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692B1 - 온도센서 구조체 - Google Patents

온도센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692B1
KR102557692B1 KR1020230030896A KR20230030896A KR102557692B1 KR 102557692 B1 KR102557692 B1 KR 102557692B1 KR 1020230030896 A KR1020230030896 A KR 1020230030896A KR 20230030896 A KR20230030896 A KR 20230030896A KR 102557692 B1 KR102557692 B1 KR 102557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upport
suscap
temperature sens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민
김홍우
Original Assignee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치료도자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고열에 의한 화상이나 온열치료기의 화재를 방지하며, 온열치료도자에 접촉되는 서스캡의 밀착력을 높여주기 위한 온도센서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센서 구조체{Temperature sensor structure}
본 발명은 온도센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열치료도자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고열에 의한 화상이나 온열치료기의 화재를 방지하며, 온열치료도자에 접촉되는 서스캡의 밀착력을 높여주기 위한 온도센서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센서는 열전대나 측온 저항체 등의 온도 검출 수단을 수지제 밀봉 파이프(보호관)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는 편리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 비교적 정확한 온도측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용 설비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온도센서로는 예를 들어 수지제 밀봉 온도센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기계적 강도가 낮고 열전도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우수한 응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수지제 밀봉 파이이프 대신에 기계적 강도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제 보호관을 사용하는 열전대나 측온 저항체 등의 온도 검출 수단을 보호관 내부에 구비한 온도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온도센서는 내외기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서스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여 정밀한 온도 센싱이 어렵고, 발생된 결로에 의해 전기적 기능 이상(쇼트;shortcircuit)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종래의 PCB와 같은 부품에서는 전위차에 의해 이온 전달 현상으로 PCB의 회로상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현상(일명: 이온 마이그레이션 현상)이 발생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452481호
본 발명은 온열치료도자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고열에 의한 화상이나 온열치료기의 화재를 방지하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온도센서가 서스캡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온열치료도자에서 서스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열치료도자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는, 온열치료도자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에 밀착되도록 서포트스프링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서스캡과, 서스캡과 접촉되는 온열치료도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서스캡 내부 일측에서 실리콘부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가 서스캡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서스캡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스캡 내부로 형성되는 실리콘부재와, 서스캡이 텐션에 의해 온열치료도자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이 서스캡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도자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트스프링과, 온도센싱홈에 밀착 접촉될 수 있는 텐션을 갖도록 서포트스프링 중앙으로 권취형성되는 스프링텐션부와, 서포트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도자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서포트스프링 타측으로 형성되는 캡고정부와, 서스캡의 개구부 측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 서포트스프링이 서스캡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온도센서가 서스캡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서포트스프링 일측 끝단에서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캡고정락과,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커넥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온도센서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에 연결 형성되는 와이어하네스와, 와이어하네스를 통해 온열치료기의 메인PCB 측으로 온도정보를 제공하도록 와이어하네스 일측으로 메인PCB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는, 회전되는 온열치료도자의 흔들림시 서포트스프링의 흔들림을 지지하도록 스프링텐션부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보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보강수단은, 스프링텐션부를 보강지지판 측으로 밀어주며, 스프링텐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에 의해 밀리는 스프링텐션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지지판과, 스프링텐션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보강지지판 측으로 스프링텐션부를 밀어주도록 보강판 내면으로 형성되는 텐션지지부재와, 서포트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단과, 서포트스프링이 관통되도록 스프링지지단 중앙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관통홈과, 핀고정부재에 의해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에 고정되도록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과, 결속핀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 일측면과 보강지지판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결속핀에 체결 형성되는 핀고정부재와, 스프링텐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서포트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판 내면 일측과 타측, 보강지지판 내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지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스캡에서 온도센서가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온도감지가 원활하게 되도록 함으로 고열에 의한 화상이나 온열치료기의 화재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가 설치된 제품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스프링보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캡고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캡밀착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스프링고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가 설치된 제품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는 온열치료도자(M)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100)는 서스캡(110), 온도센서(111), 실리콘부재(112), 서포트스프링(113), 스프링텐션부(114), 캡고정부(115), 캡고정락(116), 와이어하네스(118), 커넥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스캡(110)은 온열치료도자(M)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H)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스캡(110)은 서포트스프링(113)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111)는 서스캡(110)과 접촉되는 온열치료도자(M)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111)는 서스캡(110) 내부 일측에서 실리콘부재(1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부재(112)는 온도센서(111)가 서스캡(1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서스캡(11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리콘부재(112)는 서스캡(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스프링(113)은 서스캡(110)이 텐션에 의해 온열치료도자(M)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H)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스프링(113)은 일측이 서스캡(110)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도자고정프레임(F)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텐션부(114)는 온도센싱홈(H)에 밀착 접촉될 수 있는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텐션부(114)는 서포트스프링(113) 중앙으로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고정부(115)는 서포트스프링(113)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고정부(115)는 스프링고정볼트(S)를 이용하여 도자고정프레임(F)에 고정되도록 서포트스프링(113)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고정락(116)은 서스캡(110)의 개구부 측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 서포트스프링(113)이 서스캡(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온도센서(111)가 서스캡(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고정락(116)은 서포트스프링(113) 일측 끝단에서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하네스(118)는 온도센서(111)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커넥터(119)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하네스(118)는 일측이 온도센서(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119)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119)는 와이어하네스(118)를 통해 온열치료기의 메인PCB(P) 측으로 온도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119)는 와이어하네스(118) 일측으로 메인PCB(P)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100)는 온열치료도자(M)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100)를 통해 감지되는 온열치료도자(M)의 온도정보를 와이어하네스(118)를 통해 메인PCB(P)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100)는 온열치료도자(M) 중앙으로 형성되는 온도센싱홈(H)에 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 구조체(100)가 설치되며, 온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인 온열치료도자(M), 도자고정프레임(F), 온도센싱홈(H), 스프링고정볼트(S), 메인PCB(P)로 형성되는 온열치료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열치료도자(M)는 도자고정프레임(F) 상면에 고정되어 치료를 위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온열이 가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자고정프레임(F)은 온열치료도자(M)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서포트스프링(113)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싱홈(H)은 온열치료도자(M) 중앙으로 형성되어 서스캡(1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볼트(S)는 서포트스프링(113)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볼트(S)는 캡고정부(115)를 도자고정프레임(F)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PCB(P)는 커넥터(119)가 체결되어 온도센서(111)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제공받으며, 기설정되는 온도로 컨트롤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스프링보강수단(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보강수단(200)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프링보강수단(200)은 회전되는 온열치료도자(M)의 흔들림시 서포트스프링(113)의 흔들림을 지지하도록 스프링텐션부(114)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보강수단(200)은 보강판(210), 보강지지판(211), 텐션지지부재(212), 스프링지지단(213), 스프링관통홈(214), 결속핀(215), 핀고정부재(216), 스프링지지패드(2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판(210)은 스프링텐션부(114)를 보강지지판(211) 측으로 밀어주며, 스프링텐션부(114)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지지판(211)은 보강판(210)에 의해 밀리는 스프링텐션부(114)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지지부재(212)는 스프링텐션부(114)의 일측에 밀착되어 보강지지판(211) 측으로 스프링텐션부(114)를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지지부재(212)는 보강판(210) 내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지지단(213)은 서포트스프링(113)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지지단(213)은 보강판(210)과 보강지지판(211)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관통홈(214)은 서포트스프링(113)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관통홈(214)은 스프링지지단(21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핀(215)은 핀고정부재(216)에 의해 보강판(210)과 보강지지판(2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핀(215)은 보강판(210)과 보강지지판(211)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부재(216)는 결속핀(215)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고정부재(216)는 보강판(210) 일측면과 보강지지판(211)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결속핀(215)에 체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지지패드(217)는 스프링텐션부(114) 양측으로 형성되는 서포트스프링(113)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지지패드(217)는 보강판(210) 내면 일측과 타측, 보강지지판(211) 내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캡고정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캡고정수단(300)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캡고정수단(300)은 서포트스프링(113)이 서스캡(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고정수단(300)은 고정단(310), 고정캡(311), 밀착고정부재(312), 밀착단(313), 캡너트(314), 보호패드(315), 압축부재(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310)은 고정캡(311)이 서스캡(110)에 삽입시 서스캡(110) 상에서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단(310)은 서스캡(110) 둘레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캡(311)은 캡너트(314)가 볼트방식으로 체결되어 밀착고정부재(312)를 서스캡(110) 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캡(311)은 고정단(310)에 걸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고정부재(312)는 락부재가 서스캡(110) 개구부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고정부재(312)는 서스캡(110)의 개구부 측에서 서스캡(110) 내부측으로 밀착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단(313)은 서스캡(110)의 일단면에 밀착고정부재(312)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단(313)은 밀착고정부재(312)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너트(314)는 고정단(31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고정캡(311)과 볼트방식으로 체결되어 서스캡(110)에서 밀착고정부재(312)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패드(315)는 고정캡(311)과 캡너트(314) 간의 체결시 충격에 의해 풀림이 발생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패드(315)는 고정캡(311)과 캡너트(314)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부재(316)는 와이어하네스(118)와 서포트스프링(113)이 밀착고정부재(312)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부재(316)는 일측면이 밀착고정부재(312)와 밀착되고, 타측면이 와이어하네스(118)와 서포트스프링(113)을 밀착고정시키도록 밀착고정부재(312) 중앙으로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캡밀착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캡밀착수단(400)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캡밀착수단(400)은 서스캡(110)을 밀어 올림으로 온도센싱홈(H)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밀착수단(400)은 모터지지대(410), 스크류고정대(411), 밀착스크류(412), 밀착모터(413), 밀착이동부재(414), 이동바(415), 밀착부재(416), 압력센서(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대(410)는 밀착스크류(412)의 일측을 고정하며, 밀착모터(41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대(410)는 도자고정프레임(F) 상면 일측으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고정대(411)는 회전되는 밀착스크류(412)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고정대(411)는 도자고정프레임(F)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스크류(412)는 밀착모터(413)의 구동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스크류(412)는 일측이 모터지지대(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고정대(4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모터(413)는 밀착스크류(412)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모터(413)는 모터지지대(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이동부재(414)는 밀착스크류(412)의 회전시 밀착부재(416)를 서스캡(110) 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이동부재(414)는 밀착스크류(412)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바(415)는 밀착이동부재(414)의 이동시 스크류고정대(411)를 관통하여 밀착부재(416)를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바(415)는 일측이 밀착이동부재(414)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밀착부재(416) 하부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416)는 밀착모터(413)의 회전시 서스캡(110)에 접촉되어 밀어 올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416)는 이동바(415)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417)는 서스캡(110)의 밀어올림시 밀착부재(416)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센서(417)는 밀착부재(416)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스프링고정수단(5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고정수단(500)은 본 발명 온도센서 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프링고정수단(500)은 스프링텐션부(114)를 고정하여 스프링서포트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수단(500)은 베어링지지부재(510), 회전베어링(511), 지지판(512), 진동감지센서(513), 실린더고정부재(514), 밀착실린더(515), 밀착판(516), 고정돌기(5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재(510)는 회전베어링(511)이 삽입되며, 회전되는 지지판(512)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지지부재(510)는 도자고정프레임(F)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베어링(511)은 회전되는 지지판(512)의 회전시 베어링지지부재(510)와 지지판(512) 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베어링(511)은 베어링지지부재(510)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512)은 스프링텐션부(114)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512)은 회전베어링(511)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513)는 베어링지지부재(510) 측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감지센서(513)는 베어링지지부재(5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고정부재(514)는 밀착실린더(515)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고정부재(514)는 도자고정프레임(F)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515)는 밀착판(516)을 스프링텐션부(114) 측으로 전진시켜 스프링텐션부(114)가 지지판(5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515)는 실린더고정부재(5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판(516)은 스프링텐션부(114) 일측에 밀착되어 지지판(512) 측으로 스프링텐션부(114)를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판(516)은 밀착실린더(515)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517)는 스프링텐션부(114) 중앙에 삽입되어 스프링텐션부(114)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517)는 밀착판(516)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온도센서구조체
110 : 서스캡 111 : 온도센서
112 : 실리콘부재 113 : 서포트스프링
114 : 스프링텐션부 115 : 캡고정부
116 : 캡고정락 118 : 와이어하네스
119 : 커넥터
M : 온열치료도자 F : 도자고정프레임
H : 온도센싱홈 S : 스프링고정볼트
P : 메인PCB
200 : 스프링보강수단 210 : 보강판
211 : 보강지지판 212 : 텐션지지부재
213 : 스프링지지단 214 : 스프링관통홈
215 : 결속핀 216 : 핀고정부재
217 : 스프링지지패드
300 : 캡고정수단 310 : 고정단
311 : 고정캡 312 : 밀착고정부재
313 : 밀착단 314 : 캡너트
315 : 보호패드 316 : 압축부재
400 : 캡밀착수단 410 : 모터지지대
411 : 스크류고정대 412 : 밀착스크류
413 : 밀착모터 414 : 밀착이동부재
415 : 이동바 416 : 밀착부재
417 : 압력센서
500 : 스프링고정수단 510 : 베어링지지부재
511 : 회전베어링 512 : 지지판
513 : 진동감지센서 514 : 실린더고정부재
515 : 밀착실린더 516 : 밀착판
517 : 고정돌기

Claims (3)

  1. 온열치료도자에 밀착되어 온열치료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는,
    온열치료도자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에 밀착되도록 서포트스프링 일측으로 고정 형성되는 서스캡과,
    서스캡과 접촉되는 온열치료도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서스캡 내부 일측에서 실리콘부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가 서스캡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서스캡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스캡 내부로 형성되는 실리콘부재와,
    서스캡이 텐션에 의해 온열치료도자에 형성되는 온도센싱홈에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일측이 서스캡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도자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서포트스프링과,
    온도센싱홈에 밀착 접촉될 수 있는 텐션을 갖도록 서포트스프링 중앙으로 권취형성되는 스프링텐션부와,
    서포트스프링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도자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서포트스프링 타측으로 형성되는 캡고정부와,
    서스캡의 개구부 측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 서포트스프링이 서스캡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온도센서가 서스캡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서포트스프링 일측 끝단에서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캡고정락과,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커넥터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온도센서에 연결되고, 타측이 커넥터에 연결 형성되는 와이어하네스와,
    와이어하네스를 통해 온열치료기의 메인PCB 측으로 온도정보를 제공하도록 와이어하네스 일측으로 메인PCB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 구조체는,
    회전되는 온열치료도자의 흔들림시 서포트스프링의 흔들림을 지지하도록 스프링텐션부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보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보강수단은,
    스프링텐션부를 보강지지판 측으로 밀어주며, 스프링텐션부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에 의해 밀리는 스프링텐션부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지지판과,
    스프링텐션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보강지지판 측으로 스프링텐션부를 밀어주도록 보강판 내면으로 형성되는 텐션지지부재와,
    서포트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단과,
    서포트스프링이 관통되도록 스프링지지단 중앙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관통홈과,
    핀고정부재에 의해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에 고정되도록 보강판과 보강지지판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결속핀과,
    결속핀을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 일측면과 보강지지판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결속핀에 체결 형성되는 핀고정부재와,
    스프링텐션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서포트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판 내면 일측과 타측, 보강지지판 내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지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030896A 2023-03-09 2023-03-09 온도센서 구조체 KR10255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896A KR102557692B1 (ko) 2023-03-09 2023-03-09 온도센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896A KR102557692B1 (ko) 2023-03-09 2023-03-09 온도센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692B1 true KR102557692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896A KR102557692B1 (ko) 2023-03-09 2023-03-09 온도센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6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598Y1 (ko) * 1995-08-23 1999-05-01 김인선 온도감지기
KR101181918B1 (ko) * 2010-11-09 2012-09-1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20220128757A (ko) * 2021-03-15 2022-09-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공조장치
KR102452481B1 (ko) 2020-03-31 2022-10-07 주식회사 유라테크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598Y1 (ko) * 1995-08-23 1999-05-01 김인선 온도감지기
KR101181918B1 (ko) * 2010-11-09 2012-09-1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2452481B1 (ko) 2020-03-31 2022-10-07 주식회사 유라테크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 제조 방법
KR20220128757A (ko) * 2021-03-15 2022-09-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4462T3 (es) Guarnicion de freno o de embrague con sensor de fuerza capacitivo.
EP3264056B1 (en) Temperature sensor
US20170205294A1 (en) Temperature sensor
JPS5927225A (ja) タンク内容物の容量検出器
KR102557692B1 (ko) 온도센서 구조체
JPH0545886B2 (ko)
US4704577A (en) Eddy currents probe for measuring a gap between a tube and an antivibration bar
KR102557688B1 (ko) 온도센서 구조체
US4197742A (en) Temperature monitoring arrangement for a moving component
US4575258A (en) Steam trap failure detector
US4441827A (en) Travelling surface temperature probe
JP3135081B2 (ja) 示差走査熱量計の炉体ユニット
JPS61260133A (ja) 温度センサ及び秤量物乾燥用付属設備
US2048512A (en) Temperature indicator
JP2955930B1 (ja) 温度検出素子を有するウェーハ
JP4358432B2 (ja) 滅菌監視システム用の滅菌剤試験装置
JPS6145463Y2 (ko)
JP7426982B2 (ja) 移動検出デバイスの温度依存較正
US3529473A (en)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EP0190858A2 (en) Temperature-sensitive probes
KR101761089B1 (ko)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데이터레코드가 장착된 프로파일러를 이용하여 터널식 열처리로 내부에서 열처리되는 파이프의 내부온도 측정방법
US4729798A (en) Long life right angle thermocouple with constant contact pressure
CN108981938A (zh) 监测装置
JP3405849B2 (ja) 熱式流速センサ
JPH05176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