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90A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90A
KR20120066590A KR20110131633A KR20110131633A KR20120066590A KR 20120066590 A KR20120066590 A KR 20120066590A KR 20110131633 A KR20110131633 A KR 20110131633A KR 20110131633 A KR20110131633 A KR 20110131633A KR 20120066590 A KR20120066590 A KR 2012006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irror
mirror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3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207B1 (ko
Inventor
조이치 카와니시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내주면이 샤프트(3)의 외주면에, 또한,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외주면이 미러 어셈블리(4)의 수납부(9)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를 샤프트(3)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미러 어셈블리가 차체에 대하여 가도(可倒)(회전, 회동(回動)) 가능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수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나 전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 등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종래부터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도어에 고정되는 미러 베이스와, 그 미러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에 가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미러 본체부와, 샤프트와 미러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통상, 클러치 기구의 끼워맞춤 상태에 의해, 미러 본체부가 사용위치에 위치하고, 미러 본체부에 외력이 걸리면, 클러치 기구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져, 미러 본체부가 샤프트 주위로 회전하여, 완충작용이 작용한다.
이러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서는,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본체부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지 않도록, 미러 본체부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傾倒)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특개 2005-25496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러 본체부(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가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미러 어셈블리와, 샤프트와 미러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미러 어셈블리에는 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에 외측에서 끼워맞추는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고, 클러치 기구가 노치 부재를 구비하고, 노치 부재가 노치부와 통부로 구성되어 있고, 노치부가 미러 어셈블리측 또는 샤프트측에 설치되어 있는 노치부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미러 어셈블리를 사용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미러 어셈블리에 외력이 걸리면 미러 어셈블리측의 노치부 또는 샤프트측의 노치부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져 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통부의 내주면이 샤프트의 외주면에, 또한, 통부의 외주면이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노치 부재의 통부가 단면 비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노치 부재의 통부가 단면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노치 부재의 통부가 단면 원형을 이루고,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 샤프트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대의 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대의 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이 샤프트의 외주면에, 또한,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이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를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를 통하여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므로, 별개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별개의 부품으로 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가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의 내주면이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서 확실하게 접촉하고, 또한, 노치 부재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의 외주면이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서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를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를 통하여 샤프트에 확실하게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가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 또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이 매끄럽게(원활하게) 행해진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볼록부가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 샤프트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확실하게 선접촉하고, 또한, 볼록부가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확실하게 선접촉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미러 어셈블리를 클러치 기구의 노치 부재의 통부를 통하여 샤프트에 확실하게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 사이, 및,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선접촉하는 볼록부가 개재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 또는, 노치 부재의 단면 원형의 통부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이 매끄럽게(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동일하게, 도 1에 있어서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동일하게, 노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동일하게, 도 3에 있어서의 IV 화살표 도면(노치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동일하게, 도 4에 있어서의 V 화살표 도면(노치 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동일하게, 도 4에 있어서의 VI 화살표 도면(노치 부재의 저면도).
도 7은, 동일하게, 도 5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노치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동일하게, 도 2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 따른 도면(미러 하우징의 일부 저면도).
도 9는, 동일하게,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동일하게,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와 미러 하우징과 노치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설명도.
도 11은, 동일하게, 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와 미러 하우징과 노치 부재를 도시하는 조립 상태 설명도.
도 12는, 동일하게,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선 단면도(샤프트 및 샤프트 홀더와 미러 하우징과 노치 부재와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13은, 동일하게, 노치 부재와 샤프트 홀더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져 노치 부재가 미러 어셈블리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동일하게, 노치 부재와 샤프트 홀더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져 노치 부재가 미러 어셈블리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노치 부재의 통부의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중 2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성의 설명」
도 1?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의 VII-VII선 단면도(노치 부재의 단면도)인 도 7은 도해상, 상하(천지) 반대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부호 1은,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이며, 이 예에서는,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수동 격납형의 도어 미러)이다. 상기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자동차의 좌우의 도어에 각각 장비된다. 또한, 이 실시예 1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자동차의 우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것이다. 자동차의 좌측의 도어에 장비되는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는 이 실시예 1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와 거의 좌우가 반대로 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E는 차량의 후방, 부호 F는 차량의 전방이다.
상기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자동차의 도어)(D)에 고정되는 베이스(미러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3)와, 상기 샤프트(3)에 가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미러 어셈블리(4)와, 고정측의 상기 샤프트(3)와 회전측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8)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5)과, 파워유닛(도시 생략)과, 도시하지 않은 미러(미러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5)은 부착 브래킷을 겸용하는 본체부(6)와, 상기 본체부(6)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6)에는, 상기 파워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파워유닛에는, 상기 미러가 상하 좌우로 경동(傾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본체부(6)에는, 상기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3)에 외측에서 끼워맞춤(외측 끼워맞춤) 하는 수납부(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9)는 도 2, 도 8, 도 10,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원통부를 이룬다. 도 8,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9)의 일단면(하단면)에는, 1개 혹은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고정 볼록부(10)가 동일한 간격(동일 개방 각도)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상기 고정 볼록부(10)는 도해상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는, 도 2,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니스(도시 생략)가 삽입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의 상단부에는 홈(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의 하단부에는 샤프트 홀더(1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홀더(12)의 일면(상면)에는, 1개 혹은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의 클러치 오목부(13)가 동일한 간격(동일한 개방 각도)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오목부(13)는 바닥부와, 경사 양측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의 상기 샤프트 홀더(12)는 상기 베이스(2)에 스크루(도시 생략)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는 상기 도어(D)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2)의 하부에는, 커버(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에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가 상기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워진다. 이 결과, 상기 미러 어셈블리(4)는 상기 샤프트(3)에 경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기 도어(D)에 경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클러치 기구(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 부재(15)와, 와셔(16)와, 스프링(17)과, 푸시 너트(18)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 기구(8)는 고정측의 상기 샤프트(3)와 회전측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기구(8)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사용위치(A)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미러 어셈블리(4)에 외력이 걸리면, 완충을 위해, 상기 미러 어셈블리(4)를 상기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노치 부재(15)는 고정측의 상기 샤프트(3)와 회전측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는 상기 클러치 기구(8)의 토크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와셔(16)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와 상기 스프링(1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와셔(16)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가 상기 샤프트(3)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17)은, 상기 샤프트(3)에 외측에서 끼워지고, 또한, 고정측의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푸시 너트(18)와 회전측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의 상기 와셔(16)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7)은, 차량의 주행중 등에 있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지 않도록, 적절한 유지력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푸시 너트(18)는 상기 샤프트(3)의 상기 홈(11)에 걸어맞춤 고정되어 있다. 상기 푸시 너트(18)는 상기 스프링(17)의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노치 부재(15)는 가요성을 갖고, 또한, 저마찰이며 내마모성의 부재로서 저렴한 수지 부재,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 아세탈 수지), PPS(폴리페닐렌술피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는, 도 3?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부(19)와, 통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부(20)는 단면 원형의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통부(20)의 일단부(하단부)에는 상기 노치부(1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19)의 일면(상면)측에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의 상기 고정 볼록부(10)가 끼워맞춤 고정하는 고정 오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오목부(21)는 상기 고정 볼록부(10)와 대응하여, 1개 혹은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 동일한 간격(동일 개방 각도)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의 상기 노치부(19)의 상기 고정 오목부(21)에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의 상기 고정 볼록부(10)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19)의 타면(하면)측에는, 상기 샤프트(3)의 상기 샤프트 홀더(12)의 상기 클러치 오목부(13)가 끼워맞추어지는 클러치 볼록부(2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볼록부(22)는, 상기 클러치 오목부(13)와 대응하여, 1개 혹은 복수개, 이 예에서는, 3개 동일한 간격(동일 개방 각도)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볼록부(22)는 산부와, 경사 양측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의 상기 노치부(19)의 상기 클러치 볼록부(22)에는, 상기 샤프트(3)의 상기 샤프트 홀더(12)의 상기 클러치 오목부(13)가 단속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의 상기 통부(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1개 혹은 복수개, 이 예에서는, 6개의 볼록부(비드부)(23 및 24)가 축방향(상기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방향)으로 상기 통부(21)의 타단(상단)으로부터 일단의 도중까지 동일한 간격(동일 개방 각도)으로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의 상기 통부(21)의 상기 내주면의 상기 볼록부(2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의 외주면에 래핑하여 접촉하고 있다. 상기 노치 부재(15)의 상기 통부(21)의 상기 외주면의 볼록부(24)는, 동일하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러 어셈블리(4)의 상기 수납부(9)의 내주면에 래핑하여 접촉하고 있다.
「작용의 설명」
이 실시예 1에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가 서로 끼워맞추어져 있고, 미러 어셈블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에 위치한다.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진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후방 격납 위치(후방 경도 위치)(B)로 회전하여 격납된다.
또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진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전방 경도 위치(C)에 회전하여 격납된다.
또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시계방향의 외력이 걸리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진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후방 격납 위치(후방 경도 위치)(B)로 회전 경도하여 완충된다.
더욱이 또한, 사용위치(A)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에 반시계방향의 외력이 걸리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진다. 이 결과, 미러 어셈블리(4)는 사용위치(A)로부터 전방 경도 위치(C)로 회전 경도하여 완충된다.
그리고, 후방 격납 위치(후방 경도 위치)(B) 혹은 전방경도 위치(C)에 위치하는 미러 어셈블리(4)를 수동에 의해 반시계방향 혹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8)의 클러치 볼록부(22)와 샤프트(3)의 클러치 오목부(13)가 서로 끼워맞추어져 있고, 미러 어셈블리(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위치(A)로 복귀 위치한다.
그리고, 미러 어셈블리(4)가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로 회전할 때는, 미러 어셈블리(4)의 수납부(9)와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두 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로 회전한다. 이 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마찰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내주면의 볼록부(23)와 샤프트(3)의 외주면이 래핑하여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회전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효과의 설명」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내주면(내주면의 볼록부(23))이 샤프트(3)의 외주면에,또한,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외주면(외주면의 볼록부(24))이 미러 어셈블리(4)의 수납부(9)의 내주면에, 각각 래핑하여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미러 어셈블리(4)를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를 통하여 샤프트(3)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를 샤프트(3)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므로, 별개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별개의 부품으로 미러 어셈블리를 샤프트에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하는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가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4)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9)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이 매끄럽게(원활하게) 행해진다.
더욱이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내주면의 볼록부(23)가 샤프트(3)의 외주면에 래핑하여 확실하게 선접촉하고, 또한,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외주면의 볼록부(24)가 미러 어셈블리(4)의 수납부(9)의 내주면에 래핑하여 확실하게 선접촉한다. 이 결과,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미러 어셈블리(4)를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0)를 통하여 샤프트(3)에 확실하게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 사이, 및,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4)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9)의 내주면 사이에는, 선접촉하는 볼록부(23, 24)가 각각 개재한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의 내주면과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3)의 회전 중심(O-O)주위의 회전 슬라이딩), 또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원형의 통부(20)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4)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9)의 내주면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3)의 회전 중심(O-O) 주위의 회전 슬라이딩)이 매끄럽게(원활하게) 행해진다.
(실시예 2)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도면 중, 도 1?도 14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예 1은 노치 부재(15)의 통부(20)가 단면 원형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실시예 2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5)는 단면 비원형, 이 예에서는, 물결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실시예 2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상기의 실시예 1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작용 효과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25)가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과 미러 어셈블리(4)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9)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한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노치 부재(15)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25)의 내주면이 원기둥 형상 혹은 원통 형상의 샤프트(3)의 외주면을 따라서 확실하게 접촉하고, 또한, 노치 부재(15)의 단면 비원형의 통부(25)의 외주면이 미러 어셈블리(4)의 단면 둥근 고리 형상의 수납부(원통부)(9)의 내주면을 따라서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1)는 미러 어셈블리(4)를 클러치 기구(8)의 노치 부재(15)의 통부(25)를 통하여 샤프트(3)에 확실하게 덜걱거림 없이 경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4)의 미러면(경면)이 흔들리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실시예 1, 2 이외의 예의 설명」
또한, 상기의 실시예 1, 2에서는, 수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수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 이외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 격납식의 차량용 펜더 미러 장치, 또는, 수동 격납식의 트랙 미러 장치 등의 수동 격납식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 2에서는, 수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수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 이외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 격납식의 도어 미러 장치, 또는, 전동 격납식의 차량용 펜더 미러 장치, 또는, 전동 격납식의 트랙 미러 장치 등의 전동 격납식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전동 격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노치 부재(15)가 회전측의 전동 격납 유닛의 케이싱과 고정측의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전동 격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노치 부재(15)를 갖는 클러치 기구(8) 이외에, 클러치 기어와 클러치 홀더로 이루어지는 제 2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1, 2에서는, 노치 부재(15)가 미러 어셈블리(4)와 함께 샤프트(3)에 대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노치 부재가 샤프트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지 않고, 미러 어셈블리만이 회전하는 것이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에서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내주면에 샤프트(3)의 외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2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를 설치해도 되고,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 및 샤프트의 외주면에 상대의 면(샤프트의 외주면 및 노치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를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1에서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0)의 외주면에, 미러 어셈블리(4)의 수납부(9)의 내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2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를 설치해도 되고,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 및 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상대의 면(미러 어셈블리의 수납부의 내주면 및 노치 부재의 통부의 외주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를 설치해도 된다.
더욱이 또한 상기의 실시예 2에서는, 노치 부재(15)의 통부(25)가 물결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노치 부재의 통부가 단면 비원형이면 좋다. 예를 들면, 단면 삼각형이나 단면 다각형이나 단면 타원형이나 단면 타원형 등.
1 수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베이스(미러 베이스)
3 샤프트
4 미러 어셈블리
5 미러 하우징
6 본체부
7 커버부
8 클러치 기구
9 수납부
10 고정 볼록부
11 홈
12 샤프트 홀더
13 클러치 오목부
14 커버
15 노치 부재
16 와셔
17 스프링
18 푸시 너트
19 노치부
20 통부
21 고정 오목부
22 클러치 볼록부
23 내주면의 볼록부
24 외주면의 볼록부
25 통부
A 사용위치
B 후방 격납 위치(후방 경도 위치)
C 전방 경도 위치
D 도어(차체)
E 차량의 후방
F 차량의 전방
O-O 샤프트의 회전 중심

Claims (4)

  1. 미러 어셈블리가 차체에 대하여 가도 가능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가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미러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에 외측에서 끼워맞추어지는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구는 노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치 부재는 노치부와, 통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측 또는 상기 샤프트측에 설치되어 있는 노치부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사용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미러 어셈블리에 외력이 걸리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측의 노치부 또는 상기 샤프트측의 노치부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빠져 상기 미러 어셈블리를 상기 샤프트의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또한, 상기 통부의 외주면이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상기 수납부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재의 상기 통부는 단면 비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재의 상기 통부는 단면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재의 상기 통부는 단면 원형을 이루고,
    상기 노치 부재의 상기 통부의 내주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대의 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 부재의 상기 통부의 외주면,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상기 수납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상대의 면에 선접촉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20110131633A 2010-12-14 2011-12-09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1980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8575A JP6051499B2 (ja) 2010-12-14 2010-12-14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JP-P-2010-278575 2010-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90A true KR20120066590A (ko) 2012-06-22
KR101980207B1 KR101980207B1 (ko) 2019-05-20

Family

ID=4531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633A KR101980207B1 (ko) 2010-12-14 2011-12-09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0950B2 (ko)
EP (1) EP2465728B1 (ko)
JP (1) JP6051499B2 (ko)
KR (1) KR101980207B1 (ko)
CN (1) CN1025559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0911B2 (ja) * 2012-03-28 2016-08-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2716927B1 (en) * 2012-10-02 2016-03-09 Fico Mirrors, S.A. Clutch suitable for vehicles' powered mirrors
JP6083274B2 (ja) * 2013-03-19 2017-02-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ミラー
NL2011552C2 (nl) * 2013-10-03 2015-04-07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Spiegelverstelinrichting met spelingsonderdrukking.
JP6209140B2 (ja) * 2014-08-26 2017-10-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JP6371695B2 (ja) * 2014-12-05 2018-08-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JP6369988B2 (ja) 2015-01-23 2018-08-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CN106043132A (zh) * 2016-08-03 2016-10-26 李雪梅 一种汽车用的后视光学组件
EP3597486B1 (en) * 2018-07-16 2022-09-1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Exterior mirror with reduced folding noise
JP7172493B2 (ja) * 2018-11-19 2022-1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シェーディング補正方法およびシェーディング補正プログラム
TWM600509U (zh) * 2020-05-12 2020-08-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810A (ja) * 1994-11-02 1997-08-12 ユナイテ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側サイド取付後方ミラーの旋回軸マウント
JP2002293190A (ja) * 2001-03-30 2002-10-09 Ishizaki Honten:Kk 車両用サイドミラー
JP2005254969A (ja) 2004-03-11 2005-09-22 Ichikoh Ind Ltd 手動格納式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543A (en) * 1992-06-04 1998-08-11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Mirror angle adjusting device for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DE19521432C2 (de) 1995-06-15 1999-07-01 Hohe Gmbh & Co Kg Fahrzeugaußenspiegel mit motorisch schwenkbarem Spiegelkopf
GB9906491D0 (en) * 1999-03-22 1999-05-12 Britax Wingard Ltd Vehicle exterior mirror
US7070287B2 (en) * 2002-04-23 2006-07-04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Vehicular mirror system with at least one of power-fold and power-extend functionality
EP1495912B1 (en) * 2003-07-10 2009-03-25 Ichikoh Industries, Ltd. Outer mirror tilting apparatus
JP2005199820A (ja) * 2004-01-14 2005-07-28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US7261428B1 (en) * 2005-05-10 2007-08-28 Magna Donnelly Mirrors North America, L.L.C. Powerextend mirror with manual override clutch assembly
US7261272B2 (en) * 2005-05-18 2007-08-28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Conical support arm joint for a vehicle mirror
US7490946B1 (en) * 2005-10-28 2009-02-1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ain mirror with pivot connection
JP4847311B2 (ja) 2006-12-25 2011-1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US20080253008A1 (en) * 2007-04-10 2008-10-16 Milo Tseng Foldable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
JP4985276B2 (ja) * 2007-09-27 2012-07-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810A (ja) * 1994-11-02 1997-08-12 ユナイテ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側サイド取付後方ミラーの旋回軸マウント
JP2002293190A (ja) * 2001-03-30 2002-10-09 Ishizaki Honten:Kk 車両用サイドミラー
JP2005254969A (ja) 2004-03-11 2005-09-22 Ichikoh Ind Ltd 手動格納式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55914B (zh) 2016-03-16
US20120145871A1 (en) 2012-06-14
US8800950B2 (en) 2014-08-12
EP2465728A1 (en) 2012-06-20
JP2012126222A (ja) 2012-07-05
EP2465728B1 (en) 2014-06-18
KR101980207B1 (ko) 2019-05-20
CN102555914A (zh) 2012-07-11
JP6051499B2 (ja)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659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1761139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4985276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00580861B1 (ko)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 장치 및 전동 격납식 도어 미러장치에 있어서의 전동 격납 유닛
JP5579685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GB2365946A (en) Damping structure for rotating member and assist grip
JP5556621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019664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488429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110104874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N102862518A (zh) 车辆用外侧镜装置
KR10090901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20110104875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201307561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104233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構造
JP5710227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318916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469301Y1 (ko) 차량용 시트
KR20110115515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7020558B2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ギヤユニット
JP5921341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0593301B1 (ko) 차량용 미러 장치
KR100428384B1 (ko) 자동차의 오버헤드 콘솔
JP2018047728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6469607B2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