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942A - 화상 감상용 안경 - Google Patents

화상 감상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942A
KR20120030942A KR1020110092148A KR20110092148A KR20120030942A KR 20120030942 A KR20120030942 A KR 20120030942A KR 1020110092148 A KR1020110092148 A KR 1020110092148A KR 20110092148 A KR20110092148 A KR 20110092148A KR 20120030942 A KR20120030942 A KR 2012003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liquid crystal
spectacle
crystal shut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오노
다쯔야 사까따
마사미찌 오까다
노부유끼 하라
나오또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8Adjustment ridges or no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glass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안경형 셔터 홀더는 프레임의 좌우 프레임 단부에 각각 연결된 좌우 템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템플부는 각각의 프레임 단부와 템플부 쌍에 대하여,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된 가동부가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다른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 위치의 이동에 따라, 좌우 템플부가 좌우 프레임 단부에 대해 각각 접혀질 수 있다. 쌍의 각각에 대하여, 템플부가 최대 각도로 펼쳐질 때, 접촉부는 가동부와 접촉을 이루며, 템플부의 최대 개방 각도는 가동부의 가동에 따라 변화된다.

Description

화상 감상용 안경{IMAGE VIEWING GLASS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9월 2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10642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이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좌우의 영상을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입체 화상을 감상하는데 이용되는 화상 감상용 안경과 같은 화상 감상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입체 화상을 감상하기 위해서, 좌안용 화상들과 우안용 화상들을 표시하고, 편광각이 다른 2개의 편광판이나 좌우 화상과 동기한 편광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는 2개의 액정 셔터(shutter)를 포함하는 안경형의 홀더(holder)를 두부에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두부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버추얼 리얼리티(virtual reality) 감상이나, 소형의 액정 패널 영상을 미러(mirror)와 같은 광학계를 통하여 직접 감상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frame)의 템플(temple)부(귀걸이부)와, 사용자의 코에 접촉해서 안경 프레임을 유지시키는 코 패드부(유지부)로 의해, 눈의 위치와 광축 간의 일치가 측정되는 영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1-305475호)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템플 폭을 가변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안경형 홀더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두부 크기가 다른 사용자도 안경형 홀더를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을 향상시킨 영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4-23581호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프레임의 코 패드부의 대부분에 있어, 얇은 패드 암(arm)은 테(rim)부에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접합된다. 그러나,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탑재되는 코앞 패드가 교체 가능한 코 패드 지지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7-240700호 참조). 코 패드부는, 안경 프레임(테부)에 고정되고 있고, 렌즈 프레임의 외형으로부터 그다지 튀어나오지 않고 코의 상부(눈가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코 패드부가 안장(saddle)형이며, 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물 자체를 탈착 가능하게 교체할 수 있는 안경용 부품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6-91641호 참조).
그러나,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 또는 일반적인 템플부는, 메탈(니켈 및 티타늄의 합금, 금, 형상 기억 합금 등) 또는 플라스틱(아세테이트(acetate) 소재 또는 초탄성 수지)으로 만들어진다. 형상의 미세 조정(소성 변형)을 행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숙련 기술이나 장치 및 지그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사용자는, 입체 화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우안 화상들과 좌안 화상들을 표시하고, 편광각이 다른 2개의 편광판이나, 좌우 화상에 동기한 편광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는 2개의 액정 셔터를 포함하는 안경형 홀더를 두부에 착용해야 한다. 안경형 홀더가 텔레비전의 부속 용품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력 교정용의 안경 착용자뿐만 아니라, 남성, 여성, 어른 및 아이에 이르기까지 두부의 크기가 다른 사용자에 대해 1개의 부속 용품 안경형 홀더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종래에 따른 상술된 기술들에 있어서도, 다양한 두부 크기를 지닌 사용자로 하여금 안경형 홀더를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착용감을 향상시킨 영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4-23581호 참조)에서는, 두부의 폭에 대한 템플 폭을 가변시키기 위해 템플 폭 가변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경량화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복잡한 가동 기구를 안경형 홀더의 상부에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홀더 자체의 피팅(fitting)(안경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 전문화된 숙련 기술자, 전문화된 장치, 또는 지그 없이, 다른 사용자의 두부 폭에 대응될 수 있도록 템플부(귀걸이부) 또는 코 패드부 등의 초기 형상으로부터의 소성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형상의 미세 조정을 사용자가 행하는 것은 고려된 바가 없다.
입체 화상을 감상하기 위해서, 우안 화상들과 좌안 화상들을 표시하고, 편광각이 다른 2개의 편광판 또는 좌우 화상에 동기한 편광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는 2개의 액정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 감상용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 화상 등을 감상하기 위해서, 다양한 두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착용할 수 있는 신규하고 개량된 화상 감상용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안경형 셔터 홀더는 좌우 프레임 단부에 인접한 좌우 개구들을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형 셔터 홀더는 각각의 프레임 단부와 템플부 쌍에 대하여,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된 가동부가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다른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 위치의 이동에 따라, 좌우 템플부가 좌우 프레임 단부에 대해 각각 접혀질 수 있는 구성으로 좌우 프레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템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쌍의 각각에 대하여, 템플부가 최대 각도로 펼쳐질 때, 접촉부는 가동부와 접촉을 이루며, 템플부의 최대 개방 각도는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다양한 두부 크기에 대응하여 탑재될 수 있는 신규하고 향상된 화상 감상용 안경을 제공할 수 있어, 화상들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의 위에 포개어 적절히 착용할 수 있어 입체 화상 등을 감상할 수 있는 신규하고 향상된 화상 감상용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2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정면도.
도 4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우측면도.
도 5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도면으로서 템플 홀더를 분리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안경 프레임의 템플 홀더가 탑재되는 부분을 안경 프레임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템플의 각도 조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도.
도 7b는 템플의 각도 조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도.
도 7c는 템플의 각도 조정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는 슬라이드편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b는 슬라이드편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템플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시력 교정용 안경의 표준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시력 교정용 안경의 표준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표준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코 패드부의 주변의 겉면 및 이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코 패드부의 개구 각도를 조정하는 기구를 갖지 않는 구성을 나타내는 비교 예에 따른 개략도.
도 17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8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정면도.
도 19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우측면도.
도 20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좌측면도.
도 21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후방에서 본 배면도.
도 22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도.
도 23은 상부 차양부 내부에 탑재되는 회로 컴포넌트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24는 상부 차양부 내부에 탑재되는 회로 컴포넌트를 좌측 아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5는 측면 차양부의 커버를 떼어낸 경우에, 전원 케이블의 삽입구의 도면.
도 26은 측면 차양부에 형성된 삽입구 내에 삽입된 전원 케이블의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셔터 안경의 구성 예
2. 템플의 각도 조정 구조
3. 안경의 피팅
4. 셔터 안경의 다른 구성 예
[1. 셔터 안경의 구성 예]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액정 셔터 안경)(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사용자가 3D (입체) 화상을 감상하기 위해서 우안 및 좌안 화상들과 우안 화상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 장치)를 감상할 때, 사용자는 도시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한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에서는, 편광각이 다른 2개의 편광판과, 좌우 화상들과 동기한 편광 상태를 교대로 전환할 수 있는 2개의 액정 셔터가 안경 프레임(102)에 수납되어 있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는 디스플레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와, 액정 셔터 구동 회로와, 회로를 구동시키는 배터리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을 구비한다. 도 1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우측면도이다.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할 때, 사용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는 방식으로 착용한다. 또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는 다양한 두부 형태나 다양한 얼굴의 크기를 가진 어른으로부터 아이까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전체가 나타나 있다. 수지로 몰딩된 안경 프레임(102)의 좌우 양단부(아머(armors))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좌우의 양단부는 각각 힌지부를 거쳐 좌우의 템플 홀더(106)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템플 홀더(106)는 힌지부에 의해 접혀질 수 있다.
안경 프레임(102)에는 코 패드부(110)가 고정되어 있다. 코 패드부(110)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코를 양측에 끼워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고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 안장 형상을 가지는 코 패드부(110)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코의 중간부 부근에서 코에 닿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는 외측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우안 및 좌안이 가장 근접한 코의 상부(눈가 위치)에 닿아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 패드부(110)의 재료에 대해서는, 심재(core material)로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스프링 재료를 사용하고, 상기 심재의 표면은 연성의 수지로 피복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코 패드부(110)는 일정한 소성 변형 가능한 하중을 부여함으로써, 코에 대한 패드면(접촉 경사면) 및 코에 대한 압력을 사용자 개인에 각각 대응시켜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 패드부(110)는, 코에 가해지는 압박 흔적을 회피하는 기능과, 안정된 착용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템플(112)은, 템플 홀더(106)와 함께 일체로 몰딩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템플 홀더(106)와 결합되어 있다. 템플(112)의 재료에 대해서는, 심재로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스프링 재료를 사용하여, 후두부나 귀에 닿는 템플 단부(모던(modern)부 부근) 형상을 미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회전 래칫(ratchet) 기구 등을 사용하는 템플 폭의 변경과, 사용자의 미세 조정에 의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템플 각도 조정 구조]
다음으로, 템플(112)의 각도 조정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사시도이며, 템플 홀더(106)를 떼어낸 상태를 확대한 도면(확대도)이다. 도 6은 안경 프레임(102)의 템플 홀더(106)가 장착되는 부위를 안경 프레임(102)의 안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템플 홀더(106)에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 부 재(114)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부재(114)는 그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102)의 템플 홀더(106)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회전 부재(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홈(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홈(116)은 회전 부 재(11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홈(116)은 회전 부재(114)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동일한 형상의 두개의 홈(116)이 180°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홈(116)의 깊이는 원호의 원주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템플의 각도 조정 구조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a는 안경 프레임(102)과 템플 홀더(106)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쇄선 VIIB-VIIB, VIIC-VIIC 또는 VIIIB-VIIIB을 따라 취한 개략도이다. 도 7b에서 회전 부재(114)의 돌기(114a)는 오목부(116)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7c에서 회전 부재(114)의 돌기(114a)는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템플 홀더(106)는 안경 프레임(102)에 대하여, 회전축(1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118)에 의해 힌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템플 홀더(106) 및 템플(112)은 힌지부에 의해 접혀질 수 있다.
회전 부재(캠(cam))(114)에는, 판 스프링(120)을 끼워서 나사(122)가 체결되어, 회전 부재(114)는 템플 홀더(106)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14)는, 판 스프링(120)의 슬라이딩 저항을 극복하면서 템플 홀더(10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부재(114)의 각도 위치가 결정되면, 판 스프링 형상의 슬라이드편(120)이 슬라이딩할 때에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회전 부재(114)의 위치가 유지된다. 회전 부재(114)의 단부에는, 두개의 돌기(114a)가 180°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돌기(114a)가 형성되어 있다.
안경 프레임(102)의 2개의 홈(116)은 회전 부재(114)가 회전했을 때의 돌기(114a)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114)의 각도 위치에 따라, 돌기(114a)가 홈(116)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기(114a)는 홈(116) 안에 완전히 삽입된다. 따라서, 템플 홀더(106)의 개방 각도는 최대가 된다. 회전 부재(114)의 각도 위치에 따라, 홈(1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돌기(114a)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 도 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기(114a)는 홈(1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면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템플 홀더(106)의 개방은 최소가 된다.
홈(116)의 깊이는 미리 정해진 각도마다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사(122)의 머리에는, 일례로서 마이너스(-)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드라이버나 코인 등을 홈에 결합시켜 나사(122)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122)와 회전 부재(114)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돌기(114a)가 홈(116)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나사(122)를 60°회전시킴으로써, 홈(116)의 깊이가 보다 얕은 위치로 돌기(114a)의 위치가 이동한다. 돌기(114a)의 위치가 홈(116)의 보다 얕은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템플 홀더(106)의 개방 각도(힌지 각도)가 약 2.5°만큼 좁혀지도록 홈(116)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다. 홈(1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면에 돌기(114a)가 접촉한 경우, 템플 홀더(106)의 개방 각도(힌지 각도)가 약 2.5°만큼 더 감소되도록 홈(116)의 깊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템플(112) 개방 각도(약 5°)가 2 단계로 조정될 수 있고, 좌우 2개의 템플(112)의 폭을 초기 설정 폭보다 좁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회전 부재(114)에 2개의 돌기(114a)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돌기(114a)의 수는 1개이어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의 회전 부재(114)에서의 템플(112)의 개방 각도 조정 기구는 일례일 뿐이다. 대안으로서, 슬라이드편을 꽂아, 복수의 정점을 갖는 산형(山形)부를 꽂고 빼내는 구조이어도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슬라이드편을 포함하는 조정 기구의 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b에는, 도 7b 및 도 7c와 마찬가지로, 도 7a의 쇄선 VIIB-VIIB, VIIC-VIIC 또는 VIIIB-VIIIB를 따라 취한 위치에서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8a에는, 도 8b의 쇄선 VIIIA-VIIIA를 따라 취한 위치에서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템플 홀더(106)의 단부에는 개구(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28) 안에는 슬라이드편(120)이 삽입되어 있다. 슬라이드편(120)은, 개구(128) 안에서, 쇄선 VIIIA-VIIIA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편(120)에는 안경 프레임(102)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20a)가 제공되어 있다. 안경 프레임(102)의 슬라이드편(120)과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120a)의 이동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깊이가 변화되는 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편(120)의 폭방향의 측면에는, 슬라이드편(120)의 폭 방향으로 돌기(120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20b)는 홈(126)의 깊이에 대응해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24) 중의 1개와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편(120)을 슬라이드 시키는 경우, 돌기(120b)가 오목부(124) 중의 1개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편(120)의 위치가 규정된다. 또한, 슬라이드편(120)의 위치에 따라, 돌기(120a)가 홈(126)과 접촉하는 깊이가 변화되기 때문에,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템플(112)의 개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초기 설정의 템플 폭을 175mm로 하고, 길이를 130mm로 설정했을 경우, 홈(126)의 깊이를 3단계로 설정했다고 하면, 1단계의 조정(2.5°의 조정)에 의해 템플 폭을 164mm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2단계의 조정에 의해 템플 폭을 153mm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3단계의 조정에 의해 템플 폭을 141mm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아이 등과 같은 두부가 작은 사람도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할 수 있다. 코 패드부(110)의 조정과 템플 폭의 조정에 의해, 두부 크기가 상이한 사용자도, 위화감 없이, 안정적으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템플 스프링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템플 스프링 압력으로서는, 약 80 그램 내지 120 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장된 하중은 복수의 사용자의 착용 테스트로부터 얻어진 결과의 평균적인 값이다.
또한, 회전 부재(114)에 의해 템플 폭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템플(112)의 탄성만으로 조정하는 경우에 비하면, 과도한 템플 스프링 압력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안경의 피팅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표준 크기의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시력 교정용 안경(300)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가 포개져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서, 거리 a는 두부 폭의 통계적인 크기이다. 성인 남성과 여성의 평균치는 160mm 내지 152mm의 범위 내에 있다. 거리 a의 최대치는 약 174mm이며 최소치는 약 140mm이다. 가변 폭은 34mm이다. 1개의 안경 홀더만을 사용하여, 두부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템플 폭 조정에 어느 정도의 가변폭을 설정해야 한다.
도 11에서, 거리 b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좌우의 코 패드부(302) 사이의 폭이며, 시력 교정용 안경의 안경 렌즈의 크기나, 안경 프레임의 디자인 형상에 좌우된다. 동공간 거리의 평균치는 61mm 내지 64mm 범위 내에 있다. 동공간 거리의 최대치는 71mm이며, 동공간 거리의 최소치는 61mm 이다. 좌우의 렌즈 프레임간의 코 폭(산형 폭)은, 렌즈 프레임의 형상이나 디자인에 따르지만, 약 14mm 내지 약 19mm의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는, 디자인의 관점에서 안경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고, 코의 상부, 즉, 눈가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의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장착하는 것을 상정했을 경우, 시력 교정용 안경 프레임보다 약간 큰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준비하여, 안장형의 코 패드부(110)의 형상 및 형성 위치가 최적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코 패드부(110)의 코에 대한 닿음 위치가 시력 교정용 안경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와 시력 교정용 안경을 포개어 착용할 수 있다.
도 12에서, 거리 c는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각막의 정점에서 렌즈의 이면까지의 거리이다. 시력 교정시의 일반적인 표준값은 12mm이다. 도 12에서, 거리 d는 시력 교정용 안경 렌즈의 이면에서 사용자의 귀까지의 템플의 길이이다. 두부의 폭에 대응하는 템플 폭의 조정 범위는 일반적으로 20mm 내지 80mm이며, 약 4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에 대응하기 위해서, 많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에서는, 탄성을 가지는 비교적 고가인 합금제나 수지로 만들어진 템플을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템플 폭과 코 패드부(110)의 조정에 의해 두부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한다. 이때, 템플 폭의 대략 조정에 의한 두부 폭으로의 대응과, 코 패드부(110)의 사용자 개인에 의한 미세 조정을 통하여, 죄어지는 압력은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착용감(피팅감)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시력 교정용의 안경의 좌우의 템플은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 폭에 따라 귀측(얼굴의 뒷측)을 향하여 템플 폭을 넓혀도 좋다. 템플의 첨단(모던(modern))은, 직선이기 보다는 안쪽으로 만곡하여도 좋으며, 후두부를 향해 피팅되는 것이 많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시력 교정용 안경을 조정하는 피팅은 (1) 좌우 템플의 위치를 코 패드의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와, (2) 코 패드나 템플의 귀까지 조정을 실행하는 단계와, (3) 렌즈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4) 렌즈의 중심을 프레임의 주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시력 교정용 안경에서는, 템플의 조정과 좌우의 코 패드의 조정에 의해, 적절한 렌즈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템플의 재료가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 계수가 작은 티타늄 합금이나 Ni-Ti계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를 사용한다. 또한, 이들 탄성 부재를, 유연성과 내구성을 겸비한 초탄성 플라스틱(크리스탈(crystal) 이미드 수지)이나 탄성 계수가 큰 비결정 열가소성 수지(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와 조합시킨 시력 교정용 안경이 있다. 이에 따라, 템플의 꺽임 없이, 템플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응력이 완화하는 효과를 지닌 방법이나 소재를 사용한 시력 교정용 안경도 있다.
그렇지만, 시력 교정용 안경에서의 피팅은 제조사측이나 점포측에서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며, 시력 교정용 안경이므로 특정 1명의 사용자에 대한 피팅이다. 따라서, 개별 사용자에 대하여, 말하자면 현물 맞춤의 커스터마이즈에 의한피팅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는, 3D 텔레비전과 세트로 함께 판매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정 내에서의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사용을 상정했을 경우, 어른, 아이, 남성, 여성을 막론하고, 다양한 크기의 두부를 갖는 복수의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공용한다. 사용자가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 즉, 사용자가 2가지 형태의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상정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는 사용 동안에 각 쌍의 시력 교정용 안경에 포개진다.
따라서, 템플의 개방 각도가 상술한 래칫 형태의 조정 기구에 의해 단계적으로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템플 자체가 소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어른, 아이, 남성, 여성을 막론하고, 다양한 크기의 두부를 갖는 사용자에게 최적이도록 피팅이 실행된다.
도 9는 템플(1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템플(112)의 재질에 관해서는, 템플(112)에서의 심재로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스프링 재료(112a)가 제공된다. 피트감의 향상을 위해서, 템플은 탄성 중합체(elastomer)와 같은 수지 재료(112b)로 스프링 재료(112a)를 피복한 구조를 갖는다. 스프링 재료(112a) 및 수지 재료(112b)는, 템플 홀더(106)와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템플(112)은, 사용자가 템플(112)을 자신의 손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해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템플(112)이 원하는 형상으로 소성 변형된 경우, 템플(112)의 구부러짐이 복귀되는 범위에서 템플(112)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두부폭보다 조금 작은 폭으로 소성 변형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두부에 착용할 때는 탄성 변형에 의해 템플(112)의 형상이 약간 복귀된다. 따라서, 탄성에 의해 두부에 따라 템플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템플(112)의 변형과 함께, 회전 부재(114)의 회전에 의해 템플 폭을 2 내지 4 단계로 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부폭이 다른 사용자에의 착용감이 최적이도록 템플의 폭을 미조정할 수 있다. 심재로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스프링 재료(112a)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안경에 사용되는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제조 가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소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스프링 재료(112a)에 구멍이나 홈 등을 형성해도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사용자의 두부를 위에서 본 경우에,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의 좌측에는, 템플(112)및 코 패드부(110)가 피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의 우측에는, 템플(112) 및 코 패드부(110)가 사용자의 두부, 코에 피팅되도록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는, 사용자가 어른이며, 두부가 일반적인 성인의 크기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회전 부재(114)의 돌기는 홈(116)의 가장 깊은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템플(112)의 개방 각도는 최대가 된다. 사용자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자신의 두부에 착용한 후, 템플(112)을 자신의 두부의 윤곽에 따라 구부린다. 이후, 사용자가 어른인 경우, 최적인 상태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자신의 두부에 피팅시킬 수 있다.
도 14에서는, 도시된 사용자가 아이이며, 두부가 비교적 작은 경우이다. 이 경우, 회전 부재(114)의 돌기는 홈(116)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며, 템플(112)의 개방 각도는 최소가 된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자신의 두부에 착용한 후, 템플(112)을 자신의 두부에 따라 구부린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이인 경우, 템플 폭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자신의 두부에 최적으로 피팅할 수 있다.
또한, 안장형의 코 패드부(110)는, 일반적인 안경의 코 패드부(302)의 위치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코에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302)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코 패드부(11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쌍방의 코 패드부(110 및 302)가 코에 안정적으로 닿는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에서, 안장형의 코 패드부(110)는 템플(112)과 마찬가지로, 심재와 피복 재료의 2겹 구조를 갖는다. 심재로서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스프링 재료를 이용하고, 심재의 표면을 탄성 중합체와 같은 수지 재료로 피복한다. 이에 따라, 코 패드부(110)는 일반적인 변형 및 비틀림에 의한 변형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코 패드부(110)를 최적으로 변형 시킴으로써, 최적의 피팅을 행할 수 있다.
도 15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코 패드부(110)의 주변의 표면 및 이면(얼굴에 닿는 측)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코 패드부(110)는 도 15에 나타낸 고정 위치의 부근에서 안경 프레임(102)에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어른이며, 코의 크기, 폭이 비교적 클 경우(일반적인 성인의 크기의 경우), 코 패드부(110)는 코의 폭에 맞춰 코 패드부(110)의 개방 각도를 크게 조절함으로써 코에 피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아이이며, 코의 크기, 폭이 비교적 작을 경우, 코 패드부(110)는 코의 폭에 맞춰 코 패드부(110)의 개방 각도를 작게 조절함으로써 코의 크기에 피팅될 수 있다.
코 패드부(110)의 개방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코 패드부(110)의 전방 단부의 위치(hb) 및 도 12에 나타낸 코 패드부(110)의 전방 단부의 깊이(hc)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했을 경우,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302)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코 패드부(11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수직으로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비교 예에 따라 코 패드부(110)의 개방 각도를 조정하는 기구를 갖지 않는 경우의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 시력 교정용 안경과 간섭하지 않도록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위치를 앞에 두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가 아래로 내려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액정 셔터의 개방 위치가 아래로 벗어나 버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화상의 일부가 결여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에서는, 코 패드부(11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설정하여, 코 패드부(110)의 개방 각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시력 교정용 안경으로부터 떼어 놓은 경우라도, 코 패드부(110)의 전방 단부 폭(ha), 코 패드부(110)의 전방 단부 위치(hb), 및 코 패드부(110)의 전방 단부 깊이(hc)를 조정함으로써 액정 셔터의 위치를 광축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코 패드부(110)의 폭(ha)은, 시력 교정용 안경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302)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들(302)의 간극(도 11에 나타낸 각극 (b))은 평균적인 코폭의 값인 약 16mm 내지 약 18mm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이용의 안경으로서, 코폭은 약 14mm 내지 약 15mm의 범위 내이다. 유아용의 안경으로서, 코폭은 약 12mm 이다. 따라서, 폭(ha)을 12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른에서 아이까지 모든 종류의 시력 교정용 안경의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할 수 있다.
시력 교정용 안경의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를 착용하기 위해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크기를 시력 교정용 안경 홀더의 표준 크기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 패드부(110)의 코에 대응하는 부분의 위치를 하방으로 낮출 필요가 있어, 코하부 전방 단부의 폭(ha)는 약 20mm가 된다. 코 하부의 전방 단부는, 광축보다 낮아지도록 약 25mm (=hb)의 위치에 위치된다. 각막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는, 각막 표면과 일반적인 안경 렌즈의 이면과의 거리가 12mm의 표준값이므로, 13mm (=hc) 이상이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력 교정용 안경과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2겹으로 착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의 이면의 높이가 안경 렌즈 및 프레임의 높이가 아닌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습관적인 착용 위치와의 관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큰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와 코 패드부(110)의 위치 관계로 인해 안경과의 광축을 약간 어긋나게 하여도 사용자의 입체 화상 시청에는 성능적으로 문제가 없다.
상술된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1개의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00)로 어른, 아이, 남성, 여성의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시력 교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나 상이한 두부 크기를 갖는 사용자라도, 고가인 재료를 사용할 필요 없이, 회전 래칫 기구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2 내지 4 단계의 템플 폭 조정과 미조정 기구의 사용에 의해, 용이하게 입체 화상 시청용의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성인 남성에서 여성(아이)까지의 약 최대 175mm로부터 약 140mm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두부폭에 대해, 래칫 기구에 의한 템플 폭의 단계 조절과 템플 자체의 스프링 물성의 효과에 의해, 개별 사용자에 대한 최적화가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안경을 착용하거나 벗을 경우, 템플(112)의 영구적인 소성 변형을 방지하면서, 두부의 곡선이나 귀의 곡선에 적합하도록 템플(112)의 단부(모던부)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조정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에 대응하는 템플은 힌지부와 회전 래칫 기구를 포함하고, 단계적으로 두부에 닿는 폭을 가변할 수 있다. 템플 폭을 변경하는 회전 부재(114)에 돌출부(114a)가 제공되어 있다. 대응 면에 단계적으로 깊이가 변경되는 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114)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안경 프레임(102)과 템플(112)의 부착 각도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평균 두부폭인 약 최대 175mm로부터 약 140mm의 적합한 크기로 사용자 자신에 의해 단계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두부폭이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1개의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부속 용품만을 사용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102)의 템플(112)에는, 심재로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스프링 물성을 갖는 스프링 재료(112a)가 사용되며, 스프링 재료(112a)의 표면에는 연성의 수지(112b)로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템플(112)에 하중을 부여하여 형상의 미조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가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의 미조정시에 요구되는 숙련 기술이나 특수 장치, 지그를 사용함 없이, 사용자는 자신에 의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미조정할 수 있다.
[4. 셔터 안경의 다른 구성 예]
도 17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액정 셔터 안경)(17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사용자가 우안 및 좌안 화상들과 우안 화상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표시장치)을 시인하여, 3D (입체) 화상을 감상할 때, 사용자는 도시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자신의 두부에 착용한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에서, 좌우 화상들과 동기한 편광 상태를 교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2개의 액정 셔터가 안경 프레임(1702)에 수용되어 있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나, 액정 셔터의 구동회로 및 회로 구동 배터리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을 갖는다. 도 17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8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저면도이다.
사용자는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지도록,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다. 또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는 다양한 두부 형태 및 다양한 얼굴 크기를 지닌 어른으로부터 아이까지의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경 프레임(1702)은, 주위를 둘러싸도록 액정 셔터를 보유하는 좌우의 테와, 테를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를 포함한다. 안경 프레임(1702)은 수지 재료로 몰딩된다. 안경 프레임(1702)의 단부(아머)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의 좌우 단부는 각각 힌지부를 통하여 좌우의 템플(1712)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템플(1712)은 힌지부에 의해 접혀질 수 있다.
도 17의 상부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170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수평 상부 차양부(1715)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 차양부(1715)는 덮개(brim part)로서 기능한다. 상부 차양부(1715)는 안경 프레임(1702)의 상부를 덮어, 윗쪽에서 입사하는 외광을 가로막는다.
도 19 및 도 20의 좌우의 측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1702)의 좌우의 양단부(아머)에는, 템플(1712)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는 측면차양부(1716)가 부착되어 있다. 측면 차양부(1716)는 덮개로서 기능한다. 측면 차양부(1716)는 안경 프레임(1702)의 좌우의 측면들을 덮어, 측면에서 입사하는 외광을 가로막는다.
이렇게, 외광이 눈에 입사하는 것을 상부 차양부(1715) 및 측면 차양부(1716)가 방지하기 때문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입체 화상에 집중해서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외광에는,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 이외에, 형광등과 같은 조명광도 포함된다. 상부 차양부(1715) 및 측면 차양부(1716)가 조명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입체 화상 차이의 편광 방향으로 균일한 조명광으로 인해 초래되는 깜박임(flicker)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어질 수 있다.
도 21에서 참조 번호 1717는 셔터 렌즈의 원주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원주 부분이 쉽게 광을 흡수하는 흑색 또는 다른 색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더욱 화상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7의 실시형태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형태를 비교하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상부 차양부(1715)는 넓은 저면적을 갖는다. 상부 차양부(1715)의 저면적이 넓으면, 외광 방지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셔터 구동 회로나, 회로 구동 배터리, 및 적외선 신호 처리 회로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부 차양부(1715)가 좁은 경우, 예를 들면, 측면 차양부(1716)와 같은 측면에 전기 전자 부품을 탑재해야만 하므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수평 방향 폭이 상당히 커져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의 폭이 보다 작고, 콤팩트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가 도 17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액정 셔터의 구동 회로나, 회로 구동 배터리, 및 적외선 신호의 처리 회로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을 상부 차양부(1715) 안에 수납하면, 중량물이 전방에 배치되게 되므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 전체의 중심은 전방으로 치우치게 된다.
상부 차양부(1715) 내부의 회로 탑재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차양부(1715)의 윗면에 전원 버튼(1718)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 버튼(1718)을 턴 온 하면, 액정 셔터의 구동 회로에 전원이 투입되어, 좌우의 액정 셔터의 동작이 시작된다. 이후,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를 착용한 사용자는 입체 화상을 감상할 수 있다. 예컨대, 좌우의 액정 셔터의 온/오프 타이밍에 관한 정보는,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통하여 주어진다(공지된 내용임).
전원 버튼(1718)이 상부 차양부(1715)의 윗면 또는 안경 프레임(1702)의 테의 윗면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전원 버튼(1718)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하여 전원 버튼(1718)을 누른 경우에도, 코 패드부(1710)나 템플(1712)로부터 반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위치가 벗어날 일은 없다. 한편, 전원 버튼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의 측면이나 저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조작하기 어렵다. 이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가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상부 차양부(1715)의 저면적은 넓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경우, 상부 차양부(1715)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안경 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아래에 위치된 시력 교정용 안경으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지지한다. 이때,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무게는 코 패드부와 안경 프레임(1702)에 분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무게를 느끼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은 좋다.
도 19 및 도 20의 좌우 측면도 및 도 21의 배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부는 안경 프레임(1702)의 양단부(아머)의 상부에 배치되며, 템플(1712)은 안경 프레임(1702)의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경우, 템플(1712)은 안쪽에 위치된 시력 교정용 안경의 템플과는 높이가 상이하다. 따라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템플은 시력 교정용 안경의 템플과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2겹으로 착용할 수 있다.
템플(1712)은 접혀지기 어려운 경량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Grilamid(상표)와 같은 나일론계의 소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했을 때, 템플(1712)이 적절히 구부러진다. 따라서, 착용감이 좋고, 사용자가 강제로 템플을 구부린 경우에도 템플은 거의 접혀지지 않는다. 따라서, 템플 폭을 조정하는 기구가 제공되지 않아도, 두부 크기가 상이한 사용자가 좌우 템플(1712)을 구부림으로써 남성, 여성, 어른, 아이에 관계없이 위화감 없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템플 스프링 압력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의 평면도, 도 21의 배면도 및 도 22의 저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1702)의 좌우의 테의 안쪽에는, 한 쌍의 코 패드부(1710)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코 패드부(1710)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 심재를 갖지 않는다. 코 패드부(1710)는 초박형으로 구성되어, 코 패드부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어 착용하는 경우, 코 패드부(1710)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를 피하도록 한다(코 패드부(1710)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코 패드부의 위치보다도 하측에서 코에 닿는다). 도 17 및 도 2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 패드부(1710)에는 구멍을 낼 수 있다. 구멍 없는 코 패드부에 비하여, 코 패드부(1710)는 보다 가볍고 유연하다.
도 23은 상부 차양부(1715) 내부에 탑재되는 회로 컴포넌트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상부 차양부(1715) 내부에 탑재되는 회로 컴포넌트를 좌측 아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셔터의 구동 회로(1721)는 상부 차양부(1715)의 우측에 배치되며, 회로 구동 배터리(1722)는 상부 차양부(1715)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중량이 있는 회로 컴포넌트를 좌우로 분산 배치함으로써,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 전체의 중량이 좌우로 균형을 이루게 되어 있다.
이렇게, 액정 셔터의 구동 회로(1721)와 배터리(1722)를 상부 차양부(1715)안에 수납하면, 중량물이 전방에 배치되므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 전체의 중심은 전방측에 치우친다. 사용자가 일반적인 시력 교정용 안경 위에 포개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경우, 상부 차양부(1715)는 시력 교정용 안경의 안경 프레임 상에 위치된다. 이때,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무게는 코 패드부와 안경 프레임(1702)에 분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무게를 거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좋은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722)는 충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용의 충전기를 제작해도 좋지만, 충전용 전원 케이블을 안경용 액정 셔터 홀더(1700)의 본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 내에 충전용 전원 케이블을 삽입하여, 배터리(1722)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원 케이블의 삽입구는 우측의 측면 차양부(1716)에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차양부(1716)로부터 커버를 떼어내면, 전원 케이블의 삽입구(1731)가 보이게 된다.
도 26은 측면 차양부(1716)에 형성된 삽입구(1731)에 전원 케이블(1732)을 삽입한 경우의 도면이다. 삽입구(1731) 내로의 전원 케이블의 삽입 방향은 아래를 향해 있다. 따라서,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삽입구(1731)내로 삽입된 전원 케이블(1732)은, 측면 차양부(1716)의 하부로부터 아래측으로 연장된다.
도 2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것 같이, 삽입구(1731) 내로 삽입된 전원 케이블(1732)이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갈 일은 없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1732)을 접속해서 배터리(1722)의 충전을 행하면서 화상을 감상하는 것, 즉 오퍼레이션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예에서, 전원 케이블(1732)로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사용된다. 안경형 액정 셔터 홀더(1700)의 삽입구(1731) 내에는 USB 케이블의 일단의 디바이스 접속용 B 플러그가 삽입되며, USB 케이블의 타단의 호스트 접속용 A 플러그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호스트 기기의 USB 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USB 케이블의 전원 라인(VBUS)을 거쳐 급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특정 인터페이스 표준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이의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설계 요건들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대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7)

  1. 안경형 셔터 홀더로서,
    좌우 프레임 단부에 인접한 좌우 개구들을 각각 가지는 프레임과,
    각각의 프레임 단부와 템플부 쌍에 대하여, 상기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된 가동부가 상기 쌍의 템플부 및 프레임 단부 중 다른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 위치의 이동에 따라, 좌우 템플부가 상기 좌우 프레임 단부에 대해 각각 접혀질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좌우 프레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좌우 템플부를 포함하며,
    상기 쌍의 각각에 대하여, (i) 상기 템플부가 최대 각도로 펼쳐질 때,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동부와 접촉을 이루며, (ii) 상기 템플부의 최대 개방 각도는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안경형 셔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템플부는 소성 변형가능한 스프링 재료를 포함하는, 안경형 셔터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동부는 단계적으로 상기 접촉부와 가동가능하게 접촉을 이루는, 안경형 셔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셔터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안경형 셔터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안경형 셔터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코 패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 패드부는 고무 재료를 포함하며, 금속 심재(core)를 포함하지 않는, 안경형 셔터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테(rim)에서 프레임에 부착되는 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셔터 홀더.
KR1020110092148A 2009-09-18 2011-09-09 화상 감상용 안경 KR20120030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6816 2009-09-18
JP2010210642A JP2011085929A (ja) 2009-09-18 2010-09-21 画像鑑賞用眼鏡
JPJP-P-2010-210642 2010-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942A true KR20120030942A (ko) 2012-03-29

Family

ID=4330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148A KR20120030942A (ko) 2009-09-18 2011-09-09 화상 감상용 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226227B2 (ko)
EP (1) EP2302441A1 (ko)
JP (1) JP2011085929A (ko)
KR (1) KR20120030942A (ko)
CN (3) CN1020233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6140A (zh) 2009-09-30 2012-07-11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透镜组装方法、透镜组装体以及具备透镜组装体的摄像装置
TWI387315B (zh) * 2010-06-29 2013-02-21 Acer Inc 用來觀看立體影像之快門眼鏡
JP2012058531A (ja) * 2010-09-09 2012-03-22 Seiko Epson Corp 映像鑑賞用眼鏡、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TW201215944A (en) * 2010-10-14 2012-04-16 Hon Hai Prec Ind Co Ltd Glass adjust structure
CN102455514A (zh) * 2010-10-20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眼镜调整结构
JP5760869B2 (ja) * 2011-09-02 2015-08-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US9766479B2 (en) * 2011-03-05 2017-09-1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Eyeglasses for personal and commercial use including reuse in 3D theater and other repeated operations
KR200471669Y1 (ko) * 2011-08-23 2014-03-10 한라옵틱 주식회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의 결합 안경테
JP6196014B2 (ja) * 2011-08-30 2017-09-13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シャッター眼鏡装置
CN102591015A (zh) * 2011-11-25 2012-07-18 张志达 千里眼眼镜
US10768449B2 (en) 2012-01-17 2020-09-08 Imax Theatres International Limited Stereoscopic glasses using tilted filters
JP6259765B2 (ja) * 2012-10-09 2018-01-10 サンテプラス株式会社 装着式双眼鏡
JP5699248B2 (ja) * 2013-02-06 2015-04-08 増永眼鏡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部材
JP6201347B2 (ja) * 2013-03-11 2017-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US9406253B2 (en) * 2013-03-14 2016-08-02 Broadcom Corporation Vision corrective display
JP6209423B2 (ja) * 2013-11-07 2017-10-04 ミドリ安全株式会社 保護眼鏡
KR102393228B1 (ko) 2015-05-11 2022-04-29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뉴럴 네트워크들을 활용하여 생체 인증 사용자 인식을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60358181A1 (en) * 2015-05-14 2016-12-08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biometric data
KR101743568B1 (ko) * 2015-06-16 2017-06-05 김용만 검안장치
CN105938248A (zh) * 2016-05-12 2016-09-14 深圳增强现实技术有限公司 用于增强现实智能眼镜的用户友好型固定系统
US10268042B2 (en) 2016-08-19 2019-04-23 Seiko Epson Corporation Head-mounted image display device
JP6844245B2 (ja) * 2016-08-19 2021-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CN109923444B (zh) 2016-09-30 2023-11-28 杜比实验室特许公司 适于面部几何形状的3d眼镜
JP6868034B2 (ja) * 2016-10-03 2021-05-12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ケース
JP2018084666A (ja) * 2016-11-24 2018-05-31 株式会社シャルマン 眼鏡の耳あて部及びこの耳あて部を備えた眼鏡
US10444516B2 (en) * 2017-04-05 2019-10-15 North Inc. Head-worn display apparatus having flexible stems
CN107741642B (zh) * 2017-11-30 2024-04-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现实眼镜及制备方法
JP2019129484A (ja) * 2018-01-26 2019-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及び虚像表示装置用のノーズパッド
KR102587025B1 (ko) * 2018-02-26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글래스 장치
US20200306088A1 (en) * 2019-03-29 2020-10-01 100% Speedlab, Llc Goggle strap retention systems and methods
CN111812840B (zh) * 2019-04-10 2022-09-1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装置
CN110275320B (zh) * 2019-04-13 2020-09-01 广西浦晶光学有限公司 一种夜视眼镜
JP7338235B2 (ja) 2019-05-22 2023-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型表示装置
JP7392288B2 (ja) 2019-05-22 2023-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型表示装置
CN112083570A (zh) * 2019-06-14 2020-12-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CN112083572B (zh) * 2019-06-14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支架及头戴式设备
US11506905B2 (en) * 2019-06-21 2022-11-22 Realwear, Inc. Hinged head-mounted display
WO2021114254A1 (zh) 2019-12-13 2021-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增强现实眼镜
US11726347B2 (en) 2020-02-18 2023-08-15 Magic Leap, Inc. Multiple degree of freedom hinge systems and eyewear devices comprising such hinge systems
CN116068788A (zh) * 2021-10-29 2023-05-05 富泰京精密电子(烟台)有限公司 转轴结构及终端产品
US20230367137A1 (en) * 2022-05-10 2023-11-16 Kenneth Kubala Eyewear with 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6632A (en) * 1952-05-14 1956-07-31 Kendrick T Parsell Spectacle frame
US3574451A (en) * 1969-06-12 1971-04-13 Achille Lazazzera Spectacle frame
US3759608A (en) * 1972-03-02 1973-09-18 Mc Veigh Y Eyeglass frame adjuster
US3874775A (en) * 1973-06-01 1975-04-01 Harry J Lazarus Spectacle frame with temples angularly adjustable while spectacle frame is worn on head
JP2985231B2 (ja) * 1990-05-17 1999-11-2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5155507A (en) * 1991-11-14 1992-10-13 Ford John C Mounting for resilient glasses temples
US5699133A (en) * 1995-05-30 1997-12-16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shutter having a specified zero voltage time viscosity product or a specified driving frequency
ITTV980056A1 (it) * 1998-04-15 1999-10-15 United Optical Spa Struttura di astina, particolarmente per occhiali
JP4258950B2 (ja) 2000-04-27 2009-04-3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FR2856483B1 (fr) * 2003-06-20 2005-09-02 Richard Chene Monture de lunettes a sur-ouverture autour d'un point d'appui deporte
ITPD20040033U1 (it) * 2004-04-09 2004-07-09 Allison S P A Struttura di cerniera per occhiali
JP2006091641A (ja) 2004-09-27 2006-04-06 Kiyokazu Iijima 眼鏡及びそれに用いる眼鏡用部品
JP2007240700A (ja) 2006-03-07 2007-09-20 Mitsutoshi Yoshida 鼻当てパット支持体及びメガネ
US7621633B1 (en) * 2007-08-06 2009-11-24 Valerie Foster Reversible eyewear and associated method
JP2009216816A (ja) 2008-03-07 2009-09-24 Fujitsu Ltd 学習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
CN201600512U (zh) * 2009-12-25 2010-10-06 广州市高坚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弹性插接式眼镜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85929A (ja) 2011-04-28
CN102902065A (zh) 2013-01-30
US8491116B2 (en) 2013-07-23
US8226227B2 (en) 2012-07-24
CN102411209B (zh) 2015-07-15
CN102023384A (zh) 2011-04-20
US20120069294A1 (en) 2012-03-22
US8770741B2 (en) 2014-07-08
EP2302441A1 (en) 2011-03-30
US20120257126A1 (en) 2012-10-11
CN102902065B (zh) 2016-04-06
CN102023384B (zh) 2014-06-11
CN102411209A (zh) 2012-04-11
US20110069275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942A (ko) 화상 감상용 안경
TWI599796B (zh) 具有輸入與輸出結構的可戴式裝置
WO2018219241A1 (zh) 一种虚拟现实设备的脸托配件
US10444516B2 (en) Head-worn display apparatus having flexible stems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CN110927988A (zh) 一种可调节佩戴的眼镜
JP6196014B2 (ja) シャッター眼鏡装置
CN112462532B (zh) 眼镜
JP5199509B1 (ja) 折り畳めるモダン
KR200222095Y1 (ko) 결합식 안경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CN212647166U (zh) 一种虚拟现实眼镜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EP2625561B1 (en) Glasses
JP2023543597A (ja) 方法
TW201227048A (en) Image viewing glasses
WO2007148650A1 (ja) 眼鏡セット
JP2020008654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JP7491012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WO2021199097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用眼鏡フレーム
JP2865589B2 (ja) 立体映像再生システム用液晶シャッタ眼鏡
JP2011065017A (ja) 画像鑑賞用眼鏡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CN217718307U (zh) 一种镜架及眼镜
KR20230013327A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