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72A - 동축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72A
KR20150018372A KR1020140084481A KR20140084481A KR20150018372A KR 20150018372 A KR20150018372 A KR 20150018372A KR 1020140084481 A KR1020140084481 A KR 1020140084481A KR 20140084481 A KR20140084481 A KR 20140084481A KR 20150018372 A KR20150018372 A KR 2015001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hell
lid
conductor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724B1 (ko
Inventor
요이치 하시모토
히로유키 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외부 도체 쉘(13a)의 원통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11d)의 압접면에 그들의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으로부터 이간시킨 공극부(14)를 설치함으로써,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에 관한 특성 임피던스를 공극부(14)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매칭 정도(VSWR)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정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세선 동축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가 연결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등의 각종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가 널리 채용되고 있는데, 그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인쇄 배선 기판에 효율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의 외주측에 대략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이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에 대해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를 연결할 때에 개방 상태인 쉘 덮개부가 도전 콘택트와 함께 넘어뜨려지도록 하여 폐색되면, 도전 콘택트가 절곡되어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고, 이에 의해 전기적인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런 구성을 가지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도전 콘택트와 동축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땜납 접속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땜납재의 폐기 등에 의한 환경적 관점의 문제가 해소되고, 게다가 땜납의 사용량의 차에 기인한 특성 임피던스의 어긋남이 없어진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는 특히 근래에 있어서의 전송 신호의 고주파화나 전기 커넥터의 급속한 소형화 또는 콤팩트(compact)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매칭 정도(VSWR)가 부정합 상태로 되는 경향이 있어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1-4026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절연 하우징과, 그 절연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된 대략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방 영역에 장착된 내부 도체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에는 당해 외부 도체 쉘의 원통형 개구부를 개방,폐색하는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쉘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이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쉘 덮개부가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를 덮도록 폐색됨으로써, 당해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이 상기 절연 누름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상기 절연 누름판이 대향하는 영역에는 당해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으로부터 이간시켜 형성된 공극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극부가 설치되어 있는 분(分)만큼 유전율이 저하되어 정전 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에 관한 특성 임피던스가 공극부에 의해 조정되게 되고,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매칭 정도(VSWR)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정합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의 전송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극부가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 또는 상기 절연 누름판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조절을 행하는 공극부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의 주위에 있어서의 일부 영역에 당해 공극부의 내부로 상기 절연 누름판이 빠져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빠져 들어감 억지부에 의해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이 양호한 이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공극부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가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에 접속되는 케이블 중심 도체와, 당해 케이블 중심 도체의 외주측에 유전체를 개재하여 배치된 케이블 쉴드 도체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는 적어도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의 케이블 중심 도체가 재치(載置)되는 케이블 재치부와, 당해 케이블 재치부와의 연결부로부터 뻗어나와 상기 절연 누름판에 눌려지는 설편(舌片) 형상부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는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에 있어서의 케이블 재치부와 설편(舌片) 형상부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유전체의 노출 부분까지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는 상기 쉘 덮개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극부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쉘 덮개부의 두께가 확대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극부가 커넥터의 콤팩트화에 지장으로 되는 일이 없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과의 대향 영역에 이들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 및 절연 누름판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으로부터 이간시켜 공극부를 설치하고, 유전율을 저하시켜 정전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에 관한 특성 임피던스를 공극부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하고,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매칭 정도(VSWR)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정합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게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단체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측면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 단체의 저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IV-I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V-V선에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 중의 VI-VI선에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의 단체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초기 개방 상태(케이블 비연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 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난 쉴드 쉘 단체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도 4에 상당하는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도 6에 상당하는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초기 개방 상태(케이블 비연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의 초기 개방 상태(케이블 비연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의 폐색 상태(케이블 연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 4에 상당하는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
우선, 도 1~도 6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한 소정의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도시 생략)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감합 또는 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등)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 및 발거 작업은 인쇄 배선 기판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커넥터 본체부는 개략 형상에 있어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부에 대해 직경 방향 외방측의 일방향으로부터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연결되고, 그 세선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상방 위치에 대면하도록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된다. 그리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10) 전체가 인쇄 배선 기판의 외표면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강되어 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단 부분이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의 상단 부분에 대해 감합 상태로 된다. 이렇게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된 감합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플러그 커넥터(10) 및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를 통해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배선 패턴 도전로에 접속된다.
여기에 있어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 (10)를 삽입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로 빼내는 발거(拔去) 방향을「상방향」으로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0) 자체에 있어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접속되는 쪽의 단연(端緣) 부분을 「정면측 단연 부분」으로 함과 아울러, 그것과는 반대측의 단연 부분을 「배면측 단연 부분」으로 하고, 또한, 그 「배면측 단연 부분」으로부터 「정면측 단연 부분」을 향한 방향을 「커넥터 전(前) 방향」, 그 반대 방향을 「커넥터 후(後) 방향」으로 한다. 또, 이들 「커넥터 상하 방향」 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좌우 방향」으로 한다.
<동축 케이블에 대해>
특히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는 복수의 도선으로 형성된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가 케이블 유전체 SCc를 개재하여 동축 형상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중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shield line)) SCb는 외주 피복재 SCd가 박피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는 또한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 및 케이블 유전체 SCc가 박피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된다. 또,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쉴드 도체 SCb는 쉴드 쉘(13)에 접속되고, 그 쉴드 쉘(13)이 접지용의 그라운드(ground) 도전 콘택트로서 기능함으로써,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
여기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은 주된 감합 부분인 커넥터 본체부를 구성하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절연 본체부(11a)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절연 본체부(11a)의 하방측 부분에 감합 상대인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내방측에 삽입되는 절연 삽입부(11b)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 중의 절연 본체부(11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도록 하여 세팅(setting)되지만, 그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재치하는 내부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가 절연 본체부(11a)의 상표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술한 내부 도전 콘택트(12)의 주위를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그라운드 콘택트로서의 쉴드 쉘(13)이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 본체부(11a)의 정면측 단연 부분에는 정면시에 있어서,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지지부(11c)(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케이블 지지부(11c)의 내방측의 벽면에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설편(舌片)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 누름판(11d)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 누름판(11d)은 절연 본체부(11a)의 커넥터 후단측의 단연으로부터 편지(片持) 형상을 이루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을 따르도록 돌출하는 가늘고 긴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절연 누름판(11d)이 상방으로 일으켜 세워져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에 세팅된 후에, 후술하는 쉘 덮개부(13b)와 함께 하방으로 절곡되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상방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대해 절연 삽입부(11b)는 상술한 것처럼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하방을 향해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당해 절연 삽입부(11b)는 대략 중공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삽입부(11b)는 상술한 것처럼 감합 상대인 상대측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내방을 향해 하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쉴드 쉘에 대해>
또한, 도 4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 및 절연 삽입부(11b)를 가진 절연 하우징(11)의 외측 표면은 박판 형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13)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외부 도체 쉘(13a)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외부 도체 쉘(13a)은 주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를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환형으로 덮도록 형성된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외부 도체 쉘(13a)의 하방측 부분은 상술한 절연 삽입부(11b)를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환형으로 덮는 쉘 삽입부(13a1)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외부 도체 쉘(13a)의 상단측의 원통 개구 부분에는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의 상면측을 덮는 쉘 덮개부(13b)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접속해 고정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쉴드 쉘(13)은, 특히 도 8~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외부 도체 쉘(13a)에 대해 쉘 덮개부(13b)가 상방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당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쉘 덮개부(13b)는 외부 도체 쉘(13a)의 후방측 단연 부분에 세폭(細幅)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 부재(13b1)를 통해 대략 수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 즉 당해 쉘 덮개부(13b)가 폐색되었을 때에 내방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는 설편(舌片) 형상 부재로 구성된 절연 누름판(11d)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13b1)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는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쉴드 쉘(13)의 개방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로 수용되도록 재치되어 세팅된 후, 연결 부재(13b1)가 절연 누름판(11d)과 함께 하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넘어뜨려지면,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 전체가 쉘 덮개부(13b)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이고, 쉴드 쉘(13)이 폐색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쉘 덮개부(13b)는 상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져 폐색된 때에 외부 도체 쉘(13a)의 상단측의 원통 개구 부분을 덮도록 씌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진 쉘 덮개부(13b)의 정면측 부분에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특히 케이블 유전체 SCc 및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전방 커버부(13b2)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다. 이 전방 커버부(13b2)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와 함께 상술한 외부 도체 쉘(13a)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케이블 보호 암(arm)(13a2, 13a2)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사이에 둔 좌우 방향의 양측을 따라 뻗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외부 도체 쉘(13a)의 정면측 단연 부분으로부터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하여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의 정면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전방 커버부(13b2)의 양측 연부(緣部)에는 한 쌍의 설편(舌片)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보유판(13b3),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이 플랜지판(flange plate)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중 제1 고정 보유판(13b3)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 및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되어 코킹(caulking)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 13b3)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판(flange plate)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졌을 때에,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의 양측 외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코킹(caulking)을 행하도록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의 양측 외벽면을 따라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되고, 이에 의해 외부 도체 쉘(13a)에 대한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특히 케이블 유전체 SCc가 쉘 덮개부(13b)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은 상술한 제1 고정 보유판(13b3)의 전방측에 인접해서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비교적 소형의 플랜지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되어 코킹(caulking)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졌을 때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의 양측 외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코킹(caulking)을 행하도록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쉴드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케이블 쉴드 도체 SCb가 제2 고정 보유판(13b4)에 접촉함으로써, 쉴드 쉘(13)에 의한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쉴드 쉘(13)의 하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쉘 삽입부 (13a1)는 감합 상대인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직경 방향 외측 부분에 외감(外嵌)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술한 상대 커넥터의 직경 방향 내방측에 삽입되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삽입부(11b)와 함께 커넥터 연결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쉘 삽입부(13a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쉘 삽입부(13a1)의 삽입측의 하단 부분에 직경 방향 냉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상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계합(係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넘어뜨려진 후에 당해 연결 계합부가 감합 상대인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연결 계지(係止)부(도시 생략)에 대해 탄성적인 감합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신호 도전 콘택트에 대해>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지만,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접속되는 한 쌍의 상하 빔부(12a, 12b)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협지(挾持)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케이블 협지부에 있어서의 하측 빔부(12b)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부(12c)가 감합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도시 생략)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블 협지부를 구성하는 있는 상측 빔부(12a) 및 하측 빔부(12b)는 일련(一連)으로 뻗어 있는 띠판(band plate)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C자 형상 또는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클립빔(clip beam)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것처럼 하측 빔부(12b)에 상측 빔부(12a)를 가까이하는 방향으로 양자의 연결 부분을 절곡 변형시킴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양 빔부(12a, 12b)끼리의 사이에 상하로부터 클립 형상으로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케이블 협지부의 상측 빔부(12a)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단계인 초기 상태에 있어서, 특히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일으켜 세워진 설편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설편 형상부로서의 상측 빔부(12a)가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하측 빔부(12b)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 접속부의 하측 빔부(12b)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재치되는 케이블 재치부로서 형성된 것으로서, 상측 빔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된 때에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케이블 협지부의 하측 빔부(12b)의 표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재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에 재치되어 세팅 상태로 된 후에,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전술한 절연 누름판(11d)과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지게 되지만, 그 때에는 절연 누름판(11d)에 의한 하방측으로 눌린 케이블 협지부의 상측 빔부(12a)가 대략 수평 상태로 될 때까지 밀려 넘어지도록 굴곡 변형되고, 당해 상측 빔부(12a)가 특히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 측으로부터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케이블 협지부를 구성하는 상측 빔부(12a)에 있어서의 뻗어 있는 방향의 중간 위치는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누르는 상방 전극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신호 도전 콘택트(12)의 상측 빔부(12a)에 설치된 상방 전극부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협지하는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형상 접점부로 되어 있다. 이 돌출 형상 접점부는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졌을 때에 하측 빔부(12b) 상에 세팅되어 있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압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양쪽 빔부(12a, 12b)끼리의 사이에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압접된 상태에서 협지됨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도전 콘택트(12)의 케이블 재치부로서 설치된 하측 빔부(12b)는 설편(舌片) 형상부를 이루는 상측 빔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평탄 형상을 이루어 전방으로 뻗어 나오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절연 본체부(11a)의 상표면에 재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하측 빔부(12b)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둥근 구멍 형상을 이루는 접속 감시 구멍(12b1)이 관통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접속 감시 구멍(12b1)과 거의 동축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 삽입 구멍이 절연 하우징(1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 삽입 구멍은 접속 감시 구멍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고, 상술한 접속 감시 구멍(12b1)을 통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배치 상태를 하방측으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케이블 협지부의 하측 빔부(12b)는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띠판(band plate)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하측 빔부(12b)의 판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연부로부터는 하방측을 향해 한 쌍의 탄성 스프링부(12c, 12c)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일체적으로 뻗어 나와 있고, 이들 양쪽 탄성 스프링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감합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설치된 핀 형상의 신호 도전 콘택트(도시 생략)가 압접 상태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하였듯이 초기 상태에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하방측을 향해 밀려 넘어질 때에는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로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누름판(11d)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에 대해 하방측으로부터 대향해서 압접 상태로 되고, 그 후에 쉘 덮개부(13b)와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려 넘어져 간다. 그리고 이들 쉘 덮개부(13b) 및 절연 누름판(11d)이 내부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의 상측 빔부(12a)를 통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상방측에 적층형으로 배치된다. 이 때에,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11d)이 압접하는 대향 영역에는 가늘고 긴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공극부(14)가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를 따라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극부(14)는 쉘 덮개부(13b)의 내면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한 오목홈 형상부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고 있지만, 그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의 홈 깊이 분(分)만큼 쉘 덮개부(13b)의 판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 또는 절연 누름판(11d)의 적어도 일방을 타방으로부터 이간시켜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8 실시 형태처럼 공극부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를 절연 누름판(11d)에 설치해도 좋고, 쌍방의 부재에 공극부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공극부(14)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는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를 따라 뻗어 있지만, 당해 공극부(14)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뻗어 있는 범위는 내부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의 후단부인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12b)와 상측 빔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의 유전체 SCc가 노출되어 있는 부위의 상방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도 9~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이하, "전기적 접속 영역"이라 함)의 상방에 위치하는 좁은 폭의 제1 오목홈 형상부(14a)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의 상방에 위치하는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를 직선형으로 연결하도록 구비한 것으로서, 특히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전기적 접속 영역에 배치된 제1 오목홈 형상부(14a)가 가지고 있는 홈폭(groove width) W1a는 전술한 절연 누름판(11d)이 전기적 접속 영역에서 가지는 판폭(plate width) W2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W1a<W2).
여기서, 공극부(14)의 홈폭 방향 양측에 대응한 영역은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이루어져 있지만, 전술한 전기적 접속 영역에 배치된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양측에 위치하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은 절연 누름판(11d)의 상표면에 대해 상방측으로부터 맞닿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는 절연 누름판(11d)의 상표면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상방에 적층되는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부(14)의 전기적 접속 영역에 배치된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이 없이, 전기적 접속 영역에 공극부(14)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의 홈폭 W1b는 특히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 W2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지만(W1b>W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누름판(11d)은 뻗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중간 위치까지밖에 뻗어 나와 있지 않고,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에 대향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넘어진 폐색 상태에 있어서도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이 없고, 당해 절연 누름판(11d)은 전장(全長)에 걸쳐 쉘 덮개부(13b)의 내면에 압접한 적층 상태로 보유된다. 그리고 그 절연 누름판(11d)의 상방에 쉘 덮개부(13b)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직상(直上) 위치에 공극부(1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영역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공극부(14)의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는 상술한 것처럼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의 노출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당해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가 가진 홈폭 W1b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가 가지고 있는 외경 D2(도 6 참조)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W1b>D2). 따라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는 공극부(14)의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제2 오목홈 형상부(14b)가 가지고 있는 홈폭 W1b는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W1b>W2), 전기적 접속 영역에 있어서의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판폭 W3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W1b>W3).
또한, 상술한 것처럼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좁은 폭의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홈폭 W1a는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즉 내부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가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 D1(도 6 참조)과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W1a≥D1). 또,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좁은 폭의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홈폭 W1a는 내부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12)의 상측 빔부(12a)가 갖는 판폭 W3(도 4 참조)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W1a<W3).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11d)의 대향 영역에 공극부(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유전율이 저하되어 정전 용량이 작게 되고,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에 관한 특성 임피던스가 공극부(14)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매칭 정도(VSWR)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조화되게 되어 고주파 신호의 전송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극부(14)는 케이블형 전송 매체 SC를 따라 뻗어 있는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이와 같은 공극부(14)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극부(14)에는 당해 공극부(14)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빠져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11d)이 양호한 이간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공극부(14)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극부(14)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속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좁은 폭의 제1 오목홈 형상부(14a)의 홈폭 W1a가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 W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W1a<W2), 공극부(14)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빠져 들어가는 것이 규제되어 공극부(14)가 양호하게 확보됨과 아울러, 공극부(14)에 있어서의 다른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넓은 폭의 제2 오목홈 형상부(14b)가 갖는 홈폭 W1b가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W1b>W2),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의 홈부(14a, 14b)는 쉘 덮개부(13b)의 판 두께를 얇게 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부(14)의 형성에 의해 쉘 덮개부(13b)의 두께가 확대되는 일이 없어 공극부(14)가 커넥터(14)의 콤팩트화의 지장으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3 및 도 14에 관계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14c)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홈 형상부(14c)도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실시 형태보다도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쉘 덮개부(13b)의 내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의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14c)는 절연 누름판(11d)의 선단 부분보다 약간 큰 홈폭(groove width)을 가지고 있지만, 절연 누름판(11d)의 근본(根本)측인 후단 부분이 오목홈 형상부(14c)의 홈폭보다 큰 판폭(plate width)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14c)에 대해 절연 누름판(11d)이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이, 공극부(14)가 오목홈 형상부(14c)에 의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5 및 도 16에 관계되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오목홈 형상부(14c)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홈 형상부(14c)에는 홈폭 방향을 향해 대략 평행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빠져 들어감 억지부(14d, 14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빠져 들어감 억지부(14d)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으로부터 연재(延在)하는 동일 높이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빠져 들어감 억지부(14d, 14d)가 절연 누름판(11d)의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절연 누름판(11d)이 오목홈 형상부(14c)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공극부(14)가 오목홈 형상부(14c)에 의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7 및 도 18에 관계되는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쉘 덮개부(13b)의 내면에 제1 실시 형태의 제1 오목홈 형상부(14a)와 마찬가지의 좁은 폭을 가지는 오목홈 형상부(14e)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극부(14)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19 및 도 20에 관계되는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좁은 폭을 가지고 오목홈 형상부(14f)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상방에 위치한 공극부(14)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홈 형상부(14f)는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홈폭이 확장되어 있다. 이 홈폭 확장 부분은 절연 누름판(11d)보다 약간 큰 홈폭을 가지고 있지만,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의 홈폭이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부(14)를 구성하는 오목홈 형상부(14f)에 대해 절연 누름판(11d)이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이 공극부(14)가 오목홈 형상부(14f)에 의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21 및 도 22에 관계되는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커넥터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오목홈 형상부(14g, 14g)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상방에 위치한 공극부(14)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오목홈 형상부(14g)는 절연 누름판(11d)보다 약간 큰 홈폭을 가지고 있지만, 절연 누름판(11d)에 있어서의 대부분의 표면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의해 수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극부(14)의 오목홈 형상부(14g)에 대해 절연 누름판(11d)이 내부로 들어가는 일이 없이 공극부(14)가 오목홈 형상부(14g)에 의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23 및 도 24에 관계되는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오목홈 형상부(14c)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오목홈 형상부(14c)의 내방 영역에 홈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일체의 빠져 들어감 억지부(14h)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빠져 들어감 억지(抑止)부(14h)도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으로부터 연속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빠져 들어감 억지부(14h)에 절연 누름판(11d)의 표면이 수용됨으로써, 절연 누름판(11d)이 오목홈 형상부(14c)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공극부(14)가 오목홈 형상부(14c)에 의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14)의 주위에 있어서의 일부 영역에 빠져 들어감 억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절연 누름판(11d)이 오목홈 형상부(14c)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또한 공극부의 형상에 있어서는 커넥터의 품종(品種)에 따라 각각 적합한 특성 임피이던스 값을 용이하고 또 적정하게 정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25~도 29에 관계되는 제8 실시 형태는 공극부(15)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15a)가 절연 누름판(11d)에 설치된 것이다. 당해 오목홈 형상부(15a)는 내부 도체 커넥터(12)에 있어서의 케이블 재치부(12b)와 설편(舌片) 형상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에 있어서의 유전체 SCc의 노출 부분까지,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를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인 도 30에 관계되는 제9 실시 형태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도전 콘택트(12)의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12b)에 상방으로부터 재치(載置)된 상태에서 납땜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12)는 하측 빔부(12b)만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상측 빔부(설편(舌片)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그 도전 콘택트(12)의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12b)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 영역에서 공극부(24)의 홈폭 W1a가 도전 콘택트(12)의 하측 빔부(12b)의 판폭 W3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W1a>W3).
또, 전기적 접속 영역에 있어서의 공극부(24)의 홈폭 W1a는 절연 누름판(11d)이 구비하고 있는 판폭 W2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W1a<W2), 공극부(24)의 홈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이 절연 누름판(11d)의 상표면과 맞닿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로 되어 있다. 이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는 절연 누름판(11d)의 상표면에 맞닿음으로서, 절연 누름판(11d)과 적층 관계로 되고, 공극부(24)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극부(24)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극부(24)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의 홈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공극부(24)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빠져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빠져 들어감 억지부(24a)는 공극부(24)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홈 형상부의 져면으로부터 일어나도록 형성된 리브 형상(rib shape) 부재로 형성되고, 그 리브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24a)의 정부(頂部)가 절연 누름판(11d)의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변형 등이 방지되고, 공극부(24)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이 없이 공극부(24)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9 실시 형태, 혹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도전 콘택트(12)에 있어서의 상측 빔부(설편(舌片) 형상부)의 유무에 대응하여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의 오목홈 형상부을 형성하면, 각각에 적합한 특성 임피이던스 값을 용이하고 또 적정하게 정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공극부가 오목홈 형상부로 형성되고 있지만, 공극부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한 쌍의 돌기끼리의 사이를 공극부로 하여 구성하는 등 다른 수단도 당연히 채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홈 형상부의 공극부가 쉘 덮개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형성하고 있지만, 쉘 덮개부의 두께를 얇게 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쉘 덮개부의 일부를 볼록 형상으로 만곡 변형시킴으로써 형성하게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는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같은 단심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극형으로 배치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 절연 케이블이 여러개 혼합된 형태의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플러그 커넥터(동축형 전기 커넥터)
SC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
SCa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케이블 쉴드(shield) 도체(쉴드선)
SCc 유전체 SCd 외주 피복재
11 절연 하우징(insulation housing)
11a 절연 본체부 11b 절연 삽입부
11c 케이블 지지부 11d 절연 누름판
12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
12a 케이블 협지부 상측 빔부(설편(舌片) 형상부)
12b 케이블 협지부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
12b1 접속 감시 구멍 12c 탄성 스프링부
13 쉴드 쉘(shield shell)(그라운드 도전 콘택트)
13a 외부 도체 쉘(shell)
13a1 쉘 삽입부 13a2 케이블 보호 암(arm)
13b 쉘 덮개부
13b1 연결 부재 13b2 전방 커버부
13b3 제1 고정 보유판 13b4 제2 고정 보유판
13b5 제3 고정 보유판
13b6 빠져 들어감 억지부
14 공극부
14a 제1 오목홈 형상부 14b 제2 오목홈 형상부
14c, 14e, 14f, 14g 오목홈 형상부
14d, 14h 빠져 들어감 억지부
W1a 제1 오목홈 형상부의 홈폭(전기적 접속 영역)
W1b 제2 오목홈 형상부의 홈폭(groove width)(다른 영역)
W2 절연 누르판의 판폭(plate width)
W3 도전 콘택트(신호 도전 콘택트)의 판폭(전기적 접속 영역)
D1 케이블 중심 도체의 두께
D2 세선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의 외경
15 공극부 15a 오목홈 형상부
24 공극부 24a 빠져 들어감 억지부

Claims (6)

  1.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절연 하우징과, 그 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된 대략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방측 영역에 설치된 내부 도체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에는 당해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를 개방 및 폐색하는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쉘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이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을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쉘 덮개부가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원통 개구부를 덮도록 폐색됨으로써, 당해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이 상기 절연 누름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상기 절연 누름판이 대향하는 영역에는 당해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 중 적어도 일방을 타방으로부터 이간시켜 형성된 공극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가 상기 쉘 덮개부의 덮개 내면 또는 전기 절연 누름판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의 주위에 있어서의 일부 영역에는 당해 공극부의 내부에 상기 절연 누름판이 빠져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가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에 접속되는 케이블 중심 도체와 당해 케이블 중심 도체의 외주측에 유전체를 통해 배치된 케이블 쉴드 도체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는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의 케이블 중심 도체가 재치되는 케이블 재치부와, 당해 케이블 재치부와의 연결부로부터 뻗어 나와 상기 절연 누름판에 눌려지는 설편 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는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에 있어서의 케이블 재치부와 설편 형상부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에 있어서의 유전체의 노출 부분까지 상기 케이블형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는 상기 쉘 덮개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0084481A 2013-08-08 2014-07-07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592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4727A JP5772900B2 (ja) 2013-08-08 2013-08-08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JP-P-2013-164727 201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72A true KR20150018372A (ko) 2015-02-23
KR101592724B1 KR101592724B1 (ko) 2016-02-05

Family

ID=5244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81A KR101592724B1 (ko) 2013-08-08 2014-07-07 동축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6305B2 (ko)
JP (1) JP5772900B2 (ko)
KR (1) KR101592724B1 (ko)
CN (1) CN104348038B (ko)
TW (1) TWI591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67751S (zh) * 2013-07-25 2015-05-11 第一精工股份有限公司 高頻用同軸連接器
US9502834B2 (en) * 2015-01-28 2016-11-22 Dai-Ichi Seiko Co., Ltd.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JP6330851B2 (ja) * 2016-05-25 2018-05-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CN106384903B (zh) * 2016-11-24 2018-11-0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线缆连接器
JP6585121B2 (ja) * 2017-06-12 2019-10-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6951200B2 (ja) * 2017-11-10 2021-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8075265B (zh) * 2017-12-04 2019-09-27 昆山杰顺通精密组件有限公司 板对板型射频插头
WO2020189221A1 (ja) 2019-03-18 2020-09-24 I-Pex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6844760B1 (ja) *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KR102569846B1 (ko) * 2021-03-25 2023-08-23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580A (ja) * 1992-08-05 1994-11-08 Amp Japan Ltd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JP4148339B2 (ja) 2001-04-26 2008-09-1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
JP4136925B2 (ja) 2003-12-19 2008-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136924B2 (ja) * 2003-12-19 2008-08-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2005317260A (ja) * 2004-04-27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同軸コネクタ
JP2006066384A (ja) * 2004-07-27 2006-03-09 Hosiden Corp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JP4923085B2 (ja) * 2009-08-10 2012-04-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USD674346S1 (en) * 2011-08-30 2013-01-15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JP5532041B2 (ja) * 2011-10-21 2014-06-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CN107069355A (zh) * 2012-04-02 2017-08-18 第电子工业株式会社 插座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2900B2 (ja) 2015-09-02
KR101592724B1 (ko) 2016-02-05
CN104348038A (zh) 2015-02-11
TW201507297A (zh) 2015-02-16
US9166305B2 (en) 2015-10-20
CN104348038B (zh) 2017-01-18
US20150044912A1 (en) 2015-02-12
JP2015035293A (ja) 2015-02-19
TWI591908B (zh)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2017003350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prmance
TWI525946B (zh) 同軸型電連接器及同軸型電連接器組裝體
JP2911860B2 (ja) 低プロフィールコネクタシステム
CN104112957B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929512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WO201800837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90148853A1 (en) Cab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on thick printed-circuit board
KR101396690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30039849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9502834B2 (en)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WO2011002833A1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6054131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JP5917901B2 (ja) ベースコネクタ
KR20190044493A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591790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6073193A (zh) 用于电连接器的电缆卡组件的接地结构
CN113725669A (zh) 基板用连接器
JP202007748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