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047B1 -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047B1
KR101417047B1 KR1020070140244A KR20070140244A KR101417047B1 KR 101417047 B1 KR101417047 B1 KR 101417047B1 KR 1020070140244 A KR1020070140244 A KR 1020070140244A KR 20070140244 A KR20070140244 A KR 20070140244A KR 101417047 B1 KR101417047 B1 KR 101417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seat cushion
reclining
operating lev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204A (ko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7014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40Dual or redundant actuating means, e.g. backrest tilting can be actuated alternatively by a lever at the backrest or a lever in th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측부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조작방향의 변경을 통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에 필요로 하는 구성부품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10)에 대해 시트백(12)의 경사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14)와, 상기 시트쿠션(10)을 플로워패널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기구(16) 및,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록킹해제 작동과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록킹해제 작동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선회하여 조절하는 조작레버(18)를 구비한다.
시트백, 리클라이닝, 시트쿠션, 슬라이딩, 조작레버

Description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eat back reclining and seat cushion sliding}
본 발명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능을 단일의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시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5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경사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5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50)은 차실내의 플로워패널(도시안됨)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쿠션(50)에 대해 상기 시트백(52)의 전후방향으로의 경사 정도는 리클라이닝 기구(도시안됨)에 의해 조절되는 데,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는 시트쿠션(50)의 측부에 배치된 조작레버(54)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로워패널에 대해 상기 시트쿠션(50)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은 슬라이딩 기구(도시안됨)에 의해 조절되는 데,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시트쿠션(50)의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드 레버(56)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시트에 있어 시트백(52)의 리클라이닝 조절과 시트쿠션(50)의 슬라이딩 조절을 각각 별개로 구비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에 있어 조작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54)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56)를 각각 별도의 위치로 마련함에 따라, 시트의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플로워패널과 상기 시트쿠션(50) 사이의 좁은 공간에 슬라이드 레버(56)를 위치시켜야 하므로 레이-아웃상 제약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쿠션의 측부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조작방향의 변경을 통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에 필요로 하는 구성부품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경사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와, 상기 시트쿠션을 플로워패널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기구 및,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록킹해제 작동과 상기 슬라이딩 기구의 록킹해제 작동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선회하여 조절하는 조작레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는 제1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제1작동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제2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기구의 제2작동 레버와 연결된다.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끼움단을 갖춘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과 회동지점을 공유하고 상기 제2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2끼움단을 갖춘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의 회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능이 시트쿠션에 구비된 단일의 조작레버의 조작방향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되므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구와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구의 구성에 필요한 부품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의 조작레버에 대한 조작방향의 변경만으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능과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기능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시트에 적용되는 것인 바, 시트는 시트쿠션(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경사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10)은 차실내의 플로워패널(도시안됨)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쿠션(10)에 대해 상기 시트백(12)의 전후방향으로의 경사 정도는 리클라이닝 기구(14)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플로워패널에 대해 상기 시트쿠션(10)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은 슬라이딩 기구(16)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10)의 사이드 프레임(10a)에 대해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조작레버(18)가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상기 조작레버(18)의 상방향 선회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록킹해제 작동이 수반되고, 상기 조작레버(18)의 하방향 선회시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록킹해제 작동이 수반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18)에 있어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록킹해제를 위한 작동방향과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록킹해제를 위한 작동방향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레버(18)는 제1케이블(20)을 매개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제1작동 레버(14a)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레버(18)는 제2케이블(22)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제2작동 레버(16a)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18)는 상기 시트쿠션(10)의 사이드 프레임(10a)에 대해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케이블(20)의 일단부를 제1끼움단(24a)을 갖춘 제1회전판(24)과, 상기 제1회전판(24)과 회동지점(H)을 공유하고 상기 제2케이블(22)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2끼움단(26a)을 갖춘 제2회전판(26) 및, 상기 제1회전판(24)과 상기 제2회전판(26)의 회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28)을 구비한다.
즉, 상기 리턴 스프링(28)은 상기 제1회전판(24)이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록킹해제 방향으로 회동시 복원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회전판(26)이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록킹해제 방향으로 회동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턴 스프링(28)은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상기 제2회전판(26)에 구비된 제2끼움단(26a)의 양측부에 각각 면착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회전판(24)은 상기 조작레버(18)와의 결합을 위한 제1돌기부(24b)를 갖추고, 상기 제1회전판(24)과 상기 제2회전판(26)은 회동지점(H)에 대해 상호 연동되어 회동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2회전판(26)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제2돌기부(26b)에 상기 제1회전판(24)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24c)이 조립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회전판(24)과 상기 제2회전판(26) 사이에는 회동지점(H)을 공유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24)의 회동 스트로크와 상기 제2회전판(26)의 회동 스트로크에 각각 한계를 부여하는 제3회전판(3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회전판(30)은 상기 제1회전판(24)의 제1끼움단(24a)과 접촉되어 회동 스트로크에 한계를 부여하는 제1걸림턱(30a)과, 상기 제2회전판(26)의 제2끼움단(26a)에 접촉되어 회동 스트로크에 한계를 부여하는 제2걸림턱(30b)을 구비하고, 상기 제3회전판(30)은 양측부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10a)에 설치되는 하우징(도시안됨)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작레버(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곡률진 형태의 플랜지(30c)를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회전판(30)은 상기 리턴 스프링(28)의 양단부를 대향된 측면에서 지지하는 돌출단(32a)을 갖춘 제4회전판(32)과 회동지점(H)을 공유하여 상호 연동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4회전판(32)의 가장자리 부위에 돌출된 제3돌기부(32b)에 상기 제3회전판(3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30d)이 조립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4회전판(32)은 중앙에 오목한 형태의 단차부(32c)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판(26)은 상기 단차부(32c)에 수용되는 다수의 절곡단(26c)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제2회전판(26)은 상기 제4회전판(32)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쿠션(10)에 대한 상기 시트백(12)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18)를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 면, 상기 조작레버(18)에 가해진 조작력이 상기 제1케이블(20)을 매개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제1작동 레버(14a)에 전달되고, 상기 제1작동 레버(14a)에 전달된 조작력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14)의 록킹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시트쿠션(10)에 대한 상기 시트백(12)의 상하방향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워패널에 대한 상기 시트쿠션(10)의 전후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18)를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18)에 가해진 조작력이 상기 제2케이블(22)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제2작동 레버(16a)에 전달되고, 상기 제2작동 레버(16a)에 전달된 조작력은 상기 슬라이딩 기구(16)의 록킹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플로워패널에 대한 상기 시트쿠션(1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작레버(18)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조작함에 있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18)에 대한 조작력을 해지하면, 상기 리턴 스프링(28)은 상기 조작레버(18)가 정상적인 위치로 복원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련의 조작과정에 있어, 상기 제1회전판(24)과 상기 제2회전판(26)은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함께 연동되고, 이때 상기 제1회전판(24)에 구비된 제1끼움단(24a)은 상기 제3회전판(30)에 형성된 제1걸림턱(30a)에 접촉하면서 회동 스트로크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회전판(30)과 상기 제4 회전판(32)도 회동지점(H)을 중심으로 함께 연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2회전판(26)에 구비된 제2끼움단(26a)은 상기 제3회전판(30)에 형성된 제2걸림턱(30b)에 접촉되면서 회동 스트로크에 제한을 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의 프레임상에 조작레버와 리클라이닝 기구 및 슬라이딩 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작레버의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조작레버의 주요 구성부위를 순차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종래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시트쿠션 12-시트백
14-리클라이닝 기구 16-슬라이딩 기구
18-조작레버 20-제1케이블
22-제2케이블 24-제1회전판
26-제2회전판 28-리턴 스프링
30-제3회전판 32-제4회전판

Claims (7)

  1.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경사 정도를 조절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와;
    상기 시트쿠션을 플로워패널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기구 및;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록킹해제 작동과 상기 슬라이딩 기구의 록킹해제 작동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선회하여 조절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제1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제1작동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제2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기구의 제2작동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끼움단을 갖춘 제1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과 회동지점을 공유하고 상기 제2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2끼움단을 갖춘 제2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의 회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2회전판 사이에는 회동지점을 공유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의 회동 스트로크와 상기 제2회전판의 회동 스트로크에 한계를 부여하는 제3회전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판은 상기 제1회전판의 제1끼움단과 접촉되어 회동 스트로크에 한계를 부여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2회전판의 제2끼움단에 접촉되어 회동 스트로크에 한계를 부여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판은 상기 리턴 스프링의 양단부를 대향된 측면에서 지지하는 돌출단을 갖춘 제4회전판과 상호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4회전판은 중앙에 오목한 형태의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판은 상기 단차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절곡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KR1020070140244A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KR10141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4A KR101417047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4A KR101417047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04A KR20090072204A (ko) 2009-07-02
KR101417047B1 true KR101417047B1 (ko) 2014-07-09

Family

ID=4132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244A KR101417047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155B1 (ko)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DE102014101529A1 (de) * 2014-02-07 2015-08-13 Faurecia Autositze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und Fahrzeugsitz mit der Betätigungseinrichtung
US10940949B2 (en) * 2019-04-18 2021-03-09 Ami Industries, Inc. Short multiple function rotary actuator le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672A (ja) 1997-04-08 2000-10-17 バートランド・フォーレ・コンポーネンツ・リミテッド 車両のシートに使用される単一制御ハンドルリリース機構
JP2002211292A (ja) * 2001-01-19 2002-07-3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4210009A (ja) * 2002-12-27 2004-07-29 Honda Motor Co Ltd 折り畳みシート
KR2006007441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다스 워크인과 폴딩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3672A (ja) 1997-04-08 2000-10-17 バートランド・フォーレ・コンポーネンツ・リミテッド 車両のシートに使用される単一制御ハンドルリリース機構
JP2002211292A (ja) * 2001-01-19 2002-07-3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JP2004210009A (ja) * 2002-12-27 2004-07-29 Honda Motor Co Ltd 折り畳みシート
KR2006007441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다스 워크인과 폴딩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04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404B2 (en) Seat
US4370000A (en) Seat for motor vehicles
EP2293959B1 (en) Seat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US9694716B2 (en) Vehicle seat
JPH037528B2 (ko)
JPH038120Y2 (ko)
KR101417047B1 (ko)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및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조절장치
JPH11342773A (ja) カムによって駆動される固定用装置を備えた座席の軌道
KR101752240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JP4631091B2 (ja) 車両用回転・スライド式シート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3527151B2 (ja) シー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CN113619460B (zh) 车辆座椅的扶手
KR20090099185A (ko) 자동차 시트 허리지지대
KR101723101B1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522891B1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85309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구조
JP2024044003A (ja) 車両用シート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KR200196785Y1 (ko) 차량의 시트설치구조
KR20100029478A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JPH11151131A (ja) 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KR200369682Y1 (ko)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