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512B1 -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512B1
KR102565512B1 KR1020160131973A KR20160131973A KR102565512B1 KR 102565512 B1 KR102565512 B1 KR 102565512B1 KR 1020160131973 A KR1020160131973 A KR 1020160131973A KR 20160131973 A KR20160131973 A KR 20160131973A KR 102565512 B1 KR102565512 B1 KR 10256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arrier
outer conductor
connector
cau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53A (ko
Inventor
아츠히로 미야자키
이쿠오 덴포우야
요시히토 히로세
가즈히코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에서는, 커넥터 캐리어와 하우징 캐리어가 동일한 측에 있기 때문에, 캐리어끼리의 위치 관계, 이동 범위 등을 고려해야 하여, 지그 등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의 구조는 복잡한 것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해결 수단)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외부 도체 쉘의 코킹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사이에 있는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형성된 캐리어 연결부에 의해, 외부 도체 쉘과 커넥터 캐리어를 연결하고, 커넥터 캐리어를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 (하우징 캐리어와는 반대측) 에 배치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한 채로 외부 도체 쉘의 고정 위치를 안정시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COAXIAL CABLE CONNECTOR,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로부터 잘라낸 절단부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1 이상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한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적어도 캐리어 연결부에서 연결된 캐리어로부터 외부 도체 쉘을 잘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등의 커넥터의 종래의 제조 공정에서는, 커넥터의 외부 도체 쉘의 후단을 연결편으로 연결한 커넥터 캐리어와, 일체 형성 등에 의해 하우징에 수용 또는 내장된 단자의 후단을 연결편으로 연결한 하우징 캐리어가 동일한 측에 있고, 동일한 측에 있는 커넥터 캐리어 및 하우징 캐리어를 각각 위치 결정하여, 외부 도체 쉘에 절연성의 하우징을 수용하거나 하는 조립이 실시된다. 여기서, 외부 도체 쉘의 후단이란, 외부 도체 쉘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의 연신 방향에 대해 후방의 단부를 말하고, 단자의 후단도 동일하게, 동축 케이블의 연신 방향에 대해 후방의 단부를 말한다. 또, 외부 도체 쉘의 선단 및 단자의 선단이란, 각각 동축 케이블의 연신 방향에 대해 전방의 단부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1518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커넥터는, 연결편을 통하여 커넥터의 외부 도체 쉘을 연결한 캐리어 (커넥터 캐리어) 와, 연결편을 통하여 하우징에 내장된 중심 컨택트를 연결한 캐리어 (하우징 캐리어) 가 동일한 측에 있고, 동일한 측에 있는 캐리어끼리를 중첩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외부 도체 쉘에 하우징을 장착하는 등의 공정에 의해 조립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1518호
상기 서술한 종래예와 같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 등의 커넥터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에서는, 커넥터 캐리어와 하우징 캐리어가 동일한 측에 있기 때문에, 각각의 캐리어를 지지하는 지그 (또는 기구) 의 위치 결정 등에 의한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지그의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측에 있는 2 개의 캐리어를 각각 지지하는 지그는, 캐리어끼리의 위치 관계나 이동 범위 등을 고려하면서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1 개의 캐리어를 지지하는 지그의 구조에 비해, 지그의 구조는 복잡한 것이 된다.
또, 커넥터의 외부 도체 쉘의 후단이 연결편을 통하여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동축 케이블을 압착하여 접속할 때에는, 커넥터 캐리어는 접속의 방해가 되므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동축 케이블을 압착하여 접속하기 전에, 커넥터 캐리어를 외부 도체 쉘의 후단으로부터 잘라내고,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잘라내어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끼워 넣어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등의 지그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하는 장치는, 그와 같은 클램프 등의 지그를 구비한 복잡한 구성이 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되어 있었을 때에 비해, 클램프 등의 지그에 의해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을 뿐이므로, 동축 케이블을 압착하여 접속할 때에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고정 위치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래서, 종래예의 커넥터의 외부 도체 쉘의 후단을 연결편으로 연결하는 것 대신에, 또는, 외부 도체 쉘의 후단을 연결편으로 연결하는 것에 더하여,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외부 도체 쉘의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캐리어 연결부에 의해, 외부 도체 쉘과 커넥터 캐리어를 연결하고, 커넥터 캐리어를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 (즉, 절연성의 하우징에 내장된 단자의 후단에 연결된 하우징 캐리어와는 반대측) 에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캐리어를 지지하는 지그 등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고,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후단 부분에 동축 케이블을 압착하여 접속할 때,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잘라내지 않고,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한 채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고정 위치를 안정시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결선 (結線)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과,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부를 후단 부분에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절단부를 적어도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절단된 자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벽부가 없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에 상대 커넥터와 접속시키기 위한 대략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대략 원통부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볼록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에 상기 대략 원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절단부에 더하여,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다른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1 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1 이상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커넥터 캐리어와 연결된 캐리어 연결부를 적어도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벽부가 없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에 상대 커넥터와 접속시키기 위한 대략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대략 원통부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볼록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에 상기 대략 원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연장된 연결편을 통하여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는, 노치 또는 하프 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더하여,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다른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상기 코킹부를 지지하는 서브 컨택트 캐리어와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캐리어는, 상기 서브 컨택트 캐리어로부터 연장된 지지편의 선단의 지지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부터,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부터,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다른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하고, 상기 컨택트 캐리어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절단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상기 서브 캐리어를 상기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잘라내는 공정과,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의 심선 접속부에 배치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심선 코킹부의 내측에 있는 절연성의 심선 고정부에 의해, 상기 심선 접속부에 압착하여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각각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단자의 상기 심선 접속부에,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시키는 공정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심선 접속부에 결선된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단자를 지지하고 있지 않은 절연성의 하우징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심선 접속부에 접속된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외부 도체 쉘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심선 코킹부에서 외부 도체 쉘의 선단까지의 사이에 있는 가장자리 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캐리어 연결부에 의해, 외부 도체 쉘과 커넥터 캐리어를 연결하고, 커넥터 캐리어를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에 배치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는 하우징 캐리어와는 반대측에 배치할 수 있고, 각각의 캐리어의 이동 범위,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지그 등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후단 부분에 동축 케이블을 압착하여 접속시킬 때,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잘라내지 않으므로,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한 채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고정 위치를 안정시켜,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결선할 수 있다. 이로써,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끼워 넣어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등의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커넥터 캐리어에 연결한 상태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을 결선한 후의 검사 공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이 각각 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을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한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한 캐리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을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잘라낸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이 각각 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을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이 각각 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은, 커넥터 캐리어 (10) 와 하우징 캐리어 (20) 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캐리어 (10) 와 하우징 캐리어 (20) 를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커넥터 캐리어 (10)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외부 도체 쉘 (30) 을 3 개 연결하고 있지만, 당연한 것이지만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 개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동일하게, 하우징 캐리어 (20) 도, 하우징 (40) 을 3 개 연결하고 있지만, 3 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 개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도 3 내지 6, 8 및 9 에 나타내는 커넥터 캐리어 및 하우징 캐리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커넥터 캐리어 (10) 는, 외부 도체 쉘 (30) 을 지지하도록 연장된 연결편 (11) 을 통하여 캐리어 연결부 (12) 에서 외부 도체 쉘 (30) 을 연결한다. 커넥터 캐리어 (10) 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할 때, 외부 도체 쉘 (30) 의 위치를 결정하는 표식이 되는 위치 결정 파일럿 (13) 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 결정 파일럿 (13) 은, 커넥터 캐리어 (10) 를 관통한 구멍이지만, 관통한 구멍 이외에, 돌기, 오목부 등 표식이 되는 것이면 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서는, 캐리어 연결부 (12) 를 절단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로부터 외부 도체 쉘 (30) 을 분리할 수 있다. 커넥터 캐리어 (10) 로부터 외부 도체 쉘 (30) 을 잘라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캐리어 연결부 (12) 에는, 절결 등의 노치, 절반 정도 새김눈을 넣은 하프 컷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40) 은, 단자를 지지하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단자의 중앙 부분을 덮어, 단자를 내장한다. 하우징 캐리어 (20) 는, 하우징 (40) 에 포함되는 단자를 지지하도록 연장된 연결편 (24) 을 개재하여 캐리어 연결부 (23) 에 의해 하우징 (40) 에 포함되는 단자를 연결한다. 요컨대, 하우징 캐리어 (20) 는, 하우징 (40) 에 내장된 단자의 후단측 (즉,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측) 에 형성된 심선 접속부 (22) 의 후단을, 연결편 (24) 을 개재하여 캐리어 연결부 (23) 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하우징 (40) 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 캐리어 (20)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할 때, 하우징 (40) 의 위치를 결정하는 표식이 되는 위치 결정 파일럿 (25) 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 결정 파일럿 (25) 은, 커넥터 캐리어 (10) 의 위치 결정 파일럿 (13) 과 동일하게, 하우징 캐리어 (20) 를 관통한 구멍이지만, 관통한 구멍 이외에, 돌기, 오목부 등 표식이 되는 것이면 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서는, 캐리어 연결부 (23) 를 절단함으로써, 하우징 캐리어 (20) 로부터 하우징 (40) 에 내장된 단자를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 캐리어 (20) 로부터 하우징 (40) 에 내장된 단자를 잘라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외부 도체 쉘 (30) 의 캐리어 연결부 (12) 와 동일하게, 캐리어 연결부 (23) 에는, 절결 등의 노치, 절반 정도 새김눈을 넣은 하프 컷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도체 쉘 (30) 은, 하우징 (40) 의 원통기부 (41) 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수용부 (31) 를 선단측 (즉, 동축 케이블의 선단측) 에 구비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결선하도록 구성된 코킹부 (결선부) (32) 를 후단측에 구비한다. 외부 도체 쉘 (30) 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우징 수용부 (31) 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벽부 (33) 가 형성된다. 벽부 (33) 는, 예를 들어, 외부 도체 쉘 (30) 의 선단으로부터 심선 코킹부 (36) 가 연장되는 위치까지의 사이의 가장자리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외부 도체 쉘 (30) 은, 하우징 (40) 의 원통부 (43) 의 주위를 둘러싸고, 원통기부 (41)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44) 를 눌러, 하우징 (40) 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대략 원통부 (34) 를 구비한다. 절곡부 (35) 는, 외부 도체 쉘 (30) 의 선단 부분에 형성되어, 대략 원통부 (34) 의 일부를 구성한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절곡부 (35) 는, 돌기 (45) 를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 수용부 (31) 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고, 절곡부 (35) 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원통부 (34) 는, 하우징 (40) 의 원통부 (43) 를 둘러싸도록 절곡부 (35) 와의 경계에서 절곡된다.
또한, 외부 도체 쉘 (30) 은, 후단 부분에 동축 케이블과의 고정을 위한 코킹부를 구비한다.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를 포함한다. 이들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는 별도로, 외부 도체 쉘 (30) 의 중앙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벽부 (33) 로부터 연장된 심선 코킹부 (36) 가 형성된다. 심선 코킹부 (36) 는, 벽부 (33) 와의 경계에서 박스상으로 절곡됨으로써, 내측에 있는 하우징 (40) 의 심선 고정부 (46) 에 의해, 심선 접속부 (22) 에 배치된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간접적으로 압착하여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외부 도체 쉘 (30) 의 후단 부분에는, 고정을 위한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 피복 코킹부 (38) 를 구비한다. 외부 도체 코킹부 (37) 는, 코킹부 (32) 에 배치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원통상으로 직접 코킹하여 외부 도체 쉘 (30) 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피복 코킹부 (38) 는, 동축 케이블의 피복을 원통상으로 직접 코킹하여 외부 도체 쉘 (30) 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외부 도체 쉘 (30) 의 중앙의 평면 부분 (즉, 심선 코킹부 (36) 가 연장된 벽부 (33) 에 끼인 평면 부분) 에는, 당해 평면 부분을 랜싱함으로써 돌출된 랜싱 스프링 (39) 이 형성되고, 랜싱 스프링 (39) 은, 하우징 (40) 의 본체부 (42) 와 걸어 맞추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40)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선단측에 원통기부 (41) 를 구비하고, 후단측에 본체부 (42) 를 구비한다. 원통기부 (41) 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는 측으로 연장된 원통부 (43) 를 구비하고, 원통부 (43)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44, 45) 를 측면에 구비한다. 돌기 (44)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외부 도체 쉘 (30) 의 대략 원통부 (34) 에 의해 눌려, 하우징 수용부 (31) 에 놓여진 원통기부 (41) 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부 (42) 는, 외부 도체 쉘 (30) 의 랜싱 스프링 (39) 에 걸어 맞추도록 구성된 구멍 (도시 생략) 을 구비한다.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쉘 (30) 에 장착했을 때에는, 본체부 (42) 는 랜싱 스프링 (39) 과 걸어 맞춤으로써, 하우징 (40) 을 고정시킬 수 있다.
원통부 (43) 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는 측으로부터 단자의 접촉부 (21) 를 노출시킨다. 하우징 (40) 의 후단측의 본체부 (42) 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하는 측으로부터 단자의 심선 접속부 (22) 를 노출시키고,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하는 측으로 연장된 심선 고정부 (46) 를 구비한다. 심선 고정부 (46) 는, 심선 접속부 (22) 의 측부 양측에 있는, 본체부 (42) 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도체 쉘 (30) 에 하우징 (40) 이 장착되었을 때, 심선 고정부 (46) 가 심선 코킹부 (36) 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연결부 (12) 는, 하우징 수용부 (31) 의 판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도체 쉘 (30) 의 벽부 (33) 가 도중에 끊어진 선단측의 위치에, 하우징 수용부 (31) 의 판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캐리어 연결부 (12) 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는 외부 도체 쉘 (30) 의 선단측에 배치할 수 있고, 커넥터 캐리어 (10) 는, 하우징 (40) 이 내장되는 단자의 후단을, 연결편 (24) 을 통하여 캐리어 연결부 (23) 에 의해 연결하는 하우징 캐리어 (20) 와는 반대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커넥터 캐리어 (10) 와 하우징 캐리어 (20) 는, 각각의 캐리어의 이동 범위,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지그 등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연결부 (12) 는, 대략 원통부 (34) 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되고, 외부 도체 쉘 (30) 의 선단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2 개 형성되어 있지만, 외부 도체 쉘 (30) 에 있어서의 캐리어 연결부 (12) 의 위치는, 커넥터 캐리어 (10) 와 하우징 캐리어 (20) 가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을 외부 도체 쉘 (30) (동축 케이블 커넥터) 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강하게 직접 코킹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피복 및 외부 도체를 직접 코킹하는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 같은 코킹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사이의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할 수 있다. 캐리어 연결부 (12) 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벽부 (33) 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선 코킹부 (36) 가 연장되는 벽부 (33) 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 대신에, 캐리어 연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캐리어 연결부 (12) 의 위치는, 외부 도체 쉘 (30) 의 코킹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사이의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한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넥터 캐리어 (10) 와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는,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외부 도체 쉘 (30) 의 바로 위에 하우징 (40) 이 배치되도록, 커넥터 캐리어 (10) 및 하우징 캐리어 (20) 가 위치 결정된 상태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 로부터, 캐리어 연결부 (23) 를 절단하여 외부 도체 쉘 (30) 에 하우징 (40) 을 수용하고, 대략 원통부 (34) 및 랜싱 스프링 (39) 에 의해 원통기부 (41) 및 본체부 (42) 를 각각 고정시키고, 캐리어 연결부 (23) 를 절단하여 하우징 캐리어 (20) 를 분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커넥터 캐리어 (10) 와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를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는, 커넥터 캐리어 (10) 로부터 잘라내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서, 릴에 감아 출하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한 캐리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나는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선단측에 연결된 커넥터 캐리어 (10) 에 더하여,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후단측의 코킹부 (도 4 의 예에서는, 피복 코킹부 (38) 이지만, 외부 도체 코킹부 (37) 여도 된다) 에 서브 캐리어 (14) 를 연결한 것이다. 서브 캐리어 (14) 는, 연결편 (15) 을 통하여 캐리어 연결부 (16) 에 의해,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단부, 예를 들어, 코킹부 (32) 의 단부와 연결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와 함께, 외부 도체 쉘 (30) 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브 캐리어 (14) 의 캐리어 연결부 (16) 는, 피복 코킹부 (38) 의 2 개의 클로를 연장하는 근원 부분의 평면 (피복 코킹부 (38) 의 등 부분에 상당하는 평면), 즉, 하우징 수용부 (31) 의 평면이 후단측으로 연신된 평면에 형성함으로써, 외부 도체 쉘 (30) 의 판면, 커넥터 캐리어 (10) 의 판면, 서브 캐리어 (14) 의 판면의 각 표면이 동일 평면 (면일한 평면) 이 되므로, 외부 도체 쉘 (30) 을 각 캐리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서브 캐리어 (14)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측부를 지나 연장된 지지편 (17) 과, 지지편 (17) 으로부터 부채상으로 펼쳐진 판상의 지지부 (18) 를 구비하고, 지지편 (17) 을 통하여 지지부 (18) 에 의해 커넥터 캐리어 (10) 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서브 캐리어 (14) 의 지지부 (18) 는, 커넥터 캐리어 (10) 의 연결편 (11) 의 지지부 (18) 에 면한 가장자리부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 (18) 는, 부채 형상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또는 연결편 (11)) 를 폭넓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 커넥터 제조시에, 외부 도체 쉘 (30) 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하우징 (40) 을 외부 도체 쉘 (30) 에 장착할 때, 외부 도체 쉘 (30) 은 지지부 (18) 에 의해 확실히 고정되므로, 하우징 (40) 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절단 위치 (19) 는, 서브 캐리어 (14) 를 커넥터 캐리어 (10)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로부터 분리할 때, 절단하는 위치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은,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커넥터 캐리어 (10) 및 서브 캐리어 (14) 에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는, 커넥터 캐리어 (10) 의 캐리어 연결부 (12) 에 의해 선단측을 연결하고, 서브 캐리어 (14) 의 캐리어 연결부 (16) 에 의해 후단측을 연결함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및 서브 캐리어 (14) 에 의해 지지된 외부 도체 쉘 (30) 의 바로 위에 하우징 (40) 이 배치되도록, 커넥터 캐리어 (10) 및 하우징 캐리어 (20) 가 위치 결정된 상태 (도 2 에서 나타내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 에서, 캐리어 연결부 (23) 를 절단하여 외부 도체 쉘 (30) 에 하우징 (40) 을 수용하고, 대략 원통부 (34) 및 랜싱 스프링 (39) 에 의해 원통기부 (41) 및 본체부 (42) 가 각각 고정되고, 캐리어 연결부 (23) 를 절단하여 하우징 캐리어 (20) 를 분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커넥터 캐리어 (10) 및 서브 캐리어 (14) 에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를 제조할 수 있고,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는, 커넥터 캐리어 (10) 및 서브 캐리어 (14) 로부터 잘라내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서, 릴에 감아 출하할 수도 있다.
커넥터 캐리어 (10) 및 서브 캐리어 (14) 에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로부터, 캐리어 연결부 (16) 및 절단 위치 (19) 를 절단함으로써, 서브 캐리어 (14) 를 제거할 수 있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넥터 캐리어 (10) 와 연결된 상태의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를 얻을 수 있다. 서브 캐리어 (14) 를 제거한 후의 제조 공정,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축 케이블 (60) 을 결선하는 공정 등은, 도 1 내지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연결부 (12) 외에,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 같은 코킹부와 연결된 캐리어 연결부 (16) 를 구비하고 있지만, 커넥터 캐리어 (10) 와 연결된 캐리어 연결부 (12) 를 적어도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에, 동축 케이블 (60) 을 결선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5 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축 케이블 (60) 은, 절연 피복 (61), 외부 도체 (62), 절연체 (63) 및 심선 (64) 으로 구성된다. 절연 피복 (61) 은, 외부 도체 (62) 를 피복하고, 외부 도체 (62) 는 절연체 (63) 를 둘러싸며, 절연체 (63) 는 심선 (64) 을 둘러싼다. 동축 케이블 (60) 의 심선 (64) 은 단자의 심선 접속부 (22) 상에 배치되고, 외부 도체 (62) 및 절연 피복 (61) 은 코킹부 (32) 상에 배치된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동축 케이블을 코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심선 (64) 은 심선 코킹부 (36) 를 코킹함으로써, 내측에 있는 하우징 (40) 의 심선 고정부 (46) 에 의해, 심선 접속부 (22) 에 압착되어 접속된다. 외부 도체 (62) 는, 외부 도체 코킹부 (37) 를 코킹함으로써 고정된다. 절연 피복 (61) 은, 피복 코킹부 (38) 를 코킹함으로써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서는, 외부 도체 쉘 (30) 에 하우징 (40) 을 장착하고 나서 동축 케이블 (60) 의 결선을 실시하고 있지만, 제조 공정의 순서는 도 2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종적으로, 도 6 의 상태로 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하우징 (40) 에 포함되는 단자의 심선 접속부 (22) 에,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심선 (64) 을 접속시킨 후, 심선 (64) 이 접속된 하우징 (40) 을, 커넥터 캐리어 (10) 에 연결된 채인 외부 도체 쉘 (30) 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조 공정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커넥터 캐리어 (10) 에 연결된 채인 외부 도체 쉘 (30) 에, 단자를 지지 (또는 내장) 하고 있지 않은 절연성의 하우징을 장착한 후에, 절연성의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한 단자의 심선 접속부에 미리 심선이 접속된 동축 케이블을, 동축 케이블이 부착된 단자로 하여 하우징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를 구성하는 외부 도체 쉘 (30) 은, 커넥터 캐리어 (10) 에 연결된 채이므로, 동축 케이블을 결선할 때, 커넥터 캐리어 (10) 를 지그 등으로 누름으로써, 커넥터 캐리어 (10) 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고정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자체를 끼워 넣어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등의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를 커넥터 캐리어 (10) 에 연결한 상태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 (60) 을 결선한 후의 검사 공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 은,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잘라낸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요컨대, 도 7 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에 동축 케이블 (60) 이 결선된 상태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 에서, 캐리어 연결부 (12) 를 절단함으로써, 연결편 (11) 을 통하여 연결된 커넥터 캐리어 (10) 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는, 외부 도체 쉘 (30) 의 벽부 (33) 가 도중에 끊긴 선단측의 위치에, 캐리어 연결부 (12) 를 절단한 것에 의해, 외부 도체 쉘 (30) 의 가장자리 부분에 볼록상으로 형성된 절단부 (51) 를 구비한다. 절단부 (51) 는 외부 도체 쉘 (30) 이 컨택트 캐리어 (10) 로부터 절단된 자국이고, 절단부 (51) 가 형성되는 위치는, 캐리어 연결부 (12) 의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외부 도체 쉘 (30) 의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 같은 코킹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사이의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캐리어 연결부 (12) 의 위치에, 절단부 (51) 는 형성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연결부 (12) 에서 절단된 자국인 절단부 (51) 이외에, 캐리어 연결부 (16) 에서 절단된 자국인 절단부 (도시 생략) 가 코킹부의 단부에 형성되지만, 절단부 (51) 는, 적어도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캐리어 연결부 (12) 가 대략 원통부 (34) 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단부 (51) 도 대략 원통부 (34) 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이 각각 캐리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외부 도체 쉘을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컨택트 캐리어 (10) 와 연결하는 캐리어 연결부 (12) 는, 도 1 내지 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도체 쉘 (30) 의 선단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연결부의 위치는, 커넥터 캐리어와 하우징 캐리어가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는 위치이면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 연결부의 위치는, 외부 도체 쉘 (30) 의 피복 코킹부 (38) 및 외부 도체 코킹부 (37) 와 같은 코킹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선단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캐리어 (70) 는, 연결편 (71) 을 통하여 캐리어 연결부 (72) 에 의해,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절곡부 (35) 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연결편 (71) 은, 커넥터 캐리어 (70) 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캐리어 (70) 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축 케이블 커넥터 (50) 의 절곡부 (35) 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커넥터 캐리어 (70) 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조할 때, 외부 도체 쉘 (30) 의 위치를 결정하는 표식이 되는 위치 결정 파일럿 (73) 을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연결부 (72) 를 절곡부 (35) 의 상단부의 경계에 형성한 경우에도, 커넥터 캐리어 (70) 는, 하우징 캐리어 (20) 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커넥터 캐리어 (70) 및 하우징 캐리어 (20) 의 각각의 이동 범위,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져, 지그 등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된 실시예가 아니고, 각각 조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1 이상 연결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공정에서 이용할 수 있고, 제조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소형 전자 기기 내의 전기 신호 전송 등에 사용할 수 있다.
10 : 커넥터 캐리어
11 : 연결편
12 : 캐리어 연결부
13 : 위치 결정 파일럿
14 : 서브 캐리어
15 : 연결편
16 : 캐리어 연결부
17 : 지지편
18 : 지지부
19 : 절단 위치
20 : 하우징 캐리어
21 : 접촉부
22 : 심선 접속부
23 : 캐리어 연결부
24 : 연결편
25 : 위치 결정 파일럿
30 : 외부 도체 쉘
31 : 하우징 수용부
32 : 코킹부
33 : 벽부
34 : 대략 원통부
35 : 절곡부
36 : 심선 코킹부
37 : 외부 도체 코킹부
38 : 피복 코킹부
39 : 랜싱 스프링
40 : 하우징
41 : 원통기부
42 : 본체부
43 : 원통부
44, 45 : 돌기
46 : 심선 고정부
50 : 동축 케이블 커넥터
51 : 절단부
60 : 동축 케이블
61 : 절연 피복
62 : 외부 도체
63 : 절연체
64 : 심선
70 : 커넥터 캐리어
71 : 연결편
72 : 캐리어 연결부
73 : 위치 결정 파일럿

Claims (21)

  1.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과,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부를 후단 부분에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를 수용하기 위한 평면을 갖는 하우징 수용부를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에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볼록상으로 형성된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이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캐리어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절단된 자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벽부가 없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에 상대 커넥터와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에 상기 원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절단부에 더하여,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다른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부 도체 쉘을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1 이상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동축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를 수용하기 위한 평면을 갖는 하우징 수용부를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에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된 캐리어 연결부를 통하여 커넥터 캐리어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벽부가 없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측에 상대 커넥터와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보다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선단에 상기 원통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연장된 연결편을 통하여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는, 노치 또는 하프 컷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에 더하여,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다른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캐리어 연결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상기 코킹부를 지지하는 서브 캐리어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는, 상기 서브 캐리어로부터 연장된 지지편의 선단의 지지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13.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부터,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기재된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부터, 상기 코킹부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다른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절단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상기 서브 캐리어를 상기 커넥터 캐리어로부터 잘라내는 공정과,
    상기 코킹부보다 선단측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된 상기 캐리어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의 심선 접속부에 배치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심선 코킹부의 내측에 있는 절연성의 심선 고정부에 의해, 상기 심선 접속부에 압착하여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각각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단자의 심선 접속부에,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접속시키는 공정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상기 심선 접속부에 결선된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피복 코킹부와 외부 도체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외부 도체 쉘은, 심선 코킹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캐리어를 잘라내는 공정 전에,
    단자를 지지하고 있지 않은 절연성의 하우징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심선 접속부에 접속된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부 도체 쉘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심선 코킹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외부 도체 쉘에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후단 부분에 형성된 상기 외부 도체 코킹부 및 상기 피복 코킹부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피복을 코킹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131973A 2015-10-29 2016-10-12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565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2611 2015-10-29
JPJP-P-2015-212611 2015-10-29
JP2015235464A JP6643064B2 (ja) 2015-10-29 2015-12-02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キャリア付き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JP-P-2015-235464 2015-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53A KR20170051253A (ko) 2017-05-11
KR102565512B1 true KR102565512B1 (ko) 2023-08-09

Family

ID=5871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73A KR102565512B1 (ko) 2015-10-29 2016-10-12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43064B2 (ko)
KR (1) KR102565512B1 (ko)
CN (1) CN107046189B (ko)
TW (1) TWI703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3544B (zh) * 2017-10-25 2021-02-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装配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516A (ja) * 2003-07-10 2005-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連鎖端子
JP2013045575A (ja) * 2011-08-23 2013-03-04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3485A (en) * 1960-12-08 1964-12-29 Amp Inc Connector pins
PL101663B1 (pl) * 1974-10-30 1979-01-31 Method of generating mechanical periodic impulse vibrations
JP2904240B2 (ja) * 1991-12-12 1999-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接続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H08153557A (ja) * 1994-11-29 1996-06-11 Amp Japan Ltd 雌端子及びこれを使用した同軸コネクタ
JP3333928B2 (ja) * 1998-03-26 2002-10-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コンタクト及び圧着機
TW554589B (en) * 2002-07-08 2003-09-21 Insert Entpr Co Ltd Processing method of coaxial microwave connector
CN1266805C (zh) * 2002-11-23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TWI283497B (en) * 2002-11-29 2007-07-01 Hon Hai Prec Ind Co Ltd A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TW200935687A (en) * 2008-02-12 2009-08-16 yi-xiu Lin Coaxial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909645B2 (en) * 2008-06-24 2011-03-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JP2010080262A (ja) * 2008-09-26 2010-04-08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1320B2 (ja) * 2008-10-29 2011-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6963B2 (ja) * 2009-07-22 2013-1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402549U (en) * 2009-11-24 2011-04-21 Harumoto Precision Co Ltd Coaxial connector shielding case structure
CN201623269U (zh) * 2010-04-15 2010-11-03 昆山荆城电子有限公司 一种同轴电缆连接器
JP5229924B2 (ja) 2011-05-16 2013-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516A (ja) * 2003-07-10 2005-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連鎖端子
JP2013045575A (ja) * 2011-08-23 2013-03-04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4671A (zh) 2017-07-01
JP6643064B2 (ja) 2020-02-12
CN107046189A (zh) 2017-08-15
TWI703780B (zh) 2020-09-01
KR20170051253A (ko) 2017-05-11
JP2017084751A (ja) 2017-05-18
CN107046189B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5878B2 (ja) 改良された接地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20049219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10367275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carrier-equipped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 connector
JP6943175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394708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910713B1 (ko) 동축 케이블 콘택트
US10181683B2 (en)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04460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2565512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캐리어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4380717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10800161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H087968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JP6330845B2 (ja) 電線用コネクタ
JP2008300100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802260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021118A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KR102575386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6066406A (ja) コネクタ
JP202007748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3272778A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