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825A -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825A
KR20120068825A KR1020127003474A KR20127003474A KR20120068825A KR 20120068825 A KR20120068825 A KR 20120068825A KR 1020127003474 A KR1020127003474 A KR 1020127003474A KR 20127003474 A KR20127003474 A KR 20127003474A KR 20120068825 A KR20120068825 A KR 2012006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 film
core body
operation tool
film winding
wind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660B1 (ko
Inventor
요시야 후루이치
Original Assignee
스트라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라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트라 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65B67/085Wrapping of articles using hand-held dispensers for stretch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65B67/10Wrapping-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2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details or the parts to be hold by the user, e.g.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에 대해서, 봉상체(棒狀體) 또는 원통축 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체를 삽입하고, 이 코어체의 양단측에는, 이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한쌍의 피파지구를 배치한다. 코어체의 양단에는, 코어체와 피파지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마련하도록 한다. 한쌍의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과 결합부의 사이에는, 그 피파지구와 결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착탈기구를 마련한다. 이에 의해,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R)에의 장착이 지극히 간단해진다. 또, 손바닥을 이용해 피파지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끝이 자유로워지므로 스트레치 필름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본 발명은, 피포장물에 사용하는 합성수지 필름을 손으로 감는 용도로 사용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트레치 필름을 손으로 감아 포장하는 조작구는 많이 개시되어 있으며, 시판이나 스트레치 필름의 판매촉진 용품으로서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인 일본특허공개 평 08-119242호 공보(단락 0005~0007), 및, 비특허문헌인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수동권취용 홀더를 참조).
상기 특허문헌의 스트레치 필름의 수동권취 조작구는, 스트레치 필름의 권 심인 지관 내에 삽통하여 사용하는 조작이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판형상의 조작구이다. 이 조작구는, 지관(紙管)의 일측 단면의 받침부를 갖는 제1 숄더부와, 타측 단면의 받침부를 갖는 제1 숄더부에 연속하는 그립부와, 제2 숄더부에 연속하는 핸들부로 이루어진다. 지관 홀더부와 제1 숄더부와 그립부는 지관 내에 삽통 가능하고, 제2 숄더부는, 지관의 내경보다 폭이 넓고, 핸들부는 지관 홀더부보다 짧으며, 길이 방향단 모서리부에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핸들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는 스트레치 필름 커터를 마련할 수 있다, 고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사용에 있어서는, 스트레치 필름의 지관 내에 보드를 삽통하고, 이 보드의 상단면에 있어서의 그립관의 훅 구멍에 대하여 하단면에 위치하는 핸들부 및 밴드를 접어, 그 밴드 선단의 훅을 걸어 고정한다. 그 그립과 밴드의 손잡이를 잡고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짐의 둘레에 필름을 감는다. 따라서, 특허문헌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서는,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를 조작구에 장착하는 것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그립과 손잡이를 잡고 거의 수직으로 감는 동작을 하기 때문에 롤체를 유지할 때의 안정성이 나쁘고, 피포장물에 스트레치 필름을 밀착시키면서 감는 것이 어려워지고, 작업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에,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비특허문헌인 수동권취용 홀더는, 포장?곤포 자재 관련 메이커나 판매 회사에 의해, 인터넷 홈 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특허문헌인 수동권취용 홀더는, 본 출원자가 입수한 시중 유통품으로부터 그린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권취용 홀더는, 바닥부(41)의 중심에 손걸이용 장공(43)을 직각방향으로 연 유저(有底)의 원형의 내통(41)과, 이것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원형의 외통(4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2개의 부재를 세트로 하여 한쌍으로 사용하고, 외통(42)을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의 양단으로부터 코어재로 되는 지관(P) 내에 삽입한다. 내통(41)의 손걸이용 장공(43)에, 양손의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 전부를 넣어 롤체(R)를 들어, 거의 롤체(R)를 수직 상태(연직 상태)로 하여 짐의 둘레를 감는다. 이때, 엄지 손가락은, 항상 롤체(R)의 표면에 붙이고, 그 마찰력에 의애 스트레치 필름(F)에 장력을 부여한다. 이 수동권취용 홀더는, 가로 폭이 500mm, 길이 300 m정도로 상당히 중량이 있는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에도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 경량이기 때문에 피로감이 적다,고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의 수동권취용 홀더는, 지관(P)에 삽입하여 사용하지만, 지관(P)의 내경 치수와 수동권취용 홀더의 외경 치수에는 불균형이 있기 때문에, 수동권취용 홀더를 지관(P)에 삽입할 때에, 끼이는 경우와 반대로 느슨한 경우가 있어, 끼움결합 상태가 일정하지 않다. 끼움결합 상태가 끼이는 경우에는, 수동권취용 홀더를 지관(P)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고 장착성이 나빠지며, 반대로 끼움결합 상태가 느슨한 경우에는, 권취 작업 중에 수동권취용 홀더가 지관(P)으로부터 탈락하여 롤체(R)가 낙하한다.
또, 수동권취 작업을 위해서 지면에 세운 상태인 롤체(R)를 들어올릴 때에는, 수동권취용 홀더의 손걸이용 장공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롤체(R)를 들어올리지만, 끼움결합 상태가 느슨한 경우에는 지관(P)으로부터 수동권취용 홀더만 빠져나오기 때문에, 롤체(R)를 들어올릴 수 없는 등,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있다.
더욱이, 비특허문헌의 수동권취용 홀더는, 롤체(R)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경이 통상 약 76mm(3인치)가 되는 롤체(R)의 지관 내에, 외통이 푹 삽입된다. 따라서, 홀더의 치수는, 내통(41)과 이것에 끼움결합되는 외통(42)의 두께(약 5mm×2)를 제외한 치수 이하로 제약된다. 그 결과, 손걸이용 장공의 최대 길이는 그 두께만큼을 제외한 치수인 약 66mm 이하로 된다. 그러나, 손걸이용 장공이 66mm 이하에서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4개의 손가락 전부를 삽입하려고 하면, 제1 관절까지 겨우 들어간다.
편하고 지치지 않고 안정하게 작업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제2 관절까지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수동권취용 홀더에서는, 성인 작업자가 쾌적하게 작업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에 큰 부담을 주어 손가락의 피로로 인해 롤체를 낙하하거나 또는 장시간의 계속적인 작업이 곤란해진다. 때문에, 식지나 새끼 손가락 중의 하나를 손걸이용 장공으로부터 빼, 편리성을 희생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게다가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작업을 할 때에는, 피포장물이 권취 위치에 의해 양손의 상대적 각도가 수시 변화하지만, 비특허문헌의 수동권취용 홀더는, 롤체(R)에 끼움결합하여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롤체(R)와 양손의 상대적 각도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없어,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 본 출원 시에는 공지되어 있지 않지만, 지관(P)의 내경을 약 66mm나 약 25mm 등으로 설정하는 경우는, 성인 작업자의 손걸이 장공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비특허문헌의 홀더의 적용은 곤란하고, 지관 직경은 3인치 이상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범용성이 나쁘다.
더욱이 3 인치인 지관에 대해, 스트레치 필름을 400m 감은 것 같은 초장척(超長尺) 롤의 경우, 중량이 증가해 손가락에의 부담이 커진다. 더욱이, 롤체의 외경이 커지므로 처음부터 작업성이 저하한다. 이러한 초장척 필름의 롤체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의 홀더의 적용은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또, 롤체의 보관 시에는, 수동권취용 홀더가 하단이 되도록 롤체를 세워 보관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전도의 우려가 높다. 만일 전도가 발생하면 스트레치 필름(F)이 파손하거나 바닥으로부터의 먼지나 오수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권취 조작구에서는,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R)에의 장착성이 나쁘고, 스트레치 필름의 권취 시의 작업성에 떨어져, 롤체(R)의 낙하의 위험성이 있고, 범용성이 좁으며, 더욱이 롤체(R)의 보관 시의 전도에 의한 파손이나 오염 등의 위험성이 높은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이 가지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트레치 필림의 롤체(R)에의 장착이 간단하고, 피곤하지 않게 장시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롤체(R)의 낙하의 우려가 없고 양호한 작업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범용성이 넓고, 롤체(R)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권취 조작구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필름에, 봉상체(棒狀體) 또는 원통축체를 삽통(揷通)하여 사용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의 삽통되는 봉상체 또는 원통축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체와; 상기 코어체의 양단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피파지구와; 상기 코어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체와 상기 피파지구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과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파지구와 상기 결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이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구는, 손바닥에 수납할 수 있는 외경 치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는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과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파지구와 상기 결합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착탈기구와 상기 회전기구의 양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피파지구 또는 상기 결합부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직경 방향으로 확장하는 확장부와; 상기 피파지구 또는 상기 결합부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 있어서의 삽입방향 안쪽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삽입구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확장부와 상기 삽입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삽입방향 걸어맞춤(係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삽입방향 걸어맞춤단부에 연속하여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확장부와 둘레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둘레방향 걸어맞춤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둘레방향 걸어맞춤 요홈부에 수용된 상기 확장부를, 상기 둘레방향 걸어맞춤 요홈부의 기저측에 부세(付勢)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손걸이용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구는,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길이방향에 따른 최대 두께까 40mm 이하, 3mm 이상이며,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직경 방향의 최대 치수가 100mm 이하, 3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의 최대 외경이 6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가 삽입되면서 상기 코어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코어체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기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와; 상기 스트레치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이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이 7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은,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관(紙管)이 없는 코어리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기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이다.
상기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은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관이 없는 코어리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과 같이 하면, 피파지구가 코어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스트레치 필름에 대해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피파지구와 코어체의 사이가 상대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트레치 필름 권취 시에 변화하는 양손의 상대적 각도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는, 피파지구에 대해,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손걸이용 벨트를 더 설치하므로, 스트레치 필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권취 작업 시에 있어서의 보관 시의 전도가 억제되고, 전도 시에 발생하기 쉬운 바닥으로부터의 먼지나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손걸이용 벨트를, 벽이나 기둥 등에 마련한 훅 등에 걸어 스트레치 필름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피파지구의 치수는,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 치수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리하여 피파지구의 치수를, 직경 방향이 100mm 이하, 30mm 이상이며, 두께가 40mm 이하, 3mm 이상으로 하고, 코어체의 외경이 65m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스트레치 필름의 선택 범위가 넓어지므로, 넓은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체의 외형은,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 치수보다 작으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코어체를 가늘게 해 두면,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 치수에 제한되지 않고, 범용성이 넓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의하면, 스트레치 필름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피파지구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권취 작업 시에 변화하는 양손의 상대적 각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 피파지구가 소정의 치수로 설정되므로, 권취 작업 중에는, 피파지구를, 좌우의 손바닥으로 외측으로부터 감싸 누르듯이 유지할 수 있으므로, 양손 손가락의 부담이 대폭 저감한다. 따라서, 양손 손가락은 거의 자유로워진다. 자유로운 좌우 손가락으로 피파지구의 측면을 파지하고, 좌우의 손가락으로, 스트레치 필름의 표면을 누르면서, 스트레치 필름의 권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지극히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피파지구에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손걸이용 벨트를 더 설치했기 때문에, 손가락의 피로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치 필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피파지구는,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 치수의 크기에 관계없이, 직경 방향이 100mm 이하, 30mm 이상이며, 두께가 40mm 이하, 3mm 이상의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잡기가 매우 쉽다. 게다가 코어체는 외경을 65mm 이하의 치수로 설정했기 때문에,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의 크기에 적합한 외경 치수인 코어체를 채용하면 된다. 특히, 지관이 없는 것 같은 코어리스의 스트레치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넓은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피파지구에 마련한 벨트를 이용하여, 기둥이나 벽에 마련한 훅 등에는 걸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의 전도 방지나 바닥으로부터의 먼지나 오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권취 조작구는,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R)에의 장착이 간단해진다. 또, 피파지구를 손바닥을 이용해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걸 필요가 없어져, 작업 중에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손가락끝을 스트레치 필름에 접촉시킴으로써, 스트레치 필름의 장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스트레치 필름의 권취 작업 시에 변화하는 양손의 상대적 각도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손가락에의 부담이 적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 시에도 손가락이 피로하지 않고 작업성이 좋다. 또, 손가락의 피로에 의한 스트레치 필름의 낙하의 우려가 없고, 보관 시의 전도 방지 및 바닥으로부터의 오염 방지가 억제된다. 또, 여러가지 사이즈의 스트레치 필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나 바닥면상의 어느 정도 큰 곤포가 요구되는 업계 분야에 있어서의 골판지 상자나, 파이프 등의 보형물 외, 농업이나 낙농 분야에 있어서, 곡물이나 목초 등의 부정형물의 포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사용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피파지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피파지구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피파지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코어체와 그 상단 부근에 고정되는 나사 수용체의 각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코어체의 상단 부근에 나사 수용체를 장착한 상태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피파지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피파지구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피파지구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피파지구를 코어체의 일단에 결합하여 롤체의 지관에 삽통하고, 코어체의 타단에 제1 피파지구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피파지구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코어체와 그 상단 부근에 고정되는 고정체의 각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고정체의 단면을 비스듬히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피파지구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16은 권취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17은 권취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18은 권취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구성예 1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구성예 1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구성예 1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구성예 2의 스트레치 필름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의 조립품 단면도이다.
도 23은 비특허문헌의 홀더를 본 발명 출원자가 입수한 시중 유통품으로부터 그린 평면도이다.
도 24는 비특허문헌의 홀더를 본 발명 출원자가 입수한 시중 유통품으로부터 그린 도 23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의 수동권취용 권취 장치(이하, 권취 장치)(1)의 사용예의 사시도이다. 이 권취 장치(1)는, 스트레치 필름(F)과 스트레치 필름(F)의 수동권취용 권취 조작구(2)(이하, 조작구(2)라고 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조작구(2)는,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의 지관(P)에 삽통되는, 봉상체 또는 원통축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체(S)와, 이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피파지구(10, 20)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 시에는, 제1 피파지구(10)의 표면(104)(도 2 참조)과 제2 피파지구(20)의 표면(205)(도 7 참조)의 각각을, 좌우의 손바닥에 수납하여 유지하고, 제1 피파지구(10)의 측면(105)과 제2 피파지구(20)의 측면(206)을 좌우의 자유로운 손가락(f1~f5)으로 파지한다. 동시에, 손가락(f1~f5)으로 롤체(R)의 표면을 눌러, 가압력의 강약에 의해 스트레치 필름(F)의 감는 정도를 조정하면서, 이 스트레치 필름(F)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여 감는 작업을 행한다.
코어체(S)는, 여기에서는 원통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최대 외경이 65mm 이하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체(S)의 외경을 25mm 미만, 실제로는 20mm로 하여, 내경이 66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mm가 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제1 피파지구(10)를 포함한 주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구(2)는, 제1 피파지구(10)와, 착탈 레버(11)와, 결합구(50)의 부품으로 되는 나사체(12)와, 제1피파지부(10)에 설치되는 벨트(B)를 구비한다.
제1 피파지구(10)는, 손바닥에 수납된 상태로 손가락이 자유롭게 조종되는 외경 치수의 크기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이 제1 피파지구(10)의 치수는, 스트레치 필름(F)의 길이방향(이하, 길이방향이라고 함)에 따른 최대두께(H)가 40mm 이하, 3mm 이상이며, 스트레치 필름(F)의 직경 방향(이하, 지름 방향이라고 함)의 최대 치수(W)가, 100mm 이하, 30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평면부(104)는, 감을 때에는 손바닥에 수납되어 가압되도록하여 유지된다. 제1 피파지구(10)의 측면부(105)는, 자유로운 손가락(f1~f5)으로 파지된다. 그 결과, 조작구(2)는, 손바닥과 손가락(f1~f5)으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1 피파지구(10)에는, 외측의 평면부(104)에 형성되어 착탈 레버(11)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한 수납부(101)와, 이 수용부(101)의 저면에 연속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체(1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102)과, 평면부(104)와 반대측의 내측면(106)에 형성되어 스트레치 필름(F)의 지관(P)의 선단부(테두리)를 수납하기 위해서 오목한 필름 수납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손걸이용 벨트(B)는, 포제(布製)의 재료로 구성된 띠모양의 부재이다. 제1 피파지구(10)의 측면부(105)에는, 볼트구멍(B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구멍(B3)에 대향하도록 하여, 개구가 형성된 협지 플레이트(와셔)(B2)가 배치된다. 측면부(105)와 협지 플레이트(B2)의 사이에는, 벨트(B)의 단부가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볼트(B1)가, 협지 플레이트(B2)를 관통하여 측면부(105)의 볼트구멍(B3)에 고정됨으로써, 벨트(B)의 양단이 제1 피파지구(10)에 고정된다.
착탈 레버(11)는, 수용부(101)에 수용 가능한 치수인 플레이트재이며, 중앙에, 나사체(12)의 상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113)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착탈 레버(11)에는, 지름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관통공(113)의 측면에 개구하는 볼트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체(12)는, 착탈 레버(11)와 결합하기 위한 지름 방향의 볼트구멍(122)이 형성된 기둥 형상의 연결부(121)와, 이 연결부(121)의 길이방향 내측에 연속하면서 연결부(121)보다 직경이 큰 기둥 형상의 유지부(124)와, 이 유지부(124)의 길이방향 내측에 연속하여, 이 유지부(124)보다 직경의 작은 기둥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영역(123)을 구비한다. 이 나사 영역(123)은, 결합구(50)에 있어서의 나사 수용체(30)의 나사 수용부(301)와 나사 결합한다. 유지부(124)의 외경은, 코어체(S)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124)의 외주면과 코어체(S)의 내주면이 맞닿음으로써, 휨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도 5 및 도 6에는, 결합구(50)의 부품인 기둥 형상의 나사 수용체(30)와, 이 나사 수용체(30)가 고정되는 코어체(S)를 나타내고 있다. 나사 수용체(30)는, 길이방향의 단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수용 영역(301)과, 이 나사 수용 영역(301)에 대해 길이방향 내측에 연속하는 삽입부(304)를 구비한다. 삽입부(304)에는, 연결구멍(302)이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멍(302)은, 길이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된다. 이 연결구멍(302)에는, 코어체(S)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탄성 핀(60)이 삽입된다. 또한 이 연결구멍(302)은 볼트구멍이어도 좋고, 볼트에 의해 코어체(S)와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코어체(S)의 단부 부근에는, 나사 수용체(30)를 탄성 핀(60)으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멍(303)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수용체(30)의 외경 치수는, 코어체(S)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거나 다소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나사 수용체(30)는, 코어체(S)의 단부 부근 내에 딱 맞게 수납된다. 나사 수용체(30)의 연결구멍(302)과 코어체(S)의 연결구멍(30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탄성 핀(60)을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체(S)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속이 찬 봉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코어체(S)가 봉 구조인 경우는, 축의 단부 부근에, 이 나사 수용체(30)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체(S)의 내부에 나사 수용체(30)을 딱 맞게 수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코어체(S)의 단부로부터 연신하도록 하여, 나사 수용체(30)를 코어체(S)의 단부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금속재료 등을 이용함으로써, 코어체(S)와 나사 수용체(30)를 일체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피파지구(10), 착탈 레버(11), 나사체(12), 나사 수용체(30)를 조립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나사체(12)의 연결부(121)를, 제1 피파지구(10)의 관통공(10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시키고 수납부(101)로 더 돌출시켜, 착탈 레버(11)의 끼움결합부(113)에 끼움결합시킨다. 그 후, 착탈 레버(11) 측의 볼트구멍(111)과, 나사체(12) 측의 볼트구멍(122)의 위치를 맞춘 다음, 양자 내에 볼트(112)를 틀어넣어 착탈 레버(11)와 나사체(12)를 결합한다. 그 결과, 제1 피파지구(10)는, 착탈 레버(11)와 나사체(12)의 중간에 끼워져 있지만, 어느 것과도 결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나사체(12)의 연결부(121)의 주위에서 제1 피파지구(10)가 자유롭게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때문에, 후술하는 제2 피파지구(20)와의 상대 회전(위상차)을 허용 할 수 있고, 사용 시에 오른손과 왼손의 각도가 바뀌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 제1 피파지구(10)와, 결합구(50)에 있어서의 나사체(12) 및 착탈 레버(11)의 구조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전기구가 된다.
코어체(S)의 내부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 수용체(30)를 고정해 둔다. 이 상태에서, 제1 피파지구(20)에 설치된 나사체(12)의 유지부(124)와 나사 영역(123)을, 코어체(S)의 내부에 삽입하고, 이용자가, 착탈 레버(11)를 이용하여 나사체(12)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나사체(12)의 나사 영역(123)과 나사 수용체(30)의 나사 수용 영역(301)이 나사결합하여, 결합구(50)가 된다. 이와 같이, 착탈 레버(11)를 코어체(S)에 대해 좌우로 회전시키면,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를 자재로 착탈할 수 있다. 이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의 나사 구조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착탈기구가 된다.
도 7~도 9에는, 제2 피파지구(20)를 포함하는 주변 구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구(2)는, 제2 피파지구(20)와 결합구(21)를 구비한다. 결합구(21)는, 제2 피파지구(20)와 코어체(S)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2 피파지구(20)는, 손바닥에 수납된 상태로 손가락이 자유롭게 조작되는 외경 치수의 크기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2 피파지구(20)의 치수는, 길이방향에 따른 최대두께(H)가 40mm 이하, 3mm 이상이고, 지름 방향의 최대 치수(W)가 100mm 이하, 30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2 피파지구(20)는, 손바닥에 수납되었을 때에, 손가락(f1~f5)이 자유로워지므로, 이 손가락(f1~f5)에 의해, 롤체(R)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스트레치 필름(F)의 송출 상태를 자유롭게 조종할 수 있다.
제2 피파지구(20)는, 외측의 평면부(205)에 형성되어 결합구(21)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수용부(203)와, 이 수용부(203)의 저면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결합구(21)의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202)과, 평면부(205)와 반대측의 내측면(207)에 형성되어, 스트레치 필름(F)의 지관(P)의 선단부(테두리)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한 필름 수납부(201)와, 피파지구(20)와 결합구(21)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스트레치 필름(F)의 길이방향에 형성되는 볼트구멍(204)을 구비한다. 또한, 제2 피파지구(20)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개구(209)가 합계 4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구(21)는, 지름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2 피파지구(20)의 수용부(203)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부(22)와, 이 연결부(22)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삽입부(23)를 구비한다. 연결부(22)에는, 제2 피파지구(20)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삽입부(23)에는, 연결구멍(231)이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멍(231)은, 길이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구멍(231)에는, 코어체(S)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탄성 핀(60)이 삽입된다.
결합구(21)가 고정되는 코어체(S)의 단부 부근에는, 결합구(21)를 탄성 핀(60)으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멍(233)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구(21)에 있어서의 삽입부(23)의 외경 치수는, 코어체(S)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거나 다소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삽입부(23)는, 코어체(S)의 단부 부근 내에 딱 맞게 삽입된다. 삽입부(23)의 연결구멍(231)과 코어체(S)의 연결구멍(23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탄성 핀(60)을 삽입하면 양자가 고정된다.
제2 피파지구(20)와 결합구(21)를 조립할 때는, 우선, 제2 피파지구(20)의 관통공(202)에 대해 결합구(21)의 삽입부(23)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삽입하고, 결합구(21)의 연결부(22)를 제2 피파지구(20)의 수용부(203)에 수용한다. 더욱이, 연결부(22)의 볼트구멍과 제2 피파지구(20)의 볼트구멍(204)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양자를 볼트(221)로 결합한다. 그 후, 결합구(21)의 삽입부(23)를 코어체(S) 내에 삽입하여, 양자를 탄성 핀(60)으로 고정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품인 본 실시형태의 조작구(2)는, 코어체(S)의 일단 내부에, 나사 수용체(30)를 장착해 두고, 코어체(S)의 타단에는, 결합구(21)와 제2 피파지구(20)를 장착해 둔다. 제1 피파지구(10)에는, 밴드(B), 착탈 레버(11), 나사체(12)를 설치해 둔다. 이 조작구(2)에 대해서, 코어체(S)의 일단측을,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의 지관(P)에 삽통한다. 그 다음에, 제1 피파지구(10)의 나사체(12)를, 코어체(S)의 단부 내에 삽입하여, 착탈 레버(11)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를 결합시킨다. 스트레치 필름(F)이 없어지면, 착탈 레버(11)를 역회전시켜 제1 피파지구(10)를 해체하여 다 사용한 지관(P)을 꺼내 폐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피파지구(20)는 코어체(S)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피파지구(20) 측과 착탈 레버(11)를 상대 회전시키면, 코어체(S) 내에 고정되어 있는 나사 수용부(30)와 착탈 레버(11)에 고정되어 있는 나사부(12)가 상대 회전하여 양자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피파지구(10)을 매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또, 사용 중에, 손바닥과 손가락으로 유지되는 제1 피파지구(10)는, 착탈 레버(11) 및 결합구(50)의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피파지구(10)는, 결합구(50)의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치 필름(F)의 권취 시에 있어서, 양손에 상대적인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 회전 자재성을 얻을 수 있다.
사용 중에 있어서, 제1 피파지구(10)와 제2 피파지구(20)의 사이에 상대적인 각도 변화가 발생하여도, 제1 피파지구(10)는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결합부(50)에 있어서의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에 상대적인 각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에 나사부(12)와 나사 수용부(30)의 나사결합 상태가 느슨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레치 필름을 감을 때, 지관(P)은, 코어체(S)의 외주를 상대 회전하면서 스트레치 필름(F)를 송출한다. 이때, 코어체(S)와 지관(P)의 사이에 약간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지관(P)을 회전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경우여도, 나사체(12) 및 나사 수용체(30)에 의한 착탈 자재 구조는, 자유 회전 가능한 제1 피파지구(10)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피파지구(20)와 코어체(S)의 양자가 고정되어 있는 한, 나사체(12) 및 나사 수용체(30)에는 상대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는 역나사(시계 반대방향 회전)에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치 필름(F)의 송출 방향을 표시해 두면, 지관(P)과 코어체(S)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코어체(S)가 회전하려고 해도, 나사체(12)와 나사 수용부(30)를 더 단단히 조이는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이 약간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권취 작업 시에, 제1 피파지구(1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스트레치 필름(F)의 송출 방향을 반대로 표시하는 경우는, 나사체(12)와 나사 수용체(30)는 정나사(시계방향 회전)에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취 작업 시에, 작업자는 제1 피파지구(10)의 벨트(B)에 한 손을 통과한 상태에서, 이 제1 피파지구(10)를 손바닥으로 유지하고, 또 다른 손으로 제2 피파지구(20)를 손바닥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양손에서, 복수개의 손가락(f1~f5)(특히 엄지 손가락)이 자유로워져, 제1 피파지구(10)와 제2 피파지구(20)의 측면을 파지시키면서도,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의 표면을, 손가락 끝으로 누를 수 있다. 이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치 필름(F)의 송출 속도 및 장력을 적절히 조정하면서, 권취 작업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롤체(R)의 낙하의 우려도 없고,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권취 작업 종료 시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f1)으로 스트레치 필름 롤체(R)의 표면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치 필름(F)을 임의의 시점에서 절단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손가락을 홈이나 구멍에 삽입하여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피파지구(10)와 제2 피파지구(20)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듯이 손으로 잡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가락(f1~f5)(특히 엄지 손가락)이 자유로워 진다. 따라서, 작업 중에 있어서도 손가락(f1~f5)이 압박되지 않으므로,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제1 피파지구(10)와 제2 피파지구(20)의 외측의 표면이 평탄해지므로, 권취 장치(1)를 지면에 세울 때에,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권(券)취 장치(이하, 권(捲)취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부재에 대해서는, 도 및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부호와 일치시킴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권취 장치(1)는, 조작구(2)에 있어서, 제1 피파지구(10) 및 그 주변 구조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피파지구(10)는, 외측의 평면부(104)에 형성되어 착탈 레버(11)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한 수납부(101)와, 이 수용부(101)의 저면에 연속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걸림부(1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102)과, 평면부(104)와 반대측의 내측면(106)에 형성되어 스트레치 필름(F)의 지관(P)의 선단부(테두리)를 수납하기 위해서 오목한 필름 수납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레버(11)는, 수용부(101)에 수용 가능한 치수의 플레이트재이며, 중앙에, 결합구(50)의 부품으로 되는 걸어맞춤체(13)와 연결하기 위한 볼트구멍(111)이 형성된다.
걸어맞춤체(13)는, 착탈 레버(11)와 결합하기 위한 길이방향의 볼트구멍(132)이 설치된 기둥 형상의 연결부(131)와, 이 연결부(1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속하면서 연결부(131)보다 직경이 큰 기둥 형상의 유지부(134)와, 이 유지부(134)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속하면서 이 유지부(134)보다 직경이 작은 기둥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주에, 압축 스프링(80) 및 와셔(82)가 배치되는 삽입 영역(133)을 구비한다. 삽입 영역(133)의 선단측에는 핀 구멍(135)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 핀 구멍(135)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확장부에 해당하는 확장 핀(62)이 고정된다. 확장 핀(62)의 양단은, 삽입 영역(133)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134)의 외경은, 코어체(S)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134)의 외주면과 코어체(S)의 내주면이 맞닿으므로써, 휨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도 13 및 도 14에는, 결합구(50)의 부품인 기둥 형상의 고정체(31)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체(31)는, 걸어맞춤 영역(311)과, 이 걸어맞춤 영역(311)에 대해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속하는 삽입부(314)를 구비한다. 삽입부(314)에는, 연결구멍(312)이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 연결구멍(312)에는, 코어체(S)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탄성 핀(60)이 삽입된다.
걸어맞춤 영역(311)은, 걸어맞춤체(13) 측의 단면에 형성되는 삽입구(313)와, 이 삽입구(313)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 구멍(314)과, 이 삽입 구멍(314)의 삽입방향 안쪽(여기에서는 길이방향 내측)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둘레방향 홈(315)과, 이 둘레방향 홈(315)에 연속하여 삽입방향 반대측(여기에서는 길이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반삽입방향 요홈부(316)를 구비한다.
삽입구(313) 및 삽입 구멍(314)의 내경은, 걸어맞춤체(13)의 삽입 영역(133)의 직경보다 크고, 압축 스프링(80) 또는 와셔(82)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체(13)의 삽입 영역(133)을, 삽입구(313)을 통해 삽입 구멍(314)에 삽입하면, 고정체(31)의 단면에 와셔(82)가 맞닿아, 압축 스프링(82)이 압축된다. 또한, 삽입구(313) 및 삽입 구멍(314)에는, 확장 핀(6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릴리프 홈(31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릴리프 홈(317)에 의해, 확장 핀(62)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게 된다. 삽입 구멍(314)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둘레방향 홈(315)은, 확장 핀(62)을 둘레방향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릴리프 홈(317)과 둘레방향 홈(315)의 각에 의해 구성되는 삽입방향단부(318)는, 확장 핀(62)과 길이방향으로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해, 걸어맞춤체(13)가 고정체(31)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한다. 둘레방향 홈(315)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반삽입방향 요홈부(316)는, 릴리프 홈(317)과 둘레방향으로 상대 각도차이를 가지면서 형성되고, 또 고정체(13)의 단면에 도달하는 바로 앞에서 중단되어 있다. 따라서, 반삽입방향 요홈부(316)는, 둘레방향 홈(315)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안내되는 확장 핀(62)을 더욱 삽입방향과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홈의 종료 시점에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둘레방향 홈(315)과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의 각에 의해 구성되는 둘레방향단부(319)는, 확장 핀(62)과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에 수용되어 있는 확장 핀(62)을 삽입방향으로 되밀어내지 않는 한 확장 핀(62) 및 걸어맞춤체(13)는, 고정체(31)의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없다.
이상과 같이, 확장 핀(62), 걸어맞춤체(13), 고정체(31), 압축 스프링(80) 등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탈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코어체(S)의 단부 부근에는, 고정체(31)를 탄성 핀(60)으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멍(30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체(31)의 외경 치수는, 코어체(S)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거나 다소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고정체(31)는, 코어체(S)의 단부 부근 내에 딱 맞게 수납된다. 고정체(31)의 연결구멍(312)과 코어체(S)의 연결구멍(303)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탄성 핀(60)을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한다.
제1 피파지구(10), 착탈 레버(11), 걸어맞춤체(13)를 조립할 때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걸어맞춤체(13)의 연결부(131)를, 제1 피파지구(10)의 관통공(10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시키고, 수납부(101)의 저면으로부터 더 돌출시켜, 착탈 레버(11)의 끼움결합부(113)에 끼움결합시킨다. 그 후, 착탈 레버(11) 측의 볼트구멍(111)과 걸어맞춤체(13)측의 볼트구멍(132)의 위치를 맞춘 다음, 양자 내에 볼트(112)를 틀어넣어 착탈 레버(11)과 걸어맞춤체(13)를 결합한다. 그 결과, 제1 피파지구(10)는, 착탈 레버(11)와 걸어맞춤체(13)의 중간에 끼워져 있지만, 그 어느 것과도 결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걸어맞춤체(13)의 연결부(131)의 주위에 있어서 제1 피파지구(10)가 자재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 제1 피파지구(10)와, 결합구(5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체(13) 및 착탈 레버(11)의 구조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회전기구가 된다.
더욱이, 걸어맞춤체(13)의 삽입 영역(133)에 대해서 압축 스프링(80)을 삽입하고, 와셔(82)를 더 삽입한 다음 확장 핀(62)을 핀 구멍(135)에 고정한다. 그 결과, 확장 핀(62)에 대해 와셔(82) 및 압축 스프링(80)이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와셔(82) 및 압축 스프링(80)이 삽입 영역(13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피파지구(10) 등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작구(2)의 사용 시는, 우선, 코어체(S)의 일단측을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의 지관(P)에 삽통한다. 그 다음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파지구(10)의 걸어맞춤체(13)를 코어체(S)의 단부로부터 삽입하고, 더욱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핀(62)을 릴리프 홈(317)에 따라 내부에 밀어넣는다. 이때, 와셔(82)가 고정체(31)의 단면에 맞닿으므로, 압축 스프링(80)을 수축시킨다. 그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레버(11)를 회전시킴으로써, 확장 핀(62)을 둘레방향 홈(315)에 따라 안내한다. 또한, 착탈 레버(11)를 약간 회전시키면, 바로 확장 핀(62)과 삽입방향단부(318)가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그 후는, 압축 스프링(80)을 수축시키는 힘이 불필요해진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핀(62)과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의 각도가 일치하면 압축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핀(62)이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의 기저측을 향해 부세되어 이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에 따라 삽입방향과 반대측으로 자동적으로 안내된다. 결과, 이 확장 핀(62)이 반삽입방향 요홈부(316)의 기저에 맞닿아 유지된다. 압축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저항해, 확장 핀(62)을 삽입방향으로 되밀어내지 않는 한 확장 핀(62) 및 걸어맞춤체(13)는, 고정체(31)의 내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제1 피파지구(10)를 코어체(S)로부터 제거할 때는, 상술과 반대의 순서로 실시하면 된다.
제2 실시형태의 권취 장치(1)에 의하면, 매우 간단하게, 코어체(S)에 대해서 제1 피파지구(10)를 착탈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다. 특히, 착탈기구와 회전기구의 양방이, 제1 피파지구(10) 측에 설치되어 있고, 코어체(S)는, 제2 피파지구(20) 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중에 있어서, 고정체(31)와 걸어맞춤체(13)를 상대 회전시키는 외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확장 핀(62)에 작용하는 외력도 작아도 되므로, 확장 핀(62)을 포함한 결합구(5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코어체(S)의 직경을 25mm 미만까지 가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2 실시형태에서는, 부세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고무, 판 스프링, 그 외의 탄성 구조를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제2 실시형태에서는, 코어체(S)의 내부에서 착탈기구가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9~도 2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구성예 1의 권취 장치(1)와 같이, 코어체(S)에 고정되는 결합구(50)의 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펼쳐지는 확장부(63)를 설치해 두고, 제1피파지부(10) 측에 삽입구(117)와, 삽입방향 걸어맞춤단부(118)와, 반삽입방향 요홈부(119)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확장부(63)에는, 반삽입방향 요홈부(119)와 대향하도록 걸어맞춤 돌기(64)가 걸어맞춰져 있다. 확장부(63)를, 제1 피파지구(10)의 삽입구(117)에 삽입하고, 제1 피파지구(10)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반삽입방향 요홈부(119)와 걸어맞춤 돌기(64)를 걸어맞춘다. 이것에 의해, 제1 피파지구(10)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 구성예에서는, 부세부재로서 확장부(63)의 탄성변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제2 피파지구(20) 측에 회전기구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권취 장치에 의하면, 코어체(S)의 외경이 65mm 이하로 설정되므로, 스트레치 필름(F)의 내경을 75mm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지관(P)을 이용하는 스트레치 필름(F)이면, 그 지관(P)의 내경을 75mm 이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관(P)의 내경을 25mm로 하고 있다. 따라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내경 75mm보다 큰 지관에 비해, 같은 양의 스트레치 필름(F)를 감았을 때에, 그 최대 외경을 대폭적으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트레치 필름(F)은 그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컨테이너 등으로 대량으로 운반되고 있지만, 스트레치 필름(F) 자체의 외경이 컴팩트해지므로, 물류 비용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반 시의 소비 에네르기가 삭감되므로, 근년 중요시되고 있는 환경 부하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권취 장치에 의하면, 조작구 측에 코어체(S)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트레치 필름(F)의 지관(P)을 생략한 이른바 코어리스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치 필름(F)과 코어체(S)의 마찰 저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22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예 2의 권취 장치(1)와 같이, 조작구(2)가, 코어체(S)의 외측에 설치되어 코어체(S)와 상대 회전 가능한 원통형 코어체 커버(S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체 커버(S2)와 코어리스 구조의 스트레치 필름(F)이 밀착해도, 코어체 커버(S2)는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폐기물인 지관(P)을 없앨 수 있어, 롤체(R)의 비용을 저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폐기 부담이 적은 스트레치 필름(F)의 롤체(R)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7)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필름에, 봉상체(棒狀體) 또는 원통축체를 삽통하여 사용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로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필름의 롤체에 삽통(揷通)되는 봉상체 또는 원통축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체와;
    상기 코어체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이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把持)되는 한쌍의 피파지구와;
    상기 코어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체와 상기 피파지구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과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파지구와 상기 결합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구는, 손바닥에 수납할 수 있는 외경 치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과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파지구와 상기 결합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회전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4. 제 3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착탈기구와 상기 회전기구의 양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피파지구 또는 상기 결합부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직경 방향으로 확장하는 확장부와;
    상기 피파지구 또는 상기 결합부의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 있어서의 삽입방향 안쪽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삽입구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확장부와 상기 삽입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삽입방향 걸어맞춤(係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삽입방향 걸어맞춤단부에 연속하여 상기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확장부와 둘레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반삽입방향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반삽입방향 요홈부에 수용된 상기 확장부를, 상기 반삽입방향 요홈부의 기저측에 부세(付勢)하는 부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피파지구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손을 삽입할 수 있는 손걸이용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구는,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길이방향에 따른 최대 두께가 40mm 이하, 3mm 이상이며,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직경 방향의 최대 치수가 100mm 이하, 3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의 최대 외경이 6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체가 삽입되면서 상기 코어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코어체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와;
    상기 스트레치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의 내경이 7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필름 권취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은,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관(紙管)이 없는 코어리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은 내경이 7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치 필름은 내주면에 배치되는 지관이 없는 코어리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
KR1020127003474A 2009-07-16 2010-07-15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KR101416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7824 2009-07-16
JP2009167824 2009-07-16
PCT/JP2010/062006 WO2011007843A1 (ja) 2009-07-16 2010-07-15 ストレッチフィルム巻き掛け操作具、ストレッチフィルム巻き掛け装置、ストレッチ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825A true KR20120068825A (ko) 2012-06-27
KR101416660B1 KR101416660B1 (ko) 2014-08-06

Family

ID=4344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474A KR101416660B1 (ko) 2009-07-16 2010-07-15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53063A1 (ko)
EP (1) EP2455290B1 (ko)
JP (2) JP4783864B2 (ko)
KR (1) KR101416660B1 (ko)
CN (1) CN102470946B (ko)
SG (1) SG178048A1 (ko)
WO (1) WO2011007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328A (ja) * 2011-09-01 2013-03-21 Sawa Corporation 付着物除去装置
US9272870B2 (en) 2013-12-17 2016-03-0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Braking wrap dispenser
US9908656B2 (en) 2015-01-30 2018-03-06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Capped wrap dispenser
US9988171B2 (en) 2015-03-10 2018-06-05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Collared wrap dispenser
EP3081501B1 (en) * 2015-04-16 2018-07-18 Hsiu-Man, YU CHEN Film packing device
US20220135270A1 (en) * 2015-10-02 2022-05-05 Alliance Plastics, LLC Manually operated stretch wrap device
US10150639B2 (en) 2016-07-20 2018-12-1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Wrap dispenser with flat rim cap
USD823905S1 (en) 2017-03-09 2018-07-24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Braking film dispenser with lobes
US10287122B2 (en) 2017-03-09 2019-05-14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Braking film dispenser with lobes
CN110770153A (zh) * 2017-06-14 2020-02-07 日立化成株式会社 包装膜卷绕体和包装膜收容体及其制造方法
JP7013785B2 (ja) * 2017-10-16 2022-02-01 凸版印刷株式会社 搬送ローラ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ド供給装置
US10961006B2 (en) 2019-01-16 2021-03-30 Clinton Young Film wrap dispensing device
USD983555S1 (en) 2019-11-15 2023-04-18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Wrap dispenser with ribbed core
US11203509B2 (en) 2019-11-15 2021-12-21 Pratt Corrugated Holdings, Inc. Wrap dispenser
DE102021102212A1 (de) * 2021-02-01 2022-08-04 Jürgen Kulas Vorrichtung zum Halten und Abziehen einer Foli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3378A (en) * 1958-03-07 1961-12-19 Deering Milliken Res Corp Method for handling yarn
US4102513A (en) * 1977-09-14 1978-07-25 Twyman Guard Film wrapping dispenser
US4166589A (en) * 1978-03-24 1979-09-04 George J. Reid Portable wrapping film dispenser
US4477037A (en) * 1983-03-29 1984-10-16 Joseph Goldstein Stretch-wrap film dispenser
JPS61105601A (ja) * 1984-10-29 1986-05-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Pwm駆動装置
JPH0376872U (ko) * 1989-11-30 1991-08-01
JPH0416635A (ja) * 1990-05-11 1992-01-21 Ohbayashi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剪断補強構造
JPH0429905A (ja) * 1990-05-23 1992-01-31 Taisei Nouzai Kk トリコデルマ属菌の菌液および該液によ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H08119242A (ja) * 1994-10-18 1996-05-14 Yokohama Waaku Kk ストレッチフィルムの手巻き操作具
JPH09216635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Carbide Ind Co Inc ラップフィルム
JP3076872U (ja) * 2000-10-10 2001-04-20 サンエイポリマー株式会社 紙管レスバンドの解れ防止治具
US6478246B2 (en) * 2000-12-13 2002-11-12 Thomas L. Fahringer Paper towel dispenser system
US20030085317A1 (en) * 2001-11-08 2003-05-08 John Martin Reel for wire
TW517711U (en) * 2002-01-17 2003-01-11 Yu-Shiung Huang Applying device for plastic film reel capable of adjusting rotating tension
JP2003312944A (ja) * 2002-04-22 2003-11-06 Tsutomu Inoue ラップフィルム等の巻芯用支持具
CA2385370C (en) * 2002-05-07 2006-07-04 Brian Arthur Gooding Applicator for applying stretch film to palleted goods
US6905045B2 (en) * 2003-06-04 2005-06-14 Hsiu-Man Yu Chen Thin film bag dispenser
JP2005029209A (ja) * 2003-07-04 2005-02-03 Toppan Printing Co Ltd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CA2461386A1 (en) * 2004-03-18 2005-09-18 Ivan Francis Fraser Stretch wrap dispenser
US6920742B1 (en) * 2004-05-10 2005-07-26 Hsiu-Man Yu Chen Portable membrane packing apparatus
JP2006044699A (ja) * 2004-08-02 2006-02-16 Takao Fukuda ラップフィルム巻取り構造
DE202005002248U1 (de) * 2005-02-12 200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Abrollvorrichtung
GB2456801B (en) * 2008-01-24 2010-04-28 Harrison Huang Stretch film dispenser
JP3145936U (ja) * 2008-07-24 2008-10-30 ストラシステム株式会社 ストレッチフィルム手巻き用把持具及びその把持具を用いた巻き掛け操作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07843A1 (ja) 2012-12-27
EP2455290A1 (en) 2012-05-23
SG178048A1 (en) 2012-03-29
EP2455290A4 (en) 2013-03-13
KR101416660B1 (ko) 2014-08-06
CN102470946B (zh) 2014-08-13
WO2011007843A1 (ja) 2011-01-20
JP4898968B2 (ja) 2012-03-21
JP2011201606A (ja) 2011-10-13
CN102470946A (zh) 2012-05-23
JP4783864B2 (ja) 2011-09-28
US20120153063A1 (en) 2012-06-21
EP2455290B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8825A (ko) 스트레치 필름 권취 조작구, 스트레치 필름 권취 장치, 스트레치 필름
KR101227018B1 (ko) 핸드 랩핑장치
US6920742B1 (en) Portable membrane packing apparatus
US8720070B2 (en) Pipe peeler
US8096031B2 (en) Hand tool for engaging a push-lock fitting
WO2013064691A2 (en) A tie for fixing an article to a surface
JP2009138851A (ja) クランプ
US10443634B2 (en) Tool coupler for a clamping system, in particular for clamping a welding saddle to a plastic pipe, and a clamping system and a method for clamping
KR101187602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9144899B2 (en) Roll claw
KR200476843Y1 (ko) 접이식 라쳇 렌치
CN214524574U (zh) 一种新型打紧器
KR200444032Y1 (ko) 연료 커넥터 탈착 공구
JP3145936U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手巻き用把持具及びその把持具を用いた巻き掛け操作具
JP4783818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手巻き用把持具を用いた巻き掛け操作具
CN217572591U (zh) 一种管道夹紧件
CN213974595U (zh) 一种用于引晶绳的快速包装固定装置
KR200350824Y1 (ko) 적재물의 공업용 랩 포장용구
US20170002584A1 (en) Handheld Spooling Device
EP4041494B1 (en) Torque enhancing adapter for a hand tool
KR20110001693U (ko) 렌치용 공구
KR20140005642U (ko) 체결부재 조임장치
US20190118355A1 (en) Check For Use On Bladed Machines
JPH0736170Y2 (ja) フランジ締結用vバンド
JPH02436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