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015A -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015A
KR20100006015A KR1020080066160A KR20080066160A KR20100006015A KR 20100006015 A KR20100006015 A KR 20100006015A KR 1020080066160 A KR1020080066160 A KR 1020080066160A KR 20080066160 A KR20080066160 A KR 20080066160A KR 20100006015 A KR20100006015 A KR 2010000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ore wire
outer conductor
insulating member
inn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덕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102008006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015A/ko
Publication of KR2010000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케이블(2) 단부의 심선(2)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10)와,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10)를 수용하여 상기 내부단자(10)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단자(10)와 절연부재(20)를 고정시키는 하우징(31)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자(10)는, 상기 심선(2a)을 가압하도록 돌출되게 가압돌기(11a)가 형성되고, 상기 심선(2a)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부(12)와, 상기 지지부(1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혀서 상기 동축케이블(2)의 심선(2a)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심선(2a)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심선(2a)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부(13a)가 복수로 형성되는 파지부(13)를 포함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내부단자, 절연부재, 외부도체쉘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LUG CONNECTOR FOR COAXIAL C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소형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부단자와 외부도체쉘을 절연부재로 절연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단자와 외부도체쉘은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외부도체층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는 내부단자가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하는 파지력이 약하여, 상기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단자로부터 심선이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심선을 양측면에서 내부단자의 일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동축케이블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심선이 쉽게 내부단자로부터 미끄러져 빠지게 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내부단자가 접속되지 않거나,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이 상기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도체쉘에 접촉됨으로써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축케이블을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체결함에 있어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쉘과 심선이 위치를 일일이 맞춘 상태에서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고, 내부단자가 동축케이블을 파지하도록 하여 동축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는, 동축케이블 단부의 심선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와,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를 수용하여 상기 내부단자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단자와 절연부재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자는, 상기 심선을 가압하도록 돌출되게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혀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심선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파지부가 접혀서 심선을 파지할 때 복수로 형성된 상기 만곡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에는 상기 심선이 삽입되어 상기 심선을 외측면을 지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재는,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접혔을 때 상기 파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지부가 심선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단자에는, 상기 파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심선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단자의 지지가이드의 외측을 지지하는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쉘은, 상기 절연부재의 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접혔을 때, 상기 절연부재의 가압부를 가압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층에 접지되는 접지날개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감싸지는 파지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방법은, 동축케이블의 심선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부로 접혔을 때 상기 심선을 가압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만곡부가 형성된 내부단자를 절연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절연부재를 외부도체쉘의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켜 내부단자, 절연부재 및 외부도체쉘을 1차적으로 결합하는 가조립단계와, 상기 내부단자의 지지부에 상기 심선의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피복이 제거된 동축케이 블를 안착시키는 동축케이블 안착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의 커버부를 구부려 상기 절연부재의 몸체에서 연장된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에 눌러서, 상기 내부단자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들 사이에 가압돌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와 가압돌기가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가압하여 상기 내부단자가 심선을 파지하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파지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의 접지날개와 파지날개를 동축케이블의 외측에 감싸도록 구부려서 상기 외부도체쉘을 동축케이블에 고정하고, 상기 외부도체쉘의 내부에 내부단자와 절연부재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쉘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따르면, 가조립된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에 피복이 제거된 동축케이블의 단부를 끼운 후에 외부도체쉘의 커버를 덮기만 하면, 간단히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되는 과정에서 동축케이블의 심선이 지지가이드와 지지홈에 삽입되므로써, 동축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에서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신속히 정위치시킬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플러그 커넥터에서도 동축케이블은 내부단자의 만곡부와 가압돌기에 의해서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가압하여 파지하므로 플러그 커넥터에서 동축케이블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는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기판에 조립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동축케이블(2)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를 사용하여, 심선(2a)이 절연층(2b)으로 절연되고, 상기 절연층(2b)의 외측으로 각각 외부도체층(2c)과 피복(2d)이 구비된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서 피복(2d) 및 절연층(2b)을 제거한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를 조립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의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10)와, 상기 내부단자(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단자(10)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절연부재(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도체쉘(30)을 포함한다.
내부단자(10)는 동축케이블(2)의 심선(2a)의 단부를 고정하여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내부단자(10)를 심선(2a)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에서 연장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12)와, 상기 지지부(11)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 부(11)와 함께 심선(2a)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파지부(13)와, 상기 심선(2a)이 안착되도록 상기 파지부(13)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지지가이드(14)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상부면으로 심선(2a)의 단부를 비롯하여, 단부와 인접된 부분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11)와 상기 심선(2a)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내부단자(10)와 심선(2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1)는 상기 심선(2a)을 파지할 때 심선(2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심선(2a)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2)는 상기 지지부(11)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지지부(11)의 측단에서 한 쌍으로 연장되는 접속부(1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끼워져 내부단자(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접속부(12)는 서로 간격이 하부로 갈수로 좁아지다가 단부에서 다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접속시 탄성력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파지부(13)는 상기 지지부(11)의 일측에 지지부(1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13)는 접혀서 상기 지지부(11)와 함께 심선(2a)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서 상기 내부단자(10)와 심선(2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13)가 상기 심선(2a)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심선(2a)이 이탈하지 않고, 조립시 심선(2a)이 안착되도록 상기 심선(2a)의 외측면을 가압하기 위하여 만곡부(1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부(13a)는 접혔을 때 상기 심선(2a)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가 접혀서 상기 지지부(11)에 안착된 심선(2a)를 누르게 됨으로써, 상기 심선(2a)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만곡부(13a)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심선(2a)을 누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만곡부(13a)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13a)에는 파지홈(13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홈(13b)은 상기 만곡부(13a)에 상기 심선(2a)의 배치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선(2a)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13b)에 심선(2a)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심선(2a)이 지지부(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지지가이드(14)는 상기 지지부(11)의 일측으로 상기 파지부(13)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1)로 안착되는 심선(2a)의 측면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2a)이 지지부(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가이드(14)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선(2a)이 배치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심선(2a)이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부(1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심선(2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의 상부는 상기 심선(2a)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넓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내부단자는 금속재가 소성가공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내부단자(10)는 지지부(11)에 대하여 만곡부(13a)를 접어서, 상기 지지부(11)와 만곡부(13a) 사이에 심선(2a)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인 바, 외력에 의해 접을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내부단자(10)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절곡 등과 같은 소성가공을 통하여 제조되도록 한다.
절연부재(20)는 상기 내부단자(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절연부재(20)는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10)를 수용하는 수용홈(21a)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3)를 누르는 가압부(22)와, 상기 지지가이드(14)의 외측에서 지지가이드(14)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23)를 포함한다.
몸체(21)는 상기 내부단자(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단자(10)와 후술되는 외부도체쉘(30)을 절연시킨다. 상기 몸체(21)는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용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a)의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10)를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내부단자(10)가 절연부재(20)의 내부에 고정된다.
가이드홀더(23)는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가이드(14)를 지지한다.
가압부(22)는 상기 몸체(21)의 타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3)를 누르게 된다. 상기 몸체(21)로부터 대략 상기 파지부(13)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가압부(22)는 접혔을 때, 상기 가압부(22)가 상기 파지부(13)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13)가 심선(2a)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도체쉘(30)은 상기 몸체(21)의 외측에서 몸체(21)를 수용하는 하우 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22)를 덮는 커버부(32)와,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에 접속되는 접지날개(33)와,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측을 파지하는 파지날개(34)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내부에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20)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31)은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내부에 상기 절연부재(2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부(32)는 상기 하우징(3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32)를 접어서, 상기 가압부(22)와 파지부(13)가 접히도록, 상기 파지부(13)의 외측을 지지한다.
상기 접지날개(33)는 상기 커버부(3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에 접속된다. 상기 접지날개(33)는 커버부(32)가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3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32)가 가압부(22)와 파지부(13)를 누르도록 접히면, 상기 접지날개(33)를 접어서, 피복(2d)이 제거된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을 파지하고,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파지날개(34)는 상기 접지날개(33)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부(32)의 일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부림으로써, 상기 외부도체쉘(30)과 동축케이블(2)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외부도체쉘(30)은 내부단자(10)와 마찬가지로, 상기 동축케이 블(2)의 외부도체층(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1), 커버부(32), 접지날개(33) 및 파지날개(34)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33a, 34a는 상기 접지날개(33) 및 파지날개(34)가 동축케이블(2)을 파지할 때,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접지날개(33) 및 파지날개(34)에 형성된 노치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단자(10)와 절연부재(20)는 각각 절연부재(20)와 외부도체쉘(3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인 바, 상기 내부단자(10)와 절연부재(20)의 외형은 각각 절연부재(20)와 외부도체쉘(3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방법은, 내부단자(10), 절연부재(20) 및 외부도체쉘(30)을 1차적으로 결합하는 가조립단계와, 상기 내부단자(10)의 내부에 절연층(2b)과 피복(2d)이 제거된 동축케이블(2)의 단부를 안착시키는 동축케이블 안착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커버부(32)를 구부려서 상기 내부단자(10)의 동축케이블(2)의 심선(2a)이 지지부(11)와 파지부(13)에 파지되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파지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접지날개(33)와 파지날개(34)를 동축케이블(2)의 외측에 감싸도록 하는 외부도체쉘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가조립단계에서는 내부단자(10), 절연부재(20) 및 외부도체쉘(30)을 1차적으로 조립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 태가 되도록 상기 외부도체쉘(30)에 절연부재(20)를 안착시키고, 상기 절연부재(20)의 내부에 내부단자(10)를 안착시킨다.
동축케이블 안착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의 피복(2d)과 절연층(2b)이 제거된 동축케이블(2)을 가조립된 플러그 커넥터(1)에 안착시킨다. 우선 동축케이블(2)의 단부에서 심선(2a), 절연층(2b), 외부도체층(2c) 및 피복(2d)이 서로 단차지도록 피복을 제거한다. 상기 동축케이블(2)에서 외부로 노출된 심선(2a)을 상기 내부단자(10)의 지지부(11)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심선(2a)이 상기 내부단자(10)의 지지가이드(14)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절연층(2b)의 선단부가 상기 내부단자(10)의 지지가이드(14)의 외측에 접하도록 한다.
동축케이블 파지단계에서는 상기 내부단자(10)의 지지부(11)와 파지부(13)가 상기 동축케이블(2)의 심선(2a)을 파지하도록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커버부(32)를 구부린다.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커버부(32)를 구부려서 커버부(32)가 동축케이블(2)로 접히기만 하면, 상기 절연부재(20)의 가압부(22)와 내부단자(10)의 파지부(13)도 접힌다.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커버부(32), 절연부재(20)의 가압부(22) 및 내부단자(10)의 파지부(13)는 밀접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커버부(32)를 구부리면, 상기 커버부(32)의 내측에 위치한 절연부재(20)의 가압부(22)와 내부단자(10)의 파지부(13), 특히 만곡부(13a)도 구부려진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13)와 지지부(11) 사이에 심선(2a)이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13)와 지지부(11)에 의해서 심선(2a)이 파지되어 동축케이블(2)의 단부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심선(2a)이 파지부(13)와 지지부(11)에 의해서 파지되면, 상기 가압돌기(11a)가 심선(2a)의 외측면을 가압하므로, 상기 심선(2a)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11a)와 마주보도록 파지부(13)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13a)가 상기 심선(2a)의 외측면 가압하므로, 상기 심선(2a)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만곡부(13a) 중의 어느 하나에, 파지홈(13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파지홈(13b)에 심선(2a)이 삽입되어 상기 심선(2a)이 상기 파지부(13)와 지지부(11) 사이에서 좌우로 편중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외부도체쉘 고정단계에서는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접지날개(33)와 파지날개(34)를 구부려서, 상기 동축케이블(2)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접지날개(33)와 파지날개(34)는 상기 커버부(32)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 상기 접지날개(33)와 파지날개(34)를 구부려서, 상기 동축케이블(2)을 덮어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지날개(33)는 상기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층(2c)과 접속되어 상기 외부도체층(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파지날개(34)는 상기 동축케이블(2)의 피복(2d) 또는 하우징(31)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외부도체쉘(30)이 상기 동축케이블(2)에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외부도체쉘(30)의 내부에 내부단자(10)와 절연부재(20)도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작업이 가능해지고, 이송을 위해서, 상기 외부도체쉘(30)의 상단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캐리어(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40)에 간격을 두고 각 외부도체쉘(30)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리어(40)에 연속적으로 외부도체쉘(30)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캐리어(40)는 앞서 설명한 외부도체쉘(30)의 성형단계에서 외부도체쉘(30)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차적으로 금속판재를 펀칭,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상기 캐리어(40)와 외부도체쉘(30)이 일체가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외부도체쉘(30)을 절곡하여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1)에서 요구되는 형태로 성형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동축케이블을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서 파지부가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따른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캐리어에 의해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플러그 커넥터 2 : 동축케이블
2a : 심선 2b : 절연층
2c : 외부도체층 2d : 피복
10 : 내부단자 11 : 지지부
11a : 가압돌기 12 : 접속부
13 : 파지부 13a : 만곡부
13b : 파지홈 14 : 지지가이드
20 : 절연부재 21 : 몸체
21a : 수용홈 22 : 가압부
23 : 가이드홀더 30 : 외부도체쉘
31 : 하우징 32 : 커버
33 : 접지부 34 : 파지부
40 : 캐리어

Claims (7)

  1. 동축케이블 단부의 심선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와,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를 수용하여 상기 내부단자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단자와 절연부재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자는,
    상기 심선을 가압하도록 돌출되게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접혀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파지하여 상기 심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접혔을 때 상기 심선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파지부가 접혀서 심선을 파지할 때 복수로 형성된 상기 만곡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에는 상기 심선이 삽입되어 상기 심선을 외측면을 지지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내부에 상기 내부단자의 접속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고, 접혔을 때 상기 파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파지부가 심선에 밀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자에는, 상기 파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심선이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심선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단자의 지지가이드의 외측을 지지하는 가이드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쉘은,
    상기 절연부재의 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접혔을 때, 상기 절연부재의 가압부를 가압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층에 접지되는 접지날개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감싸지는 파지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7. 동축케이블의 심선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부로 접혔을 때 상기 심선을 가압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만곡부가 형성된 내부단자를 절연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절연부재를 외부도체쉘의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켜 내부단자, 절연부재 및 외부도체쉘을 1차적으로 결합하는 가조립단계와,
    상기 내부단자의 지지부에 상기 심선의 외측면이 지지되도록 피복이 제거된 동축케이블를 안착시키는 동축케이블 안착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의 커버부를 구부려 상기 절연부재의 몸체에서 연장된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에 눌러서, 상기 내부단자에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들 사이에 가압돌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와 가압돌기가 상기 동축케이블의 심선을 가압하여 상기 내부단자가 심선을 파지하도록 하는 동축케이블 파지단계와,
    상기 외부도체쉘의 접지날개와 파지날개를 동축케이블의 외측에 감싸도록 구부려서 상기 외부도체쉘을 동축케이블에 고정하고, 상기 외부도체쉘의 내부에 내부단자와 절연부재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쉘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방법.
KR1020080066160A 2008-07-08 2008-07-08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20100006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60A KR20100006015A (ko) 2008-07-08 2008-07-08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160A KR20100006015A (ko) 2008-07-08 2008-07-08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15A true KR20100006015A (ko) 2010-01-18

Family

ID=4181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160A KR20100006015A (ko) 2008-07-08 2008-07-08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0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986A1 (en) * 2010-10-05 2012-04-12 Gigalane Co. Lt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EP2568536A1 (en) * 2010-05-07 2013-03-13 Shenzhen Electrical Connector Technology Ltd. Bending coaxial electric connector
KR101329404B1 (ko) * 2011-05-17 2013-11-1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장치
WO2017191906A1 (ko)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8536A1 (en) * 2010-05-07 2013-03-13 Shenzhen Electrical Connector Technology Ltd. Bending coaxial electric connector
EP2568536A4 (en) * 2010-05-07 2014-01-08 Shenzhen Electrical Connector Technology Ltd ELECTRIC COAXIAL PLUG WITH BENDING MECHANISM
WO2012046986A1 (en) * 2010-10-05 2012-04-12 Gigalane Co. Ltd Connector for coaxial cable
KR101329404B1 (ko) * 2011-05-17 2013-11-14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커넥터 장치
WO2017191906A1 (ko)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10566710B2 (en) 2016-05-04 2020-02-18 Gigalane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706B2 (en) Plug connector with external EMI shielding capability
US6712645B1 (en) Cable fixture of coaxial connector
JP4097681B1 (ja) コネクタ
US7485000B2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JPH0636825A (ja) 電気コネクタのケーブル固定構造
TW201521295A (zh) 電纜線連接器
KR20060050385A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20110250783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682990B (zh) 板对板型射频插头
CN109792124B (zh) 连接器结构
KR20150018372A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20110085862A (ko) 커넥터 장치
TW20103429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assembly
KR20120005504A (ko) 양면형 커넥터 블록
KR20100006015A (ko) 동축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TWI434472B (zh) 同軸連接器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20100083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l형 동축커넥터
US8790134B2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JP5359321B2 (ja) アース接続用配線材、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アース接続用配線材が組み込まれたワイヤハーネス
CN108682991B (zh) 板对板型射频头
JP2017098081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231

Effective date: 2011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