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371A -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371A
KR20120063371A KR1020100124504A KR20100124504A KR20120063371A KR 20120063371 A KR20120063371 A KR 20120063371A KR 1020100124504 A KR1020100124504 A KR 1020100124504A KR 20100124504 A KR20100124504 A KR 20100124504A KR 20120063371 A KR20120063371 A KR 2012006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ing
cushion
frame
lock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155B1 (ko
Inventor
정찬호
이병재
유상욱
권미선
나선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155B1/ko
Priority to US13/173,648 priority patent/US8807652B2/en
Priority to CN201110212945.6A priority patent/CN102555849B/zh
Priority to DE102011052268.9A priority patent/DE102011052268B4/de
Publication of KR2012006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한 리클라이닝 프레임으로 구성된 백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락킹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의 락킹을 유지하는 쿠션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과 플로어 판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이 상기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될 때 연동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쿠션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계식 연동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시트 백 리클라이닝시 시트 쿠션이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동식 대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BACK RECLINING DEVICE INTERCONNECTED WITH CUSHION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백이 리클라이닝 될 때 시트 쿠션이 연동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형 및 준대형 차량의 후석 시트는 전석 시트와 달리 시트 백 리클라이닝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탑승자가 시트 백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시트 백이 리클라이닝될 때 시트 쿠션이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그런데, 종래 대형 차량의 쿠션과 연동하는 백 리클라이닝 장치의 경우에는 고가의 전동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중형 및 준대형 차량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연동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시트 백 리클라이닝시 시트 쿠션이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동식 대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에 따라, 차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한 리클라이닝 프레임으로 구성된 백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락킹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의 락킹을 유지하는 쿠션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과 플로어 판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이 상기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될 때 연동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쿠션 슬라이딩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은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리클라이닝 레버와;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와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로 연결된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브라켓에 끼워져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을 락킹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락킹 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은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연결된 상기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은 상기 락킹 핀을 당겨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이 락킹 유지 또는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상기 락킹 핀은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작동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락킹 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각 걸림공에 끼워져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을 락킹 유지시키는 락킹 돌기와; 상기 락킹 돌기 및 상기 걸림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 핀이 락킹 해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걸림공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락킹을 해제하는 핀 몸체가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쿠션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플로어 판넬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된 제1 레일과, 상기 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로 구성된 제1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플로어 판넬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슬롯이 형성된 제2 레일과, 상기 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로 구성된 제2 슬라이딩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이 더 장착되어,상기 백 프레임을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을 작동시키면,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상기 쿠션 프레임이 복원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쿠션 락킹 유닛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쿠션 락킹 바와;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쿠션 락킹 바와 락킹되는 쿠션 락킹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 락킹 유닛은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을 작동시켜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을 상기 쿠션 락킹 바로부터 락킹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을 백 폴딩 힌지를 중심으로 폴딩시키는 폴딩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딩 작동부는 폴딩 레버가 작동되면 후방으로 당겨지는 스프링 릴리즈와; 상기 스프링 릴리즈와 브라켓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릴리즈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상기 브라켓 축과 함께 상향 회전하는 폴딩 릴리즈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폴딩 릴리즈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에 연결된 폴딩 와이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연동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시트 백 리클라이닝시 시트 쿠션이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동식 대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가 장착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 백이 리클라이닝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쿠션 락킹 유닛과 쿠션 슬라이딩 유닛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의 락킹이 해제되어 리클라이닝 프레임이 리클라이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와 같이 리클라이닝 프레임이 리클라이닝되면서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에 의해 쿠션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과정에 의해 시트 백이 리클라이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2의 폴딩 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시트 백을 폴딩시키기 위해 도 8의 폴딩 작동부를 작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폴딩 와이어에 의해 쿠션 락킹 브라켓이 회전되어 쿠션 락킹 바와 락킹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시트 백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 백이 리클라이닝될 때 이와 연동하여 시트 쿠션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 프레임(11)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12)으로 구성된 백 프레임(10)과, 메인 프레임(11)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을 락킹 유지 또는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 리클라이닝 프레임(12)과 쿠션 프레임(15)을 락킹 유지 또는 해제하는 쿠션 락킹 유닛(90), 백 프레임(10)이 리클라이닝될 때 쿠션 프레임(15)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쿠션 슬라이딩 유닛(40)으로 구성된다.
백 프레임(10)은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1)과, 백 패드과 일체로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11)의 내측면에 리클라이닝 힌지(H1)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한 리클라이닝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에,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에 의한 메인 프레임(11)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락킹이 해제되면,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은 리클라이닝 힌지(H1)를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1)을 향해 후방으로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메인 프레임(11)의 측면에는 백 폴딩 힌지(H2)가 마련되어 백 프레임(10)이 시트 쿠션(C)을 향해 폴딩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은 메인 프레임(11)과 리클라이닝 프레임(12)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11) 및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을 락킹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은 탑승자가 시트 백(B)을 리클라이닝하기 전(초기 상태)에는 메인 프레임(11)과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을 서로 락킹 유지시키고, 메인 프레임(11)과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락킹이 해제되어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이 리클라이닝 힌지(H1)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 백(B)이 리클라이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은 크게 리클라이닝 레버(21)와,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 23)와, 락킹 핀(25)으로 구성된다.
리클라이닝 레버(21)는 백 프레임(10)의 상단에 마련되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 23)와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24)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탑승자가 리클라이닝 레버(21)를 작동시키면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24)이 위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 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는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24)과 연결된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와,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락킹 핀(25)과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28)과 연결되는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3)로 구성된다. 이에, 리클라이닝 레버(21)의 작동에 의해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2)와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23)가 서로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28)이 락킹 핀(25)을 축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락킹 핀(25)의 일단은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28)과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11)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브라켓(26)과 리클라이닝 프레임(12)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브라켓(27)에 끼워져 제1 가이드 브라켓(26)과 제2 가이드 브라켓(27)의 락킹을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 브라켓(27)은 리클라이닝 프레임(1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면이 제1 가이드 브라켓(26)에 접촉된다. 이 때, 제1 가이드 브라켓(26)과 제2 가이드 브라켓(27)에는 각각 락킹 핀(25)이 걸리기 위한 걸림공(26a, 27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락킹 핀(25)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돌기(25a)와, 락킹 돌기(25a) 및 걸림공(26a, 27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핀 몸체(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락킹 돌기(25a)는 각 걸림공(26a, 27a)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각 가이드 브라켓(26, 27)에 형성된 걸림공(26a, 27a)에 끼워져 제1 가이드 브라켓(26) 및 제2 가이드 브라켓(27)을 락킹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핀 몸체(25b)는 락킹 돌기(25a) 및 걸림공(26a, 27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락킹 핀(25)이 락킹 해제 방향으로 축 이동할 때 걸림공(26a, 27a)에 위치함으로써, 제1 가이드 브라켓(26) 및 제2 가이드 브라켓(27)의 락킹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 브라켓(26)과 제2 가이드 브라켓(27)의 락킹이 해제되면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이 백 프레임(10)에 대해 리클라이닝 힌지(H1)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락킹 핀(25)의 둘레에는 락킹 돌기(25a)와 핀 몸체(25b)를 사이에 두고 걸림공(26a, 27a)의 직경보다 크게 한 쌍의 제1 핀 가이드(25c)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락킹 핀(25)이 축 이동될 때 락킹 핀(25)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락킹 핀(25)의 둘레에는 제1 핀 가이드(25c)와 이격된 위치에 제2 핀 가이드(25d)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락킹 핀(25)이 걸림공(26a)을 따라 이동될 때 락킹 핀(25)이 제2 핀 가이드(25d)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 브라켓(26)의 걸림공(26a)은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이 리클라이닝될 때 락킹 핀(25)이 간섭되지 않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쿠션 슬라이딩 유닛(40)은 쿠션 프레임(15)과 플로어 판넬(F)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백 프레임(10)이 리클라이닝될 때 쿠션 프레임(15)이 연동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쿠션 슬라이딩 유닛(40)은 제1 슬라이딩부(50)와, 제1 슬라이딩부(50)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슬라이딩부(70)로 구성된다.
제1 슬라이딩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판넬(F)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된 제1 레일(51)과, 쿠션 프레임(15)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1 레일(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61)로 구성된다.
이 때, 제1 레일(51)과 제1 슬라이더(61)의 측면에는 각각 지지 돌기(51a, 61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레일(51)의 지지 돌기(51a)에는 리턴 스프링(80)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 슬라이더(61)의 지지 돌기(61a)에는 리턴 스프링(80)의 타단이 연결된다.
리턴 스프링(80)은 리클라이닝 되었던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을 복원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20)을 작동시키면, 그 복원력에 의해 제1 슬라이더(61)가 제1 레일(51)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쿠션 프레임(15)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슬라이딩부(70)는 제1 슬라이딩부(50)와 함께 쿠션 프레임(15)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판넬(F)의 상무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슬롯(72a)이 형성된 제2 레일(72)과, 쿠션 프레임(15)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슬롯(72a)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82a)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82)로 구성된다. 이에, 시트 백(B)이 리클라이닝되면 제2 슬라이더(82)의 돌기(82a)는 제2 레일(72)의 슬롯(72a)의 방향을 따라 위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쿠션 프레임(15)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쿠션 락킹 유닛(90)은 크게 쿠션 락킹부(30)와, 쿠션 락킹부(30)의 락킹을 해제시켜 백 프레임(10)이 백 폴딩 힌지(H2)를 중심으로 폴딩 가능하게 하는 폴딩 작동부(35)로 구성된다.
쿠션 락킹부(30)는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이 리클라이닝 힌지(H1)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될 때 쿠션 프레임(15)이 연동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쿠션 프레임(15)의 후단과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하단을 연결한다.
이 때, 쿠션 락킹부(30)는 쿠션 프레임(15)의 후단에 형성된 쿠션 락킹 바(31)와, 리클라이닝 프레임(12)의 하단에 마련되어 쿠션 락킹 바(31)와 락킹되는 쿠션 락킹 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
폴딩 작동부(35)는 쿠션 프레임(15)과 백 프레임(10)의 락킹을 해제시켜 백 프레임(10)이 백 폴딩 힌지(H2)를 중심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레버(미도시)와 연결된 스프링 릴리즈(36)와, 스프링 릴리즈(36)와 연동하는 폴딩 릴리즈 브라켓(37)과, 폴딩 릴리즈 브라켓(37)과 쿠션 락킹 브라켓(32)에 연결된 폴딩 와이어(38)로 구성된다.
스프링 릴리즈(36)는 브라켓 축(37a)에 의해 폴딩 릴리즈 브라켓(37)과 연결되어, 폴딩 레버가 작동하여 후방으로 당겨지면 브라켓 축(37a)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브라켓 축(37a)과 연결된 폴딩 릴리즈 브라켓(37)은 브라켓축과 함께 상향 회전함으로써 폴딩 와이어(38)가 윗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폴딩 와이어(38)는 일단이 폴딩 릴리즈 브라켓(37)에 연결되고 타단이 쿠션 락킹 브라켓(32)에 연결되어, 폴딩 레버가 작동되어 윗방향으로 당겨지면 쿠션 락킹 브라켓(32)이 회전하면서 쿠션 락킹 브라켓(32)이 쿠션 락킹 바(31)와 락킹 해제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 이에, 시트 백(B)은 도 14와 같이 시트 쿠션(C)의 상부로 접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연동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시트 백(B) 리클라이닝시 시트 쿠션(C)이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동식 대비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백 프레임 11 : 메인 프레임
12 : 리클라이닝 프레임 15 : 쿠션 프레임
20 :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 21 : 리클라이닝 레버
22, 23 :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 25 : 락킹 핀
26 : 제1 가이드 브라켓 27 : 제2 가이드 브라켓
31 : 쿠션 락킹 바 32 : 쿠션 락킹 브라켓
35 : 폴딩 작동부 40 : 쿠션 슬라이딩 유닛
50 : 제1 슬라이딩부 60 : 제2 슬라이딩부
80 : 리턴 스프링 90 : 쿠션 락킹 유닛

Claims (8)

  1. 차체에 고정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한 리클라이닝 프레임으로 구성된 백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및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락킹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 및 상기 리클라이닝의 락킹을 유지하는 쿠션 락킹 유닛과;
    상기 쿠션 프레임과 플로어 판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의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이 상기 리클라이닝 힌지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될 때 연동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쿠션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은
    상기 백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리클라이닝 레버와;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와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로 연결된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가이드 브라켓에 끼워져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을 락킹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락킹 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 리클라이닝 케이블은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리클라이닝 케이블 레버와 연결된 상기 제2 리클라이닝 케이블은 상기 락킹 핀을 당겨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이 락킹 유지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킹 핀은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작동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락킹 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각 걸림공에 끼워져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을 락킹 유지시키는 락킹 돌기와; 상기 락킹 돌기 및 상기 걸림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 핀이 락킹 해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걸림공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락킹을 해제하는 핀 몸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플로어 판넬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된 제1 레일과, 상기 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로 구성된 제1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플로어 판넬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슬롯이 형성된 제2 레일과, 상기 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2 슬라이더로 구성된 제2 슬라이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레일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이 더 장착되어,
    상기 백 프레임을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리클라이닝 락킹 유닛을 작동시키면,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상기 쿠션 프레임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락킹 유닛은
    상기 쿠션 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쿠션 락킹 바와;
    상기 리클라이닝 프레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쿠션 락킹 바와 락킹되는 쿠션 락킹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 락킹 유닛은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을 작동시켜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을 상기 쿠션 락킹 바로부터 락킹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을 백 폴딩 힌지를 중심으로 폴딩시키는 폴딩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작동부는
    폴딩 레버가 작동되면 후방으로 당겨지는 스프링 릴리즈와;
    상기 스프링 릴리즈와 브라켓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릴리즈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상기 브라켓 축과 함께 상향 회전하는 폴딩 릴리즈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폴딩 릴리즈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쿠션 락킹 브라켓에 연결된 폴딩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00124504A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KR10121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04A KR10121015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US13/173,648 US8807652B2 (en) 2010-12-07 2011-06-30 Back reclining apparatus interlocking with seat cushion for vehicle
CN201110212945.6A CN102555849B (zh) 2010-12-07 2011-07-26 与车辆的座椅垫联锁的靠背后倚装置
DE102011052268.9A DE102011052268B4 (de) 2010-12-07 2011-07-28 Rückenlehnenvorrichtung, die mit einem Sitzpolster verriegelt ist,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04A KR10121015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71A true KR20120063371A (ko) 2012-06-15
KR101210155B1 KR101210155B1 (ko) 2012-12-07

Family

ID=4614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504A KR10121015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7652B2 (ko)
KR (1) KR101210155B1 (ko)
CN (1) CN102555849B (ko)
DE (1) DE102011052268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49B1 (ko) * 2012-12-17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9827882B2 (en) 2015-10-02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KR102111597B1 (ko) *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6843A (ko) *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2440A (zh) * 2011-07-07 2014-04-16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可在其纵向引导件中向前移动并具有折叠靠背的车辆座椅
US9102246B2 (en) * 2013-01-07 2015-08-11 Leggett & Platt Canada Co. Cable synchronizer system
US10202056B2 (en) 2013-11-19 2019-02-12 Magna Seating Inc. Sedan slouch seat
KR101583966B1 (ko) * 2014-08-18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폴딩 장치
CN109278593B (zh) * 2018-10-12 2021-03-0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可拆装座椅的安装结构
JP7226158B2 (ja) * 2019-07-12 2023-02-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928A (en) 1979-09-11 1981-04-15 Nissan Motor Co Ltd Seat
JPH01214308A (ja) 1988-02-23 1989-08-28 Kunimatsu Kogyo Kk リクライニング式シート
US5395116A (en) * 1994-01-10 1995-03-07 Blaakman; Frank L. Golf timer control
KR19980022269U (ko) 1996-10-26 1998-07-15 박병재 자동차 리어시트의 높낮이 조절 및 시트쿠션 확장 장치
JP2002345589A (ja) 2001-03-23 2002-12-0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3285674A (ja) * 2002-03-29 2003-10-07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乗り物用シート
JP4069672B2 (ja) * 2002-05-15 2008-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US6767063B1 (en) * 2003-01-20 2004-07-27 Lear Corporation Automotive easy-entry assembly
TWI253423B (en) * 2004-03-17 2006-04-21 Honda Motor Co Ltd Longitudinally slidable seat structure for two- or three-wheeled vehicle
JP4776895B2 (ja) * 2004-07-05 2011-09-21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構造
JP4182984B2 (ja) 2006-01-2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JP4176118B2 (ja) 2006-07-31 2008-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7712816B2 (en) * 2006-08-25 2010-05-11 Mazda Motor Corporation Movable floor apparatus for vehicle
KR100821100B1 (ko) 2006-09-26 2008-04-0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778590B1 (ko) 2006-11-07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너 조절구조
JP5104853B2 (ja) * 2007-03-29 2012-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201049599Y (zh) * 2007-06-29 2008-04-23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高速列车座椅坐垫靠背联动装置
JP5193553B2 (ja) * 2007-10-09 2013-05-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誤操作防止機構及び車両用格納シート
JP5195763B2 (ja) * 2007-12-03 2013-05-1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119911B2 (ja) * 2007-12-26 2013-01-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1417047B1 (ko) 2007-12-28 2014-07-09 주식회사다스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JP5239380B2 (ja) * 2008-02-18 2013-07-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125617B2 (ja) * 2008-03-03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0895956B1 (ko) * 2008-11-18 2009-05-08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조절장치
KR101046726B1 (ko) 2009-05-19 2011-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퓨즈회로 및 퓨즈상태 모니터링 방법
US8596721B2 (en) * 2011-02-17 2013-12-03 Tachi-S Co., Ltd. Vehicle sea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49B1 (ko) * 2012-12-17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8833833B2 (en) 2012-12-17 2014-09-16 Hyundai Motor Company Reclining apparatus for a rear seat of a vehicle
US9827882B2 (en) 2015-10-02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KR20200056843A (ko) *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1597B1 (ko) *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55849B (zh) 2016-03-16
KR101210155B1 (ko) 2012-12-07
US20120139314A1 (en) 2012-06-07
CN102555849A (zh) 2012-07-11
DE102011052268A1 (de) 2012-06-14
DE102011052268B4 (de) 2020-07-16
US8807652B2 (en)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US8534750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7967375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8573674B2 (en) Vehicle seat
KR20120061686A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JP5889936B2 (ja) 中間復帰スライドウォークインを備えた車両シート装置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13136321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WO2021171666A1 (ja) 座席装置
JP7143777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JP6711143B2 (ja) シート装置
JP423920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8161924A (ja) 床下収納装置
JP2013001175A (ja) 車両用シート
JP5347364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10200398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230167527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폴딩 및 언폴딩 장치
JP2009234370A (ja) 車両用格納シート
KR20240066725A (ko)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