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797A -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797A
KR20120049797A KR1020110064845A KR20110064845A KR20120049797A KR 20120049797 A KR20120049797 A KR 20120049797A KR 1020110064845 A KR1020110064845 A KR 1020110064845A KR 20110064845 A KR20110064845 A KR 20110064845A KR 20120049797 A KR20120049797 A KR 2012004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rol device
movement control
heat treatment
vertic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918B1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2675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497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CN201110203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62617B/zh
Priority to LTEP11840005.0T priority patent/LT2638889T/lt
Priority to TR2018/07555T priority patent/TR201807555T4/tr
Priority to ES11840005.0T priority patent/ES2671350T3/es
Priority to US13/884,209 priority patent/US10548806B2/en
Priority to EP11840005.0A priority patent/EP2638889B1/en
Priority to PL11840005T priority patent/PL2638889T3/pl
Priority to HUE11840005A priority patent/HUE037675T2/hu
Priority to PCT/KR2011/008519 priority patent/WO2012064107A2/ko
Priority to RS20180633A priority patent/RS57322B1/sr
Publication of KR2012004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797A/ko
Publication of KR101181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HRP20180841TT priority patent/HRP20180841T1/hr
Priority to US16/506,534 priority patent/US1078001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4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61H2201/1678Means for angularly oscillating massag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르는 지압효과와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구비된 이송부와, 일측이 상기 이송부와 힌지 결합된 받침부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 타측을 호형으로 승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구기가 원호운동하면서 상승됨에 따라 누르는 지압효과 및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온구기를 통한 지압효과는 물론 온열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MOVING UP AND DOWN APPARATUS FOR A HYPERTHERMO-THERAPEUTIC APPARATUS}
본 발명은 지압 및 마사지를 위한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누르는 지압효과와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온열치료기에 구비된 상하운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온열치료기는 사용자의 척추부위를 온열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침대형 온열치료기로 발전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침대형 온열치료기는 사용자의 척추부위에 보다 정확하고 정교한 치료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체의 척추부위에 유사한 굴곡레일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굴곡레일을 채용한 온열치료기는 사용자의 치료부위에 해당하는 목과 등 및 허리부위에 동일한 압력으로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것은 종래의 굴곡레일이 정형화되어 있고 매트내부에 일단 장착된 상태에서는 항상 그 형상에 맞추어 상하이동을 하게 되므로, 신체적 조건이 상이한 사용자들의 경우 온구기가 동일한 압력으로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달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르는 지압효과와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구비된 이송부와, 일측이 상기 이송부와 일측이 결합된 받침부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 타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맞닿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 일측에는 기어면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기어면에 맞물리는 피니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면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기어면에 맞닿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는 힌지부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송부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 상면에는 온구기가 장착된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축에는 일단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의 결합위치에 인접한 일 온구기가 상향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구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부재에는 상기 온구기가 상향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온도감지부재를 감싸는 피복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의 결합위치에 인접한 일 온구기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 온구기에 대향하는 타 온구기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는 상호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온구기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타 온구기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경사각이 형성되되, 상기 일 온구기를 향하는 경사각은 상기 타 온구기를 향하는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하향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 하단에는 경사각이 형성되되, 상기 일 온구기를 향하는 경사각은 상기 타 온구기를 향하는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 상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을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흡수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일 온구기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기 흡수부재의 높이는 상기 타 온구기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기 흡수부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일측에 기어면이 형성된 기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부재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상단에는 감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인입되면 상기 받침부의 하강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승강동작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의 결합위치는 상기 받침부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받침부는 힌지부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송부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재에는 핀이 관통하는 핀홀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받침부가 인입 가능한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부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이송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리브는 복수 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에 형성된 상기 보강리브, 측면판, 롤러고정축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부는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 하부에 구비된 회로부재와 상기 받침부 하부에 구비된 회로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케이블은 관통하는 장공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은 길이방향 길이가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 내면에는 상기 장공의 중심을 향해 만곡된 돌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 내면에는 커버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온구기가 원호운동하면서 상승됨에 따라 누르는 지압효과 및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온구기를 통한 지압효과는 물론 온열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받침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받침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받침부가 수납 가능한 수납공간이 이송부에 형성되어 장치가 콤팩트해지고, 이송부와 받침부 및 기어부재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가이드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이송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케이블이 관통하는 장공이 이송부에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가 구비된 온열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온구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2은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는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분해도로서, 도 14는 받침부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이송부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D-D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가 구비된 온열치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열치료기는 매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구비된 이송부(100)와, 일측이 상기 이송부(100)와 일측이 결합된 받침부(200)와,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받침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200) 타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300)를 포함하는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온열 치료기는 중공부를 갖는 온열 치료 매트(1)와, 상기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상기 중공부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온열 치료 매트에 연장된 보조 매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모터부(2)와, 상기 상하운동 조절장치에 결합되어 모터부(2)의 회전력에 따라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상기 중공부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3)으로는 벨트, 체인, 스크루 등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의 장축 방향은 사용자의 척추 길이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장치와 부, 그리고 각 수단들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의 제어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 그리고 외부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입력부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이송부(100)는 판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양측에 마련된 이동부재(110)가 구비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의 몸체는 이동장치의 이송수단(3)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이송부(100)가 중공부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200)가 이송부(100)의 몸체에 그 일단이 결합됨으로 인해 받침부(200)도 이송부(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00)의 몸체는 다수 개로 구성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의 신체를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지압 및 마사지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받침부(200) 상에는 온구기(210)가 안착된다. 상기 온구기(210)는 사용자의 목과 허리부위에 온열찜질 효과와 지압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캡형 온구기와 롤러형 온구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받침부(200)는 지압이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지압효과를 주기 위해 승, 하강하게 된다.
받침부(200)의 일측은 이송부(100)와 결합되고, 받침부(200)의 타측에는 승하강부(300)가 마련된다.
받침부(200)의 일측과 이송부(100)는 후술할 힌지부재(430)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나,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도 가능하며, 또한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부(200)의 타측이 승, 하강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결합이라도 가능하다.
받침부(200)의 타측이 승하강부(300)에 의해 승, 하강하게 된다. 앞서와 같이, 받침부(200)의 일측이 이송부(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받침부(200)의 타측만이 승하강하게 된다. 즉, 받침부(200)는 이송부(100)와 경사각각을 이루며 승하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받침부(200)의 타측은 받침부(200)의 일측을 중심으로 원호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받침부(200)에 설치된 온구기(210)가 상향 이동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누르는 지압효과와 미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 결합위치는 전방 또는 후방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200) 전방이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200) 원호 운동하며, 상기 받침부(200) 후방이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200) 전방이 원호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이동방향을 기준선으로 설정할 경우,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 또는 교차하는 받침부(200)의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가 이송부(10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200) 일측을 승,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이송부(100)와 받침부(200) 사이의 각도를 변경시켜서 상기 온구기(210)를 승,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하강부(300)는 가이드부재(310)와,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맞닿는 회전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부(300)는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330)와 구동부재(330)의 회전력을 회전부재(32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상기 받침부(200)의 일측을 지지한다.
가이드부재(310)에는 회전부재(320)와 맞닿는 부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회전부재(320)와 맞닿는 부분은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받침부(200) 타측의 승, 하강 동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받침부(200)의 하강 동작이 진행될 때, 회전부재(320)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부재(310)는 이송부(100)를 관통하여 하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회전부재(320)는 가이드부재(310)에 맞닿게 설치되어 가이드부재(310)를 승, 하강시킨다.
상기 가이드부재(310) 일측에는 기어면(31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320)는 상기 기어면(311)에 맞물리는 피니언(3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형성된 기어면(311)과 상기 피니언(321)은 기어 결합하게 되고, 상호 맞닿은 부분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기어면(311)을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구성을 통해 가이드부재(310)를 승, 하강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기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재(310)를 승, 하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는 가이드 부재와 회전 부재의 상호가 맞닿는 부분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310)와 회전부재(320) 각각의 맞닿는 부분에 고무패드를 설치해서 이들이 밀착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LM 가이드 형태의 구성이 기어 대신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310)의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면(311)은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321)은 상기 기어면(311)에 맞닿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은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위치를 향하는 방향(도 4에서는 좌측 방향)이다.
도 4를 기준으로, 피니언(3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부재(310)는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승강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가이드부재(310)의 승강 또는 하강이 빠르게 이루질 수 있다.
회전반경이 상대적으로 짧아짐으로써 가이드부재(310)의 승강 또는 하강에 필요한 원호의 길이도 짧아지게 된다. 즉, 피니언(321)이 상대적으로 적게 회전해도 승강 또는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니언(321)이 상대적으로 적게 회전하므로 피니언(321)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상기 받침부(200)의 폭 방향(앞서 언급한 기준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 시 받침부(2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폭 방향 길이는 회전부재(320)가 가이드부재(310)를 용이하게 밀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 범위 내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 폭 방향 길이를 100으로 한 경우, 가이드 부재(다리)의 폭 방향 길이는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부재(310)의 폭 방향 길이가 너무 짧을 경우 내구성이 약해져서 사용자를 지압 및 마사지할 수 없고, 너무 길 경우 구성이 복잡해져서 양산이 어렵고, 다른 구성(예를 들어, 모터 등) 설치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의 개수에 따라서도 그 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상기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재(330)가 상기 이송부(100)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330)는 BLD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30)는 이송부(1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320) 또한 이송부(1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재(320)는 상기 이송부(100)와 받침부(200)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재(330)는 상기 회전부재(32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조적인 문제로 상기 회전부재(320)에 직접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 후술할 기어박스(340)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어박스(340) 및 회전부재(320)의 유지 보수가 간편해질 수 있다.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330)는 회전축이 종방향(x, 즉, 기준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재(320)는 회전축이 횡방향(y, 즉, 기준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재(330)의 종방향(x) 회전축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320)의 횡방향(y)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는 기어박스(340)가 구비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력 전달을 위한 다양한 부재(구조물, 기구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340)로는 회전축이 상호 평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동력 전달이 용이한 베벨기어나 웜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의 적어도 일측이 힌지부(400)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이송부(100)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410)와, 상기 받침부(200)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와, 상기 돌출부재(410)와 상기 연결부재(4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0)의 일측을 상기 이송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재(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기 위하여 양측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수직대(411)로 구성되다. 수직대(411)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420)가 삽입된다. 상기 힌지부재(430)는 한 쌍의 상기 수직대(411)와 상기 연결부재(420)를 관통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200)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일측이 승, 하강하는 일측 개폐 형태이다. 받침부(200) 상측에 구비된 온구기(210)는 사용자를 지압 및 마사지하는 과정에서 약간씩 움질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온구기(210)가 약간씩 움직이는 과정에서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부(200)와 온구기(210)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흡수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온구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부(200)는 기본적으로 이송부(100)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온구기(21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를 구성하는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0)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0)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330)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부재(330)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박스(340)에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320)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20)에 맞닿은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200)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기 받침부(200)의 타측이 상기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상기 받침부(200)의 타측이 상향 경사각지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330)의 회전축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향 경사각진 상기 받침부(20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받침부(200)가 수평상태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300)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2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용자를 지압 및 마사지하면 누르는 효과와 미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12은 B-B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3는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받침부(200) 상면에 다수의 온구기(210)가 배치된다. 온구기(210)는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지지대(220)에 장착된다. 이는 지압 및 마사지가 진행되는 동안 온구기(210)가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맞게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 상이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지대(220)의 양단에는 온구기(210)가 각각 구비된다. 하나의 지지대(220)에 2 개의 온구기(210)가 지지 고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지지대(220)에 2 개 이상 또는 2 개 이하의 온구기(210)가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온구기(210)는 앞서 언급한 기준선에 대하여 그 장축 방향의 연장선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위치에 인접하게 구비된 일 온구기(211)와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일 온구기(2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타 온구기(212)가 구비된다. 즉, 지지대(220)의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전, 후에 2 개의 온구기(일 온구기 및 타 온구기)가 배치된다. 타 온구기(212)는 상대적으로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면 영역에 인접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이송부(100)와 받침부(200)가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부(200)의 타측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즉, 받침부(200)의 타측은 원호를 그리며 승강하게 된다. 받침부(200)의 타측이 승강하게 되면서 일 온구기(211)와 타 온구기(212)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타 온구기(212)가 일 온구기(2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승강하게 된다.
타 온구기(212)가 일 온구기(21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 인해 타 온구기(212)에만 사용자의 체중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되고, 타 온구기(212)를 통해서만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타 온구기(212)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면 지지대(220)가 회동하면서 타 온구기(212)가 하향 이동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타 온구기(212)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서만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체중보다 더욱 적은 힘으로 타 온구기(212)가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탄성부재(222)가 구비된다. 제1 탄성부재(222)는 타 온구기(212)가 빠르게 하강됨과 동시에 일 온구기(211)가 빠르게 승강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222)의 일단은 받침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220)에 의해 지지되며, 제1 탄성부재(222)는 일 온구기(211)가 빠르게 상향 이동되도록 지지대(22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제1 탄성부재(222)가 구비됨으로써 일 온구기(211)의 승강동작이 빠르게 이루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받침판(200)이 승강된 상태에서도 일 온구기(211)와 타 온구기(212)가 빠르게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효과적인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 탄성부재(222)는 코일 스프링 /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구기(2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213)가 구비된다. 다만, 온도감지부재(213)는 온구기(210)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온구기(21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재(213)에 제2 탄성부재(214)가 구비된다. 제2 탄성부재(214)는 온구기(210)가 상향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온구기(210) 상향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2 탄성부재(214)에 의해 온도감지부재(213)도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되고, 양자의 접촉상태가 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온구기(210)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에는 온구기(210)가 제2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향 이동하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도 양자의 접촉상태는 변하지 않게 된다.
제2 탄성부재(222)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온도감지부재(213)를 감싸는 피복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면 양자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과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압 및 마사지가 진행되는 동안 일 온구기(211)와 타 온구기(212)는 회동 가능한 지지대(2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일 온구기(211)와 타 온구기(212)의 상하 이동거리는 상호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2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받침부(200)가 승강된 상태에서는 타 온구기(212)가 일 온구기(2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일 온구기(211)와 타 온구기(212)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 가능한 거리를 타 온구기(212)가 상향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다.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 가능한 거리를 타 온구기(212)가 상향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0)의 하단에 경사각을 형성하되, 일 온구기(211)를 향하는 경사각(α1)를 타 온구기(212)를 향하는 경사각(β1)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 하향 연장되는 돌기(223)를 형성하고, 돌기(223)의 하단에 경사각을 형성하되, 일 온구기(211)를 향하는 경사각(α2)를 타 온구기(212)를 향하는 경사각(β2) 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 상면에는 지지대(220)의 하단을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흡수부재(230)가 구비된다. 이는 지압 및 마사지 동안 지지대(200)가 회동함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충격 등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흡수부재(230)는 충격 흡수 뿐만 아니라 지지대(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역할도 한다. 즉, 지지대(200)가 회동한 후 빠르게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일 온구기(211)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흡수부재(230)의 높이는 타 온구기(212)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흡수부재(2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 온구기(212) 하부에 구비된 흡수부재(230)의 높이가 일 온구기(211) 하부에 구비된 흡수부재(23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으로써 일 온구기(211)의 상향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흡수부재(230)로부터 지지대(220)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흡수부재(230)의 재질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10)는 회전부재(320)와 맞닿도록 하향 연장되는 부분과, 이러한 하향 연장되는 부분의 상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10)는 회전부재(320)와 맞닿는 부분으로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경량화, 생산성 및 품질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데, 강도 보강을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10)에는 일측에 기어면(311)이 형성된 스틸(steel) 재질의 기어부재(350)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어부재(350)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복 사용에 의해 기어부재(350)가 마모된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받침부(200) 하강 시 받침부(200) 하단과 이송부(100) 상단이 상호 맞닿으면 하강동작을 정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받침부(200) 하단과 이송부(100) 상단이 맞닿은 상태에서도 받침부(200)를 하강시키기 위해 회전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에 리미트 스위치(120)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재(310) 상단에 감지돌기(312)를 형성하여 감지돌기(312)가 리미트 스위치(120)에 인입되면 받침부(200)의 하강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돌기(312)가 이송부(100)에 구비되고, 리미트 스위치(120)가 가이드부재(310) 상단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330)에는 회전감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감지부재(미도시)는 가이드부재(310)의 승강동작을 감지해서 받침부(200)가 최고 위치까지 승강된 경우 받침부(200)의 승강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받침부(200)에는 폭방향으로 한 쌍의 온구기(210)가 배열된다. 이는 사용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균일하게 가압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위치를 받침부(200)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만일 이송부(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위치가 받침부(200)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면 지압 및 마사지가 진행되는 동안 이러한 결합부분이 사용자에게 닿음으로 인해 이물감이 느껴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송부(100)와 받침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00)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힌지부(400)는 이송부(100)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410)와, 받침부(200)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와, 돌출부재(410)와 연결부재(4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430)로 구성된다. 즉, 이송부(100)와 받침부(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430)가 관통하는 수평위치는 받침부(200)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받침부(200)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와 이송부(100)에 구비된 돌출부재(410)의 수평위치는 받침부(200)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받침부(200)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의 일단이 이송부(100)에 삽입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힌지부재(43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431)이 관통하는 핀홀(4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핀(431)의 형상은 R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지압 및 마사지가 진행되는 동안 힌지부재(43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에는 받침부(200)가 인입 가능한 수납공간(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100)는 바닥판과 측면판(16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바닥판과 측면판(160)으로 둘러싸인 수납공간(130) 내측에 받침부(20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받침부(200)가 수납공간(130)에 인입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상하 두께가 감소하게 되어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 중앙에는 승하강부(300)가 관통하는 관통홀(140)이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통홀(140)에는 가이드부재(310)가 관통하게 된다. 만일 관통홀(140)을 이송부(100)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하면 이송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통홀(140)을 이송부의 중앙에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크랙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이송부(100)의 저면에 보강리브(150)를 형성한다. 보강리브(150)는 관통홀(140)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송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이때,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리브(150)는 복수 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송부(100)는 폭방향 길이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크랙이 자주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310)를 이송부(100)의 중앙에 배열하고, 가이드부재(310)의 외측(도 12에서는 좌측 방향)에 기어부재(35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20)도 가이드부재(310)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는 받침부(200)가 승, 하강할 때 받침부(200)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전달되는데, 만일 가이드부재(310)의 내측에 회전부재(320)가 구비되면 전달되는 체중에 의해 가이드부재(310)와 회전부재(320) 사이가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310) 외측에 회전부재(320)가 구비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이드부재(310)와 회전부재(302)의 접촉력이 증가하게 되어 승,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종래 다이캐스팅 공정으로 제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부(100) 측면을 절곡해서 측면판(160)을 형성하고, 보강리브(150)는 이송부(100) 저면에 용접하여 부착하며, 롤러고정축(170)은 측면판(160)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등 작업이 복잡하고, 용접에 의한 열 변형으로 치수공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정을 통해 제작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150), 측면판(160), 롤러고정축(170)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경량화, 생산성 및 품질의 안정성 향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운동 조절장치의 분해도로서, 도 14는 받침부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이송부의 저면도이며, 도 16은 D-D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0) 및 받침부(200)에 각각 구비된 회로부재(180, 230) 사이의 신호전달 및 전원공급을 케이블(5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블(500)은 이송부(100) 하부에 구비된 회로부재(180)에서 시작하여 받침부(200)에 구비된 회로부재(230)까지 연결되는데, 이때, 케이블(500)은 받침부(200) 외곽 테두리가 아닌 받침부(200)에 형성된 장공(190)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200) 외곽 테두리를 지나면서 연결될 경우 케이블(500)이 외부로 노출되어 내구성이 쉽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케이블(500)이 관통하는 장공(19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길이가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200)가 승강 또는 하강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케이블(5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 후방으로 반복하여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장공(19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면 케이블(500)이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케이블(50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190)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장공(190)의 중심을 향해 만곡된 돌출면(19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500)이 전, 후방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만곡된 돌출면(191)에 닿게 되므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돌출면(191)은 장공(190)의 길이방향 내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케이블(500)은 주로 전, 후방으로만 반복하여 이동할 뿐만 아니라 폭방향 내면에까지 돌출면(191)을 형성하면 작업이 복잡해짐으로 인해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송부 110 : 이동부재
120 : 리미트 스위치 130 : 수납공간
140 : 관통홀 150 : 보강리브
160 : 측면판 170 : 롤러고정축
180 : 회로부재 190 : 장공
200 : 받침부 210 : 온구기
211 : 일 온구기 212 : 타 온구기
213 : 온도감지부재 214 : 제2 탄성부재
220 : 지지대 221 : 회동축
222 : 제1 탄성부재 223 : 돌기
230 : 흡수부재
300 : 승하강부 310 : 가이드부재
311 : 기어면 312 : 감지돌기
320 : 회전부재 321 : 피니언
330 : 구동부재 340 : 기어박스
350 : 기어부재
400 : 힌지부 410 : 돌출부재
420 : 연결부재 430 : 힌지부재
431 : R형 핀 432 : 핀홀

Claims (26)

  1. 매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110)가 구비된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와 일측이 결합된 받침부(200);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200) 타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300)는,
    가이드부재(310)와,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맞닿는 회전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10) 내측에는 탈, 부착 가능한 기어면(311)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320)는 상기 기어면(311)에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내측에 구비된 피니언(3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20)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에는 상기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33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320)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부재(330)의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재(33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32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는 힌지부(400)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이송부(100)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410)와,
    상기 받침부(200)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와,
    상기 돌출부재(410)와 상기 연결부재(4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 상면에는 온구기(210)가 장착된 지지대(2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220)는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21)에는 일단은 상기 받침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22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222)가 구비되되,
    상기 제1 탄성부재(222)는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의 결합위치에 인접한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대(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구기(2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213)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부재(213)에는 상기 온구기(210)가 상향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2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의 결합위치에 인접한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와 상기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상기 일 온구기(211)에 대향하는 타 온구기(212)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는 상호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온구기(211)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타 온구기(212)가 상향 이동하는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는 하향 연장되는 돌기(223)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223) 하단에는 경사각이 형성되되, 상기 일 온구기(211)를 향하는 경사각은 상기 타 온구기(212)를 향하는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 상면에는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을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흡수부재(230)가 형성되되, 상기 일 온구기(211)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기 흡수부재(230)의 높이는 상기 타 온구기(212)를 향하여 상향 돌출되는 상기 흡수부재(2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10)에는 일측에 기어면(311)이 형성된 기어부재(350)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부재(350)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가이드부재(310) 중 어느 하나에는 리미트 스위치(120)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감지돌기(312)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돌기(312)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120)에 인입되면 상기 받침부(200)의 하강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3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의 승강동작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의 결합위치는 상기 받침부(200)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와 상기 받침부(200)는 힌지부(400)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이송부(100) 양측에 구비된 돌출부재(410)와,
    상기 받침부(200)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420)와,
    상기 돌출부재(410)와 상기 연결부재(4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부재(4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일단은 하향 연장되어 상기 이송부(10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430)에는 핀(431)이 관통하는 핀홀(4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에는 상기 받침부(200)가 인입 가능한 수납공간(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부(300)가 관통하는 관통홀(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 저면에는 상기 관통홀(140)을 둘러싸도록 상기 이송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보강리브(150)가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보강리브(150)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0) 하부에 구비된 회로부재(180)와 상기 받침부(200) 하부에 구비된 회로부재(230)를 연결하는 케이블(50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100)에는 상기 케이블(500)이 관통하는 장공(190)이 구비되며,
    상기 장공(190)은 길이방향 길이가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90)의 길이방향 내면에는 상기 장공(190)의 중심을 향해 만곡된 돌출면(19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90)의 길이방향 내면에는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20110064845A 2010-11-09 2011-06-30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1181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03317.1A CN102462617B (zh) 2010-11-09 2011-07-20 温热治疗仪用上下运动调节装置
PL11840005T PL2638889T3 (pl) 2010-11-09 2011-11-09 Regulator ruchu pionowego dla urządzenia termo terapeutycznego
PCT/KR2011/008519 WO2012064107A2 (ko) 2010-11-09 2011-11-09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ES11840005.0T ES2671350T3 (es) 2010-11-09 2011-11-09 Un regulador de desplazamiento vertical para un dispositivo de termoterapia
US13/884,209 US10548806B2 (en) 2010-11-09 2011-11-09 Vertical motion adjuster for thermotherapy device
EP11840005.0A EP2638889B1 (en) 2010-11-09 2011-11-09 Vertical motion adjuster for thermotherapy device
LTEP11840005.0T LT2638889T (lt) 2010-11-09 2011-11-09 Vertikalus termoterapijos aparato judesio reguliatorius
HUE11840005A HUE037675T2 (hu) 2010-11-09 2011-11-09 Függõleges mozgásszabályozó hõterápiás eszközhöz
TR2018/07555T TR201807555T4 (tr) 2010-11-09 2011-11-09 Termoterapi̇ ci̇hazina yöneli̇k di̇key hareket ayarlayici.
RS20180633A RS57322B1 (sr) 2010-11-09 2011-11-09 Podešivač vertikalnog kretanja termoterapeutskog uređaja
HRP20180841TT HRP20180841T1 (hr) 2010-11-09 2018-05-28 Uređaj za podešavanje okomitog gibanja uređaja za termoterapiju
US16/506,534 US10780016B2 (en) 2010-11-09 2019-07-09 Vertical motion adjuster for thermothera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0787 2010-11-09
KR1020100110787 201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797A true KR20120049797A (ko) 2012-05-17
KR101181918B1 KR101181918B1 (ko) 2012-09-11

Family

ID=462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845A KR101181918B1 (ko) 2010-11-09 2011-06-30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548806B2 (ko)
EP (1) EP2638889B1 (ko)
KR (1) KR101181918B1 (ko)
CN (1) CN102462617B (ko)
ES (1) ES2671350T3 (ko)
HR (1) HRP20180841T1 (ko)
HU (1) HUE037675T2 (ko)
LT (1) LT2638889T (ko)
PL (1) PL2638889T3 (ko)
RS (1) RS57322B1 (ko)
TR (1) TR201807555T4 (ko)
WO (1) WO2012064107A2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20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의 온구기 승하강 장치
KR101528980B1 (ko) * 2012-12-17 2015-06-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CN113599254A (zh) * 2021-09-14 2021-11-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全自动针刺补泻治疗仪
KR20220072812A (ko) * 2014-12-30 2022-06-02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
KR20220076554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세라젬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 치료기
WO2022231406A1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20220147492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2564449B1 (ko) * 2023-03-23 2023-08-07 (주)성우메디텍 온열 치료기용 안마구 승강장치
KR102590331B1 (ko) * 2023-04-26 2023-10-18 (주)성우메디텍 안마장치용 체형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형감지 방법
WO2023204491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WO2023204492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세라젬 모듈식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3933A9 (en) * 2006-08-15 2014-10-30 Innovative Standards, Inc. Massag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30643A (ko) * 2011-09-19 2013-03-27 주식회사 세라젬 도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열치료기
CN102784054B (zh) * 2012-08-17 2014-11-19 杨惠中 一种全自动艾灸机
CN103860315B (zh) * 2012-12-17 2017-04-12 喜来健株式会社 温热治疗仪用陶瓷升降装置
ES2551056B1 (es) * 2015-09-21 2016-09-08 Carlos Fradera Pellicer Dispositivo terapéutico
KR102311079B1 (ko) * 2015-09-25 2021-10-13 주식회사 세라젬 실시간 지압력 및 인체스캔 제어방법
JP6677261B2 (ja) * 2015-12-24 2020-04-08 富士通株式会社 ベッド
KR101836863B1 (ko) * 2016-11-28 2018-03-12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도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치료기
WO2018132486A1 (en) * 2017-01-10 2018-07-19 Hotchkiss Ronald G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the anatomy of the cervical spine and neck
KR101873894B1 (ko) * 2017-02-01 2018-07-05 (주)세라젬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 장치
KR102158201B1 (ko) * 2017-04-07 2020-09-2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치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218B1 (ko) * 2018-04-05 2019-08-27 주식회사 세라젬 심박수 측정 기능을 구비한 온열 치료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02246U (ko) * 2020-04-03 2022-09-20 유리 이고레비치 코리우카로프 척추 복합 치료 기구
CN111494153B (zh) * 2020-05-20 2021-11-09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颈椎疼痛治疗装置
KR20220081849A (ko)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척추관절 가동을 위한 진동기법 기반의 마사지 롤러의 조절장치
CN113662844B (zh) * 2021-08-20 2023-07-18 亳州市艾可舒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背灸仪
KR20230163685A (ko) *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세라젬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마사지 장치
KR102557688B1 (ko) * 2023-03-09 2023-07-21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 구조체
KR102557692B1 (ko) * 2023-03-09 2023-07-20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768A (en) * 1927-01-28 1929-05-28 Richard T Ferry Combined swivel and rigging plate
US3039458A (en) 1957-09-20 1962-06-19 Hill Lab Company Rolling massage apparatus with angle changing means
US3003497A (en) * 1959-02-25 1961-10-10 John L Nunes Massage table with hydraulically controlled roller
US3238936A (en) * 1962-04-16 1966-03-08 Nat Foundation For Physical Me Apparatus for mechanical corrective therapy
US3405709A (en) * 1966-04-11 1968-10-15 Niagara Therapy Mfg Corp Reciprocating gyratory massage assembly
US3812846A (en) * 1972-10-24 1974-05-28 H Trout Massaging machine
US3882856A (en) * 1973-11-23 1975-05-13 Gordon D Heuser Therapeutic manipulating machine for the human body
US4586493A (en) * 1983-09-13 1986-05-06 Goodman Charles J Therapy table
US5088475A (en) * 1990-06-15 1992-02-18 Steffensmeier Lloyd A Chiropractic massage table
US5165390A (en) 1990-12-03 1992-11-24 Fleetwood Thomas A Back massage machine with reciprocating trolley
SE9602263D0 (sv) * 1996-06-07 1996-06-07 Astra Ab New amino acid derivatives
JPH10243982A (ja) * 1997-03-05 1998-09-14 Family Kk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とその運転制御方法
CN2337854Y (zh) * 1997-09-30 1999-09-15 王开冰 自动升降摇摆健身床
AU719129B2 (en) * 1998-04-27 2000-05-0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ositioning device and a massager provided with the positioning device
KR100290787B1 (ko) * 1998-12-26 2001-07-12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6206166B1 (en) * 1999-05-12 2001-03-27 Gregory Kevin Picou Coin-operated massage tabl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igh quality massage
US7004916B2 (en) * 1999-08-05 2006-02-28 Interactive Health, Llc Massaging device for chairs with guide rail and carriage assembly
JP4249872B2 (ja) * 1999-09-09 2009-04-08 ファミリー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JP3831563B2 (ja) * 1999-12-20 2006-10-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マッサージ装置およ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用いた椅子式マッサージ機
WO2001060310A1 (en) * 2000-02-15 2001-08-23 Lim Sang Hyun A spine massager
KR100353093B1 (ko) * 2000-04-17 2002-09-16 노주석 척추 치료기
KR100399174B1 (ko) 2000-05-15 2003-09-26 주식회사 뷰닉스 월풀을 이용한 발안마기능이 구비된 안마 의자
JP4020581B2 (ja) * 2000-11-15 2007-12-12 三洋電機株式会社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4017350B2 (ja) * 2001-02-09 2007-12-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KR200268076Y1 (ko) * 2001-12-04 2002-03-15 김영문 온열치료기
US20020193713A1 (en) 2001-06-18 2002-12-19 Chun-Hsiu Lee Massage apparatus
KR200286192Y1 (ko) * 2002-04-22 2002-08-22 김송강 인체적응형 온열 치료기
KR100544386B1 (ko) * 2002-07-30 2006-01-23 문익순 온열 치료기
KR200298697Y1 (ko) 2002-09-14 2002-12-27 주식회사 사람과사람들 온열치료기의 작동장치
KR20040039150A (ko) * 2002-11-05 2004-05-10 김종우 온열매트
KR200314459Y1 (ko) 2003-02-28 2003-05-27 문익순 온열 치료기
KR100567427B1 (ko) * 2003-02-28 2006-04-07 문익순 온열 치료기
US7118541B2 (en) * 2003-05-16 2006-10-10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7081098B2 (en) * 2003-07-07 2006-07-25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20040260215A1 (en) * 2003-06-23 2004-12-23 Hakjin Kim Human body massaging method and apparatus
US7029453B2 (en) * 2003-07-09 2006-04-18 Ko-Po Chen Massaging mechanism of massaging machine
US7052476B2 (en) * 2003-07-18 2006-05-30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6849054B1 (en) * 2003-07-21 2005-02-01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20050049531A1 (en) * 2003-08-27 2005-03-03 Hakjin Kim Chair massager
US7083582B2 (en) * 2003-10-22 2006-08-01 Ko-Po Chen Massaging mechanism of massaging machine
JP4046702B2 (ja) * 2004-02-26 2008-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0482213B1 (ko) * 2004-06-28 2005-04-14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침대형 온열치료매트에 적합한 온열치료장치
KR20060042367A (ko) * 2004-11-09 2006-05-12 최옥산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 장치
TW200701974A (en) * 2005-06-20 2007-01-16 Family Co Ltd Chair type massaging machine, massaging machine, operation device of chair type massaging machine, remote controller for chair type massaging machine
TWI288636B (en) * 2005-12-23 2007-10-21 Ind Tech Res Inst Back massaging device
US7806840B2 (en) * 2006-11-28 2010-10-05 Ko-Po Chen Massage device for rubbing, beating and kneading
KR200441252Y1 (ko) * 2007-01-22 2008-08-01 김두상 치료도자의 고정구조체 및 상기 고정구조체를 포함하는 치료기
JP5063316B2 (ja) * 2007-04-19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ッサージ装置
US20120010049A1 (en) * 2009-03-25 2012-01-12 Amalaha Leonard D Device for an Automatic Body Fat Reducing and Muscle Building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980B1 (ko) * 2012-12-17 2015-06-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KR101486362B1 (ko) * 2013-04-09 2015-01-27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의 온구기 승하강 장치
WO2014168420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의 온구기 승하강 장치
KR20220072812A (ko) * 2014-12-30 2022-06-02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
KR20220076554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세라젬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 치료기
KR20220147492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WO2022231406A1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CN113599254A (zh) * 2021-09-14 2021-11-05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全自动针刺补泻治疗仪
CN113599254B (zh) * 2021-09-14 2023-09-15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全自动针刺补泻治疗仪
WO2023204491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WO2023204492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세라젬 모듈식 온열치료기용 도자 승하강장치
KR102564449B1 (ko) * 2023-03-23 2023-08-07 (주)성우메디텍 온열 치료기용 안마구 승강장치
KR102590331B1 (ko) * 2023-04-26 2023-10-18 (주)성우메디텍 안마장치용 체형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형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3390A1 (en) 2013-09-26
RS57322B1 (sr) 2018-08-31
US10780016B2 (en) 2020-09-22
PL2638889T4 (pl) 2019-01-31
WO2012064107A2 (ko) 2012-05-18
US10548806B2 (en) 2020-02-04
CN102462617B (zh) 2015-08-05
LT2638889T (lt) 2018-06-25
TR201807555T4 (tr) 2018-06-21
CN102462617A (zh) 2012-05-23
KR101181918B1 (ko) 2012-09-11
US20190328609A1 (en) 2019-10-31
ES2671350T3 (es) 2018-06-06
WO2012064107A3 (ko) 2012-07-26
EP2638889B1 (en) 2018-02-28
PL2638889T3 (pl) 2019-01-31
EP2638889A4 (en) 2015-11-04
HUE037675T2 (hu) 2018-09-28
HRP20180841T1 (hr) 2018-08-24
EP2638889A2 (en)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918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1326035B1 (ko) 척추 재활 치료기
KR101136724B1 (ko) 척추경혈용 지압장치
KR101623255B1 (ko) 환자용 침대
KR20180091640A (ko) 캠승강마사지형 레이져 온열 마사지 침대
ES2269876T3 (es) Mesa de tratamiento.
KR20050097894A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CN110393856B (zh) 一种放射治疗的治疗床
CN101057809B (zh) 具有腿部按摩功能的家用温热理疗床
CN201012165Y (zh) 具有腿部按摩功能的家用温热理疗床
KR101577047B1 (ko) 다용도의 기능성 침대
KR101742320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US2547827A (en) Invalid bed
KR20120111181A (ko) 온열치료기용 레일이동장치
JP3311366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60042367A (ko) 자동 온열 치료기용 이동식 승하강 장치
KR200419173Y1 (ko) 온열치료기
KR101721144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CN110314339A (zh) 一种老年人锻炼用辅助设备
KR100533778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20120049502A (ko) 안마 겸용 침대
KR100567427B1 (ko) 온열 치료기
KR20230163685A (ko)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마사지 장치
CN106691740A (zh) 一种静音电动医用病床
KR200276331Y1 (ko) 승강발판을 구비한 온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