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486A -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486A
KR20120075486A KR20127013466A KR20127013466A KR20120075486A KR 20120075486 A KR20120075486 A KR 20120075486A KR 20127013466 A KR20127013466 A KR 20127013466A KR 20127013466 A KR20127013466 A KR 20127013466A KR 20120075486 A KR20120075486 A KR 2012007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ating
heater
support member
hea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380B1 (ko
Inventor
도시히코 홈마
마사카즈 후쿠다
기요시 나카자와
마사히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02G1/1241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the cutting element being a stack of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물의 침입에 의한 불편 없이, 피복 제거에 필요한 인장력의 저감을 도모하고, 양호하게 피복 제거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를 제공한다. 피복 제거부(31)로 피복(1b)을 절단하여 가열한 상태에서 광파이버 고정부(13)를 피복 제거기 본체(12)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글래스 파이버(1a)를 피복(1b)으로부터 인발하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에 있어서, 피복 제거부(31)는 히터(42)를 탑재한 히터 지지 부재(43)를 구비하고, 히터 지지 부재(43)는 하우징(12a)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51)에 수용되며, 수용 오목부(51)와 히터 지지 부재(43)의 사이에는 단열 공간부(55)가 형성되고, 히터 지지 부재(43)의 측면과 수용 오목부(51)의 측벽(51b)의 내면이, 히터 지지 부재(43)에 형성된 측방 리브(61)를 거쳐서 접촉되며 단열 공간부(55)가 봉쇄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고속 데이터 통신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각 가정까지 광파이버를 부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의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광 접속용의 광커넥터가 취급되는 것이 전망되고 있다. 예컨대, 집안에서 광통신 기기에 접속된 광파이버의 피복부를 제거하고 광커넥터를 장착하여, 광 접속용의 어댑터에 광커넥터를 꽂음으로써, 가정내의 광통신 기기를 FTTH의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08836 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7738 호 공보(특허문헌 2)는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는, 수지에 의해 피복된 단심 또는 복수심의 광파이버 심선의 단부를 히터를 갖는 제거기 본체로 협지하는 동시에, 그 광파이버 심선 단부의 피복을 히터로 가열하면서 절단하여 빼낸다.
그런데, 상기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서는, 피복의 가열 온도가 저하하면 피복 제거에 큰 인장력이 필요하여, 광파이버 심선의 파손이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인장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소비 전력도 많게 할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의 구동 시간이 단시간이 되어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0883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37738 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침입에 의한 불편 없이, 양호하게 광파이버 심선의 파단이나 손상을 초래하지 않으며 적은 소비 전력량으로 피복 제거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복 제거기 본체와, 피복 제거기 본체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광파이버 고정부를 구비하고, 피복 제거기 본체는, 피복 제거부를 갖는 하우징과, 피복 제거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어 있는 히터 지지 부재와, 히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히터와, 피복 제거부에 장착되어 있는 절단날을 포함하고, 광파이버 고정부에 보지된 광파이버 심선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복을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광파이버 심선의 단부를 히터에 의해 가열한 상태에서 광파이버 고정부를 피복 제거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의 글래스 파이버를 피복으로부터 인발하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가 제공된다. 이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는, 수용 오목부와 히터 지지 부재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히터 지지 부재의 측면과 수용 오목부의 내면은 히터 지지 부재 또는 수용 오목부에 형성된 리브를 거쳐서 접촉되어 공간부를 봉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 하우징은,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기판 수납부와, 피복 제거부와 기판 수납부 사이의 격벽을 갖고, 히터 지지 부재의 일부가 격벽에 지지되며, 히터 지지 부재는, 격벽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격벽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갖고, 피복 제거부와 기판 수납부가 격벽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수용 오목부의 저부에는 벽부가 입설되고, 히터 지지 부재는 벽부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부는 벽부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고, 벽부에 의해 분할된 한쪽의 공간부에는 히터로 연결되는 배선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의하면, 히터에 통전하고 나서 광파이버 심선의 피복 제거에 최적인 온도로 온도 상승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전력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피복의 제거에 필요한 인장력을 저감시켜 광파이버 심선의 파손이나 손상 없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피복의 제거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작업이 가능해져서, 작업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를 옥외에서 이용한 경우라도, 히터 지지 부재와 수용 오목부 사이의 공간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물의 침입에 의한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의 홀더 가압 덮개와 광파이버 가압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광파이버 심선을 보지한 파이버 홀더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기 본체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기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기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기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11은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4에 있어서의 B-B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확대 부분도,
도 14는 피복 제거부의 후단측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피복 제거부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을 도시한다. 도면 중의 치수의 비율은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와,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일단측에 연결된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광파이버 고정부)(13)를 갖고 있다. 피복 제거기 본체(12)는,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가 연결된 일단측에 피복 제거부(31)를 갖고, 그 타단측에 전원부(75)를 갖고 있다. 피복 제거부(31)에는 그 상부에 광파이버 가압 덮개(32)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에는 그 상부에 홀더 가압 덮개(22)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의 홀더 가압 덮개(22)와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에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라이드 샤프트(14)가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드 샤프트(14)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슬라이딩 구멍(15)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를 피복 제거기 본체(1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을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의 전방으로 칭하기로 한다.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의 홀더 가압 덮개(22)를 개방하여 노출한 개소의 상면에는 홀더 탑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 제거부(31)에 있어서의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개방하여 노출한 개소의 상부 전면 및 광파이버 가압 덮개(32)의 전면에는 절단날(34A, 34B)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복 제거부(31)는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를 갖고 있다.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는 판 형상의 히터(42)와, 히터(42)를 탑재한 히터 지지 부재(43)를 갖고 있다. 또한, 피복 제거부(31)에는 광파이버 가압 덮개(32)의 개폐로 스위치가 ON/OFF 되는 히터 통전 스위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폐쇄하면, 이 히터 통전 스위치가 ON이 되어, 히터(42)에 전력이 공급된다.
전원부(75)에는, 히터 통전 확인 LED, 온도 표시 LED 등의 각종 표시용 LED 및 전원 스위치, 온도 조정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를 갖는 조작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78)의 주위에는, 히터(42)로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77)(도 5)을 덮고, 착탈 가능한 덮개체(76)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부(75)에는 내부 전원으로서 4 ~ 8개의 1.2 ~ 1.5볼트 전지가 수용 가능하다.
도 3은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에 광파이버 심선(1)을 보지한 파이버 홀더(2)를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광파이버 심선(1)은 글래스 파이버(1a)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1b)으로 덮은 것이다. 광파이버 심선(1)의 단부 근방이 광파이버 홀더(2)에 의해 보지되고, 광파이버 홀더(2)는 홀더 탑재부(21)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광파이버 홀더(2)를 홀더 탑재부(21)에 탑재한 상태에서, 홀더 가압 덮개(22)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광파이버 홀더(2)가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에 보지된다. 또한, 피복 제거부(31)에 대하여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폐쇄함으로써, 절단날(34A, 34B)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1b)만이 절단된다. 광파이버 심선(1)의 파이버 홀더(2)에 대한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 제거 대상 부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75)에는 전원 코드(81)를 삽입 및 분리 가능하며, 전원 코드(81)를 꽂는 것에 의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도 4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에서의 사시도이다.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는, 피복 제거기 본체(12)를 구성하는 하우징(12a)에 있어서의 피복 제거부(31)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51)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전원부(75)의 덮개체(76)의 하측에는 기판 수납부(74)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판 수납부(74)에는 히터(42)로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77)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전원부(75)의 피복 제거부(31)측에는 히터(42)에 연결되는 배선(42a)을 수납 가능한 배선 수납 오목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부(75)에서는, 덮개체(76)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77) 및 배선 수납 오목부(79)가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를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은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히터 지지 부재(43)의 상면에는, 좌우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홈(44)(도 4 및 도 5)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홈(44)에 히터(42)가 수납되어 있다. 수납홈(44)의 양측부에는 고정 부재(45)가 나사(46)에 의해 나사 고정되고, 고정 부재(45)에 의해 히터(42)가 히터 지지 부재(4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의 하면에는,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 평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결합 리브(47, 48)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히터 지지 부재(43)의 좌우 폭방향의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 리브(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는, 그 후단부가 접촉부(71)로서 형성되고, 접촉부(71)의 하방측에는 함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의 후단에는, 양측부에 단차부(66a)를 갖는 결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피복 제거기 본체(12)를 구성하는 하우징(12a)을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동일하게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우징(12a)의 평면도이다. 수용 오목부(51)는, 그 저부(51a)에,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벽(벽부)(52) 및 한쌍의 종벽(벽부)(53)이 입설되어 있다. 종벽(52)은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종벽(53)은 종벽(52)보다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종벽(52)은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고, 종벽(53)은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폭방향 중앙을 개재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종벽(52)과 종벽(53) 사이에는 종벽(52) 및 종벽(53)의 단부에 연결된 횡벽(벽부)(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 제거기 본체(12)에는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의 후단측에 한쌍의 격벽(65)이 입설되어 있다. 격벽(65)에는 그 상단에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단차부(65a, 6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51)에는 종벽(52)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 각각 결합 오목부(59, 6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오목부(51)에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를 수용시키면, 히터 지지 부재(43)의 결합 리브(47)가 결합 오목부(59)에 결합되고, 히터 지지 부재(43)의 결합 리브(48)가 결합 오목부(6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는 피복 제거기 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11은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는 종벽(52, 53) 및 횡벽(54)의 상단에 탑재된 상태로 수용 오목부(51)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히터 지지 부재(43)와 하우징(12a) 사이에는 단열 공간부(공간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벽(53) 및 횡벽(5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부는 배선 공간부(공간부)(56)로서 형성되어 있고, 배선 공간부(56)에는 히터(42)에 연결되는 배선(42a)(도 4, 도 5)을 수용 가능하다. 그리고, 단열 공간부(55)와 배선 공간부(56)는 종벽(53) 및 횡벽(54)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51)에는 종벽(52)의 양측부에 암나사부(57)가 형성되어 있고(도 8, 도 9, 도 10), 암나사부(57)에 나사(58)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히터 지지 부재(43)가 하우징(12a)에 고정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의 확대 부분도이다. 히터 지지 부재(43)는, 수용 오목부(51) 내에 수용된 상태로, 그 양측면에 형성된 측방 리브(61)의 선단이, 하우징(12a)의 수용 오목부(51)를 형성하는 측벽(51b)의 내면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단열 공간부(55) 및 배선 공간부(56)가 봉쇄되는 동시에, 히터 지지 부재(43)의 위치 결정을 도모하고 있다. 측방 리브(61)는 히터 지지 부재(43)의 측면의 두께보다 극히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하우징(12a)에의 히터 지지 부재(43)의 접촉 면적이 극히 작게 되어 있다.
도 14는 피복 제거부의 후단측의 확대 사시도이다. 히터 지지 부재(43)의 결합부(66)의 저부가 격벽(65)의 단차부(65a)에 탑재되고, 또한, 결합부(66)의 단차부(66a)가 격벽(65)의 단차부(65b)에 탑재되며, 이에 의해, 히터 지지 부재(43)의 후단측이 격벽(65)에 지지되어 있다. 히터 지지 부재(43)의 접촉부(71)가 각각의 격벽(65)에 접촉함으로써 히터 지지 부재(43)가 격벽(65)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히터 지지 부재(43)의 함몰부(72)의 형성 개소에서는 히터 지지 부재(43)와 격벽(6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 제거기 본체(12)는 피복 제거부(31)와 배선 수납 오목부(79)를 포함하는 기판 수납부(74)가 격벽(65)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만일 피복 제거부(31) 근방으로부터 수분이 침입했을 때에도 기판 및 전원부에 직접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 수납 오목부(79)가 액체 저류부의 역할도 수행함으로써, 기판 및 전원부로의 수분의 직접 침입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배선 수납 오목부(79)의 저부 근방에 물기 제거용의 구멍을 마련하는 동시에, 이 구멍에 외부로부터의 역류 방지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내부에 침입한 수분을 용이하게 외부로 제거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에,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의 단부의 피복(1b)을 제거하고, 글래스 파이버(1a)를 노출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광파이버 가압 덮개(32) 및 홀더 가압 덮개(22)를 개방하고, 홀더 탑재부(21)에, 광파이버 심선(1)을 장착한 광파이버 홀더(2)를 세트한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의 선단측은 히터(42) 상에 배치된다.
다음에, 홀더 가압 덮개(22)를 폐쇄하는 동시에,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폐쇄한다. 그러면, 2매의 절단날(34A, 34B)에 의해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1b)만이 절단되는 동시에,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폐쇄한 것에 의해 히터 통전 스위치가 ON이 되어, 히터(42)가 통전된다. 그리고, 히터(42) 상에 탑재된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 제거 대상 부분의 피복(1b)이 히터(42)에 의해 고속 승온되어 연화한다.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1b)이 피복 제거 최적 온도에 도달한 것을 조작부(78)의 표시용 LED에 의해 확인하면, 피복 제거기 본체(12)와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를 각각 파지하고, 광파이버 홀더 고정부(13)를 피복 제거기 본체(12)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이 하면, 2매의 절단날(34A, 34B)에 의한 절단 개소보다 선단측에서 가열되어 연화한 피복(1b)만이 제거되고, 광파이버 심선(1)의 단부에서 글래스 파이버(1a)가 노출된다. 피복 제거 작업이 종료한 시점에서, 광파이버 가압 덮개(32)를 개방하면, 히터 통전 스위치가 OFF가 되고, 히터(42)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대기시에 있어서의 히터(42)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방지된다.
도 15는 히터(42)에 통전하여 발열시켰을 때의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의 폭방향의 온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는, 히터 지지 부재(43)가 측방 리브(61)를 거쳐서 하우징(12a)에 접촉하여 접촉 면적이 작아져 있으며, 또한, 하우징(12a)과 히터 지지 부재(43) 사이에 단열 공간부(55) 및 배선 공간부(56)가 형성되어 단열층이 되어 있으므로, 히터(42)의 열이 하우징(12a)측으로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히터 지지 부재(43)[폭(W2)]로부터 하우징(12a)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되고, 도 15 중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42)의 폭방향 전역[폭(W1)]이 고온이 된다. 이에 의해, 히터(42) 상에 탑재된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 제거 대상 부분을 지극히 신속하고 양호하게 승온시켜서 연화시킬 수 있어서, 원활하고 양호하게 광파이버 심선(1)의 단부에서 피복(1b)을 원활히 제거하여, 글래스 파이버(1a)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하우징(12a)과 히터 지지 부재(43)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지 않고,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의 양측면에 측방 리브(61)를 형성하지 않은 구조이면, 히터 지지 부재(43)의 양측면을 하우징(12a)에 있어서의 수용 오목부(51)의 측벽(51b)의 내면에 크게 접촉시켜서 히터(42)의 열이 히터 지지 부재(43)를 거쳐서 하우징(12a)측으로 전달되어 버린다. 그와 같은 구조이면, 광파이버 심선 가열부(41)는, 도 15 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42)의 폭방향 중심부만이 고온이 되고, 그 주위는 온도가 저하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히터(42) 상에 탑재된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 제거 대상 부분을 충분히 승온시키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소비 전력이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에 의하면, 히터(42)의 열의 하우징(12a)으로의 전달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42)에 통전하고 나서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1b)을 제거하기 위해서 최적인 온도로 승온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전력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피복(1b)의 제거에 필요한 인장력을 저감시켜서 광파이버 심선(1)의 파손이나 손상 없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피복(1b)의 제거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작업이 가능해져서, 작업 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방 리브(61)를 거쳐서 하우징(12a)의 수용 오목부(51)의 측벽(51b)에 접촉되고 단열 공간부(55) 및 배선 공간부(56)가 봉쇄되어 외부와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를 옥외에서 이용했을 경우라도, 단열 공간부(55) 및 배선 공간부(56)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물의 침입에 의한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의 격벽(65)에 있어서의 지지 개소에서는 히터 지지 부재(43)의 접촉부(71)만이 격벽(65)과 접촉하고, 접촉부(71)의 하방측의 함몰부(72)에서는 격벽(65)에 대하여 간극이 형성되므로, 격벽(65)에 있어서의 지지 개소로부터 하우징(12a)으로의 열의 전달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피복 제거부(31)와 기판 수납부(74)가 격벽(65)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피복 제거부(31)측으로부터 회로 기판(77)이 수납된 기판 수납부(74)측으로의 물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서, 회로 기판(77)에 물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불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지지 부재(43)는 하우징(12a)의 수용 오목부(51)의 저부(51a)에 입설된 종벽(52, 53) 및 횡벽(54) 상에 지지된 구조이므로, 히터 지지 부재(43)의 하방측으로부터 하우징(12a)으로의 열의 전달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벽(52) 및 횡벽(54)에 의해 히터 지지 부재(43)의 하부측이, 서로 액밀적으로 구획된 단열 공간부(55)와 배선 공간부(56)로 되고, 배선 공간부(56)에 히터(43)로 연결되는 배선(42a)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만일 단열 공간부(55) 내에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배선(42a)이 수용된 배선 공간부(56)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히터(42)로 연결되는 배선(42a)에 물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불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방 리브(61)는 히터 지지 부재(43)측이 아닌, 수용 오목부(51)의 측벽(51b)의 내면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심의 광파이버 심선(1)의 피복(1b)을 제거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11)는, 병렬로 배열되어 일체화된 복수심의 광파이버 심선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피복 제거기 본체와, 상기 피복 제거기 본체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광파이버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복 제거기 본체는 피복 제거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피복 제거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에 수납되어 있는 히터 지지 부재와, 상기 히터 지지 부재에 탑재되어 있는 히터와, 상기 피복 제거부에 장착되어 있는 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광파이버 고정부에 보지된 광파이버 심선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복을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광파이버 심선의 단부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광파이버 고정부를 상기 피복 제거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광파이버 심선의 글래스 파이버를 상기 피복으로부터 인발하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와 상기 히터 지지 부재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 지지 부재의 측면과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면은 상기 히터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수용 오목부에 형성된 리브를 거쳐서 접촉되어 상기 공간부를 봉쇄하고 있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기판 수납부와, 상기 피복 제거부와 상기 기판 수납부 사이의 격벽을 갖고,
    상기 히터 지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격벽에 지지되며, 상기 히터 지지 부재는 상기 격벽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격벽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갖고, 상기 피복 제거부와 상기 기판 수납부가 상기 격벽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저부에는 벽부가 입설되고, 상기 히터 지지 부재는 상기 벽부 상에 지지되어 있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벽부에 의해 액밀적으로 구획되고, 상기 벽부에 의해 분할된 한쪽의 공간부에는 상기 히터로 연결되는 배선이 수용되는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KR1020127013466A 2009-11-25 2010-11-22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KR101386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7928A JP5166391B2 (ja) 2009-11-25 2009-11-25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
JPJP-P-2009-267928 2009-11-25
PCT/JP2010/070757 WO2011065314A1 (ja) 2009-11-25 2010-11-22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486A true KR20120075486A (ko) 2012-07-06
KR101386380B1 KR101386380B1 (ko) 2014-04-16

Family

ID=4406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466A KR101386380B1 (ko) 2009-11-25 2010-11-22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75196B2 (ko)
EP (1) EP2506043A4 (ko)
JP (1) JP5166391B2 (ko)
KR (1) KR101386380B1 (ko)
CN (1) CN102667552B (ko)
AU (1) AU2010323659B2 (ko)
CA (1) CA2781768C (ko)
HK (1) HK1173502A1 (ko)
MY (1) MY159712A (ko)
RU (1) RU2541372C9 (ko)
WO (1) WO20110653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6730B2 (en) 2017-02-14 2020-10-27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external devic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system,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5840A (ja) * 2012-03-21 2013-09-30 Asahi Glass Co Ltd 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方法
WO2014019280A1 (zh) * 2012-08-03 2014-02-06 大豪信息技术(威海)有限公司 热熔连接器剥刀工具
USD745905S1 (en) * 2013-10-11 2015-12-22 Dh Infotech (Weihai) Inc. Fiber thermal stripping device
WO2016053502A1 (en) * 2014-10-02 2016-04-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USD814897S1 (en) * 2016-02-04 2018-04-10 Knipex-Werk C. Gustav Putsch Kg Stripper tool
CN105629382A (zh) * 2016-02-17 2016-06-01 东莞市翔通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剥纤机及剥纤方法
USD796926S1 (en) * 2016-03-31 2017-09-12 Inno Instrument (China) Inc. Ribbon fiber optic thermal stripper
US11600972B2 (en) * 2021-01-15 2023-03-07 Raytheon Company Embedded wire removal tool
CN117872547B (zh) * 2024-03-13 2024-05-10 深圳市华电晨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式智能高密度光纤配线单元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1359B2 (ja) * 1989-04-20 1999-09-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被覆除去装置
JPH075327A (ja) * 1993-06-15 1995-01-10 Fujikura Ltd テープファイバの被覆除去装置
SE515551C2 (sv) * 1995-09-27 2001-08-27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för att skala en kabel samt verktyg för avlägsnande av skyddshölje på kablar
JPH09113733A (ja) * 1995-10-20 1997-05-02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用の電源供給構造、および被覆除去装置の使用方法
US6023996A (en) * 1997-10-23 2000-02-15 Amherst International, Inc. Optical fiber preparation unit
JP3844592B2 (ja) 1998-04-03 2006-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装置
JPH11337738A (ja) * 1998-05-27 1999-12-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
JP2000019331A (ja) 1998-06-26 2000-01-2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
SE513172C2 (sv) * 1998-07-03 2000-07-24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avlägsna polymerbeläggning från en optisk fiber
JP2001108836A (ja) * 1999-10-12 2001-04-20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心線被覆除去器
JP2002328241A (ja) * 2001-04-26 2002-11-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TW561657B (en) * 2002-04-19 2003-11-11 Ritek Corp Device for peeling cladding layer of fiber ribbon
CN100403072C (zh) 2004-03-15 2008-07-1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纤维切割器
WO2005088370A1 (ja) * 2004-03-15 2005-09-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6730B2 (en) 2017-02-14 2020-10-27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external devic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system,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6043A1 (en) 2012-10-03
WO2011065314A1 (ja) 2011-06-03
CA2781768C (en) 2017-09-12
CN102667552B (zh) 2014-03-12
EP2506043A4 (en) 2018-02-28
JP2011112791A (ja) 2011-06-09
RU2012126069A (ru) 2013-12-27
HK1173502A1 (en) 2013-05-16
US9075196B2 (en) 2015-07-07
KR101386380B1 (ko) 2014-04-16
AU2010323659B2 (en) 2013-12-12
CN102667552A (zh) 2012-09-12
RU2541372C2 (ru) 2015-02-10
US20120279359A1 (en) 2012-11-08
AU2010323659A1 (en) 2012-06-07
JP5166391B2 (ja) 2013-03-21
MY159712A (en) 2017-01-13
RU2541372C9 (ru) 2015-06-10
CA2781768A1 (en)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380B1 (ko) 광파이버 피복 제거기
AU732545B2 (en) Optical fiber ribbon fusion splicing apparatus
TWI467873B (zh) 光纖用被覆除去器及被覆除去方法
WO2008088036A1 (ja) アウトレット装置
JP2018523172A (ja) 自動ファイバストリップ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95840A (ja) 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被覆材除去方法
KR101068521B1 (ko) 케이블러그 탈피용 커팅다이스
CN101814674B (zh) 线缆连接器组件
EP3338118B1 (en) Automatic fib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213366932U (zh) 一种便于汽车发动机舱线束接头连接的对接机构
JP2005227330A (ja) 光コネクタ保持器
CN111452895B (zh) 一种电池组件及具有该电池组件的助力车
CN205027933U (zh) 光纤处理设备
CN216816999U (zh) 一种新型热剥机
JP2009008960A (ja) 光クロージャ
CN202600222U (zh) 单芯光纤集成带状光纤的排纤装置
CN214750923U (zh) 一种新型光缆热剥钳
WO2018225679A1 (ja)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およ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方法
KR200314261Y1 (ko) 광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JPH09113733A (ja)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装置用の電源供給構造、および被覆除去装置の使用方法
KR100993804B1 (ko)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JP2006317877A (ja) 光接続部材および光接続部材の製造方法
JP2006138888A (ja) 光ドロップ・インドアケーブルホルダー、光接続箱、及び光ケーブルクロージャ
KR20140050954A (ko) 손잡이와 절전 스위치가 구비된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