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95Y1 - 결합식 안경 - Google Patents

결합식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95Y1
KR200222095Y1 KR2020000034342U KR20000034342U KR200222095Y1 KR 200222095 Y1 KR200222095 Y1 KR 200222095Y1 KR 2020000034342 U KR2020000034342 U KR 2020000034342U KR 20000034342 U KR20000034342 U KR 20000034342U KR 200222095 Y1 KR200222095 Y1 KR 200222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ens
glasses
rear seating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필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언아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언아더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언아더월드
Priority to KR2020000034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95Y1/ko
Priority to US09/829,042 priority patent/US63790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95Y1/ko
Priority to JP2001164979A priority patent/JP2002196286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합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 수지제 헤드 후방 둘레면과 헤드 좌우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헤드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한 후방 안착부재와, 상기 후방 안착부재의 돌출부를 길이방향으로 수납하도록 수용홈이 연속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리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붙이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후방 안착부재의 이동으로 결합식 안경의 내경이 조정됨으로써 이용시 착용감이 극대화될 수 있고, 렌즈붙이 지지부재가 회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착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된 결합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식 안경{Foldable glass}
본 고안은 결합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물의 판단에 도움을 주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붙이 지지부재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결합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범용안경은 렌즈의 크기와 디자인을 중시하지만 사용자의 헤드크기 즉, 눈과 귀와의 거리에는 관계없이 거의 일률적으로 제작되어,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는 귀와 코의 상단에 대해 통증을 느껴 안경의 착용감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일상생활에서 특정한 활동과 평상시 활동을 구분하여 자주 안경을 착탈하는 사용자에게는 안경이 놓인 위치를 일일이 기억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경로형상으로 사용자의 눈과 귀와의 거리에 따라 내경의 크기가 조정되고, 사물의 판단에 도움을 주는 렌즈를 포함한 렌즈 붙이 지지부재의 회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안경의 흘러내리는 현상이 제거되고, 안경착용자가 느낄수 있는 귀 및 코의 상단에 대한 통증이 최소화되며, 잦은 안경의 착탈에 대한 불편함과 안경이 놓은 위치를 일일이 기억해야하는 문제점이 제거됨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전방을 제외한 헤드에 고정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결합식 안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렌즈 붙이 지지부재가 회동된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결합식 안경 20...후방 안착부재
22...위치결정돌기 24...조절체
26...입력잭 28...입력단자
30...다리부재 32...걸림홀
34...고정돌기 36...탄성편
38...수용홈 40...렌즈 붙이 지지부재
42...렌즈 44...힌지부
46...액정셔터 50...계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 안착부재, 상기 후방 안착부재가 왕복이동되도록 결합되면서 다단계로 고정가능하도록 계합부에 의해 후방 안착부재와 체결되는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 렌즈 붙이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선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식 안경(10)은 후방 안착부재(20), 상기 후방 안착부재(20)의 양측선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계합부(50)에 의해 후방 안착부재(20)와 체결되는 다리부재(30), 및 상기 후방 안착부재(20)가 체결되는 선단과 대응되는 다리부재(30)의 타측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렌즈 붙이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식 안경(10)은 사용자의 헤드중 눈이 위치한 부위의 헤드둘레 형상과 동일할 수 있도록 폐경로로 굴곡되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력성을 가지는 수지제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안착부재(20)에는 양선단부의 서로 마주보이는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성형된 다수 개의 위치결정돌기(22)를 포함하는 조절체(24)가 길이방향으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재(30)에는 후방 안착부재(20)측 선단부의 서로 마주보이는 내측 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걸림홀(32)과 탄성편(36)이 각각 성형되고, 상기 후방 안착부재(20)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용홈(38)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6)에는 걸림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합부(50)는 결합식 안경(10)의 내경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 안착부재(20)의 조절체(24)와 다리부재(30)의 걸림홀(32) 및 탄성편(3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계합부(50)의 결합 즉, 조절체(24)가 수용홈(38)에 삽입된 후, 조절체(24)의 위치결정돌기(22)가 탄성편(36) 및 걸림홀(32)과의 상호 걸림작용으로 후방 안착부재(20)와 다리부재(30)가 체결됨으로써, 결합식 안경(10)의 내경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렌즈 붙이 지지부재(40)에는 사물의 판단에 대해 도움을 주는 렌즈(42)가 장착되고, 양선단부에 반원형상의 힌지부(44)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재(30)와 렌즈 붙이 지지부재(40)는 힌지부(44)를 매개체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1의 참조부호 'A'는 외압 및 내압으로 부터 보호되기 위해 보강된 후방 안착부재(20)의 굴곡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렌즈 붙이 지지부재가 회동된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식 안경(10)의 렌즈 붙이 지지부재(40)는 다리부재(30)측 또는 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렌즈 붙이 지지부재(40)는 힌지부(44) 또는 힌지부(44)의 결합위치에 따라 다각도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의 착용법을 설명한다.
계합부(50)에 의해 후방 안착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되어 결합식 안경(10)의 내경의 크기가 조정된 후, 결합식 안경(10)이 사용자의 헤드에 탄력적으로 착용되면, 다리부재(30)는 사용자의 양측 귀의 상단과 헤드사이에 생긴 소정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렌즈 붙이 지지부재(40)가 회동되어 사용자의 눈과 렌즈(42)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을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안착부재(20)에는 입력신호장치(미도시)가 연결된 입력잭(26)과 결합되는 입력단자(28)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28)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액정셔터(46)가 렌즈 붙이 지지부재(40)에 장착된다.
상기 입력단자(28)에서 액정셔터(46)까지 영상신호가 전달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식 안경(10)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의 착용 및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에 기술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안경(10)의 착용방법과 동일하게 착용하면, 입력잭(26)을 통해 영상신호가 입력단자(28)에 전달되고, 전달된 영상신호는 액정셔터(46)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액정셔터(46)에 도달된 영상신호가 입체영상모니터(미도시)의 짝수 및 홀수 필드에 전송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따라 좌, 우측 액정셔터(46)를 통해 입체영상으로 비춰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최적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결합식 안경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헤드 크기 즉, 눈과 귀와의 거리에 따라 결합식 안경의 내경 크기가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착용감이 극대화되었다.
둘째, 렌즈가 포함된 렌즈 붙이 지지부재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특정활동 및 일상활동에 구분되어 이루어진 잦은 착탈이 최소회되고, 안경이 놓인 위치를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제거되었다.
셋째, 종래의 안경 착용시 발생되었던 흘러내리는 현상이 제거되었다.

Claims (4)

  1. 가요성 자재로 되어, 헤드 후방 둘레면과 헤드 좌우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헤드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한 후방 안착부재와,
    상기 후방 안착부재의 돌출부를 길이방향으로 수납하도록 수용홈이 연속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다리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붙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붙이 지지부재는 상기 헤드 전방면에 대체로 접근하는 각도 혹은 그보다 작은 각도에서 상기 헤드 전방면의 눈동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는 각도 사이를 회동하도록 다리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수용홈과 후방 안착부재의 돌출부는 사용자의 헤드 크기에 맞춰 위치 가변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 고정 가능하게 계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된 렌즈가 액정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안경.
KR2020000034342U 2000-12-07 2000-12-07 결합식 안경 KR200222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42U KR200222095Y1 (ko) 2000-12-07 2000-12-07 결합식 안경
US09/829,042 US6379003B1 (en) 2000-12-07 2001-04-09 Foldable glasses
JP2001164979A JP2002196286A (ja) 2000-12-07 2001-05-31 結合式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42U KR200222095Y1 (ko) 2000-12-07 2000-12-07 결합식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95Y1 true KR200222095Y1 (ko) 2001-05-02

Family

ID=1967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342U KR200222095Y1 (ko) 2000-12-07 2000-12-07 결합식 안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79003B1 (ko)
JP (1) JP2002196286A (ko)
KR (1) KR2002220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72B1 (ko) * 2008-02-18 2010-01-2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0953516B1 (ko) 2008-02-27 2010-04-2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100586B1 (ko) * 2009-07-20 2011-12-29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머리띠형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1260B1 (en) 2002-08-06 2003-11-04 See Card Corporation Flat pack optical device kit
US8517533B2 (en) * 2010-12-17 2013-08-27 Mark Razin Eyewear with removeable secured adjustable strap
GB2477467B (en) * 2011-05-20 2012-02-01 Marie Armstrong 3D eyewear
JP4902805B1 (ja) * 2011-07-12 2012-03-21 ナガシマ工芸株式会社 眼鏡保持用治具
CN103364950B (zh) * 2012-03-31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方法
JP5979490B2 (ja) * 2012-10-16 2016-08-24 和晃 竹谷 眼鏡固定具
GB201315424D0 (en) * 2013-08-29 2013-10-16 Occles Ltd An eye cover device
USD752679S1 (en) * 2014-09-15 2016-03-29 Michele W. Smith Eyeglasses
US20180045977A1 (en) * 2015-03-05 2018-02-15 Daniil Safonov Bridgeless glasses
USD765757S1 (en) * 2015-07-09 2016-09-06 Chris J. Katopis Goggles adapted to receive a device
DE102016102515A1 (de) * 2016-02-12 2017-08-17 Karl Engelhardt Steglose Brille
USD797181S1 (en) * 2016-06-22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D812127S1 (en) * 2016-06-22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D814551S1 (en) * 2016-09-30 2018-04-03 Chain Readers Inc. Foldable reading glas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117A (en) * 1997-08-11 1999-09-21 Suh; J. S. Eyeglasses with head embracing temple
US6048062A (en) 1999-02-04 2000-04-11 Chow; Ching-Chain Structure of foldable glasses
WO2000053269A1 (en) * 1999-03-08 2000-09-14 Xspex, Llc Multi-purpose eyewe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72B1 (ko) * 2008-02-18 2010-01-2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0953516B1 (ko) 2008-02-27 2010-04-2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100586B1 (ko) * 2009-07-20 2011-12-29 현대아이티주식회사 머리띠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9003B1 (en) 2002-04-30
JP2002196286A (ja)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095Y1 (ko) 결합식 안경
US5760867A (en) Double-hinged adjustable eyeglasses
US62311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spectacles and clip-on sun-shades with each other
JP2011085929A (ja) 画像鑑賞用眼鏡
CN112462532B (zh) 眼镜
US20090021691A1 (en) Eyeglasses with an adjustable nose-pad unit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US5210552A (en) Variable light transmitting sunglasses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200259078Y1 (ko) 부착식 안경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EP1498767B1 (en) Length adjustable temple for eyeglasses
JP2020008654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US8573771B2 (en) Ear-free eyewear frames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JP2009075585A (ja) 眼鏡用テンプルの耳当て部回転装置
KR200289986Y1 (ko) 안경의 코받침부재 높이조절 구조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KR200350075Y1 (ko) 각도조절 장치가 있는 안경테
JP7356699B2 (ja) 異種類レンズ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200188360Y1 (ko) 백미러 부착 안경
JP3437780B2 (ja) 水中眼鏡
JP3141598U (ja) 眼鏡用テンプル構造
JP2011065017A (ja) 画像鑑賞用眼鏡
JP2008292748A (ja) 眼鏡ツルのモダン部長さ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