(22)는 모터 축과 볼스크류 축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풀리와 양쪽의 풀리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원으로서의 모터(21)는 벨트 하우징(30)의 한쪽 저면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21)의 축과 상기 볼스크류 구동장치(23)의 축 간에 벨트 전동장치(22)가 연결되고, 모터(21)의 동력이 벨트 전동장치(22)를 통해 볼스크류 구동장치(23)로 전달되므로서, 볼스크류 구동장치(23)의 작동에 의해 이와 볼스크류 전동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제1건(16)이 상하로 직선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21)는 서보 모터를 사용하여 위치와 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제1건(16)과 제2건(17)이 마련된다.
상기 제1건(16)은 제1액추에이터(15)측에 지지되면서 상하로 직선이동가능한 구조로 상부 암(14)에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건(17)은 하부 암(14)측에 지지되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되며, 제1건(16)과 제2건(17)이 패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은편에서 접하면서 전류 인가와 동시에 패널을 가압하면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건(16)은 볼스크류 구동장치(23)측에 볼스크류 결합되어 직선이동이 가능한 홀더(16b)와 이 홀더(16b)의 끝에 장착되는 생크(16a)로 구성되고, 상기 제2건(17)도 하부 암(14)측에 고정되는 홀더(17b)와 이 홀더(17b)의 끝에 장착되는 생크(17a)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건(16)의 생크(16a)와 제2건(17)의 생크(17a)가 패널을 양편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전류 인가와 함께 패널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건(16)측과 제2건(17)측에 전류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전류 공급장치(31)가 마련되며, 이때의 전류 공급장치(31)는 브라켓(32)에 의해 건 프레임(11)의 한쪽 측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공급장치(31)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전류라인(33a,33b)과 제2전류라인(34)이 상부 암(13)과 하부 암(14)을 통해 제1건(16)측과 제2건측(17)측으로 연결되므로서, 각 건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은 내부 패널 간의 용접시나 외부 패널 간의 용접시, 그리고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간의 용접시에는 상부 암(13)의 회전 작동없이(필요에 따라서는 회전 작동을 병행하여) 제1액추에이터(15)의 작동만으로 제1건(16)을 직선 이동시켜서 제2건(17)과 함께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자동차 차체 용접건의 경우 내부 패널의 용접을 위해 외부 패널에 있는 용접홀을 이용하여 증타를 해야 하는 등의 특수 부위 용접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2액추에이터(19)를 후진 작동시켜서 상부 암(13)의 후단부를 아래로 당겨 내리게 되면, 상부 암(13)은 샤프트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제1액추에이터(15)를 포함하는 제1건(16)이 위로 들려져 경사진 자세의 오픈 상태가 되며, 이 자세 그대로 외부 패널(100)의 간섭을 피해서 내부 패널(110)의 용접 부위로 진입하게 된다(도 5a).
이때, 제2건(17)의 생크(17a)는 내부 패널(110)의 용접 부위 저면에 위치해 있게 된다.
다음, 제2액추에이터(19)를 전진 작동시켜서 상부 암(13)의 후단부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부 암(13)은 재차 수평 자세로 복귀되면서 클로즈 상태가 된다(도 5b).
이때, 제1건(16)의 생크(16a)는 제2건(17)에 있는 생크(17a)와 수직의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계속해서, 제1액추에이터(15)를 작동시켜서 제1건(16)을 하향 직선 이동시키게 되면, 제1건(16)의 생크(16a)는 외부 패널(100)에 있는 용접홀(120)을 통과하여 내부 패널(110)의 용접부위에 접하게 된다(도 5c).
따라서, 내부 패널(110)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 제1건(16)의 생크(16a)와 제2건(17)의 생크(17a)가 내부 패널(110)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내부 패널(110)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용접 후에는 제1건(16)의 복귀 및 상부 암(13)의 오픈 상태에서 외부 패널측과의 간섭없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건과 제2건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건으로 두 종류 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차종 대응시 용접건의 교체시간을 없앨 수 있는 등 총 사이클 타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또 용접건 교체와 관련한 다이나 건 등을 삭제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 : 마운팅 브라켓 11 : 건 프레임
12 : 샤프트 13 : 상부 암
14 : 하부 암 15 : 제1액추에이터
16 : 제1건 16a : 생크
16b : 홀더 17 : 제2건
17a : 생크 17b : 홀더
18a,18b,18c : 핀 결합부 19 : 제2액추에이터
20 : 제2액추에이터 블럭 21 : 모터
22 : 벨트 전동장치 23 : 볼스크류 구동장치
24 :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 25 :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
26 : 제1핀 27 : 제2핀
28 : 제1액추에이터 브라켓 29 : 볼스크류 하우징
30 : 벨트 하우징 31 : 전류 공급장치
32 : 브라켓 33a,33b : 제1전류라인
34 : 제2전류라인

Claims (4)

  1. 후단부의 마운팅 브라켓(10)을 이용하여 로봇에 취부되는 건 프레임(11);
    상기 건 프레임(11)의 선단부 내에 그 중간부가 샤프트(12)에 의해 함께 체결됨과 동시에 결속되어 상기 샤프트(1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부 암(13) 및 하부 암(14);
    상기 상부 암(13)의 선단부에 지지되는 제1액추에이터(15) 및 상기 제1액추에이터(15)에 상기 상부 암(14)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15)에 의해 직선 운동이 가능한 제1건(16);
    상기 하부 암(14)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건(16)과 마주보게 접하면서 용접을 수행하는 제2건(17);
    상기 상부 암(13)과 하부 암(14)의 각 후단측에 있는 핀 결합부(18a,18b)에 로드측과 블럭측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제1건(16) 및 제1액추에이터(15)를 포함하는 상부 암(13) 전체를 회전시켜주는 제2액추에이터(19) 및 이것을 지지하는 제2액추에이터 블럭(20);
    을 포함하여,
    상기 제1건과 제2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건으로 두 종류의 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15)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전동장치(22)와, 상기 벨트 전동장치(22)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제1건(16)을 직선 운동시켜주는 볼스크류 구동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암(13)과 하부 암(14)의 중간부는 상부 암(13)의 요입형 샤프트 체결부(24) 내에 하부 암(14)의 돌출형 샤프트 체결부(25)가 삽입된 상태에서 샤프트(12)가 체결되면서 일체 결속되는 구조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건(16)과 제2건(17)은 패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접하는 각각의 생크(16a,17a) 및 이 생크(16a,17a)을 지지하기 위한 각각의 홀더(16b,17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용접건.
KR1020130015239A 2013-02-13 2013-02-13 자동차 차체 용접건 KR10133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239A KR101333088B1 (ko) 2013-02-13 2013-02-13 자동차 차체 용접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239A KR101333088B1 (ko) 2013-02-13 2013-02-13 자동차 차체 용접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088B1 true KR101333088B1 (ko) 2013-12-02

Family

ID=4998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239A KR101333088B1 (ko) 2013-02-13 2013-02-13 자동차 차체 용접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846A (ja) * 1996-01-09 1997-07-29 Nissan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装置
KR20110025339A (ko) * 2009-09-04 2011-03-10 대우공업 (주) 스윙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846A (ja) * 1996-01-09 1997-07-29 Nissan Motor Co Ltd スポット溶接装置
KR20110025339A (ko) * 2009-09-04 2011-03-10 대우공업 (주) 스윙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066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US20120125974A1 (en) Complete floor welding system for various vehicle models
US10933487B2 (en) Spot welding apparatus
CN202037413U (zh) 双工位货架焊接机
KR100965098B1 (ko) 다차종 패널 세팅용 로봇 행거
CN104551365B (zh) 点焊设备
KR200461575Y1 (ko)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KR101305173B1 (ko) 차체 조립 장치
CN103862155B (zh) 双点焊接设备
KR20150037162A (ko) 스폿 용접장치
KR101435769B1 (ko) 스폿 용접장치
US6601750B2 (en) Integrated clamping and clinching device, particularly for joining sheet-metal panels and the like
KR20090053078A (ko) 도어 패널 이송 그립퍼
KR20130139073A (ko) 로봇에 의한 롤러헤밍과 테이블 탑 헤밍이 복합 적용된 하이브리드 헤밍장치
KR101333088B1 (ko) 자동차 차체 용접건
CN111360480A (zh) 车身后背门外板总成焊接装置
KR100968718B1 (ko) 롤러 헤밍 장치
KR101448762B1 (ko) 스폿 용접장치
JPH08104264A (ja) 自動車ドアの製造ライン
KR100868224B1 (ko) 차체 조립 장치
JP3453728B2 (ja) 自動車のドアインナーアセンブリライン
KR100727705B1 (ko) 자동용접건 장치
KR20150120193A (ko) 프로젝션 용접건 장치
KR100520546B1 (ko) 너트 접합 장치
KR100391456B1 (ko)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