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806A -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806A
KR20120036806A KR1020117027453A KR20117027453A KR20120036806A KR 20120036806 A KR20120036806 A KR 20120036806A KR 1020117027453 A KR1020117027453 A KR 1020117027453A KR 20117027453 A KR20117027453 A KR 20117027453A KR 20120036806 A KR20120036806 A KR 2012003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teel plate
steel sheet
ste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714B1 (ko
Inventor
가즈아키 고바야시
도모후미 호쇼
요이치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109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368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3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9Liquid recovering devices
    • B21B45/0293Recovering coo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열연 강판 제조 라인에 있어서, 강판의 이동(통판)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배수성이 우수한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열간 마무리 압연기(10)의 최종 스탠드(11g)의 하공정측에 배치되어, 반송 롤(12) 상을 반송되는 강판(1)을 냉각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냉각 노즐(21c, 22c)을 구비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20)로서, 냉각 노즐은,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 설치되어 그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 가능하고, 하면측에는 하면 가이드(40)가 설치되며, 하면 가이드는, 하면측의 냉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가 통과해야 하는 유입 구멍(42)과, 냉각수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 가능하게 통과해야 하는 유출 구멍(43)을 가지며, 유입 구멍과 유출 구멍은, 강판의 이동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COOLING DEVICE FOR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T-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의 배수성이 우수한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이나 구조재용 등으로서 이용되는 강재는, 강도, 가공성, 인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이들 기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높이려면, 강재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 때문에, 미세한 조직을 가지는 강재를 얻기 위한 제조 방법이 많이 모색되고 있다. 또, 조직의 미세화에 의하면, 합금 원소의 첨가량을 삭감해도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구비한 고강도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직의 미세화 방법으로서는, 열간 마무리 압연의 특히 후단에 있어서, 고압하 압연을 행하여 오스테나이트립에 큰 변형을 주어, 전이 밀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냉각 후의 페라이트립의 미세화를 도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이나 회복을 억제하여 페라이트 변태를 촉진시킨다는 관점에서, 압연 후의 가능한 한 단시간 내에 강판을 600℃~700℃로까지 냉각하는 것이 유효하다. 즉, 열간 마무리 압연에 이어서, 종래보다도 빨리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압연 후의 강판을 급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압연 후의 강판을 급냉하려면, 냉각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강판에 분사되는 단위면적 당의 냉각수량, 즉, 유량 밀도를 크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와 같이 냉각수량, 유량 밀도를 크게 하면, 급수와 배수의 관계에서, 강판 상면에서는 그 강판의 상면에 고이는 물(체류수)이 증가한다. 한편, 강판의 하면측에서는 하면 가이드와 강판의 사이의 체류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체류수는 강판의 냉각에 사용된 후의 물이며, 가능한 한 이것을 빨리 배출하고, 냉각 노즐로부터의 공급수를 강판에 제공하여 냉각 능력을 확보하고 싶다. 또 체류수는 물의 층이기 때문에, 이것이 두꺼우면 저항이 되어 냉각 노즐로부터의 물이 효과적으로 강판에 미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체류수는, 강판 중앙부로부터 강판 판폭 방향 양단부를 향하여 흐르고, 그 유속은 강판의 단부에 근접시킬 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체류수의 양이 증가하면, 강판의 판폭 방향에서의 냉각 편차가 커진다.
여기서 강판의 하면측에 주목하면, 그 하면측에는 반송 롤이 배치되고, 그 반송 롤 사이에는 강판 선단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면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면 가이드와 강판 하면의 사이에 체류수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강판 하면측의 체류수량의 억제, 즉 배수성 향상을 위한 기술이 몇개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반송 롤 사이에 슬릿 제트가 설치되어, 반송 롤 사이의 강판 하면 전체를 덮는 커버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슬릿 제트의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한 정도로 극간을 형성한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기둥 형상 분류(噴流)를 급수하는 헤더와 강판 하면 가이드를 일체로 하여, 강판 하면 가이드 내에 냉각 노즐을 설치하는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냉각 수단으로서 풀 콘 노즐을 이용함과 함께, 열연 강판의 중앙에만 폭이 좁은 가이드를 설치하는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하면 가이드로서 폭이 좁은 보호판을 적당한 간격으로 늘어 놓거나, 또는 격자 형상으로 조합한 형상으로 하거나, 구멍을 뚫은 판을 이용하는 등 하여, 기둥 형상 분류에 의해 공급된 냉각수의 배수를 확보하고 있는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과 배수하기 위한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히 하는 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소58-8692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고 평5-8629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330059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 제364203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 제402987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하면 커버에서는, 급배수의 극간은 확보되어도 강판 선단이 그 극간에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하면 가이드에서는, 냉각수의 증대, 고유량 밀도화에 의해 배수가 충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배수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하면 가이드에서는, 배수성은 크게 확보할 수 있지만 가이드 부분의 냉각능이 낮아져 냉각 편차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하면 가이드에서는, 냉각 노즐로부터의 분류가 그 가이드의 일부에 충돌하여 분류의 기세에 영향을 주거나, 분류가 흐트러지는 것에 의한 냉각능에 대한 영향이 염려된다. 또, 급수와 배수가 간섭하여 냉각능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도 있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하면 가이드에서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어 있지만, 한층 더 유량 밀도의 증가, 절대적인 수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배수성 향상이 더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열연 강판 제조 라인에 있어서, 강판의 이동(통판(通板))을 저해하는 일 없이, 배수성이 우수한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면의 부호를 괄호 내에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列)(11)의 최종 스탠드(11g)의 하(下)공정측에 배치되어, 반송 롤(12, 12, …) 상을 반송되는 강판(1)을 냉각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냉각 노즐(21c, 21c, …, 22c, 22c, …)을 구비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20)로서, 냉각 노즐은,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 설치되며, 그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를 향하여 냉각수를 분사 가능하고, 하면측에는 하면 가이드(40)가 설치되며, 하면 가이드는, 하면측의 냉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가 통과해야 하는 유입 구멍(42, 42, …)과, 냉각수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 가능하게 통과해야 하는 유출 구멍(43, 43, …)을 가지고, 유입 구멍과 유출 구멍은, 강판의 이동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이다.
여기서, 「냉각수」란, 냉각 매체로서의 냉각수이며, 이른바 순수인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공업용 물 등,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물을 의미한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냉각 노즐(22c, 22c, …) 1개에 대해 1개의 유입 구멍(42, 42, …)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하면 가이드(40)는, 유입 구멍(42, 42, …)에 연결되는 통수로 및 유출 구멍(43, 43, …)으로부터 연결되는 통수로를 형성하는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 45, …)를 가지고, 냉각 노즐(22c, 22c, …)로부터의 냉각수의 분사는 유입 구멍에 연결되는 통수로 내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유출 구멍(43, 43, …)으로부터 연결되는 통수로는, 하부의 유로 단면이 상부의 유로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40)에 있어서, 유입 구멍(42, 42, …)의 개구 형상은, 냉각 노즐(22c, 22c, …)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 분류의 단면 형상과 대략 상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대략 상사형」이란, 엄밀하게 상사형인 것을 필요로 하는 일은 없으며, 냉각수 분류의 단면 형상에 대응시키도록 유입 구멍의 개구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냉각 노즐(22c, 22c, …)은 플랫 스프레이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하면 가이드(40)의 유입 구멍(42, 42, …)과 유출 구멍(43, 43, …) 중, 하면 가이드의 강판 반송 방향 단부의 적어도 한쪽은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에 있어서, 하면 가이드(40)의 유입 구멍(42, 42, …)과 유출 구멍(43, 43, …) 중, 하면 가이드의 강판 반송 방향 단부의 모두가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서의 최종 스탠드(11g)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40)를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이다.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서의 최종 스탠드(11g)와, 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20)와, 냉각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수단(13)을,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이다.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냉각 장치(20)가 구비하는 냉각 노즐(21c, 21c, …, 22c, 22c, …) 중, 가장 상(上)공정측에 배치되는 냉각 노즐은 최종 스탠드(11g)의 하우징(11gh)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우징의 내측」이란, 하우징 외면(강판 반송 방향 하공정측의 외면)보다도 상공정측인 위치를 의미한다.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냉각 장치(20)가 구비하는 냉각 노즐(21c, 21c, …, 22c, 22c, …) 중, 적어도 최종 스탠드(11g)에 가장 가까운 냉각 노즐의 냉각수 분사구가, 최종 스탠드의 워크 롤 출구에 위치해야 하는 강판으로 향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강판(1)에 접촉하도록, 또는 강판에 근접시켜 배치됨과 함께, 강판의 반송 방향을 횡단하도록 설치된 설비를 가지고, 하면 가이드(40)는, 그 하면 가이드의 유입 구멍(42, 42, …)과 유출 구멍(43, 43, …) 중, 설비에 가장 근접시킬 수 있는 것이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에 있어서, 설비는 최종 스탠드의 워크 롤(11g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5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를 이용하여, 최종 스탠드(11g)에서 압연된 강판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열연 강판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 통판되는 강판을 가이드 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고유량 밀도, 대량의 냉각수가 공급되어도 적절히 배수할 수 있는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 후의 급냉을 더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기계적 성능이 좋은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 중, 냉각 장치가 배치되는 부분에 주목하여 확대한 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냉각 노즐의 배치와 그 분사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도이다.
도 4는 상면 가이드를 설명한 도이다.
도 5는 상면 가이드의 유출 구멍의 다른 예를 설명한 예이다.
도 6은 상면 가이드에 의한 냉각수의 흐름을 설명한 도이다.
도 7은 상면 가이드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상면 가이드의 또 다른 형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하면 가이드를 설명한 도이다.
도 10는 하면 가이드의 유출 구멍의 다른 예를 설명한 예이다.
도 11은 하면 가이드에 의한 냉각수의 흐름을 설명한 도이다.
도 12는 하면 가이드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 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서의 하면 가이드의 치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결과인 분류의 충돌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작용 및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로부터 명확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강판의 냉각 장치(20), 및 냉각 장치(20)를 구비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에서는, 강판(1)은 지면(紙面) 좌측(상류측, 상공정측)에서 우측(하류측, 하공정측)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있으며, 지면 상하 방향이 연직 방향이다. 당해 상류측(상공정측)?하류측(하공정측) 방향을 통판 방향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판되는 강판의 판폭의 방향을 강판 판폭 방향으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반복되는 부호의 기재는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는,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 냉각 장치(20), 반송 롤(12, 12, …), 핀치 롤(13)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보다 상류측에는, 가열로나 조(粗)압연기열 등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 들어가기 위한 강판의 조건을 조정하고 있다. 한편, 핀치 롤(13)의 하류측에는, 다른 냉각 장치나 권취기 등의 강판 코일로서 출하하기 위한 각종 설비가 배치되어 있다.
열연 강판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가열로로부터 추출되어, 조압연기에서 소정의 두께까지 압연된 조(粗) 바가, 온도가 제어되면서 연속적으로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서 소정의 두께까지 압연된다. 그 후, 냉각 장치(20) 내에서 급속히 냉각된다. 여기에, 냉각 장치(20)는,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의 최종 스탠드(11g)에 있어서, 압연 롤을 지지하는 하우징(11gh)의 내측부터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압연 롤에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치 롤(13)을 통과하여 다른 냉각 장치에 의해 소정의 감김 온도까지 냉각되어, 권취기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다.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이하, 간단히 「제조 장치(10)」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는, 상기대로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7기의 압연기(11a, 11b, 11c, …, 11g)가 통판 방향을 따라 병렬되어 있다. 각각의 압연기(11a, 11b, …, 11g)는, 이른바 각 스탠드를 구성하는 압연기로, 최종 제품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두께, 기계적 성질, 표면 품질 등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압하율 등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냉각 장치(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 중 냉각 장치(20)가 구비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냉각 장치(20)의 전체가 나타나도록 확대한 도, 도 2(b)는, 최종 스탠드(11g)의 근방에 더 주목한 도이다. 냉각 장치(20)는, 상면 급수 수단(21, 21, …), 하면 급수 수단(22, 22, …), 상면 가이드(30, 30, …), 하면 가이드(40, 40, …)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 급수 수단(21, 21, …)은, 강판(1)의 상면측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면 급수 수단(21, 21, …)은, 냉각 헤더(21a, 21a, …), 각 냉각 헤더(21a, 21a, …)에 복수열을 이루고 설치된 도관(21b, 21b, …), 및 그 도관(21b, 21b, …)의 선단에 부착된 냉각 노즐(21c, 21c, …)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헤더(21a)는 통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의 지면 안쪽/앞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이며, 이러한 냉각 헤더(21a, 21a, …)가 통판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도관(21b)는 각 냉각 헤더(21a)로부터 분기하는 복수의 가는 배관이며, 그 개구 단부가 강판 상면측으로 향해져 있다. 도관(21b, 21b, …)은, 냉각 헤더(21a)의 관길이 방향을 따라, 즉 강판 판폭 방향으로 복수, 빗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도관(21b, 21b, …)의 선단에는 냉각 노즐(21c, 21c, …)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냉각 노즐(21c, 21c, …)은, 부채 형상의 냉각수 분류(예를 들면, 5mm~30mm 정도의 두께)를 형성 가능한 플랫 타입의 스프레이 노즐이다. 도 3에 당해 냉각 노즐(21c, 21c, …)에 의해 강판(1)의 표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분류의 충돌 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흰 동그라미로 나타낸 것은 냉각 노즐(21c, 21c, …)의 바로 아래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굵은 선으로 냉각수 분류의 충돌 위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통판 방향과 강판 판폭 방향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웃하는 노즐열에서는, 강판 판폭 방향의 위치를 어긋나도록 배치하고, 또한 그 인접한 노즐열과 강판 판폭 방향 위치가 동일해지도록,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 배열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되는 강판의 판폭 방향에서의 분류의 충돌 영역이, 노즐열을 통과할 때마다 균일화되어, 강판의 판폭 방향에서의 냉각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판 표면에서의 강판 판폭 방향의 모든 위치에 걸쳐 냉각수 분류를 적어도 2회 통과할 수 있도록 냉각 노즐(21c, 21c, …)을 배치했다. 즉, 통판되는 강판(1)이 있는 점 D는, 도 3의 직선 화살표를 따라 이동한다. 그 때에 노즐열 A에서 2회(A1, A2), 노즐열 B에서 2회(B1, B2), 노즐열 C에서 2회(C1, C2), …와 같이, 각 노즐열에 있어서 당해 노즐열에 속하는 냉각 노즐로부터의 분류가 2회 충돌한다. 그 때문에, 냉각 노즐(21c, 21c, …)의 간격 PW, 냉각수 분류의 충돌폭 L, 비틀림각 β 사이에,
L=2PW/cosβ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냉각 노즐(21c, 21c, …)을 배치했다. 여기에서는 2회 통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3회 이상 통과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강판 판폭 방향에서의 냉각능의 균일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통판 방향으로 이웃하는 노즐열에서는, 서로 역의 방향으로 냉각 노즐을 비틀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웃하는 노즐열에서는, 서로 역의 방향으로 냉각 노즐을 비튼 형태를 설명했다. 단,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두가 동일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 비틀림각(상기 β)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로 되는 냉각능이나 설비 배치의 형태 등의 관점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이점의 관점에서 통판 방향으로 이웃하는 노즐열을 지그재그 형상 배열로 하는 형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 노즐이 통판 방향으로 직선 상에 병렬되는 형태여도 된다.
상면 급수 수단(21)이 구비되는 위치, 특히 냉각 노즐(21c, 21c, …)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서의 최종 스탠드(11g)의 직후에, 그 최종 스탠드(11g)의 하우징(11gh)의 내측부터 당해 최종 스탠드(11g)의 워크 롤(11gw)에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 의한 압연 직후의 강판(1)을 급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강판(1)의 선단부를 안정되게 냉각 장치(20)에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워크 롤(11gw)에 가까운 냉각 노즐(21c)은 강판(1)에 근접시켜 배치한다.
또, 각 냉각 노즐(21c, 21c, …)의 냉각수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분사 방향은 연직 방향을 기본으로 하는 한편, 최종 스탠드(11g)의 워크 롤(11gw)에 가장 가까운 냉각 노즐로부터의 냉각수의 분사는, 연직보다도 워크 롤(11gw)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강판(1)이 최종 스탠드(11g)에서 압하되고 나서 냉각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보다 한층 짧게 하여, 압연으로 축적된 압연 변형이 회복하는 시간을 거의 제로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다 미세한 조직을 가지는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하면 급수 수단(22, 22, …)은, 강판(1)의 하면측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하면 급수 수단(22, 22, …)은, 냉각 헤더(22a, 22a, …), 각 냉각 헤더(22a, 22a, …)에 복수열을 이루고 설치된 도관(22b, 22b, …), 및 그 도관(22b, 22b, …)의 선단에 부착된 냉각 노즐(22c, 22c, …)을 구비하고 있다. 하면 급수 수단(22, 22, …)은, 상기한 상면 급수 수단(21, 21, …)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냉각수의 분사 방향이 상이하지만, 대체로 상면 급수 수단(21, 21, …)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면 가이드(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상면 가이드(30)를 개념적으로 나타냈다. 도 4(a)는 냉각 장치(20)의 상방에서 본 도에서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측면측에서 본 도이다. 도 4에는 냉각 노즐(21c, 21c, …)의 위치, 및 강판(1)의 위치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상면 가이드(30)는, 판 형상인 가이드판(31)과, 가이드판(31)의 상면측에 배치된 배수 통로 형성부(35, 35, …)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판(31)은, 판 형상의 부재임과 함께, 유입 구멍(32, 32, …) 및 유출 구멍(33, 33, …)이 설치되어 있다.
유입 구멍(32, 32, …)은 상기한 냉각 노즐(21c, 21c, …)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그 형상도 분류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입 구멍(32, 32, …)은, 강판 판폭 방향으로 병렬되어 유입 구멍열(32A)을 형성함과 함께, 그 유입 구멍열(32A, 32A, …)이 통판 방향으로 또한 병렬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 구멍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 노즐(21c, 21c, …)로부터의 분류가 가이드판에서 가능한 한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냉각 노즐의 분류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1개의 냉각 노즐(21c)로부터의 단위 시간 당의 냉각수 분출량의 10% 이상이 상면 가이드(30)의 가이드판(31)에 충돌하지 않도록 통과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정된 스페이스에 효율적으로 당해 유입 구멍(32, 32, …)을 설치하는 관점에서, 유입 구멍의 개구 형상은, 냉각수 분류의 횡단면 형상(분출 방향축에 직교하는 단면)과 대략 상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출 구멍(33, 33, …)은, 직사각형의 구멍이며, 그 구멍은 강판 판폭 방향으로 복수 병렬되어 유출 구멍열(33A)을 형성하고 있다. 유출 구멍(33, 33, …) 사이에 가이드판(31)의 일부가 남음으로써, 반송되는 강판의 선단이 유출 구멍(33, 33, …)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이것이 강판 침입 방지 수단(33s, 33s, …)이 된다. 그 유출 구멍열(33A, 33A, …)은, 상기한 유입 구멍열(32A, 32A, …)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판(31)에서는 통판 방향을 따라 유입 구멍열(32A)과 유출 구멍열(33A)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유출 구멍(33, 33, …)의 바람직한 개구 형상으로서, 상기와 같은 병렬된 직사각형을 설명했다. 이것에 의해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큰 개구 면적을 얻을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강판의 걸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즉, 유출 구멍의 개구 형상은 상기한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원형이나, 사다리꼴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강판 침입 방지 수단은, 당해 개구 형상에 대응한 형상이 된다. 예를 들면 유출 구멍이 통판 방향으로 윗변 아래변을 가지는 사다리꼴형인 경우에는, 강판 침입 방지 수단은 통판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평행 사변형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에 유출 구멍의 변형예를 나타냈다. 도 5의 변형예의 상면 가이드(30′)에서는, 유출 구멍(33′)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부위는 상기한 상면 가이드(30)과 동일하므로, 당해 동일 부위에 대해서는, 부호도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설명도 생략했다. 상면 가이드(30′)의 하나의 유출 구멍(33′)은, 폭방향으로 1개의 긴 구멍(33A′)임과 함께, 여기에 망재(33B′)가 덮혀 있는 형태이다. 이것에 의해 유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망재(33B′)의 이른바 메쉬의 세밀도는 냉각수의 흐름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또한, 쓰레기 등의 이물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5mm×5mm 이상의 그물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출 구멍(33, 33, …)의 가장자리 중, 통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는 상방을 향하여 역류 방지편(33p, 33p, …)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역류 방지편(33p, 33p, …)은, 유출 구멍(33, 33, …)에 들어간 물이 다시 유출 구멍(33, 33, …)으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 역류 방지편(33p, 33p, …)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역류 방지편(33p, 33p)는 대략 평행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지만, 역류 방지편을, 그 하단보다 상단측이 좁아지도록 세워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역류 방지편과 후술하는 배수 통로 형성부의 세워 설치되는 편(35a, 35c) 사이의 유로 단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배수 통로 형성부(35, 35, …)는, 도 4(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편(35a, 35b, 35c)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 형상 단면을 가지고 강판 판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배수 통로 형성부(35)는, 가이드판(31)의 상면측으로부터, 오목 형상의 개구부를 그 가이드판(31)을 향해 씌우도록 배치된다. 이 때, 개구부, 즉 편(35a)과 편(35c)의 사이에 가이드판(31)의 상면의 일부 및 유출 구멍열(33A)이 포함되도록 씌운다. 또, 이웃하는 배수 통로 형성부(35, 35, …) 사이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그 간격의 사이에 유입 구멍열(32A, 32A, …), 및 냉각 노즐(21c, 21c, …)이 배치된다.
또, 유출 구멍열(33A)에 대향하는 편(35b)의 유출 구멍열(33A)측에는 그 유출 구멍열(33A)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에 정류편(整流片)(36)이 설치되어 있다. 정류편(36)의 형상은, 편(35b)에 충돌하는 배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역류 방지편(33p, 33p)이 설치된 배수 통로의 바닥면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정류화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역삼각형, 사다리꼴형, 쐐기형이나 그 외에 돌기형 형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배수 통로 형성부(35, 35, …)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한 상면 급수 수단(21)의 도관(21b, 21b, …)의 내경을 d로 했을 때, 5d~20d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관(21b, 21b, …)이 20d보다 길면 압력 손실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또, 5d보다 짧으면 냉각 노즐(21c, 21c, …)로부터의 분사가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면 가이드(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상면 가이드(30, 30, 30)가 이용되고, 이것이 통판 방향으로 병렬된다. 어느 상면 가이드(30, 30, 30)도 냉각 노즐(21c, 21c, …)의 높이 방향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종 스탠드(11g)에 가장 가까운 상면 가이드(30)는, 최종 스탠드(11g)측 단부가 낮고, 타단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다른 2개의 상면 가이드(30, 30)는, 통판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그 통판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면 가이드(30)에 의해, 상면 가이드(30)의 기본적인 기능인 부분인 강판 선단부의 통판 시에 그 선단부가 냉각 노즐(21c, 21c, …) 등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면 가이드(30)에 의하면, 강판 상면측에 공급된 대량의 냉각수를 적절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로, 상면 급수 수단(21, 21, …)에 의해 공급된 냉각수는 강판을 냉각한 후, 그 일부는 강판 판폭 방향으로 흘러,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수된다. 그러나 공급된 냉각수량, 유량 밀도가 크면 당해 배수로는 불충분하여 체류수가 두껍게 형성되어 버린다. 이에 반해 상면 가이드(30)에서는 새로운 배수 통로를 설치함으로써 체류수를 얇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도 6에 설명을 위한 도를 나타냈다. 도 6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부호를 생략하고 있지만, 대응하는 것은 도 4(b)의 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강판 판폭 방향으로부터의 배수가 따라가지 못할 정도의 높은 냉각수 유량 밀도, 냉각수 공급량의 경우에는, 냉각 노즐(21c, 21c, …)로부터의 수류도 기세가 강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강판(1)의 상면에 분사된 냉각수는, 도 6에 화살표 R,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판 방향 전후로도 이동하여, 충돌한다. 이러한 충돌이 발생함으로써 냉각수는 그 방향을 바꿔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유출 구멍(33, 33, …)을 통과하여, 배수 통로 형성부(35)의 편(35b)에 충돌한다. 이 때 그 편(35b)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쐐기형의 정류편(36)이 설치되어, 냉각수가 화살표 T, T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전환된다. 이 때 정류편(36)에 의해 당해 방향 전환의 저항이 낮게 억제되어,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판(31)의 상면측에 이른 냉각수는 도 6의 지면 안쪽/앞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수된다. 이 때 유출 구멍(33)의 가장자리에는 역류 방지편(33p, 33p)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다시 유출 구멍(33)으로부터 냉각수가 되돌아오는 것이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배수 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상면측에 공급된 냉각수가 대량, 고유량 밀도가 된 경우여도 체류수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냉각수가 급수되는 구멍과 배출되는 구멍을 나눔과 함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냉각에 제공되는 냉각수와 배수되기 위해서 이동하기 시작한 냉각수가 도중에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급배수가 원활히 행해져, 체류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원활한 배수와 체류수의 억제에 의해 강판 판폭 방향에서의 냉각 편차를 작게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냉각 편차는, 냉각수의 판폭 방향 온도 편차가 ±3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유출 구멍열(33A)에 포함되는 유출 구멍(33, 33, …)을 상면 가이드(30)의 강판 판폭 방향 전부에 걸쳐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체류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큰 강판 판폭 방향 중앙부 부근에만 이러한 유출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가이드판(31)의 상면에 이른 냉각수를 가이드판(31)의 강판 판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배수하는 것에 있어서, 그 배수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더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가이드판(31)의 상면측 중 강판 판폭 방향 중앙을 높게 형성하고, 강판 판폭 방향 양단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를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고저차에 의해, 냉각수가 가이드판(31)의 강판 판폭 방향 양단으로 이동하기 쉬워져, 더 원활한 배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 펌프 등을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배수시키거나, 배수 통로 형성부 내를 부압으로 함으로써 냉각수를 배수 통로 형성부 내에 도입하기 쉽게 하여, 배수성을 더 향상시켜도 된다.
또, 상면 가이드 자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면 가이드(30)를 통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체류수에 눌러, 강제적으로 배수 통로 형성부 내로 이끄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가이드판(31)에 설치되는 유입 구멍(33, 33, …)이나 강판 판폭 방향 양단부에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엣지)에 모따기나 R을 취하는(엣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처리를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판되는 강판(1)의 걸림을 줄이거나, 냉각수의 원활한 유동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가이드판(31)의 재질은, 가이드로서 필요로 되는 강도나 내열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통판되는 강판(1)이 가이드판(31)에 접촉했을 때의 강판(1)에 대한 찰상 등을 줄이는 목적으로, 강도, 및 내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부위에는 강판(1)보다도 연질인 수지 등의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도 7에는 다른 형태의 상면 가이드(130, 130′) 중 도 4(b)에 상당하는 도를 나타냈다. 도 7(a)가 상면 가이드(130), 도 7(b)가 상면 가이드(130′)이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상면 가이드(30)와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상면 가이드(130)에서는, 배수 통로 형성부(135, 135, …)가 가이드판(31)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통로 형성부(135, 135, …)에서는, 편(35a, 35a, …)과 역류 방지편(33p, 33p, …)이 바닥판(135d, 135d, …)에 의해 연결된다. 또, 편(35c, 35c, …)과 역류 방지편(33p, 33p, …)은 바닥판(135e, 135e, …)에 의해 연결되고, 바닥판(135d, 135d, …) 및 바닥판(135e, 135e, …)이 배수 통로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리한 상면 가이드(130)로 해도 된다.
상면 가이드(130′)는, 또한 역류 방지편(133p′, 133p′, …)이 가이드판(31)의 상면측에 연장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8에는 또 다른 형태의 상면 가이드(230, 230′) 중 도 4(b)에 상당하는 도를 나타냈다. 도 8(a)가 상면 가이드(230), 도 8(b)가 상면 가이드(230')이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상면 가이드(30, 130)와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도 생략한다.
상면 가이드(230)에서도, 배수 통로 형성부(235, 235, …)가 가이드판(31)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통로 형성부(235, 235, …)에서는, 편(35a, 35a, …)과 역류 방지편(233p, 233p, …)이 바닥판(235d, 235d, …)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편(35c, 35c, …)과 역류 방지편(233p, 233p, …)은 바닥판(235e, 235e, …)에 의해 연결되고, 바닥판(235d, 235d, …) 및 바닥판(235e, 235e, …)이 배수 통로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역류 방지편(233p, 233p, …)이 가이드판(31)의 상면측에 연장되어 있다. 상면 가이드(230)에서는, 가이드판(31)과 배수 통로 형성부(235, 235, …)의 사이에 냉각 노즐(21c, 21c, …) 외에, 헤더(21a, 21a, …) 및 도관(21b, 21b, …)도 여기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면 가이드(230)로 해도 된다.
상면 가이드(230')에서는 상기 상면 가이드(230)에 있어서, 이웃하는 배수 통로 형성부(235, 235)를 1개의 배수 통로 형성부(235′)로 했다. 이것에 의해서도 도 8(b)에 T', T'로 나타낸 배수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배수 경로(T')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하면 가이드(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하면 가이드(40)를 개념적으로 나타냈다. 도 9(a)는 냉각 장치(20)의 상방에서 본 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측면측에서 본 도이다. 도 9에는 냉각 노즐(22c, 22c, …)의 위치, 및 강판(1)의 위치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하면 가이드(40)는, 판 형상인 가이드판(41)과, 가이드판(41)의 하면측에 배치된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판(41)은, 판 형상의 부재임과 함께, 유입 구멍(42, 42, …) 및 유출 구멍(43, 43, …)을 가지고 있다.
유입 구멍(42, 42, …)는 상기한 각 냉각 노즐(22c, 22c, …)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유입 구멍(42, 42, …)은, 강판 판폭 방향으로 병렬되어 유입 구멍열(42A)을 형성함과 함께, 유입 구멍열(42A, 42A, …)이 통판 방향으로 또한 병렬되어 있다. 1개의 냉각 노즐(22c)에 대해 1개의 대응하는 유입 구멍(4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급배수를 적절히 분리하여 원활한 배수가 가능해진다.
유입 구멍(42, 42, …)의 개구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효율적으로 냉각수가 이곳을 통과하기 위해서, 가이드판(41)에 냉각 노즐(22c, 22c, …)로부터의 분류가 가능한 한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냉각 노즐의 분류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1개의 냉각 노즐(22c)로부터의 단위 시간 당의 냉각수 분출량의 10% 이상이 하면 가이드(40)의 가이드판(41)에 충돌하지 않도록 통과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정된 스페이스에 효율적으로 당해 유입 구멍(42, 42, …)을 설치하는 관점에서, 유입 구멍의 개구 형상은, 냉각수 분류의 횡단면 형상(분출 방향축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과 대략 상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출 구멍(43, 43, …)은, 직사각형의 구멍이며, 그 구멍은 강판 판폭 방향으로 복수 병렬되어 유출 구멍열(43A)을 형성하고 있다. 유출 구멍(43, 43, …) 사이에 가이드판(41)의 일부가 남음으로써, 반송되는 강판의 선단이 유출 구멍(43, 43, …)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이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 43s, …)이 된다. 그 유출 구멍열(43A, 43A, …)은, 상기한 유입 구멍열(42A, 42A, …)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판(41)에서는 통판 방향을 따라 유입 구멍열(42A)과 유출 구멍열(43A)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유출 구멍(43, 43, …)의 통판 방향 크기(Lg)는, 적절한 배수가 가능해지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다음의 식(1)을 만족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α?W?H≤(Lg?W-N?Lg?Wg)/2 (1)
여기서, W는 하면 가이드(40)의 판폭 방법의 크기, H는 하면 가이드(40)의 상면과 통판되는 강판(1)의 하면의 거리, Wg는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의 판폭 방향의 크기, N은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이 판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α는 계수이며, 후술하는 실시예(도 13도 참조)에서는, α=0.5가 적당한 값이었다.
이것에 의하면, 식(1)의 우변은 유출 구멍(43, 43, …)의 합계의 개구 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좌변은, 분류가 분사된 후에 유출 구멍(43, 43, …)에 이르는 동안에 냉각수가 이동하는 통로(하면 가이드(40)의 상면과 강판(1)의 하면의 사이)의 유로 단면적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변인 유출 구멍(43, 43, …)의 합계의 개구 면적을, 좌변의 유로 단면적으로부터 정해지는 면적 이상으로 함으로써, 배수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판(41)의 재질은, 가이드로서 필요로 되는 강도나 내열성을 가지는 일반적인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통판되는 강판(1)이 가이드판(41)에 접촉했을 때의 강판(1)에 대한 찰상 등을 줄이는 목적으로, 강도, 및 내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부위에는 강판보다도 연질인 수지 등의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또 가이드판(41)에 설치되는 유입 구멍(42, 42, …), 유출 구멍(43, 43, …)에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엣지)에 모따기나 R을 취하는(엣지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 처리를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통판되는 강판의 걸림을 줄이거나, 냉각수의 원활한 유동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유출 구멍(43, 43, …)의 바람직한 개구 형상으로서, 상기와 같은 병렬된 직사각형을 설명했다. 이것에 의해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큰 개구 면적을 얻을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어, 강판의 걸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즉, 유출 구멍의 개구 형상은 상기한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원형이나, 사다리꼴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강판 침입 방지 수단은, 당해 개구 형상에 대응한 형상이 된다. 예를 들면 유출 구멍이 통판 방향으로 윗변 아래변을 가지는 사다리꼴형인 경우에는, 강판 침입 방지 수단은 통판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평행 사변형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에 유출 구멍의 변형예를 나타냈다. 도 10의 변형예의 하면 가이드(40')에서는 유출 구멍(43′)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부위는 상기한 하면 가이드(40)와 동일하므로, 당해 동일 부위에 대해서는, 부호도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설명도 생략했다. 하면 가이드(40')의 하나의 유입 구멍(43′)은, 강판 판폭 방향으로 1개의 긴 구멍(43A′)임과 함께, 여기에 망재(43B′)가 덮혀 있는 형태이다. 이것에 의해서도 유출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망재(43B′)의 이른바 메쉬의 미세함은 냉각수의 흐름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또한, 쓰레기 등의 이물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5mm×5mm 이상의 그물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로 되돌아와,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는, 유입 구멍열(42A)과 이것에 인접하는 유출 구멍열(43A, 43A)의 경계 부분 중, 가이드판(41)의 하면측으로부터 늘어지도록 설치된 한 쌍의 판 형상 부재(45a, 45b)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판 형상 부재(45a, 45b)의 상단부 간에 유입 구멍(42, 42, …)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 45) 간의 상단부에 유출 구멍(43, 43, …), 및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 43s, …)이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1)의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 43s, …)은 약간 하면측에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 형상 부재(45a, 45b)의 상단부는, 가이드판(41)의 하면 및 당해 강판 침입 방지 수단(43s, 43s)이 두껍게 형성된 측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이나 접착제에 의한 고정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여기에서는 가이드판(41)과 급배수로 형성 부재(45)는 일체화되어 있지만, 반드시 일체화되어 있을 필요도 없다. 단, 급배수로 형성 부재는, 급수로와 배수로를 형성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이곳을 연통하는 간극은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접에 의해 일체화한 것을 설명했다.
또,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는, 그 하단부(판 형상 부재(45a, 45b)의 하단부)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냉각 노즐(22c)이 배치된다. 이에 수반하여 이웃하는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 45) 간에 있어서, 도 9(b)에 V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부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냉각 노즐(22c, 22c, …)로부터의 분류수의 형상에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하면 가이드(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하면 가이드(40, 40, …)가 이용되며, 반송 롤(12, 12, 12) 사이의 각각에 배치된다. 어느 하면 가이드(40, 40, …)도 반송 롤(12, 12, …)의 상단부에 대해 너무 낮아지지 않는 높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면 가이드(40)에 의해, 하면 가이드(40)의 기본적인 기능인, 강판 선단부가 반송 롤(12, 12) 사이에 걸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면 가이드(40)에 의하면, 강판 하면측에 공급된 대량의 냉각수를 적절히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도 11에 설명을 위한 도를 나타냈다. 도 11에서는 도면의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부호를 생략하고 있지만, 대응하는 것은 도 9의 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냉각 노즐(22c)로부터 분사된 냉각수는, 판 형상 부재(45a, 45b) 사이를 지나, 유입 구멍(42)으로부터 강판(1)의 하면에 이르러, 그 강판(1)을 냉각한다(도 11(b)). 그 후 냉각수는 가이드판(41)의 상면을 도 11(a)에 직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1(b)에 직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 구멍(43, 43)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수된다.
이와 같이, 급수를 위한 구멍과 배수의 구멍이 나눠질 뿐만 아니며, 급수를 위한 통수로와, 배수를 위한 배수로도 나눠져 있으므로, 냉각에 제공되는 냉각수와 배수가 도중에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급배수가 원활히 행해져, 체류수의 양을 억제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냉각 노즐(22c, 22c, …)이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45)의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배수를 위한 통로가 냉각 노즐(22c, 22c, …)의 좌우 근방까지 연장되어, 당해 배수의 냉각 노즐(22c, 22c, …)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하면 가이드에 있어서, 하면 급수 수단에 의해 공급된 냉각수 중 80% 이상을 유출 구멍으로부터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매우 높은 냉각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원활한 배수에 의해 체류수의 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강판 판폭 방향에서의 냉각 편차를 작게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냉각 편차는, 냉각수의 판폭 방향 온도 편차가 ±3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판 형상 부재(45a, 45b) 사이의 하단부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고, 이에 수반하여 배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판 형상 부재(45a, 45b) 사이의 하단부는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수로의 확장이 이루어져, 배수가 더 원활히 행해진다.
단, 급배수로 형성 부재의 판 형상 부재는 반드시 이와 같이 경사져 있을 필요는 없으며, 연직 하방으로 늘어져 있어도 된다. 도 12에 그 예의 하면 가이드(40')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9에 상당하는 도이며, 판 형상 부재(45a′, 45b′)가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외에는 하면 가이드(40)와 동일하다. 이러한 하면 가이드여도 된다.
또, 워크 롤(11gw) 근방에 주목하면(예를 들면 도 2(b)), 워크 롤(11gw)이 있고, 그 하류측에 강판(1)의 선단이 워크 롤(11gw)에 감는 것을 방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감김 방지 가이드가 배치된다. 그리고 감김 방지 가이드의 하류측에 하면 가이드(40)가 설치된다. 이 때, 감김 방지 가이드에 가장 가까운 것은, 유출 구멍열(43A)과 유입 구멍열(42A) 중, 유출 구멍열(43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워크 롤(11gw) 근방의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또, 감김 방지 가이드와 하면 가이드는 일체화한 것이어도 된다.
하면 가이드(40) 중, 반송 롤(12) 및 핀치 롤(13)의 상류측 근방에 주목하면, 상류측으로부터, 유입 구멍열(42A), 다음에 유출 구멍열(43A)이 있고, 다음에 반송 롤(12) 또는 핀치 롤(13)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반송 롤(12) 및 핀치 롤(13)의 상류측 근방의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하면 가이드 중, 반송 롤(12) 및 핀치 롤(13)의 하류측 근방에 주목하면, 상류측으로부터, 반송 롤(12) 또는 핀치 롤(13), 다음에 유출 구멍열(43A)이 있으며, 또한 다음에 유입 구멍열(42A)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반송 롤(12) 및 핀치 롤(13)의 하류측 근방의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제조 라인을 강판 판폭 방향으로 횡단하도록(강판(1)의 반송 방향을 횡단한다) 배치된 설비(상기에서는 워크 롤(11gw), 반송 롤(12), 핀치 롤(13))에 대해서는, 하면 가이드의 유출 구멍열과 유입 구멍열 중, 유출 구멍열을 이들 설비에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냉각수를 높은 압력으로 닿게 하기 위해서는, 냉각수를 닿게 할 개소로부터의 배수가 원활히 행해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냉각수가 배수되기 어려운 이러한 개소에는 유출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비에는 예를 들면 워크 롤이나 핀치 롤과 같이 롤이 강판에 접촉되는 설비, 또는 탈수 롤과 같이 롤이 강판 근방에 존재하는 설비를 들 수 있다.
특히, 워크 롤 근방은 급냉각을 하기 위해 수량이 많고, 또한 강판 판폭 방향 양측에는 하우징이 세워 설치되어 있어, 배수가 곤란한 개소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출 구멍열을 가장 근접시켜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워크 롤에는, 강판(1)의 선단이 워크 롤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감김 방지 가이드가 접촉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롤(핀치 롤 등)에는 통상 이러한 감김 방지 가이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면 가이드와 워크 롤의 사이 이외의 사이에는 원래 간극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 간극을 유출 구멍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도 2로 되돌아와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10)에 대해서 설명을 계속한다. 반송 롤(12, 12, …)은, 강판(1)의 테이블임과 함께 그 강판(1)을 통판 방향으로 반송하는 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 롤(12, 12, …) 사이에 하면 가이드(40, 40, …)가 배치된다.
핀치 롤(13)은, 탈수를 겸하고 있으며, 냉각 장치(2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 장치(20) 내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강판(1)의 하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각 장치(20)에서의 강판(1)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특히, 강판(1)의 선단이 권취기에 물려 들어가기 전의 시점에서의 강판(1)의 통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핀치 롤(13)의 롤 중 상측의 롤(13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열연 강판 제조 라인에 있어서, 강판의 이동(통판)을 저해하는 일 없이, 높은 유량 밀도, 대량의 냉각수를 공급해도 배수성이 우수한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상면 가이드, 하면 가이드에 의한 냉각수의 배수에 있어서, 구체적인 배수 성능에 대해서는, 필요로 되는 강판의 냉각 열량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강판 조직의 미세화의 관점에서, 압연 직후의 급냉이 효과적이며, 그 때문에 유량 밀도가 높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면 가이드, 하면 가이드에서의 배수도 당해 냉각수의 공급량, 유량 밀도에 대응하는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강판의 미세화의 관점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 밀도는, 10~25m3/(m2?분)을 들 수 있다. 이것보다 큰 공급 밀도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의 상면 가이드와 하면 가이드 양쪽을 구비하는 냉각 장치, 제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하면 가이드를 적용함과 함께, 상면 가이드는 종래의 것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에 의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강판의 제조를 행한다. 즉, 강판이 권취기에 의해 감겨지고, 다음의 강판의 압연이 개시될 때까지의 비압연 시간에서는 냉각 장치(20)에서의 냉각수의 분사는 정지된다. 그리고, 냉각 장치(20)의 하류측의 핀치 롤(13)은, 상기 비압연 시간 중에, 냉각 장치(20)의 상면 가이드(30)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측 롤(13a)이 이동되고, 그 후, 다음의 강판(1)의 압연이 개시된다.
당해 다음의 강판(1)의 선단이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의 최종 스탠드(11g)에 물려 들어가기 몇 초 전에, 냉각 장치(20)의 냉각수의 분사가 개시된다. 그리고, 강판의 선단이 냉각 장치(20)를 통과한 직후에 냉각수의 분사 압력이 거의 소정값이 되도록 제어된다. 또, 강판(1)의 선단이 핀치 롤(13)을 통과한 직후에 상측 롤(13a)을 하강시켜, 강판(1)의 핀치를 개시한다.
강판(1)의 선단이 냉각 장치(20) 내로 반송되기 전부터 냉각수의 분사를 개시함으로써, 강판(1)의 선단에서의 비정상 냉각부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더하여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강판(1)의 통판성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강판(1)이 떠올라 상면 가이드(30)로 근접하려는 경우에는, 강판(1)이 냉각 노즐(21c, 21c, …)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 분류로부터 받는 충돌력이 늘어나, 강판(1)에 연직 방향 하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강판(1)이 상면 가이드(30)로 충돌한 경우여도, 냉각수 분류로부터 받는 충돌력에 의해 그 충격력이 완화됨과 함께, 강판(1)과 상면 가이드(30)의 마찰열이 저감되기 때문에, 강판(1)의 표면에 발생하는 찰상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업되는 냉각 장치(20)를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의 하류측에 구비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에 의해, 열연 강판을 제조하면, 고유량 밀도, 대량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열연 강판을 제조함으로써, 조직이 미세화된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11)에서의 통판 속도는 통판 개시 부분을 제외하고 일정하게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강판(1)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기계적 강도가 높여진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하면 가이드(40)의 형상을 가지는 하면 가이드를 제작하여 배수성을 조사했다.
도 13에는, 제작한 하면 가이드의 주요한 치수를 나타냈다. 즉, 유입 구멍의 통판 방향의 크기는 115mm, 유출 구멍의 통판 방향의 크기를 45mm, 통판되는 강판의 하면과, 하면 가이드 상면의 거리를 변경하여 급배수를 행했다. 냉각수는, 플랫 스프레이 노즐에 의해, 유량 밀도 15m3/(m2?분)으로 공급했다. 참고로 가장 배수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하면 가이드가 없는 경우를 함께 나타냈다.
여기서 플랫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냉각 노즐 갯수로, 냉각 능력이 높은 분류 충돌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강판의 판폭 방향으로 막 형상의 분류를 공급하는 슬릿 제트의 냉각 노즐에 비해, 판폭 방향으로 균일한 분류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냉각의 균일성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결과는 공급수의 유지가 양호한지에 따라 판단했다. 배수에 문제가 있으면, 양호한 급수를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급수의 유지의 양부에 따라 배수의 적당, 부적당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 가이드를 이용함으로써, 가장 배수성이 높은 경우에 상당하는 하면 가이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와 대체로 동일한 냉각수량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면 가이드는 높은 배수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도 14에는, 강판에 충돌하는 분류의 충돌 압력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가장 배수성이 높은 경우에 상당하는 하면 가이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를 1.0로 하고, 그 상대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작한 하면 가이드에 의하면, 하면 가이드가 구비되어도, 하면 가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와 대체로 동일한 충돌 압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면 가이드는 분류를 강판에 감쇠시키는 일 없이 공급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현시점에 있어서 실천적이며,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 중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으면 안 된다.
1 강판 10 제조 장치
11 압연기열 11g 최종 스탠드
12 반송 롤 13 핀치 롤
20 냉각 장치 21 상면 급수 수단
21a 냉각 헤더 21b 도관
21c 냉각 노즐 22 하면 급수 수단
22a 냉각 헤더 22b 도관
22c 냉각 노즐 30 상면 가이드
31 가이드판 32 유입 구멍
32A 유입 구멍열 33 유출 구멍
33A 유출 구멍열 33p 역류 방지편
35 배수 통로 형성부 36 정류편
40 하면 가이드 41 가이드판
42 유입 구멍 42A 유입 구멍열
43 유출 구멍 43A 유출 구멍열
45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 45a 판 형상 부재
45b 판 형상 부재

Claims (15)

  1.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列)의 최종 스탠드의 하(下)공정측에 배치되어, 반송 롤 상(上)을 반송되는 강판을 냉각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냉각 노즐을 구비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로서,
    상기 냉각 노즐은,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 설치되어 그 강판이 통과하는 부위를 향하여 냉각수를 분사 가능하고,
    상기 하면측에는 하면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면 가이드는, 상기 하면측의 냉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냉각수가 통과해야 하는 유입 구멍과, 상기 냉각수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 가능하게 통과해야 하는 유출 구멍을 갖고,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유출 구멍은, 상기 강판의 이동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노즐 1개에 대해 1개의 상기 유입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면 가이드는, 상기 유입 구멍에 연결되는 통수로 및 상기 유출 구멍으로부터 연결되는 통수로를 형성하는 급배수 통로 형성 부재를 갖고,
    상기 냉각 노즐로부터의 냉각수의 분사는 상기 유입 구멍에 연결되는 통수로 내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출 구멍으로부터 연결되는 통수로는, 하부의 유로 단면이 상부의 유로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구멍의 개구 형상은, 상기 냉각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 분류(噴流)의 형상과 대략 상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노즐은 플랫 스프레이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가이드의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유출 구멍 중, 상기 하면 가이드의 상기 강판 반송 방향 단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가이드의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유출 구멍 중, 상기 하면 가이드의 상기 강판 반송 방향 단부의 모두가 상기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냉각 장치.
  9.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에서의 최종 스탠드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를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0. 열간 마무리 압연기열에서의 최종 스탠드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의 냉각 장치와, 냉각수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수단을,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냉각 노즐 중, 가장 상(上)공정측에 배치되는 냉각 노즐은 상기 최종 스탠드의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가 구비하는 냉각 노즐 중, 적어도 상기 최종 스탠드에 가장 가까운 상기 냉각 노즐의 냉각수 분사구가, 상기 최종 스탠드의 워크 롤 출구에 위치해야 하는 강판으로 향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접촉하도록, 또는 상기 강판에 근접시켜 배치됨과 함께,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을 횡단하도록 설치된 설비를 갖고, 상기 하면 가이드는, 그 하면 가이드의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유출 구멍 중, 상기 설비에 가장 근접시킬 수 있는 것이 상기 유출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상기 최종 스탠드의 워크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스탠드에서 압연된 강판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17027453A 2009-06-30 2010-06-24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337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6024 2009-06-30
JP2009156024 2009-06-30
PCT/JP2010/060772 WO2011001898A1 (ja) 2009-06-30 2010-06-24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806A true KR20120036806A (ko) 2012-04-18
KR101337714B1 KR101337714B1 (ko) 2013-12-06

Family

ID=4341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453A KR101337714B1 (ko) 2009-06-30 2010-06-24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94318B2 (ko)
EP (1) EP2450116B1 (ko)
JP (1) JP4788851B2 (ko)
KR (1) KR101337714B1 (ko)
CN (1) CN102448630B (ko)
BR (1) BRPI1012747B1 (ko)
TW (1) TWI432270B (ko)
WO (1) WO2011001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6935B1 (en) * 2008-03-31 2017-08-02 JFE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qualit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EP2450117B9 (en) * 2009-06-30 2017-04-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Use of a cooling device,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t-rolled steel sheet
BRPI1012747B1 (pt) * 2009-06-30 2020-10-20 Nippon Steel Corporation equipamento de resfriamento de chapa de aço, e equipamento de produção e método de produção de chapa de aço laminada a quente"
JP5646261B2 (ja) * 2010-09-22 2014-12-24 三菱日立製鉄機械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
JP5421892B2 (ja) * 2010-12-17 2014-02-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635267B (zh) * 2011-07-21 2015-08-0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冷却装置、热轧钢板的制造装置及热轧钢板的制造方法
JP6074197B2 (ja) * 2012-09-10 2017-02-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946380B2 (ja) * 2012-09-10 2016-07-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の冷却装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DE102012223848A1 (de) * 2012-12-19 2014-06-26 Sms Siema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von Walzgut
DE102013019698A1 (de) 2013-05-03 2014-11-06 Sms Sie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ischen Bandes
BR112021003034A2 (pt) * 2018-09-19 2021-05-11 Nippon Steel Corporation dispositivo de resfriamento para chapa de aço laminada a quente e método de resfriamento de chapa de aço laminada a quente
US10907226B2 (en) * 2018-12-20 2021-02-02 The Boeing Company Methods of modifying material properties of workpieces using high-pressure-torsion apparatuses
CN112845631B (zh) * 2021-01-04 2023-04-07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森吉米尔二十辊轧机三辊刮油装置
CN113957231B (zh) * 2021-09-29 2023-02-17 宁国市正兴耐磨材料有限公司 具有双冷却机构的铬系耐磨球冷却装置
CN114807792B (zh) * 2022-04-28 2023-08-01 镇江银海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防爆铝箔表面热处理用冷却装置及其冷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922A (ja) 1981-11-18 1983-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鋼板の急速冷却装置
JPS5976814A (ja) 1982-10-22 1984-05-02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却または加熱装置
DE3309173C2 (de) 1983-03-15 1985-05-02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Kühlwasser von Band- und Blechoberflächen
JPS60240865A (ja) * 1984-05-16 1985-11-29 Automob Antipollut & Saf Res Center 電磁式燃料噴射弁
JPH01114107A (ja) * 1987-10-27 1989-05-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受信レベル表示型衛星放送受信用アンテナ
JPH0318416A (ja) 1989-06-14 1991-01-28 Nippon Steel Corp 熱間仕上圧延機出側のラン・アウト・テーブル
JPH04238618A (ja) * 1991-01-07 1992-08-26 Nippon Steel Corp 鋼板下面冷却装置
JP3033289B2 (ja) 1991-09-30 2000-04-17 日本油脂株式会社 含フッ素系熱硬化性組成物
JPH081231A (ja) * 1994-06-16 1996-01-09 Nippon Steel Corp 熱板冷却装置
JP3300594B2 (ja) 1996-01-30 2002-07-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延鋼帯下面の冷却装置
JPH1058026A (ja) * 1996-08-23 1998-03-03 Sumitomo Metal Ind Ltd 高温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210993B2 (en) 2000-03-01 2016-07-06 JFE Stee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hot rolled steel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ot rolled steel band
JP3642031B2 (ja) 2001-02-15 2005-04-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
DE60235660D1 (de) 2002-08-08 2010-04-22 Jfe Steel Corp Kühlvorrichtung für heißgewalzte Stahlstreifen, Herstellungsverfahren für heißgewalzte Stahlstreifen und Produktionslinie für heißgewalzte Stahlstreifen
JP3770216B2 (ja) * 2002-08-08 2006-04-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延鋼帯製造ライン
JP4029871B2 (ja) * 2004-07-22 2008-01-0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774887B2 (ja) * 2005-09-27 2011-09-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製造方法
EP2910317B1 (en) * 2008-07-16 2017-09-06 JFE Steel Corporation Cooling equipment for hot steel plate
BRPI1012747B1 (pt) * 2009-06-30 2020-10-20 Nippon Steel Corporation equipamento de resfriamento de chapa de aço, e equipamento de produção e método de produção de chapa de aço laminada a quente"
EP2450117B9 (en) * 2009-06-30 2017-04-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Use of a cooling device,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t-rolled steel sheet
JP4678448B2 (ja) * 2009-07-15 2011-04-2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714B1 (ko) 2013-12-06
BRPI1012747B1 (pt) 2020-10-20
EP2450116A1 (en) 2012-05-09
TWI432270B (zh) 2014-04-01
EP2450116A4 (en) 2014-07-23
CN102448630B (zh) 2015-02-25
TW201107054A (en) 2011-03-01
BRPI1012747A2 (pt) 2016-08-09
JPWO2011001898A1 (ja) 2012-12-13
US8394318B2 (en) 2013-03-12
JP4788851B2 (ja) 2011-10-05
CN102448630A (zh) 2012-05-09
US20120104666A1 (en) 2012-05-03
EP2450116B1 (en) 2016-08-10
WO2011001898A1 (ja)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714B1 (ko)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340202B1 (ko)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강판의 제조 방법
JP4029871B2 (ja)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7779661B2 (en) Cooling apparatus for a hot rolled steel strip and methods for cooling a hot rolled steel strip
JP5573837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冷却方法、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514932B1 (ko)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337815B1 (ko) 강판의 냉각 장치,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강판의 제조 방법
JP5673530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冷却方法、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458699B2 (ja)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074197B2 (ja)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5421892B2 (ja) 鋼板の冷却装置、熱延鋼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842189B2 (ja) 熱延鋼板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