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630B1 -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 Google Patents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630B1
KR101331630B1 KR1020080133393A KR20080133393A KR101331630B1 KR 101331630 B1 KR101331630 B1 KR 101331630B1 KR 1020080133393 A KR1020080133393 A KR 1020080133393A KR 20080133393 A KR20080133393 A KR 20080133393A KR 101331630 B1 KR101331630 B1 KR 101331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oupled
jig
vehicle body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851A (ko
Inventor
백재권
곽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의 동일 생산라인에 다양한 차종의 차체에 대응할 수 있는 지그 로봇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혼용 생산을 위해 다양한 차체가 생산라인에 들어오더라도 차량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3축으로 움직임으로써 단시간에 해당 차종의 전용지그장치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단시간에 해당 차종의 차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대차의 교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차체 조립 라인의 대차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지그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와, 상기 좌우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차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며 각각의 이동부로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차체, 고정지그, 상하이동, 전후이동, 좌우이동, 3축이동, 로봇

Description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Jig Robot for car body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차체의 구조물의 조립을 위해 동일한 생산라인에 다양한 차종의 차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그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차체의 구조물의 조립을 위해 3축으로 이동이 가능한 지그 로봇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혼용 생산을 위해 차체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지그 로봇이 3축으로 이동하여 맞춰주기 때문에 단시간에 다른 차체에 대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에서 차체를 조립하는 때에는 보조 조립라인에서 주바닥 패널과 전면차체와 후면 바닥판을 포함하는 후면 차체와 측면 내부패널과 측면 외부패널을 포함하는 차체측면패널과 루프패널과 측면문, 본네트 및 트렁크 뚜껑과 같은 뚜껑물체 부재 등을 각각 보조조립해서 이들을 차체조립라인에 공급한다.
그 다음 단계인 차체조립라인에 있어서는 하부차체 조립 스테이션에서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나 고정부재를 구비한 대차상에 바닥패널과 전명차체와 후면차체를 위치결정 고정시켜 임시용접과 고정용접을 시행해서 하부차체를 조립한다.
그 다음 단계로서 대차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차체를 대차와 함께 상부차체의 조립단계로 이송하고, 상부차체의 조립단계에서는 하부차체에 차체 측면패널과 루프패널 등을 조립하고, 각 스테이션마다 설치한 전용의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해서 그들의 외부 패널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해서 위치결정 고정시키고, 거기에 임시용접, 고정용접을 시행해서 상부차체를 조립한다.
상기 상부 차체조립단계에서는 전면펜더 및 후면펜더도 조립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 조립라인에서 각 부품을 해당부분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지그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차(1)상의 차체(2) 양측면부에 사이드 게이트(SIDE GATE)가 부설되는데, 상기 사이드 게이트는 저부에 롤러(3)가 착설되는 가동판(4)상에 지지판(5)이 부설되고, 상기 지지판(5)상에 다종의 지그(6)가 착설되는 지그 베이스용 수직기둥(7)이 종설되고, 상기 가동판(4)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8)상에는 상기 롤러(3)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9)이 부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차 차체 조립용 사이드 게이트는 차체의 사이드 패널들을 고정하거나 조립하기 위해 자동차 차체 조립 생산라인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지그(6)장치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키거나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그(6)장치를 이용하여 차 체의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킨 다음에, 해당 부품을 로봇 용접 건으로 용접하거나 조립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차(1)의 양 측면에 부설되어 있는 가동판(4)상에 설치되는 사이드 게이트는 가동판(4)의 저부에 착설된 롤러(3)가 지지대(8)상의 레일(9)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도면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작업 전에는 상기 사이드 게이트가 대차로부터 떨어져 있다가 차체의 조립을 위해 차체가 탑재되어 있는 대차가 상기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 사이로 이송되어 멈추면, 대차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사이드 게이트가 대차를 향해 이동된다. 그 다음에, 상기 사이드 게이트에 착설되는 지그(6)장치가 일정 부위의 차체를 고정시킨 후, 로봇 용접 건(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차체의 해당 부분을 용접하게 된다. 상기 용접이 완료된 다음에는 사이드 게이트의 지그(6)장치가 차체의 고정부위로부터 탈거되고, 사이드 게이트는 대차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면, 당해 대차는 또 다른 공정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된다. 이로써 해당 공정 스테이션에서의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게이트에 부설되는 지그(6)장치는 해당 차종의 전용 지그로서, 차종을 변경하여 차체를 조립 생산할 경우에는 기존의 지그장치를 탈거한 후에 변경된 차종에 맞는 지그장치를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탈거 및 장착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그장치의 부대설비 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종에 따라 자동차 차체의 조립 라인을 다수개 부설하여 유행하는 차종의 생산을 위해 대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지책은 차체의 조립 라인을 위해 과다한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일 차종의 지그장치가 생산라인에 설치되는 관계로 전용 대차가 대기장소에 차종별로 적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차종별 대차를 위한 넓은 적재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의 동일 생산라인에 다양한 차종의 차체에 대응할 수 있는 지그 로봇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혼용 생산을 위해 다양한 차체가 생산라인에 들어오더라도 차량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 3축으로 움직임으로써 단시간에 해당 차종의 전용지그장치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단시간에 해당 차종의 차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대차의 교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차체 조립 라인의 대차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지그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와, 상기 좌우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차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며 각각의 이동부로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이동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판과 결합되도록 하 는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좌우방향 이동부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와 결합되어 이동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서보모터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의 상부와 결합되어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좌우방향 상부결합판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좌우 이동부 상부결합판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케이블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 이동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이동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후방향 이동부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와 결합되어 이동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이동 서보모터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의 상부와 결합되어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방향 상부결합판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전후 이동부 상부결합판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케이블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이동부는 전후 이동판과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방향 이동부와, 상기 상하방향 이동부의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상하방향 이동부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신호는 좌우 이동부, 전후 이동부, 상하 이동부의 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각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 구조물의 조립 생산라인에 설치함으로써 차종이 서로 다른 차체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용 지그부의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전후 이동부와 좌우 이동부가 차체의 길이와 넓이에 맞추어 이동한 후 상하 이동부가 상승하여 차체 구조물의 고정홀과 지그부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경된 차체에 대하여 단시간 내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 변경에 따른 지그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 고정 지그부를 다차종의 지그부를 동일 생산라인에 집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차체 조립을 위한 생산 작업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차종의 대차 적재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차종의 차체 조립을 위해 언제라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생산의 경쟁력을 향산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각 이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지그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400)과, 상기 고정판(400)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300)와, 상기 좌우 이동부(3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200)와, 상기 전후 이동부(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100)와, 상기 상하 이동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차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부(140)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며 각각의 이동부로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도 8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 이동부의 모터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방향 이동판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좌우 이동부(300)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판(400)과 결합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310)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31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좌우방향 이동부(321)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321)와 결합되어 좌우방항 이동부(321)를 좌우방 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방향 서보모터(330)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321)의 상부와 결합되어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과 결합되도록 하는 좌우방향 상부결합판(320)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310)과 좌우 이동부 상부결합판(320)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케이블베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 이동부의 모터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방향 이동판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321)는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31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방향 서보모터(330)의 좌우방향 스크류봉(331)과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 이동부(200)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이동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후방향 이동부(221)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221)와 결합되어 전후방향 이동부(22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방향 서보모터(230)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321)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부 이동부 하부지지판(110)과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방향 상부결합판(220)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과 전후 이동부 상부결합판(221)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케이블베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은 양쪽 외측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있 으며, 전후방향 이동부(22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221)는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21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후방향 서보모터(230)의 전후방향 스크류봉(231)과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상하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상하 이동부의 구동축과 모터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하 이동부(100)는 전후 이동부 상부결합판(220)과 결합되는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판(110)과, 상기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판(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방향 이동부(120)와, 상기 상하방향 이동부(120)의 구동축과 벨트(131)로 연결되어 상하방향 이동부(120)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판(110)의 내부에는 모터(130)와 상하방향 이동부(120)의 구동축이 벨트(131)로 연결되어 모터(130)의 회전이 상하방향 이동부(120)의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상하방향 이동부(120)의 구동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상하방향 이동부(120)의 구동축은 상하바향 이동부(120)와 스크류 결합되어 있어 모터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의 신호는 좌우 이동부(300), 전후 이동부(200), 상하 이동부(100)의 모터(330, 230, 130)와 각각 연결되어 각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각 차종별로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차체의 폭 및 길이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공급되는 차체의 모양에 따라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시켜야 할 차체가 생산라인에 들어오면 제어부는 차체의 정보를 받고 지그를 움직여 차체의 폭과 길이에 맞추게 된다.
여기서, 차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4대의 지그 로봇이 필요하며 차체판넬의 앞쪽과 뒷쪽 각각 두대씩 배치하여 차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차체가 들어오면 기존에 고정시켰던 차체와 폭이 달라졌다면 지그 로봇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차체의 폭에 맞추게 되고, 기존에 고정시켰던 차체와 길이가 달라졌다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길이를 맞추게 된다.
차체가 생산라인을 통하여 공급되었을 때 지그 로봇는 차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모터로 전송하여 차체의 폭과 넓이에 맞도록 각각의 이동부가 동작하여 차체의 크기에 맞추게 된다. 차체의 폭과 길이를 정확히 맞추게 되면 상하이동부가 상승하여 지그부를 차체와 결합시켜 고정하게 되며, 이후 차체에 대한 작업이 용접 로봇에 의해 시작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지그장치가 착설된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각 이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상하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상하 이동부의 구동축과 모터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 이동부의 모터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후방향 이동판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 이동부의 모터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좌우방향 이동판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인 다차종 차체 대응 가능한 지그 로봇의 전체 결합 및 이동방향을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하 이동부 110 :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대
120 : 상하방향 이동부 130 : 모터
131 : 벨트 140 : 지그부
150 : 제어부 200 : 전후 이동부
210 :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 220 : 전후 이동부 상부결합판
221 : 전후방향 이동판 230 : 전후방향 서보모터
231 : 전후방향 스크류봉 240 : 벨트
300 : 좌우 이동부 310 :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
320 : 좌우 이동부 상부결합판 321 : 좌우방향 이동판
330 : 좌우방향 서보모터 331 : 좌우방향 스크류봉
340 : 벨트
400 : 고정판

Claims (5)

  1. 지그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와, 상기 좌우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차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와 연결되며 각각의 이동부로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는 전후 이동판과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하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방향 이동부와, 상기 상하방향 이동부의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상하방향 이동부를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좌우방향 이동부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와 결합되어 이동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 서보모터와,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의 상부와 결합되어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좌우방향 상부결합판과, 상기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좌우 이동부 상부결합판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 이동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이동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후방향 이동부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와 결합되어 이동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이동 서보모터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부의 상부와 결합되어 좌우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결합되도록 하는 전후방향 상부결합판과, 상기 전후 이동부 하부지지판과 전후 이동부 상부결합판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차종별로 미리 입력되어 있는 차체의 폭 및 길이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공급되는 차체의 모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가 좌우 이동부, 전후 이동부, 상하 이동부의 모터로 전송되어 각 이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다양한 차종의 차체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33393A 2008-12-24 2008-12-24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KR101331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93A KR101331630B1 (ko) 2008-12-24 2008-12-24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93A KR101331630B1 (ko) 2008-12-24 2008-12-24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51A KR20100074851A (ko) 2010-07-02
KR101331630B1 true KR101331630B1 (ko) 2013-11-20

Family

ID=4263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93A KR101331630B1 (ko) 2008-12-24 2008-12-24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43B1 (ko) * 1995-02-28 1998-06-01 김태구 3축방향 위치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JP2002225759A (ja) * 2001-01-31 2002-08-14 Nissan Motor Co Ltd ロケート装置とロケート装置を用いた車体組立装置
JP2002263965A (ja) * 2001-03-12 2002-09-17 Nissan Motor Co Ltd 車体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43B1 (ko) * 1995-02-28 1998-06-01 김태구 3축방향 위치 조정가능한 지지장치
JP2002225759A (ja) * 2001-01-31 2002-08-14 Nissan Motor Co Ltd ロケート装置とロケート装置を用いた車体組立装置
JP2002263965A (ja) * 2001-03-12 2002-09-17 Nissan Motor Co Ltd 車体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51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066B1 (ko) 다차종 대응 바디 컴플리트 결합장치
KR101173062B1 (ko) 다차종 공용 플로어 컴플리트 용접 시스템
JP6013820B2 (ja) 車体組立システム
KR101198662B1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KR101305173B1 (ko) 차체 조립 장치
KR101459465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로딩 지그장치
KR20100122754A (ko) 차체 조립 장치
US10464621B2 (en) Pre-buck apparatus for vehicle body assembling system
US11834117B2 (en) System for mounting a door hinge of a vehicle
KR100873863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331630B1 (ko) 차체 조립용 지그 로봇
KR101315711B1 (ko) 다차종 대응 fem 그리퍼
KR101360045B1 (ko) 다차종 차체 조립 시스템의 사이드 패널 얼라인 장치
KR100460907B1 (ko) 용접용 로봇의 로봇 행거
KR100621908B1 (ko) 차체용 벅 사이드 게이트
KR100949453B1 (ko) 전동 드라이브를 이용한 다축 위치 제어 장치
KR100814784B1 (ko) 차체조립라인의 프레이밍 시스템
KR19990027949A (ko) 다차종 혼용 생산을 위한 지그장치
KR100527472B1 (ko) 도어 힌지 선 장착 장치
KR19990042862A (ko) 2차종 혼용생산을 위한 지그 교환장치
CN205129224U (zh) 适用多车型的搬运装备的举升机构
CN204673183U (zh) 多车型的搬运装备的托块机构的行走机构
JPH04244328A (ja)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及びその組付治具装置
KR100427286B1 (ko) 다차종 사이드 패널 조립 시스템
KR20020054787A (ko) 다차종 사이드 패널 조립 시스템 및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