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456B1 -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456B1
KR100391456B1 KR10-2001-0024258A KR20010024258A KR100391456B1 KR 100391456 B1 KR100391456 B1 KR 100391456B1 KR 20010024258 A KR20010024258 A KR 20010024258A KR 100391456 B1 KR100391456 B1 KR 10039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filler housing
shuttle
mounting bracket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035A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4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그 조립작업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서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하기 위해 턴테이블 장치에 구성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의 조립공정으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 턴테이블 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해주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셔틀 시스템에 공급할 연료 필러 하우징을 적재하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턴테이블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적재수단과;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을 힌지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적재수단의 좌우측으로 장착되는 순차투입수단과; 상기 순차투입수단의 힌지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AUTOMATIC SUPPLING DEVICE FOR FUEL FILLER HOUSING}
본 발명은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을 조립작업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서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하기 위해 턴테이블 장치에구성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2~3만여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프레스 장비에 의해 차체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 공장으로 옮겨와서 차체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 상태로 조립되고, 이와 같이 완성된 차체는 플로워,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 , 연료 필러 하우징 등의 장착과정을 거치게 되며, 도장공정으로 이동하여 도색작업을 거친 후, 의장공장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내,외장제 등의 조립을 통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자동차의 제조과정에서 차체 조립라인은 다수의 용접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공정은, 용접지그 상에 작업편을 장착하여 용접로봇에 의해 용접작업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체의 조립을 위한 과정에서, 상기한 연료 필러 하우징의 조립공정에서는 연료 필러 하우징을 셔틀 시스템을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셔틀 시스템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실 바닥면에 셔틀 다이(101)가 설치되고, 이 셔틀 다이(101)의 상단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10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03)에는 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105)가 장착되며, 상기 셔틀 다이(101)상의 전방 일측에는 전후진 작동 실린더(107)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 작동 실린더(107)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5)의 전방 선단과 피스톤 로드(109)로 연결되어 이를 전후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05)의 길이방향 좌,우측면에는 전,후방에 각각 가이드 하우징(111,113)이 설치되며, 중앙에는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가 설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 하우징(111,113)에는 각 가이드 바아(117,119)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 바아(117,119)의 상단과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의 피스톤 로드(121) 상단에는 셔틀 플레이트(123)가 설치된다.
이 셔틀 플레이트(123)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연료 필러 하우징(125)을 순차적으로 로딩하는 지그(127) 들이 상기 셔틀 플레이트(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셔틀 플레이트(123)의 좌우 외측방에는 셔틀 시스템의 진행방향을 따라 로딩 프레임(129)이 배치되어 셔틀 플레이트(123)가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의 작동에 의해 하강 후, 다시 상승될 때까지 연료 필러 하우징(125) 들을 일시적으로 로딩하게 된다.
즉, 이러한 셔틀 시스템의 작동패턴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셔틀 플레이트(123)의 "P"(현재 P4위치)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도면상에서 "P4"위치에서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가 작동하여 셔틀 플레이트(123)을 하강(S4)시켜 "P1"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전후진 작동 실린더(107)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105)를 후진시킴으로서, 상기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와 함께, 셔틀 플레이트(123)를후진(S1)시켜 "P2"위치로 이동시키고, 이 시점에서 작업자는 상기 로딩 프레임(129)의 최후단에 연료 필러 하우징(125')을 로딩한다.
이어, 상기 셔틀 플레이트(123)는 "P2"위치에서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가 작동하여 셔틀 플레이트(123)을 상승(S2)시켜 "P3"위치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작업자가 로딩 프레임(129)의 최후단에 로딩한 연료 필러 하우징(125')과 함께, 각 연료 필러 하우징(125) 들은 상기 셔틀 플레이트(123) 상의 각 지그(127) 들에 의해 들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작동 실린더(107)가 다시 작동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105)를 전진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승하강 작동 실린더(115)와 함께, 셔틀 플레이트(123)는 전진(S3)이동되어 다시 "P4"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로딩 프레임(129)의 최선단으로 이동되는 연료 필러 하우징(125)은 로봇에 의해 클램핑되어 작업공정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셔틀 시스템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셔틀 플레이트가 그 기준이 되는 P지점이 "P2"지점에 위치할 때, 작업자가 직접 로딩 프레임의 최후단에 투입하도록 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과다하게 소모되며, 작업효율이 낮다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그 조립작업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서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자동공급하기 위해 턴테이블 장치에 구성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연료 필러 하우징이 공급되는 일반적인 셔틀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의 조립공정으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 턴테이블 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해주기 위한 장치에서,
상기 셔틀 시스템에 공급할 연료 필러 하우징을 적재하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턴테이블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적재수단과;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을 힌지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적재수단의 좌우측으로 장착되는 순차투입수단과; 상기 순차투입수단의 힌지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내측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적재 가이드와; 상기 장착 브라켓 상의 상기 적재 가이드 외측방 좌우측에 각각 수직하게 장착되며, 하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는 좌,우측 적재 파래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순차투입수단은 상기 적재수단의 좌,우측방에서 장착 브라켓 상에 각각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각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지둥의 상하부 슬라이드 홀 사이에서 외향하여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상부 로케이터수단과; 상기 지지기둥과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하부 로케이터수단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외측 선단에 중앙부가 장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로케이터수단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부슬롯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하부 로케이터수단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부슬롯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수직 힌지바아와;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어 장착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축을 통하여 중앙부가 힌지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수직 힌지바아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지며, 타단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수평 힌지바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과 별도로, 각 순차투입수단의 수평 힌지바아의 타단에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어 공압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서, 이러한 턴테이블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이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의 조립공정으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하기 위해서, 도 8에서와 같은,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서 작업실 바닥면에 구비되는데, 먼저작업실 바닥면(1)에 베이스 플레이트(3)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부에는 회전구동장치(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장치(5)는 그 상부에서 회전축을 통하여 원판형의 턴테이블(7)이 설치되고, 이 턴테이블(7)의 일측에는 본 발명인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9)가 구비되어 상기 셔틀 시스템의 로딩 프레임 상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9)를 도 4, 도 5와 도 6을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셔틀 시스템에 공급할 연료 필러 하우징(11)을 적재하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턴테이블(7)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13)을 통하여 적재수단이 장착된다.
이 적재수단은,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으로 적재 파래트(17)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 가이드(15)는 상기 장착 브라켓(13)의 내측에 수직하게 세워져 그 하단을 통하여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는 장착 브라켓(13) 상의 상기 적재 가이드(15) 외측방 좌우측에 각각 수직하게 새워져 그 하단을 통하여 고정 장착되며, 이 적재 파래트(17)는 각각의 하부에 일측에 개구부(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사이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11)을 힌지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 시스템의 로딩 프레임(70) 상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의 외측에서 장착 브라켓(13) 상에 순차투입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순차투입수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의 좌,우측방에서 장착 브라켓(13) 상에는 지지기둥(21)이 각각 장착되며, 이 지지기둥(21)에는 그 상,하부에 각각 슬라이드 홀(23,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지둥(21)의 상,하부 슬라이드 홀(23,25) 사이의 외측면에는 힌지 브라켓(27)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기둥(21)의 상부 슬라이드 홀(23)에는 상부 로케이터수단으로 상부 로케이터(31)와 일체로 구성된 상부 슬라이드 바아(3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기둥(21)의 하부 슬라이드 홀(25)에는 하부 로케이터수단으로 하부 로케이터(35)와 일체로 구성된 하부 슬라이드 바아(3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27)의 외측 선단에는 수직 힌지바아(39)가 그 중앙부를 통하여 힌지 장착되며, 이 수직 힌지바아(39)의 상단은 상부슬롯(41)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슬롯(43)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요홈(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슬라이드 바아(33)는 그 외측 선단이 핀(47)을 통하여 상기 수직 힌지바아(39)의 상부슬롯(41)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바아(37)는 그 외측 선단이 핀(49)을 통하여 상기 수직 힌지바아(39)의 하부슬롯(43)에 연결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드 바아(37)의 일측에는 스프링 리테이너(51)를 구비하여 이 스프링 리테이너(51)와 지지기둥(21)의 외측면 사이에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53)을 개재하여 하부 슬라이드 바아(37)에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로케이터(31)는 상부 슬라이드 바아(33)의 내측 선단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내에 적재된 2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을 로케이팅하게 되며, 상기 하부 로케이터(35)는 하부 슬라이드 바아(37)의 내측 선단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내에 적재된 1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을 로케이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 브라켓(13)의 일측에는 이에 대하여 수평 힌지바아(55)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힌지축(57)을 통하여 그 중앙부가 힌지 장착되고, 이 수평 힌지바아(55)의 일단은 상기 수직 힌지바아(39)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45)에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순차투입수단의 힌지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7)의 일측방에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과는 별도로, 각 순차투입수단의 수평 힌지바아(55)의 타단에 로드(59)를 통하여 연결되어 공압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도 3과 도 6에서만 도시됨, 61)를 작업실 바닥면(1)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9)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셔틀 시스템의 셔틀 플레이트(123)가 기준이 되는 "P"지점이 "P2"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9)가 턴테이블(7) 상에서 작동하여 도 7에서와 같이, 1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을 로딩 프레임(70) 상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와 도 6에서와 같이, 작동전 상태에서는 실린더(61)가 전진 작동한 상태로, 수평 힌지바아(55)의 타단을 민 상태가 되며, 이 수평 힌지바아(55)의 일단과 요홈(45)을 통하여 연결된 수직 힌지바아(39)는 그 하단이 도면에서 왼쪽으로 전진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내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11)은 1차로 투입될 1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의 하부를 상기 하부 로케이터(35)가 받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61)를 후진 작동시키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61)는 수평 힌지바아(55)의 타단을 밀고있는 힘을 제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53)이 하부 슬라이드 바아(37)를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수직 힌지바아(3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동시에 상기 요홈(45)을 통하여 연결된 수평 힌지바아(55)의 일단을 밀어 그 타단이 상기 실린더(61)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내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11)은 1차로 투입될 1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이 하부 로케이터(35)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딩 프레임(70) 상으로 낙하하여 공급되며, 동시에 2차로 투입될 연료 필러 하우징(11")은 상기 상부 로케이터(31)가 왼쪽으로 전진함에 따라 그 하부가 상부 로케이터(31)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1차 연료 필러 하우징(11')과 함께, 로딩 프레임(70) 상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실린더(61)가 다시 전진 작동하게 되면, 상기 도 4에서와 같은 작동전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적재 가이드(15)와 좌,우측 적재 파래트(좌측 미도시, 17) 내에 적재된 상기 2차 연료 필러 하우징(11")은 그 하부가 상기 하부 로케이터(35)에 의해 받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에 의하면,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그 조립작업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서 턴테이블 장치에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상,하부 로케이터가 연동하여 힌지 작동함으로서, 셔틀지그 상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하여 작업자가 직접 로딩 프레임의 최후단에 투입하던 종래의 노동을 배제하며, 이에 따른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자동차의 차체 조립공정에서 연료 필러 하우징의 조립공정으로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하기 위한 셔틀 시스템의 일측에 턴테이블 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연료 필러 하우징을 공급해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틀 시스템에 공급할 연료 필러 하우징을 적재하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턴테이블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적재수단과;
    상기 적재수단에 적재된 연료 필러 하우징을 힌지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 시스템의 셔틀지그 상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도록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적재수단의 좌우측으로 장착되는 순차투입수단과;
    상기 순차투입수단의 힌지작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내측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적재 가이드와;
    상기 장착 브라켓 상의 상기 적재 가이드 외측방 좌우측에 각각 수직하게 장착되며, 하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는 좌,우측 적재 파래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차투입수단은
    상기 적재수단의 좌,우측방에서 장착 브라켓 상에 각각 장착되며, 상하부에 각각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지둥의 상하부 슬라이드 홀 사이에서 외향하여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상부 로케이터수단과;
    상기 지지기둥과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하부 로케이터수단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외측 선단에 중앙부가 장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로케이터수단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상부슬롯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하부 로케이터수단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부슬롯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요홈이 형성되는 수직 힌지바아와;
    상기 장착 브라켓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어 장착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축을 통하여 중앙부가 힌지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수직 힌지바아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지며, 타단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수평 힌지바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케이터수단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외측 선단은 핀을 통하여 상기 힌지바아의 상부슬롯에 연결되는 상부 슬라이드 바아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바아의 내측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수단 내의 2차 연료 필러 하우징을 로케이팅하는 상부 로케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로케이터수단은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외측 선단은 핀을 통하여 상기 힌지바아의 하부슬롯에 연결되며, 일측에 스프링 리테이너를 구비하여 이 스프링 리테이너와 지지기둥 사이에서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하부 슬라이드 바아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 바아의 내측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수단 내의 1차 연료 필러 하우징을 로케이팅하는 하부 로케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6. 청구항 3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7.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 장치의 일측방에서 상기 순차투입수단과 별도로, 각 순차투입수단의 수평 힌지바아의 타단에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어 공압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KR10-2001-0024258A 2001-05-04 2001-05-04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KR10039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258A KR100391456B1 (ko) 2001-05-04 2001-05-04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258A KR100391456B1 (ko) 2001-05-04 2001-05-04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35A KR20020085035A (ko) 2002-11-16
KR100391456B1 true KR100391456B1 (ko) 2003-07-12

Family

ID=2770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258A KR100391456B1 (ko) 2001-05-04 2001-05-04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079B1 (ko) 2012-10-17 2014-02-10 (주)현대하이텍 연료필러하우징의 조립방법
KR101361772B1 (ko) 2012-10-17 2014-02-21 (주)현대하이텍 연료필러하우징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079B1 (ko) 2012-10-17 2014-02-10 (주)현대하이텍 연료필러하우징의 조립방법
KR101361772B1 (ko) 2012-10-17 2014-02-21 (주)현대하이텍 연료필러하우징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35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574B1 (ko) 자동차 차체의 조립방법 및 여기에 사용되는 지그장치
CN107719515B (zh) 车体组装系统
US20120125974A1 (en) Complete floor welding system for various vehicle models
KR101360066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KR102359936B1 (ko) 대차를 이용한 차체 이송 시스템
CN106040885A (zh) 一种轻量化自动车门内外板包边装置
KR101435769B1 (ko) 스폿 용접장치
KR100391456B1 (ko)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 장치
KR100471269B1 (ko) 연료 필러 하우징 자동 공급장치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KR100572394B1 (ko) 서브프레임용 지그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KR102329205B1 (ko) 조립라인 구조체
JP3140450U (ja) 熱溶着装置
KR20090048866A (ko) 차량의 루프패널용 지그장치
CN112008325B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门架焊接调整装置
KR101360045B1 (ko) 다차종 차체 조립 시스템의 사이드 패널 얼라인 장치
JP3453728B2 (ja) 自動車のドアインナーアセンブリライン
KR100892705B1 (ko) 파렛트 이송용 행거장치
CN205798206U (zh) 一种轻量化自动车门内外板包边装置
KR960004792B1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roof panel) 스폿트 용접 장치
CN210172964U (zh) 一种用于汽车下车身合拼台装置
CN109894543B (zh) 汽车顶棚通用型装配包边流水线及生产方法
KR102181167B1 (ko) 헤드라이닝 조립설비
KR101331630B1 (ko)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