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156A -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 Google Patents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156A
KR20120066156A KR1020100127366A KR20100127366A KR20120066156A KR 20120066156 A KR20120066156 A KR 20120066156A KR 1020100127366 A KR1020100127366 A KR 1020100127366A KR 20100127366 A KR20100127366 A KR 20100127366A KR 20120066156 A KR20120066156 A KR 20120066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red
leaf
breeding
p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586B1 (ko
Inventor
이관호
우영회
홍규현
서규선
이운용
Original Assignee
이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호 filed Critical 이관호
Priority to KR102010012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586B1/ko
Priority to JP2013544391A priority patent/JP2014511172A/ja
Priority to CN2011800593571A priority patent/CN103249302A/zh
Priority to EP11848815.4A priority patent/EP2653028A4/en
Priority to US13/993,672 priority patent/US9565827B2/en
Priority to PCT/KR2011/009590 priority patent/WO2012081890A2/ko
Publication of KR2012006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0Brassicaceae, e.g. canola, broccoli or rucol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0Brassicaceae, e.g. canola, broccoli or rucola
    • A01H6/204Brassica rap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ell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종식물 ‘홍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된, 씨앗 또는 조직배양에 의한 무성번식법에 의해 번식되는 신종식물 홍배추는 (1) 잎모양은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를 보이고; (2) 중륵 안쪽과 바깥쪽은 흰색과 분홍색, 빨간색을 개체별로 띠고 있으며; (3) 결구형태는 원형및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일부는 자색 및 검은색을 띠고; (5) 엽맥은 흰색을 띠며, 일부는 분홍색 및 붉은 색을 띠고; (6) 엽연(잎둘레)은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으며, 분홍색 및 붉은색을 띠며; (7) 구의 크기는 일반배추의 1/3에서 1/4정도로 작고; (8) 엽면은 광택이 있으며 엽육은 아삭아삭하며; (9) 자가불화합성 정도가 약하며 무 및 배추에서 보이는 종자춘화형을 보이고; 김치용, 쌈채소용, 녹즙용, 샐러드용 또는 김치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농업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아 당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AS A NEW VARIETY PLANT AND A METHOD FOR BREE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종식물 ‘홍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된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추는 재배역사, 재배면적 및 이용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가장 중요한 채소 중 하나이다.배추는 냉한 기후를 좋아하는 엽채류로서 저온을 만나면 화아가 분화되어 개화 결실이 되는데 배추는 씨앗춘화형이고, 배추의 품종에는 결구되는 모양에 따라서 분류하여 결구종, 반결구종, 불결구종으로 크게 나누게 된다.
배추의 원산지는 중국의 북부지역이며 우리나라에 전래된 연대는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고려 고종 23년(서기 1236년)에 펴낸 「향약구급방」에 배추가 기록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배추는 생육조건이 적당하면 60~80일이면 잎이 40~90장으로 완전히 상품성을 갖추게 된다. 배추는 김치의 주원료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채소이다. 배추는 수분함량이 매우 높고 칼슘과 비타민C를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섬유질을 공급하는 채소이다. 일년 내내 먹을 수 있지만 제철은 겨울로 서리를 맞으면 섬유질이 연해지고 풍미도 증가하여 맛이 좋아진다. 보존이 쉬운 채소로 겨울철에는 신문지에 싸서 차가운 곳에 세워서 보존하면 2~3주일은 보존할 수 있으며 여름에는 랩으로 단단히 싸서 냉장고에 보관한다. 찌게요리, 볶음요리, 데침요리, 삶음요리, 김치 등 다양한 요리법에 적당한 채소이다.
배추의 작형은 봄에 파종하는 재배와 고랭지재배, 추석배추재배, 김장배추 재배, 월동배추 재배, 하우스재배로 크게 나누어진다. 배추에는 발아후 12℃이하의 저온조건에 처하게 되면 화아가 분화되고 고온장일조건 하에서 추대(쫑)가 촉진된다. 꽃대가 생기면 총상화서가 발달하며 꽃은 노란색이고, 암술1개에 수술 4개가 있다. 배추에는 자가불화합성이 강하게 나타나 교잡되기 쉬우며 이들의 성질을 이용해 일대잡종 채종에 이용되고 있다.배추는 고온에는 약하기 때문에 평지에서 한여름은 재배하기 곤란하다. 21~22℃를 넘으면 생육이 떨어지고 고온기에 결구가 시작하면 방제하기 어려운 무름병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배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김치 뿐만 아니라 쌈채소, 녹즙 및 샐러드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종식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 진행한 결과, 배추와 홍쌈추 사이에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된 신종식물 홍배추를 육종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김치 뿐만 아니라 쌈채소, 녹즙 및 샐러드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신종식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종식물의 육종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된,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씨앗 또는 조직배양에 의한 무성번식법에 의해 번식되는 신종식물 홍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를 제공한다:
(1) 잎모양은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를 보임;
(2) 중륵 안쪽과 바깥쪽은 흰색과 분홍색, 빨간색을 개체별로 띠고 있음;
(3) 결구형태는 원형및 타원형을 이루고 있음;
(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일부는 자색 및 검은색을 띰;
(5) 엽맥은 흰색을 띠며, 일부는 분홍색 및 붉은 색을 띰;
(6) 엽연(잎둘레)은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으며, 분홍색 및 붉은색을 띰;
(7) 구의 크기는 일반배추의 1/3에서 1/4정도로 작음;
(8) 엽면은 광택이 있으며 엽육은 아삭아삭함;
(9) 자가불화합성 정도가 약하며 무 및 배추에서 보이는 종자춘화형을 보임; 및
(10) 용도는 김치용, 쌈채소용, 녹즙용 또는 샐러드용임.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하여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종식물 홍배추의 육종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배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육종된 신종식물 ‘홍배추’는 기존의 배추와 같이 김치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엽부가 아름다운 홍색을 띄고 있어 쌈채소, 녹즙 및 샐러드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농업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아 당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1999년부터 2010년까지 배추를 수집하여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를 얻기까지 과정을 나타낸 육종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의 전체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의 절단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배추는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하여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육종방법에 의해 씨앗으로 번식하든가 조직배양방법에 의해 무성번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배추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잎모양은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를 보임;
(2) 중륵 안쪽과 바깥쪽은 흰색과 분홍색, 빨간색을 개체별로 띠고 있음;
(3) 결구형태는 원형 및 타원형을 이루고 있음;
(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일부는 자색 및 검은색을 띰;
(5) 엽맥은 흰색을 띠며, 일부는 분홍색 및 붉은 색을 띰;
(6) 엽연(잎둘레)은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으며, 분홍색 및 붉은색을 띰;
(7) 구의 크기는 일반배추의 1/3에서 1/4정도로 작음;
(8) 엽면은 광택이 있으며 엽육은 아삭아삭함;
(9) 자가불화합성 정도가 약하며 무 및 배추에서 보이는 종자춘화형을 보임; 및
(10) 용도는 김치용, 쌈채소용, 녹즙용, 샐러드용 또는 김치용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홍쌈추는 본 발명자의 선특허등록 건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6970호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배추 "평총1호"를 모친으로 하고, 양배추 "병고계"를 부친으로 하여 교배한 다음 얻은 염색체수가 2n=40인 식물과, 양배추 "병고계"를 모친으로 하고, 배추 "평총1호"를 부친으로 하여 교배한 다음 얻은 염색체수가 2n=40인 식물을 교배하여 종자친을 얻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계통순화하여 결실한 종자를 채파하여 생육된 홍쌈추(Brassica koreana Lee var. redleaf)로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1. 잎
모양: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
엽병: 안쪽은 음푹 들어갔으며, 바깥쪽은 튀어나온 상태로 붉은색을 띰
엽신: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붉은색이고 자색 또는 검은색을 띠기도 함.
엽맥: 평면보다 도드라진 붉은색
엽연: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는 붉은색
엽면: 광택이 있음
2. 자가불화합성: 약함
3. 종자춘화형
본 발명에 따라 배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육종된 신종식물 ‘홍배추’는 기존의 배추와 같이 김치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쌈채소, 녹즙 및 샐러드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농업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아 당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신종식물 육종
본 실시예는 1999년 배추를 수집하여 본 발명 신종식물을 얻은 2010년까지 수행된 실험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의 육종 계통도를 도시하였다.
1) 1999-2002: 새로운 신품종 육성재료로 배추(계통번호 B55, B57 B58, B9104, B9129)를 수집하여 배추와 본 발명자가 개발한 홍쌈추 사이에 종간잡종(F1)을 유기하여 잡종배의 안정을 도모하고, F2식물에 위에 공시한 배추로 여교잡을 하여 기존 배추모양의 분홍색, 빨간색 등을 띤 여러계통의 식물체를 수득하였다.
2) 2002-2010: 배추모양의 분홍색, 빨간색 등을 띤 여러계통의 식물체를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매년 하면서 채종시험, 지역적응시험을 병행하여 신종식물인 ‘홍배추’를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는 육종식물의 육종경과도표를 나타낸다.
년도구분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자료수집 --→
계통순화 ---------------------------------------------→
불화합 검정 ---------------------------------------------→
조합작성 ----------------→
조합능력검정 및 선발 -------------------------------------------------------------→
생산력 검정 --------------------------------------------→
채종시험 -----------------------------------→
지역적응
연락시험
-------------→
실시예 2: 본 발명의 신종식물 재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 신종식물 “홍배추”를 통상의 배추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하였다.
재배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일반 배추품종과 동일하나 “홍배추” 내서성이 강하며 생장속도가 늦은 편으로 재배기간이 일반 배추보다 7~15 긴 편으로 다비성 을 띠므로 질소, 칼슘, 붕소 등 비료 시비를 늘려서 재배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신종식물의 특성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장시킨 본 발명 신종식물 "홍배추"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잎모양은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를 보임;
(2) 중륵 안쪽과 바깥쪽은 흰색과 분홍색, 빨간색을 개체별로 띠고 있음;
(3) 결구형태는 원형및 타원형을 이루고 있음;
(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일부는 자색 및 검은색을 띰;
(5) 엽맥은 흰색을 띠며, 일부는 분홍색 및 붉은 색을 띰;
(6) 엽연(잎둘레)은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으며, 분홍색 및 붉은색을 띰;
(7) 구의 크기는 일반배추의 1/3에서 1/4정도로 작음;
(8) 엽면은 광택이 있으며 엽육은 아삭아삭함;
(9) 자가불화합성 정도가 약하며 무 및 배추에서 보이는 종자춘화형을 보임; 및
(10) 용도는 김치용, 쌈채소용, 녹즙용 또는 샐러드용임.
실시예 4: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와 배추의 비교
본 발명의 신종식물 홍배추를 배추와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No 특 성 표 현 형 태 출원품종
(홍배추)
대조품종
(배추)
1 2 3 4 5 6 7 8 9 No No
1 바깥잎: 자세 곧 추 서 다 약 간 서 다 수 평 이 다 2 3
2 식물체: 키 작다 중간 크다 3 6
3 바깥잎: 길이 짧다 중간 길다 3 5
4 바깥잎: 너비(폭) 좁다 중간 넓다 5 3
5 바깥잎: 모양 원형





넓은달걀형


거꾸로세운달걀형 좁은달걀형


긴타원형



1 3
6 바깥잎: 선단 뭉툭한모양 둥근모양
평평한모양 2 3
7 바깥잎: 요철 약하다 중간
심하다 5 5
8 바깥잎: 요철의 크기 작다 중간 크다 3 5
9 바깥잎: 색깔 선홍색 황록색 녹색
회록색 1 3
10 바깥잎: 색깔의 강도 옅다 중간 짙다 7 1
11 바깥잎: 안토시아닌 색소 없다 있다 9 1
12 바깥잎: 광택 약하다 중간
강하다 7 3
13 바깥잎(엽병): 결각 없다

약간있다 중간

많다

매우많다 7 5
14 중륵 넓다 중간 좁다 3 1
15 구: 크기 작다 중간 크다 1 5
16 구: 무게 가볍다 중간 무겁다 1 5
실시예 5: 본 발명 신종식물의 조직배양
본 발명에서 실시한 조직배양 방법은 홍배추 종자를 MS 기본배지(plant growth regulator free)에 파종하여 1주일경과 후에 배축을 약간 붙인 떡잎을 이용하여 MS기본배지 + NAA (Auxin류) + BA (Cytokinin류) 한 배지에 분화시켰다. 이때 NAA는 1-2mg/mL, BA는 6-8mg/mL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배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육종된 신종식물 ‘홍배추’는 기존의 배추와 같이 김치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쌈채소, 녹즙 및 샐러드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농업상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아 당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여 생육된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신종식물 홍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1) 잎모양은 약간 타원형 및 둥그스런 형태를 보임;
    (2) 중륵 안쪽과 바깥쪽은 흰색과 분홍색, 빨간색을 개체별로 띠고 있음;
    (3) 결구형태는 원형및 타원형을 이루고 있음;
    (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일부는 자색 및 검은색을 띰;
    (5) 엽맥은 흰색을 띠며, 일부는 분홍색 및 붉은 색을 띰;
    (6) 엽연(잎둘레)은 약간의 평면요철과 굴곡이 있으며, 분홍색 및 붉은색을 띰;
    (7) 구의 크기는 일반배추의 1/3에서 1/4정도로 작음;
    (8) 엽면은 광택이 있으며 엽육은 아삭아삭함;
    (9) 자가불화합성 정도가 약하며 무 및 배추에서 보이는 종자춘화형을 보임; 및
    (10) 용도는 김치용, 쌈채소용, 녹즙용, 샐러드용 또는 김치용임.
  2. 육종원료로서 배추를 사용하여 홍쌈추와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 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하여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신종식물 홍배추의 육종방법.
KR1020100127366A 2010-12-14 2010-12-14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KR10126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66A KR101260586B1 (ko) 2010-12-14 2010-12-14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JP2013544391A JP2014511172A (ja) 2010-12-14 2011-12-13 新種植物紅白菜及びその育種方法
CN2011800593571A CN103249302A (zh) 2010-12-14 2011-12-13 新品种植物红白菜及其育种方法
EP11848815.4A EP2653028A4 (en) 2010-12-14 2011-12-13 NEW VARIANT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AND PROCEDURE FOR YOUR BREEDING
US13/993,672 US9565827B2 (en) 2010-12-14 2011-12-13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Hongbaechoo as a new variety of plant and a method for breeding the same
PCT/KR2011/009590 WO2012081890A2 (ko) 2010-12-14 2011-12-13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366A KR101260586B1 (ko) 2010-12-14 2010-12-14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56A true KR20120066156A (ko) 2012-06-22
KR101260586B1 KR101260586B1 (ko) 2013-05-06

Family

ID=4624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366A KR101260586B1 (ko) 2010-12-14 2010-12-14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5827B2 (ko)
EP (1) EP2653028A4 (ko)
JP (1) JP2014511172A (ko)
KR (1) KR101260586B1 (ko)
CN (1) CN103249302A (ko)
WO (1) WO201208189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841A1 (ko) * 2012-09-04 2014-03-13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KR101388950B1 (ko) * 2012-08-03 2014-04-24 이종철 빨간 브라시카 라파 식물 및 이의 육종 방법
KR20170058032A (ko) * 2015-11-18 2017-05-26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신품종 배추 식물
KR20170070343A (ko) * 2015-12-11 2017-06-22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신품종 배추 식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6523B (zh) * 2012-11-30 2014-01-15 江苏太湖地区农业科学研究所 一种绿菜薹新型种质资源的选育方法
CN103155855B (zh) * 2013-04-02 2014-12-03 镇江瑞繁农艺有限公司 一种提高结球甘蓝杂交制种产量与质量的方法
CN104839011B (zh) * 2015-05-29 2017-05-03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获得紫色芥蓝的方法
CN109392697B (zh) * 2018-11-16 2021-09-17 东北农业大学 一种利用远缘杂交技术培育紫色大白菜新种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70B1 (ko) * 2007-04-09 2009-01-09 이관호 신종식물 홍쌈추 및 그 육종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0B1 (ko) * 2012-08-03 2014-04-24 이종철 빨간 브라시카 라파 식물 및 이의 육종 방법
WO2014038841A1 (ko) * 2012-09-04 2014-03-13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KR101416646B1 (ko) * 2012-09-04 2014-07-08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KR20170058032A (ko) * 2015-11-18 2017-05-26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신품종 배추 식물
KR20170070343A (ko) * 2015-12-11 2017-06-22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신품종 배추 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3458A1 (en) 2014-01-09
CN103249302A (zh) 2013-08-14
KR101260586B1 (ko) 2013-05-06
WO2012081890A3 (ko) 2012-10-11
WO2012081890A9 (ko) 2012-11-08
EP2653028A4 (en) 2014-05-14
WO2012081890A2 (ko) 2012-06-21
EP2653028A2 (en) 2013-10-23
JP2014511172A (ja) 2014-05-15
US9565827B2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86B1 (ko)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Lee et al. Optimization of temperature and light, and cultivar selection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head lettuce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CN103070076B (zh) 一种花生离体诱变定向筛选耐盐体的方法
CN107912295A (zh) 一种优质、高产南瓜新品种的育种方法
CN103931497A (zh) 一种提高火龙果组培苗成苗率的方法
CN103651111A (zh) 榨菜与紫甘蓝三基因组异源六倍体蔬菜种质及获取方法
CN102150612B (zh) 一种叶用水芹新品种选育方法
KR100876970B1 (ko) 신종식물 홍쌈추 및 그 육종방법
KR101416646B1 (ko)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CN104303999B (zh) 一种锦绣杜鹃与大字杜鹃杂交胚的繁育方法
CN103461107A (zh) 一种白色型强雌杂交苦瓜的育种方法
KR101559574B1 (ko) 신종식물 자강고추 및 이의 육종방법
KR100876971B1 (ko) 식물 신품종 로얄채 및 그 육종방법
CN106376453A (zh) 一种高产优质大葱的培育方法
CN110367117A (zh) 一种煮食后果肉不易褐变的丝瓜品种选育方法
KR101844122B1 (ko) 신종식물 쌈그라 및 그 육종방법
KR101545123B1 (ko) 식물 신품종 e-쌈추 및 그 육종방법
KR101548712B1 (ko) 신종식물 통쌈추 및 이의 육종방법
Garcia et al. Globe artichoke cultivation in Argentina
Bratu et al. New eggplant genotypes with distinct phenotypic expressivity obtained at VRDS Buzău.
Sharma et al. Performance of capsicum genotypes for horticultural traits and disease incidence under protected structure vis-a-vis open conditions
KR101981386B1 (ko)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CN104686370A (zh) 一种玛咖多倍体植株的培育方法
Guan et al. New Germplasm for Breeding: Pink-flowered and White-fruited Strawberry
Toma et al.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in vitro Regeneration Protocol for Brassica campestris L. Var. Tori-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