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790A -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790A
KR20120068790A KR1020120051610A KR20120051610A KR20120068790A KR 20120068790 A KR20120068790 A KR 20120068790A KR 1020120051610 A KR1020120051610 A KR 1020120051610A KR 20120051610 A KR20120051610 A KR 20120051610A KR 20120068790 A KR20120068790 A KR 2012006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lithium ion
li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155B1 (ko
Inventor
배윤정
이한호
정종석
민진혁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2006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1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된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LiPF6의 부반응에 의해 음극 표면에 생성되는 LiF계 입자 코팅층이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므로,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S ANODE INCLUDING LiF COMPOUNDS COATING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적으로 셀 수명이 향상되도록 별도의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자 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휴대화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이러한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전지로서,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전해질과 세퍼레이터로 구성되는 전지로서, 리튬 이온이 상기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탈삽입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최초의 형태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하고, 액체 용매를 전해질로 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덴드라이트(dendrite) 현상으로 인해서 수명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리튬 금속 대신에 리튬 이온을 다량 흡수할 수 있는 탄소재를 음극으로 하고, 유기 액체 또는 고체 고분자를 전해질로 구성한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탄소재를 음극으로 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도 전지의 충방전이 반복되면서, 전해질로 사용되는 LiPF6의 부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LiF가 음극 표면에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결국에는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433822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0-012026호는 음극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코팅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324623호는 음극 표면에 다공성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음극 표면에 LiF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 표면에 LiF가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된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iF계 입자로 미리 코팅된 음극을 갖는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초기 성능은 다소 저하되더라도, LiPF6의 부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LiF가 음극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연장된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LiF계 코팅층은 0.05 ~ 1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은,
(S1)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LiPF6를 용해시켜 제조한 전해액에 음극을 침지시켜 3전극 셀 또는 2전극 셀을 형성하는 단계; 및
(S2) 상기 셀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음극 표면에 LiF계 입자로 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분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은, 초기 용량은 다소 저하될 수 있으나, 초기에 음극 표면에 LiF층이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전지의 고온 퇴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의 표면을 나타내는 SEM 사진(6,000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의 표면을 나타내는 SEM 사진(10,000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의 표면을 나타내는 SEM 사진(6,000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을 XPS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을 XPS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의 c-rate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은,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된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반복되면, 전해액 성분 중에서 전해질인 LiPF6의 부반응으로 인해 음극 표면에 LiF가 형성되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더구나 상기와 같은 부반응으로 인해 형성되는 LiF는 불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전지의 성능 저하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 표면에 미리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전지의 초기성능은 다소 저하되더라도,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LiPF6의 부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LiF가 비교적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전지의 성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된다. 전지의 성능 저하 속도가 늦춰지면, 전지의 성능이 장기간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되고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LiF계 입자 코팅층은 두께가 0.05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5 ㎛ 이상이 되어야 균일한 코팅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층 두께 범위 내에서 가장 적절한 셀의 초기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음극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 결합제, 도전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이용하여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 때, 음극 집전체로는 구리, 금, 니켈 또는 구리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되는 호일 등이 대표적이며,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직접 코팅하는 방법이나 또는 음극 활물질 조성물을 별도의 지지체 상부에 코팅하고 건조한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어진 필름을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지지체는 활물질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 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마일라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 결합제, 도전제 및 용매는 리튬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것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재 등과 같은 리튬 흡착물질이 대표적이다. 이 중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상기 결합제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및 그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제로는 카본블랙 또는 아세틸렌 블랙이, 상기 용매로는 아세톤, N-메틸피롤리돈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LiPF6를 용해시켜 제조한 전해액에 전술한 음극을 침지시켜 3전극 셀 또는 2전극 셀을 형성한다(S1).
여기에서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ethylpropyl carbonate),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thylpropyl carbonate),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thylmethyl carbonate), 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및 불소화 비닐 카보네이트 (fluorinated vinyl 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고리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셀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음극 표면에 LiF계 입자로 된 코팅층을 형성한다(S2).
전술한 3전극 셀 또는 2전극 셀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음극 표면에 LiF계 입자로 된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전압 또는 전류를 가하는 조건에 따라 LiF계 코팅층의 두께와 밀도가 조절 가능하다.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매우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3전극 셀 또는 2전극 셀에 인가되는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0.1 ~ 3 V(vs. Li/Li+)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 2.5 V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셀의 초기 저항에 더 유리하기 위한 바람직한 LiF계 입자 코팅층의 두께는 0.05 ~ 1 ㎛이다.
통상적으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전해액에 있어서, 유기용매라 하더라도 미량의 수분이 포함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해액에 원래 포함된 수분 외에, 추가적으로 수분 분위기 하에서 음극의 제조가 수행되는 것이 음극 표면의 코팅층 형성에 더 효과적이다. 코팅층이 가장 잘 형성될 수 있는 수분 분위기는 수분의 농도가 50 ~ 2,000 중량ppm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의 일 실시예를 들면 전술한 음극과 양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介在)시켜 조립한 후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양극활물질을 양극 집전체에 결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종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에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양극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철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복합산화물 등이 바람직하다.
양극 전류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해액은, 불소계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리튬염은, 양이온으로서, Li+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AsF6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부티로락톤(γ-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전해액은, 알칼리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양이온으로서 Na+ 또는 K+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양이온으로서 Li+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Cl-, Br-, I-, ClO4 -, CH3C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세퍼레이터는 양(兩) 전극의 내부 단락을 차단하고 전해액을 함침하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 또는 상기 다공성 분리막에 무기물 재료가 첨가된 복합 다공성 분리막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 카보네이트가 1:2의 부피비로 혼합된 유기용매 혼합액에 1M 농도가 되도록 LiPF6를 첨가하고, 작업전극으로 탄소재 음극, 기준전극과 상대전극으로 각각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3전극 비이커셀을 구성하였다. 여기에 cyclic voltammetry 방법으로 0.1V(vs. Li/Li+)까지 전압을 인가하여(scan rate: 0.5 mV/s) 음극에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실시예의 수행은 공기중의 직접적인 노출을 막기 위해서 드라이 박스 (수분(H2O) 약 50 중량ppm) 안에서 진행되었다. 도 1 및 도 2에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음극 표면의 SEM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그 표면에 0.3~0.5㎛ 정도 크기의 입자들이 관찰된다.
또한, XPS 분석을 한 결과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에 과량의 Li, F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표면의 입자들이 LixFy 계열의 화합물임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2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 카보네이트가 1:2의 부피비로 혼합된 유기용매 혼합액에 1M 농도가 되도록 LiPF6를 첨가하고, 상기 전해액에 1000 중량ppm의 수분(H2O)을 첨가하여 주액하였다. 흑연 음극재, LiMn2O4:Li(Co1 /3Ni1 /3Mn1 /3)O2 = 7:3 양극재, 다공성 분리막을 사용하여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이커셀을 구성 후,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을 제조하였다. 도 3에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음극의 SEM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XPS 분석 결과 그래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전해액에 수분을 주액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고온 저장 셀의 c- rate 특성 실험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코인셀을 사용하여 LixFy 음극 표면층이 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고온 저장에 대한 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각 코인셀을 50℃에서 1주간 저장 후, 용량 퇴화 정도와 c-rate 특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용량 퇴화는 실시예 18%, 비교예 14%이었으며, 이는 수분 첨가로 인한 용량 퇴화 증가를 보여준다.
반면에, 50℃ 저장 후 c-rate 특성을 그래프로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살펴보면, 실시예 2의 코인셀에서 크게 향상된 c-rate 특성을 볼 수 있다. 즉 실시예 2의 코인셀에서, 음극 피막의 고온 안전성이 향상되어서 피막 저항의 증가를 억제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된 LiF계 입자 코팅층;
    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F계 입자는, 직경이 0.3 ㎛ 내지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F계 입자 코팅층은 두께가 0.05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4. 양극, 음극, 불소계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및 상기 탄소재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된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iF계 입자는, 상기 불소계 리튬염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리튬염은, 양이온으로서, Li+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AsF6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디메틸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 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부티로락톤(γ-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알칼리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양이온으로서 Na+ 또는 K+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양이온으로서 Li+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서, Cl-, Br-, I-, ClO4 -, CH3C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120051610A 2008-02-25 2012-05-15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Active KR101258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734 2008-02-25
KR20080016734 2008-02-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99A Division KR101196798B1 (ko) 2008-02-25 2009-02-23 LiF계 화합물로 코팅된 음극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90A true KR20120068790A (ko) 2012-06-27
KR101258155B1 KR101258155B1 (ko) 2013-04-25

Family

ID=410165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99A Active KR101196798B1 (ko) 2008-02-25 2009-02-23 LiF계 화합물로 코팅된 음극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120051610A Active KR101258155B1 (ko) 2008-02-25 2012-05-15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99A Active KR101196798B1 (ko) 2008-02-25 2009-02-23 LiF계 화합물로 코팅된 음극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09273B2 (ko)
JP (1) JP5687496B2 (ko)
KR (2) KR101196798B1 (ko)
CN (1) CN101960651B (ko)
WO (1) WO20091079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929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7169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4856B2 (en) 2008-03-28 2014-11-2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Hybrid aerobic and anaerobic wastewater and sludge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9359236B2 (en) 2010-08-18 2016-06-0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Enhanced biosorption of wastewater organics using dissolved air flotation with solids recycle
US20130095386A1 (en) * 2011-10-12 2013-04-1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al Fluoride Electrode Protection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3069064A1 (ja) * 2011-11-10 2013-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9966598B2 (en) * 2014-09-30 2018-05-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High capacity prelithiation reagents and lithium-rich anode materials
CN105655587B (zh) * 2014-11-10 2019-09-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锂一次电池CFx正极材料表面包覆方法
WO2017144120A1 (en) * 2016-02-26 2017-08-31 Toyota Motor Europe Lithium-ion battery high temperature aging process
US10978748B2 (en) * 2016-03-24 2021-04-13 Uchicago Argonne, Llc Material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ithium and sodium batteries
US10734642B2 (en) 2016-03-30 2020-08-04 Global Graphene Group, Inc. Elastomer-encapsulated particles of high-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WO2017222967A2 (en) * 2016-06-21 2017-12-28 Sion Power Corporation Coatings for components of electrochemical cells
KR102328253B1 (ko) * 2016-09-30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07217B1 (ko) 2016-10-04 2020-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SiO/나노 실리카 복합재 음극 표면 탄소 코팅층의 성분 분석방법
EP3447828B1 (en) 2016-10-13 2023-09-20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JP6928093B2 (ja) * 2016-12-23 2021-09-01 ポスコPosco リチウム金属負極、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908645B1 (ko) * 2016-12-23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금속 음극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5025B1 (ko) 2017-01-11 2020-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메탈 표면의 불화리튬의 증착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US11495792B2 (en) 2017-02-16 2022-11-08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protected high-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
US11978904B2 (en) 2017-02-24 2024-05-07 Honeycomb Battery Company Polymer binder for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840502B2 (en) 2017-02-24 2020-11-17 Global Graphene Group, Inc. Polymer binder for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985373B2 (en) 2017-02-27 2021-04-20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battery cath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742475B2 (en) 2017-04-03 2023-08-29 Global Graphene Group, Inc. Encapsulated an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916766B2 (en) 2017-04-10 2021-02-09 Global Graphene Group, Inc.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polymer-encapsulated sulfur cathod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483533B2 (en) 2017-04-10 2019-11-19 Global Graphene Group, Inc. Encapsulated cath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862129B2 (en) 2017-04-12 2020-12-08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anode-protecting polymer layer for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804537B2 (en) * 2017-08-14 2020-10-13 Global Graphene Group, Inc. Protec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964951B2 (en) 2017-08-14 2021-03-30 Global Graphene Group, Inc. Anode-protecting layer for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DE102017219805A1 (de) 2017-11-08 2019-05-0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eines Festkörpers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US10601034B2 (en) 2018-02-21 2020-03-24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protec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573894B2 (en) 2018-02-21 2020-02-25 Global Graphene Group, Inc. Protec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1721832B2 (en) 2018-02-23 2023-08-08 Global Graphene Group, Inc. Elastomer composite-encapsula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964936B2 (en) 2018-03-02 2021-03-30 Global Graphene Group, Inc. Conducting elastomer composite-encapsula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971722B2 (en) 2018-03-02 2021-04-06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ng elastomer composite-encapsula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818926B2 (en) 2018-03-07 2020-10-27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electrochemically stable elastomer-encapsula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1005094B2 (en) 2018-03-07 2021-05-11 Global Graphene Group, Inc. Electrochemically stable elastomer-encapsulated particles of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971723B2 (en) 2018-04-16 2021-04-06 Global Graphene Group, Inc. Process for alkali metal-selen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cathode of encapsulated selenium particles
US11043694B2 (en) 2018-04-16 2021-06-22 Global Graphene Group, Inc. Alkali metal-selen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cathode of encapsulated selenium particles
US11121398B2 (en) 2018-06-15 2021-09-14 Global Graphene Group, Inc.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athode material particulates
US10978698B2 (en) 2018-06-15 2021-04-13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tecting sulfur cathode materials for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US10957912B2 (en) 2018-06-18 2021-03-23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extending cycle-life of a lithium-sulfur battery
US10978744B2 (en) 2018-06-18 2021-04-13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tecting anode of a lithium-sulfur battery
US10854927B2 (en) 2018-06-18 2020-12-01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improving cycle-life of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US10862157B2 (en) 2018-06-18 2020-12-08 Global Graphene Group, Inc. Alkali metal-sulfur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conductive electrode-protecting layer
US11276852B2 (en) 2018-06-21 2022-03-15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n elastic anode-protecting layer
US10777810B2 (en) 2018-06-21 2020-09-15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 protected lithium anode
US12218346B2 (en) 2018-06-21 2025-02-04 Honeycomb Battery Company Method of extending cycle-life of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US12288883B2 (en) 2018-06-21 2025-04-29 Honeycomb Battery Company Method of improving cycle-life of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US10873088B2 (en) 2018-06-25 2020-12-22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selenium battery containing an electrode-protecting layer and method of improving cycle-life
US11043662B2 (en) 2018-08-22 2021-06-22 Global Graphene Group, Inc. Electrochemically stable elastomer-encapsulated particle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1239460B2 (en) 2018-08-22 2022-02-01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electrochemically stable elastomer-encapsulated particle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886528B2 (en) 2018-08-24 2021-01-05 Global Graphene Group, Inc. Protected particle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1223049B2 (en) 2018-08-24 2022-01-11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protected particle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US10971724B2 (en) 2018-10-15 2021-04-06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electrochemically stable anode particula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10629899B1 (en) 2018-10-15 2020-04-21 Global Graphene Group, Inc. Production method for electrochemically stable anode particula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KR102594515B1 (ko) 2018-10-26 2023-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US10971725B2 (en) 2019-01-24 2021-04-06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elastic polymer foam as an anode-protecting layer
US11791450B2 (en) 2019-01-24 2023-10-17 Global Graphene Group, Inc. Method of improving cycle life of a rechargeable lithium metal battery
KR102201710B1 (ko) * 2019-04-09 2021-01-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종의 전해액 및 양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도금조 및 이를 이용한 리튬금속 도금방법
KR20220079294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EP4266414A1 (en) * 2021-08-13 2023-10-25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sam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KR20250092986A (ko) * 2023-12-15 2025-06-24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리튬 금속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790761B (zh) * 2024-02-26 2024-05-24 西北工业大学 一种具有三合一改性界面的富锂正极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9009A (ja) 1996-12-24 1998-07-21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有機電解質電池の製造法
JP3916116B2 (ja) 1999-05-12 2007-05-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KR100324626B1 (ko) 2000-03-06 2002-02-27 박호군 젤형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전극과 이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KR100413796B1 (ko) * 2001-05-31 2004-0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리튬 금속 애노드 보호막의 제조방법
CN1179432C (zh) * 2001-05-31 2004-12-08 三星Sdi株式会社 锂电池的锂金属阳级保护层的形成方法
JP2003263984A (ja) * 2002-03-11 2003-09-1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法。
US7645543B2 (en) * 2002-10-15 2010-01-12 Polyplus Battery Company Active metal/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and systems
JP4144335B2 (ja) * 2002-11-19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0522694B1 (ko) * 2003-08-23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설퍼전지
JP4229062B2 (ja) 2004-12-22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6331749A (ja) 2005-05-24 2006-1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チウム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929A1 (ko) * 2017-01-23 2018-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7169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39039B2 (en) 2017-01-23 2022-12-27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0651A (zh) 2011-01-26
JP2011513912A (ja) 2011-04-28
KR20090091659A (ko) 2009-08-28
KR101196798B1 (ko) 2012-11-05
US8609273B2 (en) 2013-12-17
KR101258155B1 (ko) 2013-04-25
JP5687496B2 (ja) 2015-03-18
CN101960651B (zh) 2014-01-08
US20110177388A1 (en) 2011-07-21
WO2009107964A2 (en) 2009-09-03
WO2009107964A3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155B1 (ko) LiF계 입자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160708B1 (ko) 이중 보호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1782493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enhanced safety and performance
KR101961516B1 (ko) 리튬­황 배터리용 전해질 조성물
KR101520138B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101017305B1 (ko) 비수계 전해질 전지
KR20160065106A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10446826B2 (en) Method for making lithium ionic energy storage element
CN116391285A (zh) 用于钠离子电池的电解质
EP3240091B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102356639B1 (ko)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KR20080029480A (ko) 리튬 이차 전지,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KR20230070812A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80109520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601068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2020061367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0793604B1 (ko) 성능 및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40087771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4037031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93287B1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하는 리튬이차전지
CN119137784A (zh) 锂离子二次电池用电解液和锂离子二次电池
KR20130070617A (ko) 할로겐산 저감제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30125134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080057817A (ko) 할로겐산 저감제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5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8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418

Appeal identifier: 2013101001749

Request date: 20130305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4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3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