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600A -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600A
KR20100083600A KR1020090003065A KR20090003065A KR20100083600A KR 20100083600 A KR20100083600 A KR 20100083600A KR 1020090003065 A KR1020090003065 A KR 1020090003065A KR 20090003065 A KR20090003065 A KR 20090003065A KR 20100083600 A KR20100083600 A KR 2010008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re wire
core
coaxial cab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덕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102009000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600A/ko
Priority to CNU2009201458187U priority patent/CN201360091Y/zh
Priority to TW098203909U priority patent/TWM368218U/zh
Publication of KR2010008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해지고, 조립완료시 동축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속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여 상기 컨택트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컨택트와 절연부재를 고정시키는 외부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10)는, 상부면에 상기 심선(2a)을 얹어서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심선안착부(11)와, 상기 심선(2a)을 끼워서 고정하는 심선파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20)는, 상기 컨택트(10)를 수용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심선안착부(11)에 안착된 심선(2a)을 상측에서 눌러서 심선안착부(11)로 밀착시키는 가압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셀(30)은, 상기 컨택트(10)와 절연부재(20)를 수용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를 파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동축케이블, 커넥터, 컨택트, 절연부재, 외부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L-SHAPED COAXIAL CONNECTO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드에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케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해지고, 조립완료시 동축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접속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PMP,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드에 다른 보드, 각종 소자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구비하고, 연결할 보드, 소자와 동축케이블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보드, 소자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드에 연결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진 컨택트와 외부셀을 서로 절연되도록 하고, 각각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외부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컨택트의 일부 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돌출된 부분을 구부려서 심선이 컨택트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컨택트가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하는 파지력이 약하여, 상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심선이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즉, 컨택트에서 돌출된 부분이 완전하게 구부려지지 않아 컨택트가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하는 파지력이 약해지므로, 상기 동축케이블을 잡아당기면 심선이 상기 컨택트와 쉽게 이탈됨으로써, 동축케이블과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동축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와, 내부에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여 상기 컨택트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컨택트와 절연부재를 고정시키는 외부셀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부면에 상기 심선을 얹어서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심선안착부와, 상기 심선을 끼워서 고정하는 심선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심선안착부에 안착된 심선을 상측에서 눌러서 심선안착부로 밀착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셀은, 상기 컨택트와 절연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를 파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구부려졌을 때, 상기 심선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셀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하단에서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절연부재의 가압부가 눌러서 심선을 컨택트에 밀착시키므로, L형 동축커넥터로부터 동축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컨택트가 직접 심선을 눌러 접속하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컨택트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컨택트를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조립이 간편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외부셀에 절연부재와 컨택트가 삽입된 상태와 동축케이블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1)는, 동축케이블(2)의 심선(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10)와, 상기 컨택트(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컨택트(10)가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20)와, 상기 절연부재(20)를 내부에 수용하고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셀(30)을 포함한다.
컨택트(10)는 동축케이블(2)의 심선(2a)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택트(10)는 심선과 접촉되는 심선안착부(11)와, 상기 심선안착부(11)의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심선의 측면을 지지하는 심선파지부(12)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드에 체결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파지하여 접속되는 접속부(13)가 형성된다.
심선안착부(11)는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서 노출된 심선(2a)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심선안착부(11)에 심선(2a)을 얹어서, 심선안착부(11)의 상부면과 심선(2a)의 측면이 접촉함으로써, 심선(2a)과 컨택트(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심선안착부(11)의 상부면에는 상기 심선안착부(11)와 심선(2a)의 접속이 강화하기 위하여 심선의 측면에 접하도록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심선파지부(12)는 심선(2a)의 측면을 지지하여 심선(2a)이 상기 심선안착부(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심선파지부(12)는 상기 심선안착부(11)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심선안착부(11)의 상방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심선파지부(12)는 심선파지부(12)를 실질적으로 관통하는 심선(2a)의 측면을 상기 심선파지부(12)가 지지함으로써, 동축케이블(2)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13)는 상기 심선안착부(11)의 양측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3)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물어잡아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간격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13)의 하단은 상기 접속부(13)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약간 벌이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택트(10)는 금속판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선안착부(11), 심선파지부(12) 및 접속부(13)는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컨택트(10)는 금속판재를 재질로 하므로, 금속판재를 프레스로 가공하여 제조된다
절연부재(20)는 내부에 상기 컨택트(10)를 수용하여, 컨택트(10)와 외부셀(30)을 서로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부재(20)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22)과, 상기 몸체(21)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압부(23)를 포함하고,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재질로하여 사출성형된다.
몸체(21)는 컨택트(10)와 외부셀(30)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상기 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컨택트(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2)은 몸체(2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22)에 컨택트(10)가 삽입되었을 때, 하부는 상기 컨택트(10)가 리셉터클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컨택트(10)의 심선안착부(11)로 심선(2a)이 위치하도록 한다.
가압부(23)는 상기 몸체(21)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23)는 몸체(21)의 후단, 즉 심선(2a)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특히, 절연부재(20)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23)를 구부려 심선안착부(11)로 밀착시킴으로써, 심선안착부(11)에 놓여진 심선(2a)이 심선안착부(11)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23)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23)가 구부러져서, 상기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로 밀착시킬 때,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압돌기(2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돌기(23a)는 상기 가압부(23)의 단부에 상기 가압부(23)가 구부러졌을 때, 심선(2a)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심선(2a)의 측면과 접촉함과 더불어 상기 심선(2a)의 측면을 눌러 심선압착부(11)에 밀착시킨다.
한편, 상기 몸체(21)의 전방, 즉 가압부(23)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에는 가이드(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24)는 상기 컨택트(10)의 심선파지부(12)의 측면을 지지하여, 컨택트(10)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24)는 상기 몸체(21)로부터 심선(2a)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도 2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심선파지부(12)의 측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b)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4a)이 형성된다.
외부셀(30)은 상기 절연부재(20)의 외측에 위치하고,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가 접지되도록 한다. 외부셀(30)은 상기 절연부재(20)의 측면둘레를 감싸는 하우징(31)과, 상기 절연부재(20)의 몸체(21) 상부를 덮는 커버(32)와, 상기 커 버(32)에서 연장되고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에 접속되는 접지부(33)와, 동축케이블(2)의 피복(2d)을 파지하는 케이블홀더(34)를 포함하고,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하우징(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측면둘레를 감싸고, 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드에 체결된 리셉터클의 접지측에 결속된다. 상기 하우징(31)의 하단은 리셉터클의 접지측을 물어잡을 수 있도록 하단은 내측으로 일시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은 보드에 결합된 리셉터클에 결속시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높이방향(도 2에서 상향방향)으로 절개홈(31a)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31a)에 의해서 L형 동축커넥터(1)가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하우징(31)의 하단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커버(32)는 상기 하우징(31)의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과 커버(32)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외부셀(30)이 구부러져서, 커버(32)가 상기 절연부재(20)의 가압부(23)가 접히도록 한다.
접지부(33)는 상기 커버(32)에 이어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33)는 양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접히게 형성된다. 접지부(33)가 피복(2d)이 제거된 외부도체(2c)를 파지함으로써, 외부셀(30)과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홀더(34)는 상기 접지부(33)에 이어서, 상기 접지부(33)와 마찬가지로 양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다. 케이블홀더(34)는 동 축케이블(2)의 최외곽에 있는 피복(2d)을 파지함으로써, 동축케이블(2)이 L형 동축커넥터(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홀더(34)는 양측방에서 한 쌍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복수개의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L형 동축커넥터(1)에서 동축케이블(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부셀(30)은 도전성의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부(33)가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를 파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컨택트(10), 절연부재(20) 및 외부셀(30)을 결합하고, 동축케이블(2)을 접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셀(30)의 내부에 절연부재(20)를 삽입하고, 절연부재(20)의 내부에는 컨택트(10)를 삽입한다.
상기 컨택트(10)는 절연부재(20) 내부의 수용홈(22)에 위치한다. 수용홈(22)은 절연부재(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홈(22)의 내부에 컨택트(10)가 위치하면 상기 컨택트(10)의 상부면과 하단을 외부로 노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셀(30)에 컨택트(10)와 절연부재(20)가 삽입되도록하고, 절연층(2b)과 피복(2d)이 제거되어 심선(2a)과 외부도체(2c)가 노출된 동축케이블(1)을 안착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셀(30)을 구부려서 절연부재(20)의 가압부(23)가 심선안착부(11)에 놓여진 심선(2a)이 심선안착부(11)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셀(30)의 커버(32), 접지부(33) 및 케이블홀더(34)를 구부리면, 상기 절연부재(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부(23)도 구부려진다. 상기 가압부(23)가 구부려지면, 가압부(23)가 심선(2a)을 컨택트(10)의 심선안착부(11)에 밀착시켜 심선(2a)과 컨택트(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컨택트(10)에는 절연부재(20)의 가압부(23)와 같이 컨택트(10)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심선(2a)이 이탈되지 않도록 심선안착부(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택트(1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벤딩에 의해서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로 누르도록 하는 부재가 있다면, 상기 부재가 구부려질 때 상기 컨택트(10)와의 연결부분은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완전하게 구부려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부재가 완전히 구부려지지 않음으로써,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에 밀착되지 않게하여, 심선(2a)이 축방향으로 당겨지면 심선(2a)이 컨택트(10)에서 이탈되어 심선(2a)과 컨택트(10)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가 완전히 구부려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절연부재(20)가 구부려지는 것도 방해하여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에 충분히 밀착시키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컨택트(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재없이, 절연부재(20)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가압부(23)가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를 누르도록 하면,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에 밀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23)의 선단에는 가압부(23)가 구부려졌을 때, 심선안착부(1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가압돌기(23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심선(2a)을 심선안착부(11)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심선과 컨택트(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심선(2a)이 절연부재(20) 및 컨택트(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에서 외부셀에 절연부재와 컨택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동축케이블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L형 동축커넥터 2 : 동축케이블
2a : 심선 2b : 절연층
2c : 외부도체 2d : 피복
10 : 컨택트 11 : 심선안착부
12 : 심선파지부 12a : 파지홈
12b : 가이드돌기 13 : 접속부
20 : 절연부재 21 : 몸체
22 : 수용홈 23 : 가압부
23a : 가압돌기 24 : 가이드
24a : 가이드홈 30 : 외부셀
31 : 하우징 31a : 절개홈
32 : 커버 33 : 접지부
34 : 케이블홀더

Claims (3)

  1. 동축케이블(2)의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택트(10)와, 내부에 상기 컨택트(10)를 수용하여 상기 컨택트(10)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하며 상기 컨택트와 절연부재(20)를 고정시키는 외부셀(3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10)는, 상부면에 상기 심선(2a)을 얹어서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심선안착부(11)와, 상기 심선(2a)을 끼워서 고정하는 심선파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20)는, 상기 컨택트(10)를 수용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심선안착부(11)에 안착된 심선(2a)을 상측에서 눌러서 심선안착부(11)로 밀착시키는 가압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셀(30)은, 상기 컨택트(10)와 절연부재(20)를 수용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c)를 파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3)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23)가 구부려졌을 때, 상기 심 선(2a)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가압돌기(2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3. 상기 외부셀(30)의 하우징(31)은 상기 하우징(31)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하단에서 방향으로 절개홈(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KR1020090003065A 2009-01-14 2009-01-14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KR2010008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65A KR20100083600A (ko) 2009-01-14 2009-01-14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CNU2009201458187U CN201360091Y (zh) 2009-01-14 2009-03-12 移动通信设备的l型同轴连接器
TW098203909U TWM368218U (en) 2009-01-14 2009-03-13 L-shaped coaxial connector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65A KR20100083600A (ko) 2009-01-14 2009-01-14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00A true KR20100083600A (ko) 2010-07-22

Family

ID=414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065A KR20100083600A (ko) 2009-01-14 2009-01-14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00083600A (ko)
CN (1) CN201360091Y (ko)
TW (1) TWM36821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5921B (zh) * 2010-03-30 2015-08-19 株式会社藤仓 同轴连接器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CN104348005B (zh) * 2013-08-02 2018-09-2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热装置、具有该导热装置的插头,插座及组合
CN104183985A (zh) * 2014-09-05 2014-12-03 江苏东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金属架的连接器
CN110768037A (zh) * 2018-07-27 2020-02-07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超高频极细同轴rf连接器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360091Y (zh) 2009-12-09
TWM368218U (en) 200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375B2 (en) Cable assembly having outer cover robustly supported
KR10135366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및 동축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961230B2 (en) Connector
US2009031801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KR20100083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KR101974328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334315A (zh) 纜線插頭連接器
CN201054388Y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H0460305B2 (ko)
EP3136512B1 (en) Connector
KR20120049219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1017747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110085862A (ko) 커넥터 장치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604460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KR20100006015A (ko)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0993805B1 (ko)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JP5156288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EP1673837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exible flat conductor and a switch device
KR102565512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0404468Y1 (ko) 연결 케이블
CN216450844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