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804B1 -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804B1
KR100993804B1 KR1020080053216A KR20080053216A KR100993804B1 KR 100993804 B1 KR100993804 B1 KR 100993804B1 KR 1020080053216 A KR1020080053216 A KR 1020080053216A KR 20080053216 A KR20080053216 A KR 20080053216A KR 100993804 B1 KR100993804 B1 KR 10099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harness
power line
male
inse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878A (ko
Inventor
박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8005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주전원선 가닥수만큼 형성되어 해당되는 주전원선을 연결하는 암터미널부재, 이 암터미널부재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해당되는 암터미널부재에 접속되고 분기전원선을 연결하는 수터미널부재, 이 수터미널부재를 암터미널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결합부 및 이 수터미널부재를 암터미널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발명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을 위해 별도의 피복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고,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 고정을 위해 별도의 여유길이가 필요치 않게 된다.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결합, 분리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WIRE HARNESS JOINT TERMINAL}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발명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을 위해 별도의 피복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고,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 고정을 위해 별도의 여유길이가 필요치 않게 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선은 주전원에 연결되어져 있는 전기, 전자부품(1개 또는 2개 이상)을 동시에 작동시킴과 동시에, 운전자가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장치 등에도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주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2~3곳의 다른 위치에 있는 부품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전원선에 2~3개의 분기선을 연결해야만 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는 주전원선의 일정부분을 스트립하여, 1~2개의 분기선을 접합터미널로 처리한 후 방수용 열수축 튜브로 방수처리를 하는 방식이다.
상기 접합터미널에 의한 연결구조에 의하면, 주전원선의 일정구간을 중간 스트립 전용기를 이용하여 절연피복을 벗겨낸 다음, 분기선과의 연결을 접합터미널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압착한 후 방수용 열수축 튜브로 방수 처리한다.
기존의 전선 연결구조는 접속하기 위해 불필요한 여유길이를 필요로 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전선 연결구조는 접합터미널의 크기에 따라 전선의 굵기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전선 연결구조는 서로 접속된 전선을 쉽게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발명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을 위해 별도의 피복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고,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 고정을 위해 별도의 여유길이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은: 주전원선 가닥수만큼 형성되어 해당되는 주전원선을 연결하는 암터미널부재, 이 암터미널부재의 개수만큼 형 성되어 해당되는 암터미널부재에 접속되고 분기전원선을 연결하는 수터미널부재, 이 수터미널부재를 암터미널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결합부 및 이 수터미널부재를 암터미널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터미널부재는 분기전원선을 안착하기 위한 수베이스부, 안착된 상기 분기전원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수바렐부 및 상기 수베이스부의 전측에 연장된 삽입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터미널부재는 주전원선을 안착하기 위한 암베이스부, 안착된 상기 주전원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암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암바렐부 및 상기 암베이스부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통전을 위해 상기 삽입돌부를 수용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삽입돌부를 결합하며 상기 분리부에 의해 상기 삽입돌부와 분리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하우징의 하측 테두리에서 내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된 절곡부재, 상기 절곡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 상기 삽입돌부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재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삽입돌부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탄성부재 및 상기 삽입돌부의 상측에 탄성적으로 상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 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삽입돌부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리부의 조작시 상기 걸림턱과 분리되는 상부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외부 연통되게 형성된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상기 상부탄성부재를 눌러 상기 걸림턱과 분리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절곡부재를 눌러 상기 하부탄성부재를 상기 함몰부재로부터 이탈 유도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은 종래발명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을 위해 별도의 피복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을 위해 별도의 여유길이가 필요치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압착하기 때문에 굵기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결합 및 분해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적층 연결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은 암터미널부재(110), 수터미널부재(120), 결합부(200) 및 분리부(300)를 포함한다.
암터미널부재(110)는 주전원선(10)을 접속하고, 수터미널부재(120)는 분기전원선(20)을 접속하며, 암터미널부재(110)와 수터미널부재(120)는 상호 연결됨으로써 주전원선(10)의 신호가 분기전원선(20)으로 전달된다. 물론, 수터미널부재(120)가 주전원선(10)을 접속함과 동시에 암터미널부재(110)가 분기전원선(20)을 접속할 수도 있다. 특히, 암터미널부재(110)는 주전원선(10)의 가닥수만큼 형성되어 각각 주전원선(10)을 하나씩 연결하고, 수터미널부재(120)는 분기전원선(20)의 가닥수만큼 형성되어 각각 분기전원선(20)을 하나씩 연결한다.
이때, 암터미널부재(110)는 암베이스부(112), 암바렐부(114) 및 하우징(1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암터미널부재(110)는 전체적으로 도체로 이루어져 전원이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암베이스부(112)는 주전원선(10) 특히, 주전원선(10)의 도선(12)을 안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암베이스부(112)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바렐부(114)는 암베이스부(11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어 암베이스부(112)에 안착된 주전원선(10) 특히 도선(12)을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암바렐부(114)는 암베이스부(112)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주전원선(10)의 도선(12)을 양측에서 각각 눌러 압착함으로써 주전원선(10)을 견고히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암바렐부(114)는 암베이스부(112)의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씩 구비된 것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116)은 암베이스부(112)의 전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을 개방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전을 위해 수터미널부재(120)의 삽입돌부(126)를 수용한다. 이때, 암베이스부(112)의 전측은 암바렐부(114)를 형성한 암베이스부(112)의 후측과 반대되는 부위를 말한다. 하우징(116)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수터미널부재(120)는 수베이스부(122), 수바렐부(124) 및 삽입돌부(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터미널부재(120)는 전체적으로 도체로 이루어져 전원이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수베이스부(122)는 분기전원선(20) 특히, 분기전원선(20)의 도선(22)을 안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수베이스부(122)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바렐부(124)는 수베이스부(12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어 수베 이스부(122)에 안착된 분기전원선(20) 특히 도선(22)을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바렐부(124)는 수베이스부(122)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분기전원선(20)의 도선(22)을 양측에서 각각 눌러 압착함으로써 분기전원선(20)을 견고히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수바렐부(124)는 수베이스부(122)의 양측 가장자리에 한 쌍씩 구비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삽입돌부(126)는 암터미널부재(110)의 하우징(116)에 삽입되어 통전 유도함으로써 주전원선(10)과 분기전원선(20)을 잇는 역할을 한다.
삽입돌부(126)는 하우징(116)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수터미널부재(120)의 삽입돌부(126)가 암터미널부재(110)의 하우징(116)에 삽입되어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삽입돌부(126)는 결합부(200)에 의해 하우징(11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결합부(200)는 절곡부재(210), 함몰부재(220), 걸림턱(230), 하부탄성부재(240) 및 상부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절곡부재(210)는 하우징(116)의 하측 테두리에서 하우징(116)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력을 지닌다. 특히, 절곡부재(210)는 삽입돌부(126)를 삽입하는 하우징(116)의 전측 테두리 중 하측에 형성되어 삽입돌부(126)의 하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몰부재(220)는 절곡부재(210)에서 하우징(116)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턱(230)은 하우징(116)의 상측 내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부재(210)는 하우징(116)의 내부 바닥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30)은 하우징(116)의 내부 천장측에 형성된다.
또한, 하부탄성부재(240)는 삽입돌부(126)의 하측에서 하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이때, 하부탄성부재(240)는 하우징(116)에 삽입되는 삽입돌부(126)의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삽입돌부(126)가 하우징(116)에 삽입시, 하부탄성부재(240)는 절곡부재(210)의 함몰부재(220)에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특히, 삽입돌부(126)는 바닥면을 절개하여 하측절개홈부(242)를 형성하고, 하부탄성부재(240)는 하우징(116)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하측절개홈부(242)의 전방 내측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탄성부재(240)가 함몰홈부재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수용됨으로써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부탄성부재(250)는 삽입돌부(126)의 상측에서 상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이때, 상부탄성부재(250)는 하우징(116)에 삽입되는 삽입돌부(126)의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상향 기울어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삽입돌부(126)가 하우징(116)에 삽입시, 상부탄성부재(25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턱(23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삽입돌부(126)는 상측면을 절개하여 상측절개홈부(252)를 형성하고, 상부탄성부재(250)는 하우징(116)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상측절개홈부(252)의 전방 내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탄성부재(250) 가 걸림턱(230)에 탄성 복원력으로 걸림으로써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적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 상세히, 도 4에서처럼, 사용자가 삽입돌부(126)를 하우징(116) 내부로 서서히 삽입하면, 삽입돌부(126)의 하부탄성부재(240)는 절곡부재(210) 상측을 지나면서 삽입돌부(126) 방향으로 눌려짐과 동시에 상부탄성부재(250)는 걸림턱(230)의 높이만큼 삽입돌부(126) 방향으로 눌려진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 5에서처럼, 삽입돌부(126)의 하부탄성부재(240)가 함몰부재(220) 상부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함몰부재(220)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부탄성부재(250)가 걸림턱(230)을 통과하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턱(230)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삽입돌부(126)가 하우징(116)에 완전히 결합되어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하우징(116)에 삽입된 삽입돌부(126)는 용이하게 빠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분기전원선(20)을 접속할 경우 수터미널부재(120)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삽입돌부(126)는 분리부(300)에 의해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분리부(300)는 삽입홀부(310) 및 누름부재(320)를 포함한다.
삽입홀부(310)는 하우징(116)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외부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누름부재(320)는 삽입홀부(310)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상부탄성부재(250)를 눌러 걸림턱(230)과 분리 유도하거나 또는 절곡부재(210)를 눌러 하부탄성부재(240)를 함몰부재(220)로부터 이탈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삽입홀부(310)와 누름부재(320)는 하우징(116)의 상·하측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나, 하우징(116)의 하측 및 하우징(116)의 상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서처럼, 사용자가 하우징(116)의 상측에 형성된 누름부재(320)를 누르게 되면, 누름부재(320)는 삽입홀부(310)를 통해 상부탄성부재(250)를 누르게 되고, 이 상부탄성부재(250)는 눌려지면서 걸림턱(230)의 하측으로 위치함으로써 외부 당김력 작용시 하우징(116)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하우징(116)의 하측에 형성된 누름부재(320)를 누르게 되면, 누름부재(320)는 삽입홀부(310)를 통해 절곡부재(210)를 하우징(116)의 내부 방향으로 누르게 되고, 이 절곡부재(210)는 들려지면서 함몰부재(220)에 수용된 하부탄성부재(240)를 하우징(116)의 외부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외부 당김력 작용시 쉽게 하우징(116)의 외부로 이탈 가능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누름부재(320)가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116)의 어느 일측 내부에 송곳 같은 툴(tool,330)을 삽입하여 해당되는 하부탄성부재(240)를 함몰부재(22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또는 상부탄성부재(250)를 걸림턱(230)으로부터 이탈 하여 해당되는 하부탄성부재(240) 또는 상부탄성부재(250)를 하우징(116)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7에서처럼, 하우징(116)은 수직방향으로 적층 형성 가능하다.
즉,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116)의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홀부(310)에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116)의 상측면에 형성된 누름부재(320)를 삽입한다. 이때, 누름부재(320)는 상부의 하우징(116)의 내부 바닥면과 절곡부재(21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결합 및 분해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의 적층 연결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암터미널부재 120: 수터미널부재
200: 결합부 210: 절곡부재
220: 함몰부재 230: 걸림턱
240: 하부탄성부재 250: 상부탄성부재
300: 분리부 310: 삽입홀부
320: 누름부재

Claims (7)

  1. 주전원선 가닥수만큼 형성되어 해당되는 주전원선을 연결하는 암터미널부재;
    상기 암터미널부재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해당되는 상기 암터미널부재에 접속되고, 분기전원선을 연결하는 수터미널부재;
    상기 수터미널부재를 상기 암터미널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수터미널부재를 상기 암터미널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터미널부재는, 상기 분기전원선을 안착하기 위한 수베이스부; 및
    상기 수베이스부의 전측에 연장된 삽입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터미널부재는, 상기 주전원선을 안착하기 위한 암베이스부; 및
    상기 암베이스부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통전을 위해 상기 삽입돌부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 테두리에서 내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된 절곡부재;
    상기 절곡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 및
    상기 삽입돌부의 하측에 탄성적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재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삽입돌부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수터미널부재를 강제로 밀어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외부 연통되게 형성된 삽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터미널부재는, 안착된 상기 분기전원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수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터미널부재는, 안착된 상기 주전원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암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암바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 및
    상기 삽입돌부의 상측에 탄성적으로 상향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 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삽입돌부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분리부의 조작시 상기 걸림턱과 분리되는 상부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부는 바닥면을 절개하여 하측절개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하측절개홈부의 전방 내측면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부는 상측면을 절개하여 상측절개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상측절개홈부의 전방 내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삽입홀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외부 누름시 상기 상부탄성부재를 눌러 상기 걸림턱과 분리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절곡부재를 눌러 상기 하부탄성부재를 상기 함몰부재로부터 이탈 유도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삽입홀부를 통해 하측에 접한 하우징의 누름부재를 바닥면과 상기 절곡부재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다층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KR1020080053216A 2008-06-05 2008-06-05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KR10099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16A KR100993804B1 (ko) 2008-06-05 2008-06-05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16A KR100993804B1 (ko) 2008-06-05 2008-06-05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878A KR20090126878A (ko) 2009-12-09
KR100993804B1 true KR100993804B1 (ko) 2010-11-12

Family

ID=4168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216A KR100993804B1 (ko) 2008-06-05 2008-06-05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878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US7530839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685949A (zh) 用于扁平导体的电连接装置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JP2006236854A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
US7244139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87862A1 (en) Quick wire connect angle plug
CN102801008B (zh) 线缆连接器
KR20100083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KR100993804B1 (ko) 와이어 하네스 조인트 터미널
KR101068521B1 (ko) 케이블러그 탈피용 커팅다이스
KR10106339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100993805B1 (ko)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JP2008091115A (ja)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構造の製造方法
CN107346844B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WO2010119905A1 (ja) コネクタ
JP4606743B2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コネクタ、ならびに電線付きコネクタの製造方法
EP2755281A1 (en) Connector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90128283A (ko) 커넥터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JP2000134767A (ja) 分岐接続器及び分岐接続器の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