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460A -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460A
KR20120038460A KR20127002439A KR20127002439A KR20120038460A KR 20120038460 A KR20120038460 A KR 20120038460A KR 20127002439 A KR20127002439 A KR 20127002439A KR 20127002439 A KR20127002439 A KR 20127002439A KR 20120038460 A KR20120038460 A KR 2012003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andle
positioning body
vehicle open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209B1 (ko
Inventor
피오렌조 사반트
안토니오 로씨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3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63Threaded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의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패널의 제 1 힌지 캐비티(11b)에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의 핸들의 그립핑 레버의 힌지 단부를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상기 패널의 제 2 위치 결정 캐비티(11b)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조립하는 제 1 스텝(101)과,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로 볼트 실린더를 삽입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통해 상기 볼트 실린더 내에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단부 내로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는, 상기 제 1 스텝(101)에 이어지는 제 2 스텝(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의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METHOD FOR ASSEMBLING A HANDLE IN AN OPENABLE BODY SECTION OF AN AUTOMOBILE AND ASSOCIATED OPENABLE BODY SECTION HANDLE}
본 발명은 차량의 개방요소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차량 도어용으로 구성된 그립핑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되어지며 유저가 외측으로 잡아당겨 도어를 열 수 있는 그립핑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이 알려져 있다. 이 레버는, 도어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도어의 외표면 뒤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차량에 일단 설치된 후에는 보이지 않는 마운트 또는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라고도 불리는 고정된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그립핑 레버와 볼트는, 통상적으로, 도어 패널의 내부에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관련된 기구와 도어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된다. 그러나, 볼트가 핸들 내에 합체되어 있으며,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완전하게 조립되는 핸들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간소화된, 차량 개방 요소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응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차량 개방요소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제 1 스텝 동안에, 상기 패널의 제 1 관절 캐비티 내에 차량 개방요소 핸들의 그립핑 레버의 관절 단부를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상기 패널의 제 2 위치 결정 캐비티 내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조립함으로써 시작하고,
- 상기 제 1 스텝에 이어지는 제 2 스텝 동안에,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로 볼트 바디를 삽입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통해 상기 볼트 바디 내에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 내로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이다.
상기 제 2 스텝의 시작에서, 상기 고정 스크류를,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로 상기 볼트 바디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에 사전 나사결합(pre-screwed)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차량 개방요소 핸들은 도어 내부에 장착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를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레버와 최종 조립 스텝의 메인 스텝으로서 개별적으로 조립된 볼트 바디는 상기 개방요소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핸들의 주된 부분들이 상기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요소에 조립되기 때문에, 간소화된다. 고정 스크류의 조립만이 상기 개방 요소의 내측으로부터 실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에 있어서,
- 휴지(rest) 위치와 차량 개방요소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스핀들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요소에 대해 회전가능한 그립핑 레버와,
- 상기 개방 요소의 패널의 위치 결정 캐비티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그립핑 레버의 부속부(appendage)를 수용하도록, 상기 위치 결정 캐비티를 노출하는 제 1 관통 하우징이 배치된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볼트 바디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에 제 2 관통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는 또한, 상기 볼트 바디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이다.
따라서, 상기 차량 개방요소 핸들은 도어 내부에 장착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은 보다 적은 부품수를 요구하므로 저렴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없으므로, 상기 개방요소 내의 핸들의 부피(bulk)와 상기 핸들의 무게가 감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확보된 공간은, 대응하는 락을 상기 볼트 아웃렛과 면하는 개방 요소 뒤에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바디가 볼트를 포함하면, 상기 볼트와 상기 락 사이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볼트를 후속하여 공급하여 상기 핸들의 나머지에 용이하게 합체시킬 수 있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서, 상기 개방요소 핸들의 하나 또는 2 이상의 특징에 따르면:
- 상기 핸들은, 카운터웨이트 레버, 탄성 복귀 스프링과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는, 상기 휴지 위치와 상기 제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을 중심으로 피봇하기 위해, 상기 그립핑 레버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탄성 복귀 스프링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는 상기 그립핑 레버를 상기 휴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는 상기 전달 레버의 상기 부속부의 대응하는 하우징과 상호작용하는 커플링 치형부(tooth)를 갖는다.
-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는 스냅-피팅 훅, 관통 구멍, 및 상기 패널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크류를 갖는다.
- 상기 위치 결정 바디는, 상기 제 1 관통 하우징에 고정된 슬라이딩 컬럼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컬럼은 상기 부속부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한다.
- 상기 핸들은 상기 개방요소 패널과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시일과, 상기 개방요소 패널과 상기 그립핑 레버의 하나의 관절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시일은 물 또는 먼지가 상기 위치 결정 캐비티를 통해 상기 패널로 들어오는 것을 억제한다.
- 상기 핸들은, 상기 그립핑 레버 및/또는 상기 위치 결정 바디에 수용되는, 전기 스위치, 근접 센서 또는 조명 장치와 같은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구성요소를 하나 또는 2 이상 포함한다.
결코 제한을 두려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을 읽음으로써, 다른 이점 및 특징들이 분명하여지게 된다.
도 1은 차량 개방 요소에 조립된 휴지 위치에 있어서의 핸들의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분해된 상태의 도 1의 개방 요소와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본 상기 개방 요소에의 조립 중의 도 1의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개방 요소의 내부로부터 본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핸들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 중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개방 요소를 닫았을 때 승객실의 내측으로 지칭되는 것에 상대되는 차량의 외부 환경에 해당하는 쪽이 외측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사이드 도어 패널과 같은 차량 개방요소 패널(1)과, 개방 요소를 개방하기 위해 패널(1)에 수용되는 핸들(2)을 도시하고 있다.
핸들(2)은 "프리고(Frigo)" 타입이다. 핸들은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또는, "클램프")와, 대체적으로 'C'자 형상이며 핸들(2)의 가로축을 규정하는 그립핑 레버(4)를 포함한다.
그립핑 레버(4)는, 휴지 위치(도 1)와 유저가 그 레버(4)를 잡아당겼을 때 개방 요소의 개방을 위한 제어 위치(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개방 요소에 대해서 회전 스핀들 둘레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그립핑 레버(4)는 피봇 단부(5)와 관절 단부(6)의 두 개의 양단부를 포함한다.
관절 단부(6)는, 차량의 외표면(7) 상의 패널(2)의 관절 캐비티(11a)에 힌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힌지 연결부는 회전 스핀들(8)(도 2 참조)을 포함하며, 이 회전 스핀들(8)은 힌지(9)에 조립되고, 동작 중에,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에 대해서 회전 스핀들(8) 둘레로 그립핑 레버(6)의 회전을 위한 것이다.
피봇 단부(5)는 플렉서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차량의 락의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부속부(10)를 포함한다.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패널(2)의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결정 캐비티(11b)를 노출하는 제 1 관통 하우징(12)이 그립핑 레버(4)의 부속부(10)를 수용하기 위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제 1 하우징(12) 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컬럼(13)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럼(13)은 그 내부가 부속부(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의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딩 컬럼(13)은 부속부(10)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슬라이딩 컬럼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축방향으로, 즉 볼트 바디(15)의 종방향 축을 따라 삽입되도록 구성된 볼트 바디(15)를 수용하기 위해 제 2 관통 하우징(14)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볼트 바디(15)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볼트 바디(15)는, 예를 들어 핸들(2)이 운전자의 개방 요소를 위해 구성되었을 때는 볼트를 포함하고, 핸들(2)이 승객의 개방 요소를 위해 구성되었을 때는 볼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볼트는 예를 들어 볼트 바디(15) 내에 나사 결합되고 훅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볼트 바디의 길이축은 당해 볼트 바디 내에 삽입되는 볼트의 회전 축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드라이버를 위해 구성된 핸들과 승객을 위해 구성된 핸들에 대해 동일한 볼트 바디(15)가 사용되어, 핸들로부터 별개로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볼트 바디(15)의 삽입을 이용하는 조립 방법은 차량의 모든 핸들에 대해 동일하다.
볼트 바디(15)는 예를 들어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제 2 하우징(14) 내로 슬라이딩함으로서 축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연장부를 갖는다. 그러면, 볼트 바디(15)는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에 유지 수단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유지 수단은 패널(1)을 통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에 볼트 바디(1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크류(22b)를 포함한다.
따라서, 핸들(2)은 개방 요소 내부에 장착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다 적은 부품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핸들(2)은 저렴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없으므로, 개방 요소 내부의 핸들의 부피 및 핸들의 무게가 줄어든다. 이와 같이 더 확보된 공간은 상기 볼트의 아웃렛과 면하는 대응하는 락을 개방 요소 뒤에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볼트 바디(15)가 볼트를 포함하면, 상기 볼트와 상기 락 사이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볼트가 후속하여 공급되어 상기 핸들의 나머지에 용이하게 합체될 수 있다.
볼트 바디(15)가 볼트를 포함하면, 후자는, 개방 요소와 락 사이의 작동 클리어런스를 흡수하도록 카르단(cardan) 타입의 접속에 의해 볼트에 접속된 구동 로드에 의해 개방 요소의 락(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립핑 레버(4)와 위치 결정 바디(3)는 제각기 보호 커버(18, 19)에 의해 피복된 개별적인 강체의(rigid) 내부 코어(16, 17)를 포함한다.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의 내부 코어(17)는 패널(1)의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부에서 연장하는 내측 부분(17a)과, 패널(2)의 외표면(7)으로부터 돌출하는 외측 부분(17b)을 포함한다.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스냅-피팅 훅(20)과 관통 구멍(21)을 포함한다. 관통 구멍(21)은 예를 들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의 내부 코어(17)의 외측 부분(17b) 내에서 스냅-피팅 훅(20)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스냅-피팅 훅(20)과 관통 구멍(21)은, 관통 구멍(21)을 통해 패널(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핸들(2)의 고정 스크류(22b)에 의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를 패널(1)에 고정하기 위해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에서 패널(1)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조립 중에,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에 삽입되어 스냅-피팅된다. 이어서, 볼트 바디(15)가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로 삽입되고, 패널(1)의 내측으로부터 나사 결합된 고정 스크류(22b)에 의해 패널(1)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의 커버(19)는 볼트 바디(15)의 상부를 덮는다. 이 커버는, 볼트 바디(15)가 볼트를 포함하면, 볼트의 진입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한 구멍(23)을 포함하여도 된다. 그립핑 레버(4)의 커버(18)는, 부속부(10) 및 패널(1)과 면하는 부분의 코어(16) 표면을 제외하고, 내부 코어(16)를 덮는다. 커버(18, 19)는 페인팅, 거친 크롬 도금 등의 상이한 마감을 포함하여도 된다.
핸들(2)은, 상부(17b) 아래에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와 개방요소 패널(1)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시일(24) 및, 개방요소 패널(1)과 그립핑 레버(4)의 관절 단부(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시일(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컬럼(13)의 외측 단부에 컬럼 시일(26)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일(24, 25, 26)은, 패널(1)의 캐비티(11b, 11b)를 통해 패널(1) 내부로 물 또는 먼지가 칩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2)은 카운터웨이트 레버(27), 탄성 복귀 스프링(28)과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29)을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휴지 위치와 제어 위치 사이에서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29)을 중심으로 피봇하기 위해, 그립핑 레버(4)와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탄성 복귀 스프링(28) 및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그립핑 레버(4)를 휴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전달 레버(4)의 부속부(10)의 대응하는 하우징(10a)과 상호작용하는 커플링 치형부(tooth)(27a)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컬럼(13)은, 커플링 이(27a)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0a)을 갖는 부속부(10)의 측면을 덮지 않는다.
카운터웨이트 레버(27)의 이동의 끝에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에 부착되어 카운터웨이트 레버(27)와 상호작용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된 댐퍼(30)를 핸들(2)이 포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댐퍼(30)는 카운터웨이트 레버(27) 및 고정 위치 결정 바디(3)에 조립된다.
또한, 핸들(2)은, 그립핑 레버(4)의 내부 코어(16) 및/또는 위치 결정 바디(3)의 내부 코어(17) 내에 수용되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2)은 버튼 등의 전기적 전환자(commut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전환자는, 차량의 전기 회로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기 단자(32)를 구비한 스위치(31)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적 전환자는, 유저에 의해 구동되어지기 위해, 커버(18)를 통해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하고, 스위치(31) 위에 배치되는 보호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전환자는, 유저가 인증되면, 개방 요소의 잠금해제를 일으킨다.
또한, 핸들(2)은, 차량에 탑재된 핸즈-프리 진입 시스템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핸즈-프리 진입 시스템은, 인증된 차량의 유저가, 키 또는 원격 제어기를 조작하는 일 없이, 차량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핸즈-프리 진입 시스템의 인식 장치는, 근접 센서에 의해 유저의 존재가 검출됨에 응답하여, 유저가 소지하는 식별 부재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개시한다. 상기 식별 부재의 인증 후에, 상기 인식 장치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개방 요소의 잠금 해제를 개시한다.
핸들(2)은, 당해 핸들(2)을 조명하도록 구성된 조명 장치(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핸들(2)은, 충격의 경우에 뜻밖의 개방 요소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관성 보안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차량 개방 요소의 패널(1)에 대한 핸들(2)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실시된다(도 6 참조).
- 상기 방법은, 제 1 스텝(101) 동안에, 상기 패널(1)의 제 1 관절 캐비티(11a) 내에 그립핑 레버(4)의 관절 단부(6)를 상기 패널(1)의 외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상기 패널(1)의 제 2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를 조립함으로써 시작하고,
- 상기 제 1 스텝(101)에 이어지는 제 2 스텝(102) 동안에, 상기 패널(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로 볼트 바디(15)를 삽입하고, 상기 패널(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를 통해 상기 볼트 바디(15) 내에 고정 스크류(22b)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패널(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6) 내로 고정 스크류(22a)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제 2 스텝(102)의 시작에서, 상기 고정 스크류(22a)를,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로 상기 볼트 바디(15)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패널(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6)에 사전 나사결합(pre-screw)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개방요소 핸들(2)은 개방 요소 내측에 장착된 핸들 베이스 플레이트를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레버(4)와 최종 조립 스텝(102)의 메인 스텝으로서 개별적으로 조립된 볼트 바디(15)는 상기 패널(1)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핸들(2)의 주된 부분들이 상기 개방 요소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요소에 조립되기 때문에, 간소화된다. 고정 스크류(22a, 22b)의 조립만이 상기 개방 요소의 내측으로부터 실시된다.

Claims (9)

  1. 차량 개방요소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방법은, 제 1 스텝(101) 동안에, 상기 패널의 제 1 관절 캐비티 내에 차량 개방요소 핸들의 그립핑 레버의 관절 단부를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상기 패널의 제 2 위치 결정 캐비티 내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조립함으로써 시작하고,
    - 상기 제 1 스텝(101)에 이어지는 제 2 스텝(102) 동안에, 상기 패널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로 볼트 바디를 삽입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를 통해 상기 볼트 바디 내에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고,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 내로 고정 스크류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텝(102)의 시작에서, 상기 고정 스크류는,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 내로 상기 볼트 바디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절 단부에 사전 나사결합(pre-screw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패널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3. 차량 개방요소 핸들로서,
    - 휴지(rest) 위치와 차량 개방요소의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스핀들(8)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요소에 대해 회전가능한 그립핑 레버(4)와,
    - 상기 개방 요소의 패널(1)의 위치 결정 캐비티(11b)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그립핑 레버(4)의 부속부(appendage)(10)를 수용하도록, 상기 위치 결정 캐비티(11b)를 노출하는 제 1 관통 하우징(12)이 배치된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를 포함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볼트 바디(15)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내에 제 2 관통 하우징(14)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또한, 상기 볼트 바디(15)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 레버(27), 탄성 복귀 스프링(28)과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29)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상기 휴지 위치와 상기 제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추가적인 회전 스핀들(29)을 중심으로 피봇하기 위해, 상기 그립핑 레버(4)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탄성 복귀 스프링(28)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상기 그립핑 레버(4)를 상기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 레버(27)는 상기 전달 레버(4)의 상기 부속부(10)의 대응하는 하우징(10a)과 상호작용하는 커플링 치형부(tooth)(27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는 스냅-피팅 훅(20), 관통 구멍(21), 및 상기 패널(1)에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크류(2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바디(3)는, 상기 제 1 관통 하우징(12)에 고정된 슬라이딩 컬럼(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소 패널(1)과 상기 고정 위치 결정 바디(3)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시일(24)과, 상기 개방요소 패널(1)과 상기 그립핑 레버(4)의 하나의 관절 단부(6)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시일(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레버(4) 및/또는 상기 위치 결정 바디(3)에 수용되는, 전기 스위치, 근접 센서 또는 조명 장치(34)와 같은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구성요소를 하나 또는 2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개방요소 핸들.
KR1020127002439A 2009-07-29 2010-07-23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 KR101773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9A001352 2009-07-29
ITMI2009A001352A IT1395117B1 (it) 2009-07-29 2009-07-29 Procedimento di assemblaggio di una maniglia in una porta di un autoveicolo e relativa maniglia di porta
PCT/EP2010/060748 WO2011012555A1 (fr) 2009-07-29 2010-07-23 Procédé d'assemblage d'une poignée dans 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poignée d'ouvrant associ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460A true KR20120038460A (ko) 2012-04-23
KR101773209B1 KR101773209B1 (ko) 2017-09-12

Family

ID=4172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439A KR101773209B1 (ko) 2009-07-29 2010-07-23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7488B2 (ko)
EP (1) EP2459826B1 (ko)
KR (1) KR101773209B1 (ko)
ES (1) ES2643621T3 (ko)
IT (1) IT1395117B1 (ko)
WO (1) WO2011012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8016B2 (en) * 2021-01-05 2023-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ssist handle assembly having proximity sensor control
CN113338728B (zh) * 2021-07-07 2022-04-05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机械锁装置和包含其的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9248A (en) * 1949-01-19 1953-02-24 Illinois Tool Works Door lock retainer
US2633011A (en) * 1949-07-16 1953-03-31 Illinois Tool Works Lock retainer
DE4229930C1 (ko) * 1992-09-08 1993-04-29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297405A (en) * 1993-01-25 1994-03-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handle assembly with snap-in key cylinder
JP3216994B2 (ja) * 1996-06-26 2001-10-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キーシリンダ取付装置
DE19845395C2 (de) * 1998-10-02 2001-05-10 Daimler Chrysler Ag Griffanordnung für eine Fahrzeugtür
IT1305155B1 (it) * 1998-11-03 2001-04-10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FR2789426B1 (fr) * 1999-02-05 2001-06-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947977C1 (de) * 1999-10-05 2001-05-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FR2802564B1 (fr) * 1999-12-21 2002-02-15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securit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e commutateurs sans actionnement mecanique
JP4407782B2 (ja) * 2000-05-16 2010-0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6612630B1 (en) * 2000-10-13 2003-09-02 Adac Plastics Inc.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split housing
JP3569675B2 (ja) * 2000-12-14 2004-09-22 株式会社ユーシン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US6494066B2 (en) * 2001-03-09 2002-12-17 U-Shin Ltd. Cylinder lock mounting device
JP3794291B2 (ja) * 2001-06-29 2006-07-05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の組付け構造
KR100412833B1 (ko) * 2001-07-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넌 하우징 그립 타입 도어 핸들 및 그 조립공정
JP3978321B2 (ja) 2001-08-28 2007-09-19 株式会社ユーシン 車両ドアハンドル装置
DE10146026C1 (de) * 2001-09-18 2002-10-31 Huf Huelsbeck & Fuerst Gmbh Griffbeschlag
ITTO20011208A1 (it) * 2001-12-21 2003-06-21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un autoveicolo, in particolare per una porta laterale disposta dalla parte del lato passeggero.
DE10222289A1 (de) * 2002-05-18 2003-11-2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Türaußengriff für die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es
US7431357B2 (en) * 2003-11-03 2008-10-07 Key Plastics Exterior door handle with minimum surface intrusion
DE10360175B4 (de) * 2003-12-20 2006-08-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JP4443307B2 (ja) * 2004-05-31 2010-03-31 株式会社アルファ ドアハンドル装置
JP4515172B2 (ja) * 2004-07-02 2010-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キーシリンダキャップの取付構造
EP1797960B1 (en) * 2004-07-23 2014-10-1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7562916B2 (en) * 2004-08-04 2009-07-21 Adac Plastics, Inc. Vehicular door handle included secondary latch
US7344168B2 (en) * 2004-10-14 2008-03-18 U-Shin Ltd.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US7597364B2 (en) * 2005-08-31 2009-10-06 U-Shin Ltd.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DE502007004595D1 (de) * 2006-08-26 2010-09-09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osses in d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US20080197582A1 (en) * 2007-02-19 2008-08-21 Botten Eric M Outer door handle gasket for automotive vehicles
JP5407652B2 (ja) * 2009-08-18 2014-02-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9512652B2 (en) * 2010-11-26 2016-12-06 Kabushiki Kaisha Honda Lock Opening/closing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open/clos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9826A1 (fr) 2012-06-06
ES2643621T3 (es) 2017-11-23
WO2011012555A1 (fr) 2011-02-03
US9127488B2 (en) 2015-09-08
IT1395117B1 (it) 2012-09-05
ITMI20091352A1 (it) 2011-01-30
KR101773209B1 (ko) 2017-09-12
US20120119525A1 (en) 2012-05-17
EP2459826B1 (fr)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310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6726460B2 (ja) 自動車ドア用電子式ラッチリリース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20070001467A1 (en) Locking system
US9260892B2 (en) Handle having a retaining element, the same having an attachment means which remains entirely inside a moving part
US20090139285A1 (en) Steering Lock Device
US8950225B2 (en) Handle device comprising a shell-shaped bearing
WO2005038172A1 (ja) ドア開閉装置
US9464466B2 (en)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door latch device for vehicle
US8864191B2 (en) Device for actuating the closure of a movable part
KR101773209B1 (ko) 차량의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에 핸들을 조립하는 방법 및 관련된 개방가능한 바디 섹션 핸들
US10471810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CN111356815A (zh) 具有操作模块的机动车门把手装置
JP4460244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20040244294A1 (en) Drive
JP2007092510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152101B2 (ja) 車両用電動式ドアロック装置
JP2009197404A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US6032496A (en) Door lock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JP4136880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4733429B2 (ja) ロック解除装置
JP4080736B2 (ja) 車両用電動式ドアロック装置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2003155848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19006834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111919008A (zh) 把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