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118A -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118A
KR20120041118A KR1020110094671A KR20110094671A KR20120041118A KR 20120041118 A KR20120041118 A KR 20120041118A KR 1020110094671 A KR1020110094671 A KR 1020110094671A KR 20110094671 A KR20110094671 A KR 20110094671A KR 20120041118 A KR20120041118 A KR 20120041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tact
housing
substr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637B1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간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판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기판 커넥터에 대해, 기판 커넥터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및 제 1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는 기판 부재를 그 사이에서 클램핑 연결하는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를 각각 포함한다. 액츄에이터는 제 1 클램핑부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에 형성된 에포트 포인트 부분을 포함한다. 조작자가 기판 부재를 기판 커넥터에 삽입할 때, 기판 부재는 에포트 부분을 눌러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BOARD CONNECTOR PROVIDED WITH AN ACTUATOR INTEGRAL WITH A BEAM PORTION OF A CONT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FPC (가요성 인쇄 회로) 와 FFC (가요성 평탄 케이블) 와 같은 판형상 연결 대상물 또는 기판을 연결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심사된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공보 제 2006-351288 (특허문헌 1) 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각각의 콘택트는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비접촉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며, 연결 대상물이 그의 대향면 사이에 삽입될 때 연결 대상물의 양면과 탄성 접촉하게 되는 연결 대상물에 의해 변위된다.
미심사된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공보 제 2004-39479 (특허문헌 2) 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용 커넥터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 의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용 커넥터 장치는 하우징, 이 하우징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콘택트 부재 및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 부재는 상부 콘택트부와 그에 대향된 하부 콘택트부를 갖는다. 상부 콘택트부와 하부 콘택트부는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이 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까지 서로 이격되고,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미리 정해진 접촉 압력으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을 클램핑하게 설계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서, 연결 대상물의 패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에 삽입시 쉽게 박리된다. 게다가, 연결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사이에 연결 대상물을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2 의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용 커넥터 장치에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의 장착시 작업 부하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크다. 게다가,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이 조작중 과도한 힘을 받게될 수도 있고, 그 결과 이들 부품의 파손이 유발된다. 게다가, 커넥터 장치는 소형으로 설계되어, 보통 크기의 손가락을 갖는 조작자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수동 조작이 어렵다. 그 결과,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을 장착하는 조작이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목적은 기판 커넥터로의 기판 부재의 삽입중의 문제점을 개선하거나 감소시킨 기판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명세서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태에 따르면, 기판 삽입 방향으로 기판 부재에 삽입되는,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기판 커넥터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1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기판 커넥터에서, 상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는 상기 기판 부재를 그 사이에서 클램핑 연결하는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클램핑부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며 기판 부재가 기판 커넥터에 삽입될 때 기판 부재에 의해 눌려져 이동되는 에포트 포인트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용어 "일체" 는 복수 개의 부재가 일체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용어 "일체" 는 별개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성형된 복수 개의 부재가 일체로 조작되게 서로 끼움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이 장착되기 이전 상태의 종래 기술의 커넥터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종래 기술의 커넥터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기판 커넥터에 제 1 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제 1 기판이 장착되기 이전 상태의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기판 삽입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본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는 후면도이다.
도 8 은 구부러지기 이전 상태의 콘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조 중인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가 구부러지기 이전의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7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가 구부러진 이후의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7 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 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가 구부러지기 이전의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7 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가 구부러진 이후의 기판 커넥터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 7 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1 기판의 장착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1 기판을 장착 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제 1 기판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제 1 기판을 제거 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저, 관련 기술에 대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전술한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커넥터 (500) 를 도시한다. 커넥터 (500) 는 하우징 (510) 과 하우징 (510) 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콘택트 (530) 를 갖는다. 각각의 콘택트 (530) 는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를 갖는다.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는, 비접촉 상태에서 서로 대향되고,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과 같은 연결 대상물 (T500) 이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의 대향면 사이에 삽입될 때 연결 대상물 (T500) 에 의해 변위되에 연결 대상물 (T500) 의 양측에서 탄성 접촉하게 된다.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의 대향면은 변위 방향으로 그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간을 갖는 오목 형상 및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의 커넥터 (500) 에 있어서, 콘택트 (530) 의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 (T500) 이 공차 범위 내에서 더 두껍게 제조된다면, 연결 대상물 (T500) 의 표면은 연결 대상물 (T500) 의 삽입중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에 의해 마찰된다. 따라서, 연결 대상물 (T500) 의 단부는 절단면이기 때문에, 연결 대상물 (T500) 의 패드가 쉽게 박리된다. 게다가, 연결 대상물 (T500) 의 두께에 따라,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사이에 연결 대상물 (T500) 을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도 2 및 도 3 은 전술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용 커넥터 장치 (600) 를 도시한다. 커넥터 장치 (600) 는 하우징 (610), 하우징 (610) 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콘택트 부재 (630) 및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620) 를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 부재 (630) 는 상부 콘택트부 (631a) 와 이에 대향된 하부 콘택트부 (632a) 를 갖는다. 상부 콘택트부 (631a) 와 하부 콘택트부 (632a) 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이 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까지 서로 이격되며, 액츄에이터 (620) 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접촉 압력으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을 클램핑하도록 설계된다.
도 2 및 도 3 의 커넥터 장치 (600) 에 있어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의 장착을 위해서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의 삽입 단계 및 액츄에이터 (620) 작동 단계의 2 개의 작동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의 장착에 대한 작업 부하가 크다. 게다가, 액츄에이터 (620) 가 수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620) 를 포함하여 다른 부품이 과도한 힘을 받게 될 수 있게되어 이러한 부품의 파괴를 초래한다. 게다가, 커넥터 장치 (600) 가 소형으로 설계되면, 보통 크기의 손가락을 갖는 조작자에 의해 액츄에이터 (620) 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은 어렵다. 그 결과,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T600) 을 장착하는 작업은 더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도 4 와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커넥터 (100) 를 설명한다.
기판 커넥터 (100)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대상물로서 제 1 기판 (FPC: 가요성 인쇄 회로)(T1) 과 제 2 연결 대상물로서 제 2 기판 (인쇄 기판)(T2) 을 연결한다. 제 1 기판 (T1) 은 기판 부재로서 언급된다.
기판 커넥터 (100) 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액츄에이터 (120), 및 복수 개의 콘택트 (130) 를 갖는다.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120) 각각은 절연성 수지로 성형된다. 다른 한편으로, 콘택트 (130) 는 인청동으로 성형된다.
각각의 콘택트 (130) 는 제 1 비임부 (131), 제 2 비임부 (132) 및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를 연결하는 연결부 (133) 를 갖는다.
제 2 비임부 (132) 가 내측에 매립되는 하우징 (110) 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임부 (131) 와 일체이다. 하우징 (110) 은 도 4, 도 6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 (111), 기판 장착면 (112), 복수 개의 에포트 포인트 (effort point) 수용부 (113) 및 한 쌍의 오목부 (맞물림부)(114) 를 포함한다.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113) 는 제 1 오목부로 언급될 것이다.
수용 공간 (111) 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이 삽입될 때 제 1 기판 (T1) 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공간이다. 기판 장착면 (112) 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용 장착면으로서 기능한다.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113) 는 도 9 및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기판 장착면 (112) 상에서 함몰부로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 (114)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콘택트 폭 방향 (Y) 으로 하우징 (110) 의 양측벽 상에 함몰부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제 1 돌기부로서 언급될 것이다.
액츄에이터 (120) 는 도 4,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121), 복수 개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및 한 쌍의 돌기부 (맞물림부)(123) 를 포함한다. 제 1 비임부 (131) 가 내측에 매립되는 본체부 (121)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임부 (131) 와 일체이다.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도 6,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상의 3 개의 위치에서 콘택트 폭 방향 (Y) 으로 본체부 (121) 의 중심 및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 본체부 (121) 의 전방측 (X1) 에 배치되며, 본체부 (121) 로부터 기판 장착면 (112) 을 향해 돌출된다.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에 배치된다.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기판 장착면 (112) 에 근접하게 경사지는 경사면 (122a) 을 포함한다.
돌기부 (123) 는 콘택트 폭 방향 (Y) 으로 본체부 (121) 의 양측에 형성되며, 콘택트 폭 방향 (Y) 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한다. 돌기부 (123) 는 각각 하우징 (110) 의 오목부 (114) 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는데, 이 액츄에이터 (120) 는 기판 삽입 방향 (X) 과 콘택트 폭 방향 (Y) 에 수직한 방향 (Z) 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방향 (Z) 의 상방으로 액츄에이터 (120) 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목부 (114) 로부터 돌기부 (123) 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 (123) 는 제 2 돌기부로서 언급될 것이다.
각각의 콘택트 (130)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른바 상시 폐쇄형 (normally closed type) 으로 설계된다. 자세하게는, 후술되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는 제 1 기판 (T1) 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 각각의 콘택트 (130) 에 있어서, 제 1 비임부 (131), 제 2 비임부 (132) 및 연결부 (133)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비임부 (131) 대부분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121) 와 일체를 이루도록 액츄에이터 (120) 의 본체부 (121) 내측에 매립된다. 제 1 비임부 (131) 는 도 6 및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 (111) 에 노출되는 제 1 클램핑부 (131a) 를 갖는다. 제 1 클램핑부 (접촉 지점부)(131a) 는 제 1 기판 (T1) 에 형성된 패드 (도시 생략) 와 접촉되는 접촉 지점부로서 기능한다. 제 1 클램핑부 (131a) 는 후술되는 제 2 클램핑부 (132a) 에 대향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된다. 즉, 기판 삽입 방향 (X) 에서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는 서로 대응하거나 위치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기판 삽입 방향 (X) 에서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는 서로 위치적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특히, 제 1 비임부 (131) 는 제 1 클램핑부 (131a) 에 가까운 구부림 처리부 (processed portion) 를 갖는다. 제 1 클램핑부 (131a) 의 구부림 처리부는 액츄에이터 (120) 에 의해 둘러싸인 액츄에이터 (120) 내측에 매립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120) 가 파괴되지 않는 한, 액츄에이터 (120) 와 콘택트 (130) 는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120) 가 콘택트 (130) 로부터 빠지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제 2 비임부 (132) 의 대부분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우징 (110) 내측에 매립된다. 제 2 비임부 (132)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 (111) 에 노출된 제 2 클램핑부 (132a), 제 2 클램핑부 (132a) 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에 형성되며 제 2 기판 (T2) 에 납땜되는 제 1 단자부 (132b), 및 제 2 클램핑부 (132a) 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에 형성되며 제 2 기판 (T2) 에 납땜되는 제 2 단자부 (132c) 를 포함한다.
연결부 (133) 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 측 (X2) 에서 제 1 비임부 (131) 와 제2 비임부 (132) 의 단부를 연결한다. 연결부 (133) 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가 서로 근접하도록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를 편향시킨다. 즉, 연결부 (133) 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에 클램핑력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연결부 (133) 와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사이의 거리는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133) 와 제 1 클램핑부 (131a)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제 1 연결 대상물로서의 제 1 기판 (FPC)(T1) 은 도 1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상의 3 개의 위치에서 콘택트 폭 방향 (Y) 의 중심에 배치되며, 콘택트 (130) 의 제 1 클램핑부 (131a) 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패드 (도시 생략) 와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을 각각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에포트 포인트 수용 부분 (T1a) 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드와 도전성 패턴은 제 1 클램핑부 (131a) 에 마주하는 제 1 기판 (T1) 의 전방면 상에만 형성된다. 그러나, 전방면 상에있는 것과 유사한 패드와 도전성 패턴이 제 1 기판 (T1) 의 후방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촉 지점이 제 1 기판 (T1) 과 접촉 하게 됨으로써 제 2 클램핑부 (132a) 가 또한 사용된다.
기판 커넥터 (100) 에는 제 2 연결 대상물로서 제 2 기판 (인쇄 기판)(T2) 에 납땜되는 홀드다운 (holddown)(도시 생략) 이 제공될 수도 있다. 홀드다운에 의해, 하우징 (110) 과 제 2 기판 (T2) 이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133) 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에 서 수개의 콘택트 (130) 가 콘택트 폭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제 1 클램핑부 (131a) 는 제 1 비임부 (131) 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임부 (131) 가 액츄에이터 (120) 내측에 매립되는 상태에서, 액츄에이터 (120) 가 인서트 성형된다. 더 자세하게는, 액츄에이터 (120) 는, 액츄에이터 (120) 내측에 제 1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콘택트의 일단부측 또는 제 1 단부측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 (120) 와 콘택트 (130) 가 일체로 성형된다. 액츄에이터 (120) 가 성형될 때, 몰딩 다이의 돌기부 등에 의해 제 1 비임부 (131) 의 이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액츄에이터 (120) 에는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130) 에 대응하는 양의 복수 개의 구멍 (124) 이 제공된다.
게다가, 복수 개의 제 2 비임부 (132) 가 하우징 (110) 내측에 매립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110) 은 인서트 성형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 (110) 과 콘택트 (130) 가 일체로 성형된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 (110) 은, 하우징 (110) 내측에서 제 2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콘택트 (130) 의 타단부측 또는 제 2 단부측과 일체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9, 도 11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트 (130) 는 연결부 (133) 에서 구부러진다. 더 자세하게는, 액츄에이터 (120) 와 하우징 (110) 에 의해 서로 일체인 콘택트 (130) 는 함께 중첩되어 제 1 단부측과 제 2 단부측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이 때, 하우징 (110) 의 오목부 (114) 와 액츄에이터 (120) 의 돌기부 (123) 는 액츄에이터 (120) 와 하우징 (110)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렬을 위한 표시 (mark) 로서 기능한다. 즉, 돌기부 (123) 가 오목부 (114) 에 위치되도록 콘택트 (130) 가 구부러진다. 이에 의해, 콘택트 (130) 의 정확한 구부러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과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113) 도 액츄에이터 (120) 와 하우징 (110)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렬을 위한 표시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 (120) 에는 돌기부 (맞물림부)(123) 가 제공되고, 하우징 (110) 에는 오목부 (맞물림부)(114) 가 제공된다. 돌기부 (123) 와 오목부 (114) 는 서로 맞물린다. 대안으로, 액츄에이터 (120) 에 오목부가 제공되고 하우징에 돌기부가 제공된 반대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에 장착하거나 삽입하는 방법과 제 1 기판 (T1) 장착시 각 부품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 측 (X1) 으로부터 후방 측 (X2) 을 향해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120) 사이에 제 1 기판 (T1) 을 삽입한다. 액츄에이터 (120) 의 각각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기판 장착면 (112) 에 더 가깝게 경사지는 경사면 (122a) 을 갖는다. 따라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이 장착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올려진다.
이 때,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인 제 1 비임부 (131) 가 기판 장착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120) 와 함께 올려진다. 이 때, 연결부 (133) 는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는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더 커지도록 증가된다.
다음으로, 제 1 기판 (T1) 은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조작자에 의해 더 밀어넣어지며,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에 진입한다.
다음으로, 제 1 기판 (T1) 이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조작자에 의해 추가로 더 밀어넣어진다. 이후,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의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T1a) 는 각각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과 위치적으로 일치한다.
이 때,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제 1 기판 (T1) 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콘택트 (130) 의 연결부 (133) 는 탄성적으로 복귀되며, 액츄에이터 (120) 는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이 기판 장착면 (112)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트 (130) 의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는 정상 거리로 복귀하게 되는데, 즉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후,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는 제 1 기판 (T1) 을 클램핑하여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1 기판 (T1) 의 패드 (도시 생략) 사이를 연결한다. 이와 동시에,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제 1 기판 (T1) 의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T1a) 에 진입하여 그 안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17 을 참조하여,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제 1 기판 (T1) 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는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과 제 1 기판 (T1) 사이에 웨지 형상의 단부 (M1) 를 갖는 지그 (M) 를 삽입한다. 그 결과,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이 기판 장착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올려진다.
이 때,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인 제 1 비임부 (131) 가 기판 장착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120) 와 함께 올려진다. 이 때, 연결부 (133) 는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는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더 커지도록 증가된다. 이후, 조작자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로부터 제 1 기판 (T1) 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제 1 기판 (T1) 이 추출될 때 제 1 기판 (T1) 이 액츄에이터 (120) 에 맞물릴지라도 (잡혀있을지라도), 돌기부 (123) 가 오목부 (114) 와 맞물림하며, 이에 의해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을 향해 제 1 기판 (T1) 과 함께 액츄에이터 (120) 의 이동을 방지한다. 즉, 액츄에이터 (120) 의 이동에 기인한 콘택트 (130)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 (123) 는 액츄에이터 (120) 를 방향 (Z) 의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목부 (114) 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액츄에이터 (120) 와 하우징 (110) 이 그 사이에서 힌지식 연결을 직접 이루지 못하게 한다. 더 자세하게는, 액츄에이터 (120) 는 하우징 (110) 에 직접적으로 힌지연결되지 않지 않고 콘택트 (130) 를 통해 하우징 (110) 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얻어진 기판 커넥터 (100) 는, 각각의 콘택트 (130) 의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가 기판 커넥터 (100) 에 삽입되는 제 1 기판 (T1) 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120) 를 조작하는 추가 조작이 제 1 기판 (T1) 을 삽입하는 조작과 별개로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의 장착 조작이 제 1 기판 (T1) 을 삽입하는 단일 조작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을 장착하는 조작시의 작업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가 부여된 필요량만큼만 자동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제 1 기판 (T1) 이 공차 범위 내에서 더 두껍게 제조될지라도,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에 대한 제 1 기판 (T1) 의 과도한 마찰식 이동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기판 커넥터 (100) 는, 액츄에이터 (120) 가 액츄에이터 (120) 의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 (T1) 의 삽입중 액츄에이터 (120) 의 이동이 최소 수준으로 제한되어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에 제 1 기판 (T1) 이 삽입되게 한다. 게다가, 액츄에이터 (120) 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액츄에이터 (120) 등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120) 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의 수동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 (100) 전체가 소형으로 설계될지라도, 액츄에이터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 장치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 즉 액츄에이터 (120) 가 보통 크기의 손가락을 갖는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기에 어려운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의 장착 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 연결부 (133) 와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사이의 거리는 연결부 (133) 와 제 1 클램핑부 (131a)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요구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성이 개선된다. 게다가, 제 1 기판 (T1) 의 삽입 중 제 1 기판 (T1) 과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사이의 과도한 물리적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기판 (T1) 이 삽입될 때 액츄에이터 (120) 와 콘택트 (130)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미끄러짐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 분말이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접촉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액츄에이터 (120) 와 제 1 비임부 (131) 사이의 정확한 구동 조작이 유지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120) 와 콘택트 (130) 는 일체로 성형되며, 하우징 (110) 과 콘택트 (130) 도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으로의 수개의 콘택트 (130) 의 고정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게다가, 단일 부재 또는 유닛으로서 콘택트 (130),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액츄에이터 (120) 와 콘택트 (130) 사이의 분리, 그리고 하우징 (110) 과 콘택트 (130) 사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클램핑력은 금속 재료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연결부 (133) 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각각의 콘택트 (130) 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 커넥터 (100) 가 액츄에이터 (120) 와 하우징 (110) 을 콘택트 (130) 와 일체로 성형하고, 이후 콘택트 (130) 를 구부림으로써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 부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의 푸싱 이동부를 상호결합하고,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상호결합 기구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액츄에이터 (120) 와 각각의 콘택트 (130) 의 제 1 비임부 (131) 가 서로 일체화되는 단순 구조를 채용한다. 따라서, 상호결합 기구의 결함에 기인한 기판 커넥터 (100) 의 조작 실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하우징 (110) 과 제 1 기판 (T1) 은 각각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을 수용하는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113, T1a) 를 갖는다. 따라서, 전체 기판 커넥터 (100) 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기판 커넥터 (100) 에 대해 제 1 기판 (T1) 을 적절히 위치 결정하여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기판 (T1) 의 패드 (도시 생략) 와 콘택트 (130) 의 제 1 클램핑부 (131a) 사이의 연결이 신뢰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120) 의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각각은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기판 장착면 (112) 에 더 가깝게 경사진 경사면 (122a) 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은 제 1 기판 (T1) 의 작은 삽입력에 의해 쉽게 눌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기판 (T1) 과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사이의 과도한 물리적 접촉이 방지되고, 제 1 기판 (T1) 의 부드러운 삽입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 (133) 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가 서로 근접하도록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를 편향시킨다. 따라서, 제 1 기판 (T1) 의 장착 완료 후 또는 장착 이전에 액츄에이터 (120) 가 하우징 (110) 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 및 상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제 1 기판이 FPC (가요성 인쇄 회로) 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 1 기판은 평판 형상, 예컨대, FFC (가요성 평탄 케이블) 의 임의의 연결 대상물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예시적 실시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 삽입의 단일 조작 단계에 의해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 (기판 부재) 의 장착 조작을 쉽게 달성하고, 기판의 삽입중 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며, 액츄에이터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각각의 콘택트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가 기판 커넥터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로서 기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작동하는 추가의 조작이 기판 부재의 삽입 조작과 별개로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기판 부재 장착 조작이 기판 부재를 삽입하는 단일 조작 단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기판 부재를 장착하는 조작시 작업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기판 부재의 삽입에 의해, 각각의 콘택트의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가 단지 주어진 필요량만큼 자동으로 증가된다. 이에 따라, 연결 대상물로서 기판 부재가 공차 범위 내에서 더 두껍게 제조될지라도, 각각의 콘택트의 클램핑부에 대해 기판 부재의 과도한 마찰 움직임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부재가 파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기판 커넥터는, 액츄에이터의 수동 조작의 필요없이 기판 부재의 삽입에 의해 기판이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기판 부재의 삽입 중 액츄에이터의 이동이 최소 수준으로 제한된다. 게다가, 액츄에이터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 등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 등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수동 조작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기판 부재 전체가 소형으로 설계될지라도, 액츄에이터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 장치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 즉 액츄에이터가 보통 크기의 손가락을 갖는 조작자에 수동으로 조작되기 어려운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 부재 장착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에포트 포인트 부분의 푸싱 이동부를 상호결합하고, 기판 부재의 삽입에 의해 클램핑부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상호결합 기구로서, 액츄에이터와 각각의 콘택트의 비임부가 서로 일체화되는 단순 구조를 채용한다. 따라서, 상호결합 기구의 결함에 기인한 기판 커넥터의 조작 실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하기 실시예와 같이 설명될 수 있고, 또한 이것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 삽입되는, 기판 부재 (T1) 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 커넥터 (100) 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는,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를 포함하는 콘택트 (130);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110); 및
상기 제 1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 (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는 상기 기판 부재를 그 사이에서 클램핑 연결하는 제 1 클램핑부 (131a) 와 제 2 클램핑부 (132a) 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클램핑부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며 기판 부재가 기판 커넥터에 삽입될 때 기판 부재에 의해 눌려져 이동되는 에포트 포인트 부분 (1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1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3)
실시예 2 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는 기판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편향시켜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가 서로 근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4)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제 1 클램핑부, 및 에포트 포인트 부분은 기판 삽입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에포트 포인트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제 1 클램핑부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콘택트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콘택트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각각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8)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에포트 포인트 부분을 수용하는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 (113) 를 포함하고, 상기 에포트 포인트 부분은, 기판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져 기판 커넥터 내로의 기판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 (122a)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9)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은,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 하우징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 (114, 123) 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10)
실시예 9 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 중 하나에 형성되는 오목부 (114),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기판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 (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실시예 11)
복수 개의 콘택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콘택트를 콘택트 폭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에 일체로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액츄에이터 내측에 제 1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는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
상기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에 일체로 하우징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측에 제 2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는 하우징 형성 단계, 및
제 1 단부측과 제 2 단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는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2)
실시예 11 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액츄에이터에 제 1 돌기부를 형성하여 콘택트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하우징에 제 1 돌기부가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3)
실시예 12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제 1 오목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제 1 돌기부를 제 1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4)
실시예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제 2 돌기부를 액츄에이터에 형성하여 콘택트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제 2 오목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제 2 돌기부와 제 2 오목부를 맞물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5)
실시예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오목부를 액츄에이터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돌기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돌기부와 오목부를 맞물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6)
실시예 1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부림 처리부를 만들기 위해서 상기 복수 개의 콘택트 준비 단계 이후에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을 중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상기 구부림 처리부의 양단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액츄에이터 내측에 양단부를 매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7)
실시예 16 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과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상기 구부림 처리부의 상부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상부 부분과 하우징이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8)
실시예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상기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이 외부측으로부터 유지되는 상태에서, 콘택트의 제 1 단부측과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콘택트에 대응하여 액츄에이터에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19)
실시예 1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콘택트의 제 2 단부측과 일체인 하우징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각각의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의 일부분과 액츄에이터가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실시예 20)
실시예 1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금속제이며, 상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 각각은 플라스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변형 및 상세가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기판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1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는 상기 기판 부재를 그 사이에서 클램핑 연결하는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클램핑부에 대해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며 기판 부재가 기판 커넥터에 삽입될 때 기판 부재에 의해 눌려져 이동되는 에포트 포인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는 기판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며, 상기 연결부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편향시켜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가 서로 근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제 1 클램핑부, 및 에포트 포인트 부분은 기판 삽입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에포트 포인트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제 1 클램핑부와 연결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콘택트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콘택트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부와 제 2 클램핑부는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각각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에포트 포인트 부분을 수용하는 에포트 포인트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포트 포인트 부분은, 기판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져 기판 커넥터 내로의 기판 부재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은, 기판 삽입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 하우징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 중 하나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기판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1. 복수 개의 콘택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콘택트를 콘택트 폭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에 일체로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액츄에이터 내측에 제 1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는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
    상기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에 일체로 하우징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측에 제 2 단부측의 일부를 매립하는 하우징 형성 단계, 및
    제 1 단부측과 제 2 단부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와 하우징에 의해 서로 일체화되는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제 1 돌기부를 액츄에이터에 형성하여 콘택트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하우징에 제 1 돌기부가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제 1 오목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제 1 돌기부를 제 1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제 2 돌기부를 액츄에이터에 형성하여 콘택트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제 2 오목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제 2 돌기부와 제 2 오목부를 맞물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오목부를 액츄에이터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돌기부를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돌기부와 오목부를 맞물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구부림 처리부를 만들기 위해서 상기 복수 개의 콘택트 준비 단계 이후에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을 중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상기 구부림 처리부의 양단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액츄에이터 내측에 양단부를 매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과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여 상기 구부림 처리부의 상부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부분과 하우징이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형성 단계는,
    상기 각각의 콘택트의 제 1 단부측이 외부측으로부터 유지되는 상태에서, 콘택트의 제 1 단부측과 일체인 액츄에이터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콘택트에 대응하여 액츄에이터에 복수 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형성 단계는 콘택트의 제 2 단부측과 일체인 하우징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를 함께 중첩하는 단계는 각각의 콘택트의 제 2 단부측의 일부분과 액츄에이터가 마주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금속제이며, 상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 각각은 플라스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제조 방법.
KR1020110094671A 2010-10-20 2011-09-20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KR101202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5684A JP4859261B1 (ja) 2010-10-20 2010-10-20 基板用コネクタ
JPJP-P-2010-235684 2010-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118A true KR20120041118A (ko) 2012-04-30
KR101202637B1 KR101202637B1 (ko) 2012-11-19

Family

ID=4560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671A KR101202637B1 (ko) 2010-10-20 2011-09-20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8001B2 (ko)
JP (1) JP4859261B1 (ko)
KR (1) KR101202637B1 (ko)
CN (1) CN102544797B (ko)
TW (1) TWI44663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82B1 (ko) * 2011-09-28 2013-04-1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20190052908A (ko) * 2017-11-09 2019-05-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접촉용 커넥터 장치
KR20200107815A (ko) * 2019-03-07 2020-09-1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3349B2 (ja) * 2011-03-2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対象物
JP5813411B2 (ja) * 2011-08-10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764426B2 (ja) *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TWI413315B (zh) * 2011-08-30 2013-10-21 Wistron Corp 連接器及其電子裝置
TWM429222U (en) * 2011-09-26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629723B (zh) * 2012-04-24 2014-10-22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
JP6588272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88271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DE102016217667B4 (de) * 2016-09-15 2020-04-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Kontakt mit Wälzkontaktkörpern an sich gegenüberliegenden Seiten sowi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Kontakt
US10062990B1 (en) * 2017-05-25 2018-08-28 Valeo North America, Inc. Connector with locking teeth
US11128086B2 (en) * 2018-05-11 2021-09-21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for contact insertion and retention testing
JP6770998B2 (ja) * 2018-06-26 2020-10-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7164374B2 (ja) 2018-09-25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4902498A (zh) * 2019-11-22 2022-08-12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具有抗超限应力特征的ffc连接器
JP7386147B2 (ja) * 2020-11-06 2023-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957A (en) * 1973-08-27 1975-01-07 Amp Inc Electrical connecting members requiring lower insertion and retraction forces and providing for low contact wear
JPH0468383A (ja) * 1990-07-09 1992-03-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362591B2 (ja) * 1996-02-23 2003-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2001155829A (ja) * 1999-11-30 2001-06-08 Nec Eng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3710718B2 (ja) * 2001-03-12 2005-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039479A (ja) 2002-07-04 2004-02-0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装置
JP4766421B2 (ja) 2005-06-14 2011-09-0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55275B2 (ja) * 2005-12-28 2011-03-2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199271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37711B2 (ja)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33662B2 (ja) * 2008-12-25 2013-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15352B2 (ja) * 2009-03-24 2014-06-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704505B1 (ja) *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82B1 (ko) * 2011-09-28 2013-04-1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KR20190052908A (ko) * 2017-11-09 2019-05-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접촉용 커넥터 장치
KR20200107815A (ko) * 2019-03-07 2020-09-1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9261B1 (ja) 2012-01-25
CN102544797A (zh) 2012-07-04
TW201230499A (en) 2012-07-16
JP2012089379A (ja) 2012-05-10
US20120100736A1 (en) 2012-04-26
US8298001B2 (en) 2012-10-30
KR101202637B1 (ko) 2012-11-19
CN102544797B (zh) 2014-11-05
TWI446632B (zh)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37B1 (ko)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KR101442907B1 (ko) 기판 커넥터
US9728882B1 (en) Connector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839842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sloped guide surfaces with a common edge
JP5813411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160117228A (ko) 커넥터
JP2007299554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KR101624397B1 (ko) 커넥터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2008218083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2007123062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JP2007123057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2008177066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200724251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20160128540A (ko) 케이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