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878B1 - 신품종 배추 식물 - Google Patents

신품종 배추 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878B1
KR101979878B1 KR1020150161731A KR20150161731A KR101979878B1 KR 101979878 B1 KR101979878 B1 KR 101979878B1 KR 1020150161731 A KR1020150161731 A KR 1020150161731A KR 20150161731 A KR20150161731 A KR 20150161731A KR 101979878 B1 KR101979878 B1 KR 10197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abbage
plant
sphere
control varieties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32A (ko
Inventor
변동해
Original Assignee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변동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변동해 filed Critical 씨제이브리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신품종 배추 식물 및 그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품종 배추 식물{New chinese cabbage variety}
신품종 배추 식물 및 그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배추(Brassica rapa spp. pekinensis)는 십자화과 배추속에 속하는 식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배추는 김치의 주원료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채소 중 하나이며, 수분 함량이 높고 섬유질과 비타민 A 및 C가 풍부하다.
배추의 잎은 나선형으로 착생되고 줄기가 단축되어 로제트 모양을 갖는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옅은 녹색을 띠며 배추의 꽃은 짙은 황색을 띤 십자화관으로 1개의 암술 및 6개의 수술을 포함한다. 배추는 저온에서 꽃눈이 생긴 후 고온 장일이 되면 추대하는 특성을 갖는다.
배추의 품종은 결구 형태 또는 재배 기간에 따라 분류된다. 속이 꽉 차는 결구종은 잎이 중심부에 모이나 끝이 겹치지 않는 포합형과 양배추처럼 잎이 중앙 부위를 넘어 자라서 끝이 서로 덮이는 포피형으로 나누어진다.
보다 상품 가치가 높고 활용성이 높은 배추 품종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양상은 신품종 배추 식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잎, 줄기, 종자, 또는 세포를 제공한다.
일 양상은 주황색의 내엽을 갖고 파종 후 80일 이전에 성숙기에 도달하는 신품종 배추 식물을 제공한다. 용어 '성숙기'는 배추의 결구가 완료된 단계(phase)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성숙기에 도달한 배추는 수확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구는 잎이 분화하여 생장하다가 잎이 오므라들어 속이 채워져서 구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구가 완료된 단계는 결구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성숙기에 도달하는 시점은 파종 후 80일 이전, 78일 이전, 77일 이전, 76일 이전, 75일 이전, 또는 70일 내지 75일일 수 있다.
상기 배추 식물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1) 식물체의 평균 키가 30 내지 35 cm로 작음.
(2) 외엽의 자세가 약간 서는 편임.
(3) 외엽 잎면의 요철이 다소 많음.
(4) 외엽 가장자리 결각이 중간임.
(5) 외엽 중륵의 가로자른 면의 모양이 평평함.
(6) 구 키가 24 cm로 작음.
(7) 구 너비가 16 cm로 좁음.
(8) 구 세로자른 면의 모양은 달걀형임.
(9) 외엽 중륵의 길이가 18 cm로 중간임.
(10) 구 속 색깔이 주황색임
상기에서, 식물체의 키는 수확기의 초장을 나타낸다. 외엽의 자세는 결구시작기의 외엽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으로, 상기 배추 식물의 외엽의 자세는 '곧추선(erect)', '약간선(semi-erect)', 및 '수평인(spreading)' 자세 중 '약간선' 자세에 해당한다. 외엽 잎면의 요철(blister)은 수확기 잎의 윗부분 면의 요철 수를 나타낸다. 상기 배추 식물은 외엽의 요철이 크고 많은 특성을 갖는다. 외엽 가장자리 결각은 수확기 최대 외엽의 위끝 쪽 가장자리의 톱니모양을 나타낸다. 외엽 중륵의 가로자른 면의 모양은 수확기 최대 외엽의 중륵 중 중간 부위의 가로자른 면의 모양을 나타낸다. 구의 키 및 너비는 각각 수확기의 구에서 결구된 부위의 최대종경 및 최대너비를 나타낸다. 구의 세로자른 면의 모양은 수확기의 구를 세로로 자를 경우 단면의 모양으로, 상기 배추 식물의 구의 세로자른 면의 모양은 '원형', '타원형', '달걀형', '거꾸로 세운 달걀형', '장타원형', 및 '긴 장타원형' 중 '달걀형'에 해당한다. 외엽 중륵의 길이는 수확기 최대 외엽의 중륵의 길이를 나타낸다. 구의 속 색깔은 수확기에 구의 속 색깔로, 상기 배추 식물의 구 속 색깔은 '흰색', 연한 노랑색', '노랑색', '진한 노랑색', '주황색', 및 연녹색' 중 주황색에 해당한다. 상기 배추 식물은 주황색의 내엽이 태양광에 노출될 경우 붉은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주황색으로부터 붉은색으로의 색 변화는 리코펜(lycopene) 함량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추 식물은 수탁번호 KCTC 12917BP로 기탁된 종자로부터 유래된 식물일 수 있다.
상기 배추 식물은 기존 배추 품종 '춘광'에 비해, 구 속 색깔이 주황색을 띠며, 식물체의 키 및 구의 키가 작고 구의 너비가 좁으며 구가 더 단단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배추 식물은 '춘광'에 비해, 성숙기에 일찍 도달하여 빠른 수확이 가능하다. 상기 배추 식물은 빠른 시일 내에 성숙된 배추를 수확할 수 있어서, 높은 생산성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추 식물은 구 속이 주황색이고 구가 더 단단하여 배추를 사용하여 김치와 같은 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맛의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품종 배추 식물을 '더 한 1호(Brassica rapa spp. pekinensis var. Hane1t)'로 명명하고, 그 종자를 2015년 10월 12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KCTC 미생물자원센터에 KCTC 12917BP로 기탁하였다
상기 배추 식물은 하오노일 계통을 모계로 하고, 경하노쌈 계통을 부계로 한 교잡종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하오노일은 일본 도입계통인 하오 계통을 모계로 하고, 국내 도입계통인 노일 계통을 부계로 하여 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 개체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구형이 좋은 개체에 대하여 세대를 진전시켜 얻은 고정 계통일 수 있다. 경하노쌈은 국내 도입계통인 경하 계통을 모계로 하고 국내 도입계통인 노쌈 계통을 부계로 하여 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 개체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숙기가 빠른 개체에 대하여 세대를 진전시켜 얻은 고정 계통일 수 있다. 용어 '추대 안정성'은 꽃눈이 분화하여 꽃대가 생기는 현상이 불시에 나타나는 비율이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배추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잎, 줄기, 종자, 또는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배추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잎 및/또는 줄기는 김치, 나물, 샐러드 등 식재료로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추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종자 및/또는 세포는 다른 배추 개체, 계통, 또는 품종을 육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배추 식물의 종자를 토양 또는 영양배지에 파종하고 생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배추 식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배추 품종 '더 한 1호'의 식물은, 결구가 단단하고 주황색에 가까운 내엽색을 가지고 있어 기존 배추 품종에 비해 상품 가치가 높고 다양한 용도의 식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상기 배추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잎, 줄기, 종자, 또는 세포는 상기 배추 식물를 생산하거나 그를 이용한 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더 한 1호의 육성 과정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더 한 1호의 측면, 상면, 종단면, 및 횡단면의 사진이다.
도 3은 더 한 1호의 포장 재배 사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품종 '더 한(韓) 1호'의 육성
하기 신품종 배추 육성을 위한 교배 및 선발 과정을 2009년 4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이천시 신둔면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인 일본 도입계통인 하오 계통을 모계로 하고, 추대가 안정되고 구형이 좋은, 국내 도입 계통인 노일 계통을 부계로 하여 뇌수분(bud pollination)을 통해 교배하였다. 이로부터 분리된 개체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구형이 좋은 개체를 단주계통법(Single Seed Descent: SSD)에 의해 세대를 진전시켜 유전적 형질이 고정된 모계 계통들을 수득하였다. 또한, 내엽색이 주황색인 국내 도입계통인 경하 계통을 모계로 하고 추대가 안정되고 숙기가 빠른, 국내 도입계통인 노쌈 계통을 부계로 하여 뇌수분을 통해 교배하였다. 이로부터 분리된 개체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숙기가 빠른 개체를 단주계통법에 의해 세대를 진전시켜 유전적 형질이 고정된 부계 계통들을 수득하였다.
고정된 모계 계통들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구형이 좋은 계통들을 선발하고, 부계 계통들 중 추대가 안정되고 내엽색이 주황색이며 숙기가 빠른 계통들을 선발한 후, 이들로부터 자가뇌수분(self bud pollination)을 통해 종자를 획득하였다. 이들 모,부계 계통들을 대상으로 개화교배(flower cross pollination)를 통해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조합들에 대하여 2013년 4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시험포장에서 재배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품종인 '더 한 1호'를 수득하였다. '더 한 1호'에 대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시험포장 및 농가에서 재배시험을 한 결과, 대조 품종인 춘광에 비해 결구의 내엽색이 주황색이고 숙기가 빠르며 재배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더 한 1호의 특성 및 대조 품종과의 비교
신품종 배추인 더 한 1호와 대조 품종인 춘광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112439145-pat00001
Figure 112015112439145-pat000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917BP 20151012

Claims (4)

  1. 종자 수탁번호 KCTC 12917BP로 기탁된 주황색의 내엽을 갖는 신품종 배추(Brassica rapa spp. pekinensis) 식물로서, 대조품종인 춘광에 비해 하기의 특성을 더 갖는 것인 식물:
    (1) 식물의 키가 대조품종에 비해 작다;
    (2) 바깥잎 길이가 대조품종에 비해 짧다;
    (3) 바깥잎 요철의 크기가 대조품종에 비해 크다;
    (4) 구의 키가 대조품종에 비해 작다; 및
    (5) 구의 너비가 대조품종에 비해 좁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파종 후 80일 이전에 성숙기에 도달하는 것인 식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파종 후 75일 이전에 성숙기에 도달하는 것인 식물.
  4. 청구항 1의 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종자.
KR1020150161731A 2015-11-18 2015-11-18 신품종 배추 식물 KR10197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31A KR101979878B1 (ko) 2015-11-18 2015-11-18 신품종 배추 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31A KR101979878B1 (ko) 2015-11-18 2015-11-18 신품종 배추 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32A KR20170058032A (ko) 2017-05-26
KR101979878B1 true KR101979878B1 (ko) 2019-05-17

Family

ID=5905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31A KR101979878B1 (ko) 2015-11-18 2015-11-18 신품종 배추 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8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146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7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4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2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3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5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96A (ko) * 2017-11-13 2019-05-22 씨제이제일제당 (주) 라이코펜 함량이 높은 기능성 발효식품
KR102651296B1 (ko) * 2018-12-28 2024-03-26 씨제이제일제당 (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의해 발생한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김치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651A (ko) * 2000-08-08 2000-12-05 이관호 식물 신품종 쌈추 및 그 육종방법
DK1589807T3 (da) * 2002-12-06 2012-02-13 Del Monte Fresh Produce Company Transgene ananasplanter med modificerede carotenoidniveauer og fremgangsmåder til deres fremstilling
KR101260586B1 (ko) * 2010-12-14 2013-05-06 이관호 신종식물 홍배추 및 이의 육종방법
KR101416646B1 (ko) * 2012-09-04 2014-07-08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146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7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4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2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3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KR20220047145A (ko) 2020-10-08 2022-04-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품종 배추 및 이의 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32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878B1 (ko) 신품종 배추 식물
Morales et al. Arugula: A promising specialty leaf vegetable
Inden et al. Japanese bunching onion (Allium fistulosum L.)
Brand Aronia: Native shrubs with untapped potential
Van der Meer et al. Leek (Allium ampeloprasum)
JP2018143188A (ja) サツマイモの苗及びその作成方法、並びにサツマイモの栽培方法
Karamura et al. General plant morphology of Musa
KR101416646B1 (ko) 식물 신품종 홍경채 및 그 육종방법
CN104126499A (zh) 一种通过胚抢救获得柑橘杂交后代的方法
US20140101808P1 (en) Mutant allele of watercress
US8575430B2 (en) Hybrid artichoke variety NUN 4006 AR
KR101556656B1 (ko) 신품종 딸기 담향 및 이의 육종 방법
CN106973782A (zh) 新型菠菜及其生产方法
KR101515542B1 (ko) 신품종 딸기 죽향 및 이의 육종 방법
KR101881992B1 (ko) 신품종 배추 식물
KR101566150B1 (ko) 사과 신품종 ''에스씨엘''
Pohlan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cacao
USPP20645P3 (en) Banana plant named ‘Adi’
Singh Bush Mango (Irvingia gabonensis): new potential multipurpose fruit tree for India
CN104521576B (zh) 一种可可种苗的繁育方法
Jo et al. 'CHIAK', A NEW SELECTION OF ACTINIDIA ARGUTA
KR101548712B1 (ko) 신종식물 통쌈추 및 이의 육종방법
Ognjanov et al.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table cornelian cherry (Cornus mas L.)
KR102342057B1 (ko) 저온 스트레스 및 뿌리혹병 저항성 신품종 배추
CN101194590B (zh) 药用白菊花早花品种的选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