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555A - 모발화장료 - Google Patents

모발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555A
KR20120063555A KR1020127012661A KR20127012661A KR20120063555A KR 20120063555 A KR20120063555 A KR 20120063555A KR 1020127012661 A KR1020127012661 A KR 1020127012661A KR 20127012661 A KR20127012661 A KR 20127012661A KR 20120063555 A KR20120063555 A KR 2012006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air
cosmetic material
mass
hai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320B1 (ko
Inventor
케이코 나카무라
타이조 후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06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성분(a)~(c)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a) 휘발성 유분:40~90 질량%
(b)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0.1~20 질량%
(c) 에탄올:0.1~30 질량%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헤어오일로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뛰어난 사용감을 가져, 경시안정성이 뛰어난 신규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발화장료{HAI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주로 헤어오일로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뛰어난 사용감을 가지며 경시안정성이 뛰어난 모발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헤어오일은 모발에 유분을 보충하여, 광택, 매끄러움, 유연성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이다. 그 구성 성분은 비교적 점도가 낮은 식물유(동백유, 올리브유등), 광물유(유동 파라핀)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것에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스쿠알란, 실리콘유등이 배합되고 있다(비특허 문헌 1).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고분자 실리콘을 함유하고, 모발에 도포했을 때 잘 발라지며, 매끄러움과 유연한 감촉이 뛰어나 모발에 대해 달라붙지 않고, 한편 도포후 모발에 있어서 매끄러운 감촉이나 부드러움, 적당히 손질하기 쉬운 모발화장료가 개시되고 있다. 해당 모발화장료는 구성 성분으로서 특정의 고분자 실리콘, 휘발성 탄화수소유, 콜레스테롤 유도체, 저점도 실리콘유를 배합하는 것이다. 비수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태?제형에 따라서는 소량의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을 포함할 수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 기재의 모발화장료는 본원 발명의(b) 성분을 구성성분으로서 갖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감이 본원 발명보다 반드시 좋지 않다. 
또, 특허 문헌 2는 본원 출원인에 의한 발명이며, 모발이 뛰어난 광택을 주어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해, 게다가 촉촉하면서 보송보송한 감촉을 준다고 하는 상반되는 사용감을 동시에 실현한 헤어오일등의 모발화장료가 개시되고 있다. 그 구성 성분은 (A) 식물유를 1~15 질량%, (B) 휘발성 유분, (C) 고분자량 디메틸 폴리실록산, (D) 히드록실기, 폴리옥시 에틸렌기 및/또는 폴리옥시 프로필렌기를 가지는 디메틸 폴리실록산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이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헤어오일은 본원 발명의 필수 성분인 에탄올을 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감이 본원 발명보다 악화된다. 게다가 특허 문헌 2 기재의 발명에 본원 발명의(b) 성분을 더했을 경우에는 그 경시안정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07-223930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 2009-221143호 공보
미츠이 타케오 편자, "신화장품학", 1997년 8월 20일(1판 3쇄), P438~439 남산당
본 발명자등은 상술의 과제를 참고하여, 사용감과 안정성이 뛰어난 신규 헤어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헤어오일 조성물에 특정 구조의 디메틸 폴리실록산과 에탄올을 병용하면, 놀랍게도, 머리카락과의 친화력이 좋고, 빗질에 편하며, 모발을 손질하기 쉽고, 모발의 윤택감이 높은 헤어오일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헤어오일이 일반적으로 도포시 기름기가 많다고 하는 과제도 해결하며, 나아가 시간 경과에 따라 모발이 푸석푸석해지는 헤어오일 독자적인 과제도 해결하고, 헤어오일 조성물의 경시안정성도 향상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뛰어난 사용감과 경시안정성을 가지는 신규 헤어오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성분(a)~(c)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a) 휘발성 유분:40~95 질량%
(b) 고중합직쇄상 블록형의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0.1~20 질량% 
(c) 에탄올:0.1~30 질량%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b)가 하기식(1)을 가지는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1)
(R는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 a 및 b는 0~50의 정수, m는 5~300의 정수, n는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로 (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치콘올,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및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리콘 고무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또한 (e)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이상 포함한 극성유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발화장료가 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수계 헤어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헤어오일)는 휘발성 유분보다도 더 휘발성의 높은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으로, 용매가 빨리 휘발하므로, 젖은 머리카락과도 마른 머리카락과도 친화력이 좋아서 빨리 침투되므로, 헤어오일의 결점이었던 도포 직후의 기름기가 많음이 극단적으로 개선된다.
(2)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헤어오일)는 도포 직후는 모발이 촉촉해도 시간 경과로,푸석푸석해 버리는 헤어오일의 결점이 개선된다. 즉, 모발화장료의 용매가 휘발성 유분뿐인 경우에도, 도포후 드라이어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법의 경우는 도포 직후는 모발이 촉촉하지만, 시간경과에 따라 퍼석퍼석해진다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도포 직후의 촉촉함은 모발에 잔존하는 유분만이 아니고, 아직 휘발하지 못한 휘발성 유분의 사용감이 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으로, 휘발성 유분의 모발로부터의 휘발이 빨리 되므로 잔존하기 어려워져, 도포 직후의 사용감도 거의 잔존 유분(휘발성 유분이나 에탄올 이외의 잔존유분)의 사용감만으로 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감은 변화하지 않고, 푸석푸석하는 하는 상기의 문제가 개선되는 것이다.
(3) 본 발명에 이용하는 용매가 휘발성 유분뿐인 경우는 (b) 성분의 친수성의 높은 부분이 시간 경과에 따라 침전하는 일이 있지만, 에탄올을 병용하는 것으로써, 침전이 생기는 것이 없고, 뛰어난 경시안정성을 가진다.
(4) 본 발명은 성분(b)인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의 배합에 의해, 모발과의 친화력, 매끄러움등 사용감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a) 휘발성 유분:40~95 질량%>
본 발명은 헤어오일을 의도하는 모발화장료이며, 그 주성분은 휘발성 유분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휘발성 유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탄화수소유, 비교적 저분자량의 직쇄상 실리콘, 비교적 저분자량의 환상 실리콘을 들 수 있고, 특히, 경질유동성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휘발성 디메틸 폴리실록산, 또는 환상 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사이클로 헥사 실록산, 헥사데카메틸사이클로헵타실록산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질유동성 이소 파라핀, 이소 도데칸, 이소 헥사 데칸이다.
<배합량>
본 발명에 있어서 휘발성 유분의 배합량은 모발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40~95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9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85 질량%이다. 휘발성 성분을 다량으로 배합함으로서, 잘 발라지기 때문에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져, 뛰어난 헤어오일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 직후는 모발이 촉촉해도 시간 경과로, 푸석푸석하는 헤어오일의 결점이 개선되고 있다. 즉, 모발화장료의 용매가 휘발성 유분만큼을 상기 같이 다량으로 배합하는 경우에도, 도포 후에 드라이어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법의 경우는 도포 직후는 모발은 촉촉하지만, 시간경과에 따라 푸석푸석하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도포직후의 촉촉함은 모발에 잔존하는 유분만이 아니고, 아직 휘발하지 못한 휘발성 유분의 사용감이 더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으로, 휘발성 유분의 모발로부터의 휘발이 빨리 되므로 잔존하기 어려워져, 도포 직후의 사용감도 거의 잔존 유분(휘발성 유분이나 에탄올 이외의 잔존 유분)의 사용감만으로 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감은 변화하지 않고, 푸석푸석하는 문제점이 개선된다.
<(b) 고중합 직쇄상 블록형의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0.1~20 질량%> 
본 발명에 이용하는 고중합 직쇄상 블록형의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란, 폴리옥시 알킬렌기가 직쇄상에 블록 공중합 한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인 것을 의미한다. 아래와 같이 식 1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형의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공중합체의 모발화장료에 대한 역할은 모발에 잘 침투하거나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2
식(1)
(R는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 a 및 b는 0~50의 정수(단, a+b는 0을 제외한다), m는 5~300의 정수, n는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덧붙여 식중의 a, b, m, n는 바람직하게는 a는 5~10, b는 5~10, m는 200~300, n는 30~40이다.
식 1의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각종 개변이 이루어지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상기식 1에 있어서의 메틸기의 일부가 페닐기로 치환되고 있어도, 부틸렌기가 에틸렌기등의 다른 알킬렌기에 치환되고 있어도 좋다. 또, 옥시 에틸렌기나 옥시 프로필렌기의 일부가 옥시 부틸렌기등의 다른 옥시 알킬렌기에 치환되고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식(1)의 개변물을 식(1)의 블록 공중합형의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균등물로 간주해, 이 균등물도 포함해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식(1)의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화합물명으로서는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 실리콘-13등으로 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시판품으로서는 블록 공중합형 폴리(옥시 에틸렌?옥시 프로필렌)?알킬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FZ-2250, FZ-2233(토레?다우코닝 주식회사) 등을 들 수 있다.
<배합량>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모발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1~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질량%이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모발에 잘 침투하거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지 않고, 또, 너무 많으면 달라붙는다.
 덧붙여 시판품의 FZ-2250은(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원체 35 질량%과 이소 파라핀 65 질량%의 혼합물이며, 원체의 실질 순분으로서 상술의 배합량이 필요하다.
<(c) 에탄올:0.1~30 질량%>
본 발명에 대해서는 상기 필수 성분(a)와 (b)를 조합해, 저급 알코올로서 일정량의 에탄올을 배합하는 것을 최대의 특징으로 한다.
즉, 성분(a) 휘발성 유분보다 보다 휘발성이 높은 에탄올을 이용하므로 용매가 빨리 휘발하여, 젖은 머리카락이나 마른 머리카락과의 친화력이 좋아(도포후 바로 흡수, 침투되어) 헤어오일의 결점이었던 도포 직후의 기름기 많음이 극단적으로 개선된다.
 또, 도포 직후는 모발이 촉촉해도 시간 경과에 따라 푸석푸석하는 헤어오일의 결점이 개선된다. 즉, 모발화장료의 용매가 휘발성 유분뿐인 경우에도, 도포 후 드라이어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법의 경우는 도포 직후의 모발은 촉촉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푸석푸석해지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있다. 도포 직후의 촉촉함은 모발에 잔존하는 유분뿐만이 아니고, 아직 휘발하지 못한 휘발성 유분의 사용감이 더해져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렇지만, 에탄올을 이용함으로서 휘발성 유분의 모발로부터의 휘발이 빨리 되므로 잔존하기 어려워져, 도포 직후의 사용감도 거의 잔존 유분(휘발성 유분이나 에탄올 이외의 잔존 유분)의 사용감만으로 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감은 변화하지 않고, 푸석푸석하는 상기의 문제가 개선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이용하는 용매가 휘발성 유분만의 경우는 (b) 성분의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의 친수성의 높은 부분이 시간 경과로 침전하는 일이 있다. 그렇지만 에탄올을 병용함으로서, 침전이 생기지 않고, 뛰어난 경시안정성을 가지는 헤어오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배합량>
에탄올의 배합량은 모발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5~2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질량%이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상술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또, 너무 많으면 저온 안정성이 악화된다.
<(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치콘올,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및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리콘 고무>
본 발명에 대해 특정의 실리콘 고무를 배합하는 일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실리콘 고무로서는 고분자량 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치콘올,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및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이 바람직하고, 끝이 갈라진 머리카락을 수복하는 효과나 보송보송함, 윤택함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이란,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고분자량 폴리실록산이다. n는 매우 적합하게는 5000~8000이다.
Figure pct00003
[식중, R1는 동일 또는 다르며, 메틸기 또는 페닐기(다만, 모두가 페닐기가 되지는 않는다)를 나타내고, R2는 동일 또는 다르며, 메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n는, 3,000~20,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고중합도 디메치콘올이란, 아래와 같이 일반식에서 나타나는 실리콘 고무이다.
Figure pct00004
식중, R8는, 각각 독립하여, 메틸기 또는 페닐기이지만, R8의 모두가 페닐기인 경우는 없다. R9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또, r는 중합도로 3000~20000, 매우 적합하게는 5000~8000이다.]
 고중합도 디메치콘올의 대표적인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중합도 r이 약 7000인 XF49-C2070, 마찬가지로 중합도 r가 약 7000의 X65-C2070(GE 도시바 실리콘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이란,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 변성 또는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이다.
Figure pct00005
[식중, R3는 동일 또는 다르며, 메틸기 또는 페닐기(다만, 모두가 페닐기가 되지는 않는다)를 나타내고, R4는 동일 또는 다르며, R5와 동일하거나 또는 메틸기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R5는 식 R6Z{R6는 탄소수 3~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Z는 -NR72,-N+R73A-,-NR7(CH2)aNR72,-NR7(CH2)aN+R73A-및 -NR7(CH2)aN(R7) C=O(R8)(R7는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8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를 나타내고, a는 2에서 6의 정수이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아미노기 또는 암모늄기를 가지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x 및 y는 각각 양의 정수로, x+y는 3,000~20,000의 정수를 나타내고, y/x는 1/500~1/10,000이다.]
<배합량>
상기 실리콘 고무의 배합량은 모발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1~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3~2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15 질량%이다.
<(e)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이상 포함한 극성유>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이상 포함한 극성유를 배합해도 좋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 촉촉함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다.
식물유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보카드유, 동백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참기름, 퍼식유, 소맥배아유, 사잔카유, 피마자유, 아마씨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유다유, 비자나무유, 코메누카유, 중국오동나무유, 일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에스테르 결합을 1개 이상 포함한 극성유란, 예를 들면, 세틸 2-에틸헥사노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 글리콜-2-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테트라 2-에틸 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숙신산 디 2-에틸 헥실, 트리에틸헥사노인,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등의 에스테르류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합량>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 이상 포함한 극성유의 배합량은 모발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1~2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5~2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질량%이다.
<비수계 헤어오일>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는 제품으로서는 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수계 헤어오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태, 제형에 따라서는, 소량의 물,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성분(a)~(c)만으로 이루어지는 헤어오일을 제조해도 바람직하다.
또, (d) 특정 실리콘 고무, (e)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이상 포함한 극성유, 혹은, 메틸 폴리실록산(디메치콘)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에는 상기한 필수 구성성분외에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납,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젼, pH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 배합해, 목적으로 하는 제형에 응해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대해 가장 바람직한 모발화장료는 비수계의 헤어오일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
 아래와 같이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헤어오일을 상법에 의해 제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평가했다.
 효과의 평가는 20 cm로 가지런히 자른 100개의 모발 다발을 샴푸 처리해 타올 드라이 한 후, 해당다발에 각 헤어오일을 도포해, 촉감 및 관찰을 실시하는 것으로 실시했다.
 평가 항목으로서 사용감에는 모발 친화력(모발에의 친화력이 좋아 신속하게 흡수, 침투되는 능력), 기름기가 많은지의 여부, 머리손질후 헤어스타일의 지속을 선택하여, 각 항목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 관능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경시안정성에 대해 평가했다.
모발 친화력
◎:매우 친화력이 좋다.
○:친화력이 좋다
△:별로 친화력이 좋지 않다
×:친화력이 좋지 않다
기름기
◎:매우 기름기가 없다
○:기름기가 많지 않다
△:약간 기름기가 있다
×:기름기가 많다
헤어스타일의 지속
◎:매우 지속한다
○:지속한다
△:그다지 지속하지 않는다
×:지속하지 않는다
경시안정성
○:실온 1년 방치로 목시에 의해 분리 또는 침전이 관찰되지 않는다.
×:실온 1년 방치로 목시에 의해 분리 또는 침전이 관찰된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3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조성 (a) 경질유동이소파라핀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잔여
(b) 디메치콘PEG블록폴리머*1 5 - 5 0.01 0.5 20 0.01 30
(c) 에탄올 - 5 5 0.01 0.1 30 40 0.01
디메치콘(5cs) 10 10 10 10 10 10 10 10
효과 모발 친화력 ×
기름기 ×
헤어스타일의 지속 ×
경시안정성 × × ×
*1:FZ-2250(도레?다우코닝 주식회사)
이하 본 발명의 그 외의 헤어오일을 나타낸다. 모두, 사용감과 경시안정성이 뛰어난 헤어오일이다.
실시예 4 헤어오일
아래와 같이 성분(1)~(9)를 교반용해, 혼합해 액상 헤어오일을 얻었다.
배합성분 질량%
(1)(a)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잔여
 (IP솔벤트 2028 MU, 이데미쓰코산주식회사)
(2)(b)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       10.0
 (FZ-2250, 토레?다우코닝 실리콘 주식회사)
(3)(c) 에탄올                 20.0
(4)(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KF-9030, 실리콘순분 20%,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1.0
(5)(d) 디메치콘올검             1.0
 (XF49-C2070, 실리콘순분 2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 주식회사)
(6)(e) 트리에틸헥사노인             1.0
(7) 판테놀                      0.1
(8) 이온 교환수                    0.05
(9) 향료 적당량
실시예 5 헤어오일
아래와 같이 성분(1)~(12)를 교반, 용해, 혼합하여 액상 헤어오일을 얻었다.
배합성분 질량%
(1)(a) 이소도데칸 잔여
(2)(b)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        5.0
 (FZ-2250, 토레?다우코닝 실리콘 주식회사)
(3)(c) 에탄올                   10.0
(4)(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KF-9030, 실리콘순분 20%,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5.0
(5)(d) 고중합도 디메치콘올            10.0
 (XF49-C2497, 실리콘순분 35%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 주식회사)
(6)(e) 올리브유                   5.0
(7) 스쿠알렌                      5.0
(8) 디메틸 폴리실록산(20 cs)         10.0
(9) 대두 레시틴                    1.0
(10) 이소스테아로일(밀/옥수수/대두)
  아미노산 AMP                   0.5
(11) 초산 토코페롤                0.1
(12) 향료 적당량
실시예 6 헤어오일
아래와 같이 성분(1)~(13)를 교반, 용해, 혼합해, 액상 오일을 얻었다.
배합성분 질량%
(1)(a) 이소헥사 데칸 잔여
(2)(a)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
(3)(b)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        5.0
 (FZ-2233, 토레?다우코닝 실리콘 주식회사)
(4)(c) 에탄올                  15.0
(5)(d) 고분자량 디메틸 폴리실록산(KF-9028,
  실리콘순분 20%,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10.0
(6)(e) 다실유                      1.0
(7) 디메틸 폴리실록산(20 cs)         10.0
(8) 가교형 메틸 폴리실록산              5.0
 (KSG-15,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9) 메톡시신남산에틸 헥실            1.0
(10) t-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11) 비스에틸헥실옥시페닐메톡시페닐트리아진     0.1
(12) 라우로일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0.5
(13) 향료 적당량
실시예 7 헤어오일
아래와 같이 성분(1)~(11)를 교반, 용해, 혼합해, 액상 오일을 얻었다.
배합성분 질량%
(1)(a) 이소 도데칸 잔여
(2)(a) 디메틸 폴리실록산(1.5 cs)      5.0
 (KF-96L-1. 5 cs,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3)(b) 디메치콘 PEG 블록 폴리머        5.0
 (FZ-2233, 토레?다우코닝 실리콘 주식회사)
(4)(c) 에탄올                  15.0
(5)(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KF-9030, 실리콘순분 20%,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5.0
(6)(d)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용액
 (APS-10-DMS,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5.0
(7)(e) 동백유                   10.0
(8) 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1.0
(9) 옥시벤존-3                  0.1
(10) 로열젤리 엑기스                0.5
(11) 향료 적당량
본 발명에 의하면, 주로 헤어오일로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에 있어서, 각별현저하며 우수한 사용감을 갖고, 경시안정성에 우수한 모발화장료가 제공된다.

Claims (5)

  1. 하기성분(a)~(c)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a) 휘발성 유분:40~95 질량%
    (b) 고중합 직쇄상 블록형의 폴리옥시 에틸렌?폴리옥시 프로필렌?부틸렌?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0.1~20 질량%
    (c) 에탄올:0.1~30 질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가 하기식(I)을 갖는 디메치콘PEG블록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Figure pct00006

    식(1)
    (R는 알킬기, a 및 b는 0~50의 정수, m는 5~300의 정수, n는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추가로 (d) 고분자량 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치콘올, 아미노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 및 암모늄 변성 고분자량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실리콘 고무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식물유 및/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1개 이상 포함한 극성유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수계 헤어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KR1020127012661A 2010-03-17 2010-11-16 모발화장료 KR101209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1308A JP4954308B2 (ja) 2010-03-17 2010-03-17 毛髪化粧料
JPJP-P-2010-061308 2010-03-17
PCT/JP2010/070342 WO2011114577A1 (ja) 2010-03-17 2010-11-16 毛髪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555A true KR20120063555A (ko) 2012-06-15
KR101209320B1 KR101209320B1 (ko) 2012-12-06

Family

ID=4464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661A KR101209320B1 (ko) 2010-03-17 2010-11-16 모발화장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52453B2 (ko)
EP (1) EP2548548A4 (ko)
JP (1) JP4954308B2 (ko)
KR (1) KR101209320B1 (ko)
CN (1) CN103079531B (ko)
BR (1) BR112012023283B1 (ko)
HK (1) HK1182632A1 (ko)
TW (1) TWI488653B (ko)
WO (1) WO2011114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4308B2 (ja) 2010-03-17 2012-06-13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JP6198458B2 (ja) * 2013-05-21 2017-09-20 株式会社アリミノ 毛髪化粧料
US20140356308A1 (en) * 2013-05-30 2014-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aqueous hair oil composition comprising isoparaffin base oil, silicone elastomer and its solubilizer
JP6197394B2 (ja) * 2013-06-21 2017-09-20 日本ゼトック株式会社 速乾性ヘアオイル
FR3007972B1 (fr) 2013-07-04 2015-08-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esters gras liquides, des huiles volatiles et des epaississants,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JP6426369B2 (ja) * 2013-10-28 2018-11-21 株式会社ミルボン 油性組成物
CN105662926A (zh) * 2016-03-02 2016-06-15 名臣健康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润发亮发的头发护理组合物
JP6774660B2 (ja) * 2016-04-14 2020-10-28 花王株式会社 油性毛髪化粧料
JP7464233B2 (ja) * 2016-12-21 2024-04-09 ホーユー株式会社 非水系ヘアオイル
JP7270947B2 (ja) * 2018-07-30 2023-05-11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料組成物
FR3094639B1 (fr) * 2019-04-02 2021-06-25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alcane ramifié et une association de silicones particulières
JP7335171B2 (ja) 2019-05-24 2023-08-29 株式会社マンダム 油性毛髪化粧料
US11654092B2 (en) 2020-06-29 2023-05-23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ranched alkanes, silicones, and non-silicone fatty compounds
FR3113376B1 (fr) * 2020-08-11 2023-12-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alcanes ramifies, des silicones et des composes gras sans silico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214A (en) * 1979-04-09 1980-10-23 Lion Corp Hair conditioner composition
US5286476A (en) * 1987-03-30 1994-02-15 Shiseido Company Ltd. Hair cosmetic composition
JPH0764705B2 (ja) * 1987-03-30 1995-07-12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化粧料
JP2554523B2 (ja) * 1988-04-22 1996-11-13 株式会社資生堂 枝毛・切れ毛の予防・修復剤
DE4426794C1 (de) * 1994-07-28 1995-07-06 Goldwell Ag Mittel zur Haarbehandlung
JP4244192B2 (ja) * 2004-01-26 2009-03-25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スプレー組成物
JP2006028112A (ja) * 2004-07-20 2006-02-02 Kanebo Ltd 毛髪化粧料
JP2007051078A (ja) * 2005-08-17 2007-03-01 Kanebo Home Products Kk 非水型毛髪化粧料
JP2007063248A (ja) * 2005-08-31 2007-03-15 Sunstar Inc ポリエーテル変性シリコーン及びエタノールを含有する頭髪化粧料
JP5110797B2 (ja) 2006-02-22 2012-12-26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5014753B2 (ja) * 2006-11-30 2012-08-29 株式会社アリミノ 毛髪化粧料
JP5538685B2 (ja) * 2008-03-17 2014-07-02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JP4954308B2 (ja) 2010-03-17 2012-06-13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8548A4 (en) 2015-08-12
CN103079531B (zh) 2014-08-20
TW201200158A (en) 2012-01-01
WO2011114577A1 (ja) 2011-09-22
TWI488653B (zh) 2015-06-21
US8652453B2 (en) 2014-02-18
JP2011195471A (ja) 2011-10-06
BR112012023283B1 (pt) 2017-02-14
JP4954308B2 (ja) 2012-06-13
US20120328551A1 (en) 2012-12-27
EP2548548A1 (en) 2013-01-23
KR101209320B1 (ko) 2012-12-06
BR112012023283A2 (pt) 2016-05-17
CN103079531A (zh) 2013-05-01
HK1182632A1 (en)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320B1 (ko) 모발화장료
JP5538685B2 (ja) 毛髪化粧料
CN103118653B (zh) 包含烷基纤维素的水性化妆品组合物
ES2533598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acuosa que comprende alquilcelulosa
EP2995295B1 (en) Oil-based thickening agent, oil-based thickening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US11510863B2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s
KR20150100201A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2308457A1 (en) Cleansing cosmetic preparation
CN110327224A (zh) 压实粉末形式的固体化妆品组合物
CN106413684A (zh) 制备包含有机硅弹性体凝胶、固体粒子和粘结相的粉状/糊状组合物,以及唇部处理方法
CN108024944A (zh) 化妆料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31259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e processo para maquiagem
JP2014001206A (ja) ヘア及びボディ用オイル
EP2932957B1 (en) Cleansing cosmetics
CN107613947A (zh) 喷雾化妆品
US20170014328A1 (en) Hair care sensory agents
KR102178965B1 (ko)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6868588B2 (ja) 毛髪化粧料
WO2019188119A1 (ja) 毛髪化粧料
JP2023524565A (ja) 化粧品およびメイクアップ方法
TWI823851B (zh) 油中水型乳化組成物
US11975094B2 (en) Three-part makeup remover compositions
ES2614818T3 (es) Emulsiones que contienen polilisina y polímero modificado polar
WO2022261019A1 (en) Three-part makeup remover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