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805B1 -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805B1
KR100993805B1 KR1020080061004A KR20080061004A KR100993805B1 KR 100993805 B1 KR100993805 B1 KR 100993805B1 KR 1020080061004 A KR1020080061004 A KR 1020080061004A KR 20080061004 A KR20080061004 A KR 20080061004A KR 100993805 B1 KR100993805 B1 KR 10099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ower c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186A (ko
Inventor
윤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8006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신호 전달을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단자,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장착하는 어퍼케이스 및 이 어퍼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필요치 않게 되며, 단자간의 연결로 인해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조인트, 터미널, 단자, 멀티박스,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JOINT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조인트 커넥터를 필요치 않게 되며, 단자간의 연결로 인해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란 전자제품의 각종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부품을 말하는데, 종래 조인트 커넥터는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으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일 하우징은 전기적 접속을 위해 내부에 네 개의 접속핀을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스플라이스팩을 억지 삽입 고정하고, 후측으로 스플라이스팩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으로 씌워 밀폐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 하우징은 메일 하우징 전측으로 삽입되며, 접속핀을 수용하기 위해 핀홀을 네 개 형성한다. 특히,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핀홀에는 접속핀과 외부의 전선을 연결한 압착단자를 각각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이스팩의 접속핀과 압착단자는 각각 양극과 음극의 성질을 갖는 두 쌍의 전선을 조인트(joint)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전선들의 다발인 와이어 하네스와 면패드로 테이핑 처리된다.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의 사이즈가 너무 커서 설치 작업시 인접한 전선들과 간섭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면패드로 테이핑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의 개수 증가로 인해 연결을 위한 전선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구비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거 가능한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자의 접속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고 신호 전달을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단자,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장착하는 어퍼케이스 및 이 어퍼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케이스는 단자를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갖는 플레이트를 내부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내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억지 끼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둘레면에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은 내측면에 걸림홈을 함몰 형성하며,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포켓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상기 로어케이스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홈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케이스는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갖는 멀티박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로어케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구는 내측면에 돌출편을 중심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부방향으로 가이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어케이스는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편에 지지되는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편은 하측에 접한 상기 가이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편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편은 내측면에 후크돌기를 돌출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후크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후크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로어케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구는 상측과 내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내측면에 형성하며, 상기 하 우징은 가이드돌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로어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수납블록을 돌출하고, 상기 수납블록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드 안내를 위해 슬라이드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단자의 접속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어퍼케이스와 로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 인트 터미널 장치의 로어케이스와 멀티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는 단자(12), 어퍼케이스(20) 및 로어케이스(30)를 포함한다.
단자(12)는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된다. 즉, 단자(12)는 인쇄회로기판(10)에 본딩되어 전원공급과 신호 전달 역할을 한다. 이때, 단자(12)는 차량의 전장품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해당 전장품(도시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와이어 하네스(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된다. 그리고, 단자(12)는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본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측을 인쇄회로기판(10)의 하부로 소정 돌출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단자(12)는 상부 누름력 발생시 인쇄회로기판(10)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견고하게 본딩 처리된다. 단자(12)는 인쇄회로기판(10)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과 단자(12)는 외부로부터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인쇄회로기판(10)은 어퍼케이스(20)에 삽입된다. 즉, 어퍼케이스(20)는 인쇄회로기판(10)을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어퍼케이스(20)는 상·하측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플레이트(32)를 형성한다. 그래서, 어퍼케이스(20)는 플레이트(32)에 의해 상·하측으로 구획된다. 플레이트(32)는 어퍼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플레이트(32)는 하측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단자(12)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34)을 통공한다. 따라서, 플레이트(32)의 하측면은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과 면접된다. 그래서, 플레이트(32)는 인쇄회로기판(10)이 어퍼케이스(20)의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단자(12)는 삽입홀(34)에 삽입되어 플레이트(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어퍼케이스(20)는 플레이트(32)의 하측에 해당되는 내측 둘레면에 다수 개의 리브(22)를 돌출한다. 리브(22)는 인쇄회로기판(10)이 어퍼케이스(20) 하측 내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인쇄회로기판(10)은 리브(22)에 의해 어퍼케이스(20) 내부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어퍼케이스(20)의 하측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어퍼케이스(20)는 개방된 하측에 로어케이스(30)를 장착한다. 로어케이스(30)는 인쇄회로기판(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로어케이스(30)는 단자(12)에 작용되는 외부 누름시 인쇄회로기판(10)이 하향 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어퍼케이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로어케이스(30)는 어퍼케이스(2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로어케이스(30)는 내측면에 걸림홈(44)을 형성하고, 어퍼케이스(20)는 둘레면에 걸림돌기(48)를 돌출 형성한다. 그래서, 걸림돌기(48)가 걸림홈(44)에 삽입됨으로써 로어케이스(30)와 어퍼케이스(20)는 결속된다. 특히, 걸림돌기(48)는 어퍼케이스(20)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면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되고, 걸림홈(44)은 각 걸림돌기(48)에 대응되도록 로어케이스(30) 내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로어케이스(30)는 걸림홈(44)과 인접되는 바닥면에 삽입홀(49)을 통공한다. 그래서, 작업자는 삽입홀(49)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공구와 같은 툴(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여 걸림홈(44)에 삽입된 걸림돌기(48)를 억지 이탈시킨다. 따라서, 로어케이스(30)와 어퍼케이스(20)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로어케이스(30)가 어퍼케이스(20)에 결합시, 로어케이스(30)의 상측은 인쇄회로기판(10)을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로어케이스(30)가 인쇄회로기판(10)을 지지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로어케이스(30)는 단자(12)에 가해지는 외부 누름력 발생시 인쇄회로기판(10)의 하향 휨을 방지한다.
한편, 로어케이스(30)는 다수 개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멀티박스(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퍼케이스(20)와 결합된 로어케이스(30)를 멀티박스(50)에 장착함으로써 멀티박스(50)를 모듈화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멀티박스(50)는 로어케이스(30)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구(62)를 형성한다. 이 수납구(62)는 로어케이스(30)의 높이에 따라 깊이가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나, 호환성을 위해 상·하측 연통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납구(62)는 내측면에 돌출편(63)을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이 돌출편(63)은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편(64)을 형성한다.
아울러, 로어케이스(30)는 돌출편(63) 및 가이드편(64)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에 연장편(66)을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연장편(66)은 단부에서 하향되는 커버편(67)을 연장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편(64)은 커버편(67)과 로어케이스(30) 둘레면 사이에 삽입된다. 즉, 로어케이스(30)는 가이드편(64)에 지지되어 수납구(62)에 장착된다.
이때, 로어케이스(30)가 수납구(62)에 견고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커버편(67)은 내측면에 후크돌기(68)를 돌출 형성하고, 가이드편(64)은 후크홀(65)을 통공한다.
그래서, 가이드편(64)이 커버편(67)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커버편(67)의 후크돌기(68)는 가이드편(64)의 후크홀(65)에 수용됨에 따라 로어케이스(30)는 수납구(62)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커버편(67)은 연장편(66)에서 하향 수직되게 연장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편(67)을 수납구(62) 내측면 방향으로 벌리면, 후크돌기(68)는 후크홀(65)에서 이탈되고, 이에 따라, 로어케이스(30)는 수납구(6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로어케이스(30)가 수납구(62)에 정위치 조립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수납구(62)는 내측면에 하우징(72)을 형성한다. 이 하우징(72)은 상측 및 내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하우징(72)은 내측면에 가이드돌기(74)를 형성한다. 가이드돌기(74)는 원통 막대 또는 다각 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72)의 마주하는 양측 내부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어케이스(30)는 하우징(72)에 대응되게 수납블록(76)을 둘레면에서 연장 형성하고, 수납블록(76)은 슬라이드홈(78)을 함몰 형성한다. 슬라이드홈(78)은 가이드돌기(74)를 삽입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로어케이스(30)가 수납구(62)에 장착시, 수납블록(76)은 하우징(72)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슬라이드홈(78)은 가이드돌기(74)의 축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된다.
이때, 로어케이스(30)는 양측면에 각각 연장편(66)과 수납블록(76)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측면에 연장편(66)과 커버편(67)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수납블록(7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어퍼케이스와 로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로어케이스와 멀티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인쇄회로기판 12: 단자
20: 어퍼케이스 30: 로어케이스
32: 플레이트 44: 걸림홈
48: 걸림돌기 50: 멀티박스
62: 수납구 63: 돌출편
64: 가이드편 66: 연장편
67: 커버편 72: 하우징
76: 수납블록

Claims (8)

  1. 전원을 공급받고, 신호 전달을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단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 장착하는 어퍼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로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케이스는 모듈화를 위해 다수 개의 커넥터를 갖는 멀티박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로어케이스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단자를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갖는 플레이트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내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억지 끼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케이스는 내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걸림홈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는 내측면에 돌출편을 중심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편은 상부방향으로 가이드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로어케이스는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편에 지지되는 연장편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편은 하측에 접한 상기 가이드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편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편은 내측면에 후크돌기를 돌출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후크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후크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는 상측과 내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내측면에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가이드돌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로어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수납블록을 돌출하고;
    상기 수납블록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슬라이드 안내를 위해 슬라이드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KR1020080061004A 2008-06-26 2008-06-26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KR10099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004A KR100993805B1 (ko) 2008-06-26 2008-06-26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004A KR100993805B1 (ko) 2008-06-26 2008-06-26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86A KR20100001186A (ko) 2010-01-06
KR100993805B1 true KR100993805B1 (ko) 2010-11-12

Family

ID=4181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004A KR100993805B1 (ko) 2008-06-26 2008-06-26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940B1 (ko) * 2016-08-10 2017-03-21 주식회사 경신 프로텍터의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37B1 (ko) * 2012-02-09 2018-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KR102507028B1 (ko) * 2021-03-11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2583678B1 (ko) * 2022-02-25 2023-10-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커넥터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83Y1 (ko) * 2002-04-30 2002-07-23 영화테크(주) 자동차용 원보드 정션박스
JP2007244145A (ja) 2006-03-10 2007-09-20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83Y1 (ko) * 2002-04-30 2002-07-23 영화테크(주) 자동차용 원보드 정션박스
JP2007244145A (ja) 2006-03-10 2007-09-20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940B1 (ko) * 2016-08-10 2017-03-21 주식회사 경신 프로텍터의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86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01B1 (ko)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적층구조
CN102324656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US7422466B1 (en) Connector with cover for a latching part
JP200203315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100993805B1 (ko)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CN103311854A (zh) 电连接箱
US10727625B2 (en) Wiring module
JP2013115048A (ja) 携帯端末用の接続プラグ
EP2093843B1 (en) Plug inner frame
CN109212674B (zh) 适配器安装壳及使用该安装壳的适配器
CN213959244U (zh) 电连接件模组
CN211320403U (zh) 一种带弹片接触的连接器
CN208423276U (zh) 插座连接器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CN214099987U (zh) 连接器端子、连接器及电机
KR200404468Y1 (ko) 연결 케이블
CN212934880U (zh) 一种插拔式接线盘
CN217522281U (zh) 一种电连接头及应用其的电缆
KR200472617Y1 (ko) PCB 및 땜을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용 microUSB 플러그 조립체
CN109687200B (zh) 一种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217522275U (zh) 一种电连接头
CN103855535A (zh) 具有抗拉机制的线对板连接器组件
CN220628413U (zh) 短接连接器
CN114498141B (zh)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