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65B1 -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65B1
KR102178965B1 KR1020190059640A KR20190059640A KR102178965B1 KR 102178965 B1 KR102178965 B1 KR 102178965B1 KR 1020190059640 A KR1020190059640 A KR 1020190059640A KR 20190059640 A KR20190059640 A KR 20190059640A KR 102178965 B1 KR102178965 B1 KR 10217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oil
weight
lip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아
김정아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5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65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61 priority patent/WO20202357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7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halogen, e.g. fluorosili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휘발성 오일에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워 건조감이 개선되고, 물 또는 오일에 잘 지워지지 않아 지속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높은 점도를 가져 제형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dry feeling}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을 다량 포함하면서 지속력 및 건조감이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또는 립 등의 메이크업 제품군에 있어서, 지속성('롱래스팅'으로 지칭)은 소비자들이 끊임없이 요구하는 매우 중요한 품질 속성 중 하나이다. 지속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 화장품 개발자들의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립 메이크업 시장에서도 컵, 냅킨, 또는 의류에 화장료가 묻어나지 않도록 지속력을 강화시킨 제품들이 출시되어 왔다.
종래에는 립 메이크업 제품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제형 내 다량의 휘발성 오일과 함께 다량의 유용성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오일이 휘발된 후 얇은 필름이 입술 위에 부착되어 입술 화장이 잘 지워지거나 번지지 않고 컵 등에 묻어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휘발성 오일이 휘발되어 피막이 형성될 때 입술의 조임을 유발하고 입술의 답답함과 건조감을 강하게 일으키며, 필름 형성제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특성 때문에 입술 주름 및 각질이 부각되어 사용에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롱래스팅 효과를 소구하는 립플루이드 제형의 경우, 건조감을 개선하기 위해 유중수형 W/O 유화타입으로 제조되거나 유상제형에 소량의 비휘발성 오일이 처방되나, 이 경우 묻어남과 번짐을 유발하여 지속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입술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96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아크릴계 필름형성제, 휘발성 오일, 정제수,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제형이며, 유중수형 제형에 피막제가 포함되어 개선된 내수성에 관한 내용이다. 수상을 포함하고 있으면 유제로 이루어진 유분산 제형보다는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지만, 입술 화장의 묻어남과 번짐, 즉 지속력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물이 다 마르면 유분산과 마찬가지로 건조함이 유발되고 각질이 부각되며, 근본적으로 건조감이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유분산 제형 내에서 건조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5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휘발성 오일인 디스테아릴말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디스테아릴말레이트는 입술의 수분 증발 속도를 느리게 하여 입술 건조함을 줄이며 입술의 색상 지속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원료는 탄소수 18개를 가지는 알킬기가 양 끝쪽에 형성하고 있어 소수성 성질이 강하며, 이로 인해 입술에 도포 시 사용감이 무겁고 답답한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원료는 탄소수 18개를 가지는 알킬기가 있는 긴 사슬형 구조로 친유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긴 사슬형 구조와 친유성 성질 때문에 점도가 증가되어 끈적임이 발생되고 입술이 번들거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입술의 끈적임과 번들거림을 해소하고자 입술을 화장솜이나 티슈로 자주 닦아내야 하기 때문에 입술의 색상 유지가 오래가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상 또는 비휘발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지속력이 저하되지 않고, 건조감 및 답답한 사용감이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다량의 휘발성 오일과 피막제를 포함하는 유분산 제형 내에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 및 지속성 뿐만 아니라 건조감, 사용감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막제를 녹인 휘발성 오일 용제에 내유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불소계 오일을 포함시킬 때, 지속성을 저하시키는 비휘발성 오일과 달리 입술용 화장료 제형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하면서, 물 또는 오일에 입술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아 지속성이 강화됨을 발견하였다. 단, 불소계 오일은 수제 및 유제 모두와 상용성이 떨어져, 유분산 제형 내에서 1 중량% 미만으로 소량 처방되어도 분리가 일어나, 단독 처방시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불소계 오일이 제형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안정화제 또는 점증제를 적용해본 결과,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적용할 때 점도의 증가와 함께 제형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며, 내수성 및 내유성이 부여되어 건조감 및 지속력이 개선된 립 플루이드 제형이 구현됨을 발견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소계 오일은 통상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PEG 포스페이트,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칸, 퍼플루오로폴리메칠에테르, 퍼플루오리네이티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디메틸사이클로헥산, 및 퍼플루오로메틸사이클로펜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소계 오일은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입술용 화장료 제형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이 부여되고, 지속력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화학식 1]
CF3-O-(CF(CF3)CF2-O)n-(CF2-O)m-CF3
상기 화학식 1에서 n 및 m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n/m은 5 내지 50, 바람직하게 10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의 분자량은 800 내지 8000, 바람직하게 100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1500 내지 62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n, m 값 및 분자량을 갖는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할 경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및 건조감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는 상품명 Fomblin HC-04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5 중량%, 바람직하게 0.3~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5~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오일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화장료의 지속성 및 사용감 상승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는 화합물 내 불소 부분이 불소계 오일과 상용성이 우수하며, 화합물 내 장쇄 알킬기에 의해 유기계열 물질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는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을 불소계 오일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및 건조감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52140231-pat00001
상기 화학식 2에서 l,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n/m은 1 내지 20, 바람직하게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은 상온에서 고체 왁스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n/m이 2 내지 20, 바람직하게 2 내지 4이며, 상기 m은 20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왁스 형태의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뿐만 아니라 지속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의 점도(cPs)는 400 내지 1000일 수 있으며, 상기 점도는 Brookfield RVT를 사용하여, Spindle RV-7, 5rpm, 및 40℃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의 휘발도(%)는 150℃ 및 1시간의 조건에서 최대 4.0일 수 있으며, 굴절률은 20℃에서 1.400~1.42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은 Basel사의 SF-30W 또는 Siltech사의 Fluorosil L118 등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10 중량%, 바람직하게 0.7~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화장료의 지속성 및 사용감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휘발성 오일"은 1 기압에서 25℃에서 약 0.2 mmHg 이하의 증기압을 나타내는 오일 및/또는 비등점이 1 기압에서 약 300℃ 이상인 오일을 의미할 수 있다. "휘발성 오일"은 25℃에서 약 0.2 mmHg 이상의 증기압을 나타내는 오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휘발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오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C7-8이소파라핀, C8-9이소파라핀, C10-11이소파라핀, C10-13이소파라핀, C11-12이소파라핀, C11-13이소파라핀, C13-14이소파라핀, 메칠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휘발성 오일은 입술 도포시 휘발되면서 피막제의 피막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90 중량%, 바람직하게 60~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오일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 내 다른 성분들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을 수 있으며, 9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화장료의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막제는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디메티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티콘올 크로스폴리머,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비닐피롤리돈계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막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40 중량%, 바람직하게 10~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막제가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입술 위 피막 형성이 불충분하여 지속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4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오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3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물 또는 오일에 잘 지워지지 않아 지속성이 향상되고,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휘발성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칠헥사노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린, 디글리세릴세바케이트/이소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1:0.1~10, 바람직하게 1:0.5~7, 더욱 바람직하게 1:1~5, 가장 바람직하게 1:2~4의 중량비(불소계 오일:불소계 실리콘 왁스)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상기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성, 화장 지속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상승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cPs)는 8000 내지 25000, 바람직하게 10000 내지 20000, 더욱 바람직하게 12000 내지 18000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Spindle Number 4, 30 rpm, 상온 조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점도가 8000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의 분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25000 초과일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선명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색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색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색소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104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03호, 적색 산화철, 청색1호, 청색 2호, 티타늄디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소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색력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산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립글로스 또는 립크림 등의 액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소포제, 왁스, 점증제, 분체계 점증제, 산화방지제, 피부연화제, 보습제, 진정제, 윤활제, 방부제, 보습제, 자외선흡수제, 및 향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불소계 오일 0.1~5 중량%, 불소계 실리콘 왁스 0.5~10 중량%, 휘발성 오일 50~90 중량%, 및 피막제 5~40 중량%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각 성분을 특정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입술용 화장료 제형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하고, 물 또는 오일에 잘 지워지지 않아 지속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워 건조감이 개선되고, 물 또는 오일에 잘 지워지지 않아 지속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높은 점도를 가져 제형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화장 지속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2는 휘발성 오일의 휘발 후 피막제 및 점증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피막 형성 모식도이다.
도 3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 피막이 형성된 입술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성분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이소도데칸에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상온에서 디스퍼 믹서로 분산 용해시켰다. 이후,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투입 후 80~85℃에서 10분 이상 가온 분산시켰다. 이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원료들을 혼합하여 80~85℃ 조건에서 분산, 탈포 및 상온 냉각해줌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휘발성 오일 이소도데칸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소포제 디메치콘 0.2 0.2 0.2 0.2
왁스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3 3 3 3
피막제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20 20 20 20
분체계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6 6 6 6
점증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 2 2 2
산화방지제 1,2-헥산디올 1 1 1 1
불소계 오일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 1 1 - -
불소계 실리콘 왁스 퍼플루오로 노닐에틸 스테아릴 디메티콘 3 - - -
비휘발성 오일 디소스테아릴 말레이트 - - 3 -
색소 적색 201호 0.6 0.6 0.6 0.6
색소 적색 산화철 2 2 2 2
색소 티타늄디옥사이드 3 3 3 3
(단위: 중량%)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제형의 분리 여부는 실온 조건에서 1주일차에 경시 안정성으로 확인하였다. 제형이 분리되지 않는 적당한 점도는 Spindle Number 4, 30 rpm, 및 상온 조건에서 최소 8,000 cPs 이상이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점도 cPs 15,700 10,100 7,000 12,400
분리여부 안정 분리 분리 안정
비휘발성 오일이 처방된 비교예 2는 처방되지 않은 비교예 3보다 점도가 크게 감소하여 제형 분리가 발생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점도는 8,000 cPs 이상이지만 불소계 오일이 안정화되지 않아 분리 현상이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불소계 실리콘 왁스가 처방된 실시예는 오일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즉, 기존의 처방되던 왁스 또는 점증제로는 불소계 오일을 안정화시킬 수 없으나,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처방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불소계 실리콘 왁스 3 중량% 대신, INCI명이 동일하며 불소계 실리콘 오일인 액체 타입의 퍼플루오로 노닐에틸 스테아릴 디메티콘 3 중량%로 처방 시(비교예 4) 12,800 cPs의 점도가 형성되지만, 오일이 빠르게 분리되어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화장 지속성
지속성은 묻어남, 번짐, 및 내유성에 대한 평가로 진행하였다. 먼저 인조피혁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 각각의 조성물을 도포 후, SI 1107 80mmm 4 side applicator를 이용하여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제형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 건조하였다.
묻어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제형이 건조된 인조피혁 위에 흰 종이를 올려두고, 4.5 kg의 무게의 추로 10초간 눌러서 종이에 묻어나는 정도를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또한, 번짐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으로는 제형이 건조된 인조피혁 위에 흰 종이를 올려두고 1.5 kg의 무게의 추로 누르는 조건에서 흰 종이를 잡아당겨 빼내어 종이에 번져 묻어나는 정도를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식사 시 오일에 대한 지워짐을 확인하기 위해 식용유에 대한 내유성을 평가하였다. 제형이 건조된 인조피혁 위에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해 10 마이크로리터의 카놀라유를 떨어뜨린 후 골고루 도포하고, 1분 뒤 페이퍼필터의 거친면을 대고 M1급 1kg 원형 분동을 10회 회전하며 음식 섭취시에 위아래 입술의 전단력을 구현하였으며, 이후 페이퍼필터에 묻어나는 정도를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사용한 색차계의 기종은 KONICA MINOLTA CHROMA METER CR-400이다. BLANK로 깨끗한 흰 종이를 랜덤하게 3회 측정하여 묻어남 또는 번짐의 평균값을 계산하였고(L1,a1,b1), 위 조건으로 측정한 종이를 랜덤하게 3회 측정하여 묻어남 또는 번짐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L2,a2,b2). 측정값은 L(Lightness), a(red-green chromaticity), b(yellow blue chromaticity)로 표기되며, 하기의 식과 같이 △E 값을 계산하여 도포 직후 색상과 종이에 묻어나는 색상의 차이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E= {(L1-L2)2 +(a1-a2)2+(b1-b2)2}1/2
△E가 1 이하일 경우, 육안으로 색상 확인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묻어남과 번짐의 정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화장 지속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묻어남 ΔE 0.41 0.51 1.35 0.54
번짐 ΔE 0.88 0.96 3.84 0.49
내유성ΔE 2.13 3.96 9.11 5.04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비교예 2는 비교예 3과 비교하여 비휘발성 오일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가 3 중량% 추가된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에 묻어남, 번짐 및 오일 내유성 수치가 크게 증가하여 즉 지속성이 크게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불소계 오일이 처방된 비교예 1에서 묻어남 및 번짐 △E 수치는 1 미만으로 식별 불가한 수준이고, 내유성 △E 수치도 비교예 2에 비해 작아 오일 내유성은 더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가 처방된 실시예는 묻어남과 번짐 △E 수치가 1 미만이었으며, 내유성 △E 수치도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지속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오일 내유성 측정 후, 필터페이퍼에 각각의 제형의 묻어남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1에 나타난 차이를 볼 때 실시예의 지속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20대에서 30대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발림성, 건조감, 식사 후 지속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항목별 5점 척도(1점: 아주 나쁨, 3점: 보통, 5점: 아주 좋음)으로 비교 평가하였고, 각 항목당 평균값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발림성 4.2 4.0 3.8 2.6
건조감 4.4 3.6 4.3 2.0
지속력 4.5 3.6 1.9 3.2
상기 평가 결과를 볼 때, 비휘발성 오일이 처방된 비교예 2에서는 비교예 3에 비해 건조감은 매우 우수하지만 지속력이 크게 떨어졌다. 불소계 오일이 처방된 비교예 1은 발림성, 건조감 및 지속력이 비교예 3에 비해 모두 증가했다. 비교예 1에 추가로 불소계 실리콘 왁스가 처방된 실시예는 왁스 사용으로 인한 발림성이 더 좋아졌고 건조감 및 지속력 모두 비교예 1과 3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불소계 오일, 불소계 실리콘 왁스 및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불소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5 중량%이며,
    상기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90 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오일은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에테르,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PEG 포스페이트,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칸, 퍼플루오로폴리메칠에테르, 퍼플루오리네이티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디메틸사이클로헥산, 및 퍼플루오로메틸사이클로펜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는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노닐에틸스테아릴디메티콘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며 상온에서 고체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9052140231-pat00002

    상기 l, m,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상기 n/m은 1 내지 20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실리콘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10 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피막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40 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소계 오일 및 불소계 실리콘 왁스를 1:0.1~10의 중량비(불소계 오일:불소계 실리콘 왁스)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8000 내지 25000 cPs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4.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불소계 오일 0.1~5 중량%, 불소계 실리콘 왁스 0.5~10 중량%, 휘발성 오일 50~90 중량%, 및 피막제 5~40 중량%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59640A 2019-05-21 2019-05-21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40A KR102178965B1 (ko) 2019-05-21 2019-05-21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20/003261 WO2020235789A1 (ko) 2019-05-21 2020-03-09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40A KR102178965B1 (ko) 2019-05-21 2019-05-21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965B1 true KR102178965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40A KR102178965B1 (ko) 2019-05-21 2019-05-21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8965B1 (ko)
WO (1) WO20202357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99B1 (ko) 2021-05-13 2021-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2460157B1 (ko) * 2021-11-17 2022-11-01 (주)나우코스 사용감이 향상된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811A (ko) * 1995-08-17 1997-03-27 권문구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선피복용 바니시
KR20000024486A (ko) * 2000-02-16 2000-05-06 성재갑 립스틱 조성물
US6399080B1 (en) * 1998-04-15 2002-06-04 Archimex Flourous anhydrous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s for makeup or care containing it
KR20030078368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태평양 퍼플루오르 알킬 실리콘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73769A (ja) * 2005-03-30 2006-10-12 Kao Corp スティック化粧料
KR100688909B1 (ko) * 2000-06-07 200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8594A (ko) * 2008-10-31 2010-05-11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지속성 및 피부 부착성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6833A (ko) * 2015-03-02 2016-09-13 주식회사 코스온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397B2 (en) * 2004-04-30 201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FR2921831B1 (fr) * 2007-10-05 2014-05-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 polymere portant des groupes de jonction,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FR2992207B1 (fr) * 2012-06-21 2014-10-3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huile, des particules d'aerogel de silice hydrophobe et un polymere semi-cristalli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811A (ko) * 1995-08-17 1997-03-27 권문구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선피복용 바니시
US6399080B1 (en) * 1998-04-15 2002-06-04 Archimex Flourous anhydrous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s for makeup or care containing it
KR20000024486A (ko) * 2000-02-16 2000-05-06 성재갑 립스틱 조성물
KR100688909B1 (ko) * 2000-06-07 200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8368A (ko) *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태평양 퍼플루오르 알킬 실리콘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73769A (ja) * 2005-03-30 2006-10-12 Kao Corp スティック化粧料
KR20100048594A (ko) * 2008-10-31 2010-05-11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지속성 및 피부 부착성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6833A (ko) * 2015-03-02 2016-09-13 주식회사 코스온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99B1 (ko) 2021-05-13 2021-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2460157B1 (ko) * 2021-11-17 2022-11-01 (주)나우코스 사용감이 향상된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789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417199T3 (en) Volatile oily composition
KR101666267B1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2532348B1 (en) Makeup kit comprising a makeup cosmetic and a top coating agent
KR101209320B1 (ko) 모발화장료
KR20160012963A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07499B2 (ja) 皮膚及び/又は唇を明るくする化粧方法
WO2015174241A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4224753A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KR102178965B1 (ko)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24944A (zh) 化妆料
CN105147528A (zh) 一种水乳双层精华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092335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JP6654914B2 (ja) 固形化粧料
CN108883043A (zh) 化妆品套件
KR101606776B1 (ko)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6367B1 (ko) 화장 지속성 및 피부 부착성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98347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9387B1 (ko) 광택감과 보습감 및 슬라이딩감이 뛰어난 유중수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KR102319499B1 (ko)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