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86B1 -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86B1
KR101981386B1 KR1020170069134A KR20170069134A KR101981386B1 KR 101981386 B1 KR101981386 B1 KR 101981386B1 KR 1020170069134 A KR1020170069134 A KR 1020170069134A KR 20170069134 A KR20170069134 A KR 20170069134A KR 101981386 B1 KR101981386 B1 KR 10198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mustard
plants
pl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335A (ko
Inventor
이성하
이관호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이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하 filed Critical 이성하
Priority to KR102017006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3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0Brassicaceae, e.g. canola, broccoli or rucola
    • A01H6/201Brassica junce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겨자를 종자친(♀)으로 하고 홍쌈추를 화분친(♂)으로 하여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이로부터 적겨자 모양의 빨간색을 띤 다수 개체의 식물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종간잡종으로부터 계통 및 개체를 선발하여 얻은 본 발명 신품종 식물 홍겨자는 빨간색을 띠고 겨자맛이 나며 쌈채소용, 녹즙용, 샐러드용 또는 김치용으로도 적합하고 우수계통의 식물체를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검정, 종자생상력 검정 및 지역적응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육성된 신규한 홍겨자 식물 및 그 종자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A new plant variety of B.juncea L., Hongkyeoja and breed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신품종 홍겨자(Brassica juncea L. Hongkyeoja) 및 그 육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겨자와 홍쌈추를 교배하여 종간잡종(F1)을 유기하고 안정을 도모하여 빨간색을 띠고 겨자맛이 나는 신품종 식물을 다수 확보고 우수계통, 즉 우수계체의 식물체를 계통순화, 자가불화합검정, 종자생산력 검정 및 지역적응시험을 통하여 신규로 육성한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겨자(Brassica juncea)는 겨자채의 한가지로 잎은 폭이 넓고 둥글며 잎 면이 오글오글한 모양으로 추위에 강하고 어느 토양에서나 잘 자라며 추대현상도 늦게 나타난다. 잎의 색깔은 자홍색을 띤 파란색, 파란색에 붉은색을 띤 것 등이 있으며, 영양성분으로는 비타민A와 C, 카로틴, 칼슘, 철이 풍부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시금치, 당근과 함께 갈아서 생즙으로 마시면 치질과 황달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 홍쌈추(Brassica koreana Lee var.redleaf)는 배추와 양배추와의 종간잡종에 이수성육종방법(異數性育種方法)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가 육성한 식물 신품종이다. 상기 홍쌈추는 배추를 생으로 쌈을 싸서 취식하고자 할 때는 배춧잎의 모양이 타원형이고 줄기가 뻣뻣하여 적당하지 않고 샐러드로 조리하여 먹을 때는 입안에서 질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추를 쌈채소, 녹즙 또는 샐러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종식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1586호에 개시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겨자맛이 나는 쌈채소용 등으로 식용하기 좋은 식물적 특성을 가진 적겨자와 붉은색을 띠는 홍쌈추의 식물적 특성을 함께 갖는 식물 신품종을 육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겨자 및 홍쌈추를 육종원료로 하여 적겨자 모양의 빨간색을 띤 쌈채소, 녹즙, 샐러드 및 김치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홍겨자 식물 신품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겨자를 종자친(♀)으로 하고 홍쌈추를 화분친(♂)으로 교배하여 이로부터 적겨자 모양의 빨간색을 띤 여러 개체의 식물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종간잡종(F1)으로부터 계통 및 개체를 선발하여 F2식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F2식물체의 우수계통의 식물체를 계통순화, 자가불화합검정, 종자생산력 검정, 채종시험 및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여 식물 신품종 홍겨자를 얻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적겨자 및 홍쌈추를 육종원으로 하여 신규로 육종된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쌈채소, 녹즙, 샐러드 또는 김치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 신품종 홍겨자채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적겨자와 홍쌈추를 교잡하여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를 얻기까의 전 과정을 도식화한 육종 계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 식물체의 사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 식물잎의 전면 사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잎의 뒷면 사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신품종 홍겨자 식물의 유전형과 표현형의 안정성을 보인 포장재배 사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육종결과 얻은 신품종 홍겨자 식물 종자와 종자친 및 화분친 종자의 비교사진도이다.
본 발명의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종자친(♀)을 적겨자로, 화분친(♂)을 홍쌈추로 육종원재를 선택하여 적겨자 모양의 빨간색을 띤 식물 신품종을 선발하고 계통순화하여 결실한 종자를 채파함으로서 생육 될 수 있다.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쌈채소용, 녹즙용, 샐러드용 및 김치용 채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육종방법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여 변종 식물체를 개발될 수 있다면 이 식물체 역시 본 발명 방법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식물학적 특성
1. 잎
모양: 타원형 및 둥근 형태를 보인다.
잎줄기: 안쪽과 바깥쪽은 빨간색을 띄고 있으나, 바깥쪽의 경우 빨간색의 정도가 안쪽에 비해 낮아 보인다. 잎줄기 밑부분의 경우 적겨자채는 바깥쪽으로 불룩 튀어나와 있고 홀쭉하나 홍겨자는 튀어나오지도 않고 굵다.
엽신(잎파랑이) :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매우 붉으며 추운 겨울에 재배할 경우 자색 및 검은색을 띈다.
엽맥: 엽신의 붉은 색보다 더 짙은 붉은색과 광택을 띤다.
엽연(잎둘레) : 적겨자채는 결각과 굴곡이 둔하게 있는 편이나 홍겨자채는 결각이 예리하며 톱니바퀴 모양을 띠고 있다.
엽면: 광택이 있다.
엽육: 아삭아삭하고 겨자맛이 난다.
자가불화합성: 강하지 않다.
추대성: 적겨자채보다 늦은 만추대성을 보인다.
생육속도: 적겨자채보다 더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식물 신품종 홍겨자의 육종
본 발명은 2005년에서 2006년 새로운 신품종 육성재료로 적겨자(Brassica juncea)를 종자친(♀)으로 하고 본 발명자가 육성한 홍쌈추(Brassica koreana Lee var. redleaf)를 화분친(♂)으로 하여 종간잡종(F1)을 유기하여 잡종배의 안정을 도모하고, 빨간색을 띄고 겨자맛이 나는 식물을 얻었고 엽모양이 예리하며, 엽연이 톱니모양이고, 엽끝은 뾰족한 모양에 엽면 앞뒷면에 빨간색을 띄며 매년도마다 겨자맛이 나는 우수계통(개체)의 식물체를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검정 및 종자생산력 검정을 매년 수행하면서 채종시험 및 지역적응시험을 병행하였다(표1).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신품종 홍겨자 육종을 2005년도에 상기 적겨자를 모계로 두 개체를 선발하고 한 개체당 9개의 화방(꽃송이)에 부계로서 홍쌈추의 화분을 인공수분시켜 수정시켰다. 적계자 1개 화방당 12개 봉우리에 대하여 개화 직전 것부터 제웅하여 교배시켰다. 그 해 적겨자채를 생육시켜 1개의 봉오리당 즉 1개의 꼬투리(협)당 대략 8~10개의 종자를 맺었고 총 900개의 결실한 종자를 채종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그 개체를 모계로 한 결과 크기가 균일한 중간 잡종(F1) 종자 약 1700개를 확보하고 제3대(F3)에 걸쳐 계통 및 개체 선발을 계속하였다. 그 후에는 제 10대에 이르기까지 계통 및 개체 선발과 계통재배, 특성 검정, 생산력 검정 및 채종 시험을 반복하여 유전형질이 고정된 신품종을 완성하였다 (도1).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 육종 경과
년도
구분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자료수집 ----→
계통순화 -------------------------------------------------→
불화합 검정 -------------------------------------------------→
조합작성 ----------→
조합능력검정
및 선발
-------------------------------------------------------→
생산력 검정 -------------------------------------→
채종시험 --------------------------------→
지역적응
연락시험
--------------------→
실시예2.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의 특성 조사
도 2와 하기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장시킨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의 특성으로 식물체 크기와 바깥잎의 모양. 바깥잎의 너비 및 구를 관찰하고 대조종으로 적겨자를 사용하여 특성을 비교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신품종 식물체의 키는 적겨자에 비해 작고 잎 모양은 타원형 형태를 보이고 있고 엽병은 없다(도3 내지 도4). 엽신(잎파랑이)은 앞면과 뒷면이 선홍색으로 아주 붉으며 추운겨울에 재배할 경우 자색 및 검은색을 띄는 것도 있다. 엽맥은 엽신의 붉은색보다 더 짙은 붉은 색을 띠며 광택이 있다. 특히 황산화할성이 뛰어난 안토시아닌 색소는 적겨자에서는 전혀 생산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 식물 신품종 홍겨자 식물에서는 생산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 홍겨자의 엽연(잎둘레)은 결각이 예리하며 톱니바퀴 모양을 띠고 있다. 자가불화합이 강하지 않으며 무, 배추 등에서 보이고 있는 종자춘화형을 보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육성된 우수한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포장시험결과 유전형이 안정되었음을 그 표현형의 균일성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5) 채종 결과 얻은 총겨자 종자는 도6 사진도와 같이 종자친(♀)과 화분친(♂)을 비교하여 두었다. 본 발명에 따라 육종된 홍겨자 식물 신품종 종자는 2015.12.4.일자 한국 생명공학센타에 KCTC12955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우수한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Brassica juncea L. Hongkyeoja"로 명명하고, 영문명칭은 "Korea red kyeoja, Hongkyeoja", 한자명은 "韓國紅高菜"로 칭하였다.
본 발명 신물 신품종 홍겨자 식물의 식물학적 특성조사
No 식물학적 특 성 표 현 형 태 출원품종
(홍겨자)
대조품종
(적겨자)
1 2 3 4 5 6 7 8 9 No No
1 바깥잎:
자세
곧추 서다 약간 서다 수평 이다 1 2
2 식물체: 키 작다 중간 크다 5 7
3 바깥잎: 길이 짧다 중간 길다 5 7
4 바깥잎: 너비(폭) 좁다 중간 넓다 5 7
5 잎: 모양 원형 넓은달걀형 거꾸로세운달걀형 좁은달걀형 타원형 긴타원형 5 5
6 잎: 선단 뭉툭한모양 둥근모양
평평한모양 뾰족한모양 7 5
7 잎: 요철 약하다 중간 심하다 3 5
8 잎: 요철 크기 작다 중간 크다 3 5
9 잎(앞면): 색깔 선홍색 황록색 녹색 회록색 1 3
10 잎(뒷면): 색깔 선홍색 황록색 녹색 회록색 1 5
11 잎(앞면): 색깔의 강도 옅다 중간 짙다 7 3
12 잎: 안토시아닌 색소 없다
있다 9 1
13 잎: 광택 약하다 중간 강하다 7 5
14
잎(엽병): 결각 없다
약간있다
중간
많다 매우많다 1 1
본 발명에 따라 적겨자를 종자친(♀) 그리고 홍쌈추를 화분친(♂)으로 육종원으로 하여 육종된 식물 신품종 홍겨자는 쌈채소, 녹즙, 샐러드 및 김치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채소산업경제적 가치가 높아 식물육종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기탁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KCTC 12955BP
수탁일자 20151204

Claims (3)

  1. 적겨자(♀)와 홍쌈추(♂)의 종간잡종을 유기하고 계통순화하여 육성한 하기와 같은 식물학적 특성을 갖고 기탁번호 KCTC 12955BP의 종자로부터 유래한 식물 신품종 홍겨자 식물(Brassica juncea L. Hongkyeoja):
    1. 잎
    모양: 타원형 및 둥근 형태
    줄기: 안쪽과 바깥쪽은 빨간색을 띄고, 밑부분은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있음
    결구형태: 비결구 형태
    엽신: 선홍색으로 붉으며 겨울에 재배할 경우 자색 및 검은색을 띄는 경우도 있음
    엽맥: 엽신의 붉은색보다 짙은 붉은색과 띠며 광택을 띔
    엽연(옆둘레): 결각이 톱니바퀴 모양
    엽면: 광택이 있음
    엽육: 아삭아삭하고 겨자맛임
    2. 자가불화합성: 강하지 않으며 종자춘화형을 보임
    3. 추대성: 만추대성
    4. 생육속도: 적겨자채보다 더딤
  2. 적겨자(♀)와 홍쌈추(♂)의 종간잡종을 유기하여 잡종배의 안정을 도모하는 단계와; 적겨자식물에 F2식물을 여교잡하여 기존 적겨자모양에 빨간색을 띤 여러 계통의 식물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계통의 식물체를 계통순화와 자가불화합검정, 종자생산력 검정 및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하여 기탁번호 KCTC 12955BP의 종자로부터 유래한 홍겨자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식물 신품종 홍겨자(Brassica juncea L. Hongkyeoja)의 육종방법.
  3. 제 2항의 방법에 따라 육종된 식물 신품종 홍겨자 종자(KCTC 12955BP)




KR1020170069134A 2017-06-02 2017-06-02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KR10198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34A KR101981386B1 (ko) 2017-06-02 2017-06-02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34A KR101981386B1 (ko) 2017-06-02 2017-06-02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35A KR20180132335A (ko) 2018-12-12
KR101981386B1 true KR101981386B1 (ko) 2019-05-22

Family

ID=6467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34A KR101981386B1 (ko) 2017-06-02 2017-06-02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3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23B1 (ko) 2013-08-21 2015-08-19 이성하 식물 신품종 e-쌈추 및 그 육종방법
KR101844122B1 (ko) 2014-12-31 2018-03-30 이성하 신종식물 쌈그라 및 그 육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646B1 (ko) * 2012-09-04 2014-07-08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23B1 (ko) 2013-08-21 2015-08-19 이성하 식물 신품종 e-쌈추 및 그 육종방법
KR101844122B1 (ko) 2014-12-31 2018-03-30 이성하 신종식물 쌈그라 및 그 육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35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nes et al. Introduction to banana, abacá and enset.
EP2512217B1 (en) Tetraploid corn salad
KR101979878B1 (ko) 신품종 배추 식물
KR101260586B1 (ko)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CN104620969A (zh) 一种羊栖菜快速育种方法
KR101416646B1 (ko)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KR100876970B1 (ko) 신종식물 홍쌈추 및 그 육종방법
Rêgo et al. Intraspecific croß-compatibility in ornamental pepper
KR101981386B1 (ko)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CN106962175B (zh) 果柄抗撞击且综合性状优良的南瓜种质资源的创制方法
KR100876971B1 (ko) 식물 신품종 로얄채 및 그 육종방법
WO2004057947A1 (en) A new species of plant baemoochae and method for breeding the same
KR101556656B1 (ko) 신품종 딸기 담향 및 이의 육종 방법
KR20150055185A (ko) 신종식물 자강고추 및 이의 육종방법
Da Silva et al. Processing yield of the carrot cultivar Esplanada as affected by harvest time and planting density
KR101515542B1 (ko) 신품종 딸기 죽향 및 이의 육종 방법
CN107360963A (zh) 一种彩色甜糯玉米自交系选育方法
CN106973782A (zh) 新型菠菜及其生产方法
Wu et al. ‘Jinyu’and ‘Jinhe’: Two New High-quality, Very Early-ripening Apricot (Prunus armeniaca L.) Cultivars from China
Hassan et al. Squash germplasm evaluation for some vegetative growth, flowering and yield characters
KR101844122B1 (ko) 신종식물 쌈그라 및 그 육종방법
KR20170069656A (ko) 식물 신품종 홍겨자 및 그 육종방법
CN110367117A (zh) 一种煮食后果肉不易褐变的丝瓜品种选育方法
KR20170133877A (ko) 식물 신품종 홍알배기 및 그 육종방법
KR20170108708A (ko) 식물 신품종 홍양상추와 황양상추 및 그 육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