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447A -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447A
KR20120026447A KR1020110086992A KR20110086992A KR20120026447A KR 20120026447 A KR20120026447 A KR 20120026447A KR 1020110086992 A KR1020110086992 A KR 1020110086992A KR 20110086992 A KR20110086992 A KR 20110086992A KR 20120026447 A KR20120026447 A KR 20120026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ing member
actuator
lock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604B1 (ko
Inventor
요스케 혼다
히로유키 요코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보지 부재(holding member)는,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상기 접속 대상물은, 액츄에이터 계합부(engaged portion)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삽입?접속할 수 있다. 상기 보지 부재는, 보지 부재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는,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와 계합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림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커넥터가 접속된다.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와의 상기 계합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소정의 상대 위치가 유지된다.

Description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HOLDING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CONNECTOR CONNECTABLE TO A CONNECTING OBJECT HELD BY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보지(保持;holding)하도록 구성된 보지 부재(holding member)에 관한 것이다. 접속 대상물은, 예를 들면, Flexible Flat Cable(FFC)이나 Flexible Printed Circuit(FPC)이다. 본 발명은, 보지 부재와,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전자 기기에 조입(installation)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이나 플라즈마 텔레비전이다.
FPC나 FFC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367730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367730호의 커넥터는, 액츄에이터를 갖고 있다. 접속 대상물은, 커넥터 내에 삽입한 상태로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림으로써, 커넥터와 접속된다.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커넥터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예기치 않게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접속 대상물이 부적절한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가 적절히 접속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367730호
그래서,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과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적절히 접속되도록 보조하는 보조구(補助具)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보조구로서 보지 부재를 제공한다. 보지 부재는, 액츄에이터 계합부(engaged portion)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접속되는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지 부재는, 접속 대상물을 보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에, 커넥터와 감합(mating)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보지하도록 구성된 보지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 대상물은, 액츄에이터 계합부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대상물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림으로써(turning over) 상기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보지 부재는, 보지 부재 계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는,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삽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와 계합(engagement)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와의 계합이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소정의 상대 위치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상기 보지 부재와,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할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 조립체의 보지 부재와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와는 서로 감합하고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는 보지 부재에 보지된 FPC/FFC와 접속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FPC/FFC를 보지하고 있는 보지 부재와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열린 상태로 있고, 커넥터와 FPC/FFC는 접속하고 있지 않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 조립체를 VI-VI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보지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는, 커넥터(100)와, 보지 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0)는, FPC/FFC(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50)와 접속할 수 있다. 보지 부재(200)는, FPC/FFC(50)를 커넥터(100)에 접속할 때에 보조구로서 이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FPC/FFC(50)는, 복수의 단자(52)를 갖고 있다. 단자(52)는, FPC/FFC(50)의 단부(端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FPC/FFC(50)에는, 표면 상뿐만 아니라 이면 상에도 복수의 단자(5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FPC/FFC(50)는, 보강부(54)를 갖고 있다. 보강부(54)에는, 2개의 오목부(56)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56)는, 횡방향(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보강부(54)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6)의 각각은, 피치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콘택트(110)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콘택트(120)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30)과,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140)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홀 다운(15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0)은, 전단(front end; 134)과, 후단(rear end; 136)을 갖고 있다. 제1 콘택트(110)는, 후단(136)으로부터 전단(134)을 향하여 하우징(130)에 압입(press-fitting) 됨으로써 하우징(130)에 보지?고정되어 있다. 제2 콘택트(120)는, 전단(134)으로부터 후단(136)을 향하여 하우징(130)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130)에 보지?고정되어 있다. 제1 콘택트(110) 및 제2 콘택트(120)는, 하우징(130)에 보지됨으로써, 피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0)에는 2개의 감합공(mating hole; 132)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감합공(132)은, 하우징(13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근처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감합공(132)은, 하우징(130)의 후단(136)으로부터 전단(13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감합공(132)의 각각은, 보지 부재(200)를 수용하여 보지 부재(200)와 감합하도록 하우징(130)의 전측(즉, 전단(134) 근방)에 형성된 부위(도시하지 않음)까지 도달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140)는, 열린 위치(도 2?도 4 참조)와 닫힌 위치(도 1 참조)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해지도록 하우징(130)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열린 위치는, FPC/FFC(50)를 커넥터(10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이며, 닫힌 위치는, 커넥터(100)에 삽입된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의해 단단히 보지되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액츄에이터(140)는, 하우징(130)의 전단(134)을 향하여 넘어졌을 때,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를 향하여 회동한다. 액츄에이터(140)에는, 2개의 돌기부(액츄에이터 계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돌기부(144)는, 액츄에이터(14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돌기부(144)의 각각은, 액츄에이터(140)가 쓰러져 닫힌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피치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을 따라서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100)의 홀 다운(hold-down; 150)에는, 계지공(engaged hole;커넥터 록부(lock portion))(160)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공(160)은, 슬릿(slit)으로서 형성되어 있어, 피치 방향에 있어서 홀 다운(150)의 일부를 관통함과 함께 피치 방향 및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즉, 전단(134)으로부터 후단(136)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FPC/FFC(50)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커넥터(100)에 삽입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0)를 닫힌 위치까지 넘어뜨렸을 때, FPC/FFC(50)의 단자(52)가 제1 콘택트(110) 및 제2 콘택트(120)의 쌍방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FPC/FFC(50)는, 커넥터(100)에 삽입되었을 때에 액츄에이터(140)를 넘어뜨림으로써 커넥터(100)와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보지 부재(200)는, FPC/FFC(50)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지 부재(200)는,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삽입?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지 부재(200)는, FPC/FFC(50)를 커넥터(100)에 접속할 때에 커넥터(100)에 대한 FPC/FFC(50)의 상대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는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보지 부재(200)는, FPC/FFC(50)를 커넥터(100)에 접속할 때에, 부분적으로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커넥터(100)와 감합한다. 보지 부재(200)와 커넥터(100)의 감합이, FPC/FFC(50)를 커넥터(100)에 대하여 적절한 상대 위치에 위치시키고, 이에 따라 FPC/FFC(50)가 부적절한 상대 위치에 놓여진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보지 부재(2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10)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록 부재(locking member; 270)와, 커버(280)를 구비하고 있다. 보지 부재(200)는, 전단(202)과 후단(204)을 갖고 있다.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삽입되려고 할 때, 보지 부재(200)의 전단(202)은, 커넥터(100)의 전단(134)과 서로 마주 본다(도 2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210)는, 평판 형상을 갖는 재치부(mount portion; 220)를 구비하고 있다. 재치부(220)는, 베이스(21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FPC/FFC(50)는, 재치부(220)에 올려놓여져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다. 재치부(220)에는, 각각이 재치부(220)를 수직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는 2개의 고정부 수부(receiver; 22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고정부 수부(222)는, 재치부(22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근처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 수부(222)는, FPC/FFC(50)의 보강부(54)에 형성된 오목부(56)에 대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FPC/FFC(50)가 재치부(220)에 올려놓여졌을 때, 2개의 오목부(56)를 2개의 고정부 수부(222)의 위에 각각 둘 수 있다. 베이스(21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고정부 수부(222)의 후방에 각각 형성된(즉, 베이스(210)의 후단(204)측에 형성된) 2개의 감입홈(fitting groove; 224)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감입홈(224)에는 볼록부(protrusion; 2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26)는, 피치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에는, 감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23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재치부(2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즉, 베이스(210)의 전단(202)측에 위치하고 있다). 감합부(230)는,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삽입될 때, 커넥터(100)에 삽입?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23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감합 볼록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감합 볼록부(23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감합부(230)가 커넥터(100)와 감합할 때에, 각각의 감합공(132) 내에 삽입된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취급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취급부(240)는, FPC/FFC(50)를 커넥터(100)에 삽입 또는 제거할 때에 조작자에 의해 보지된다. 취급부(handling portion; 240)의 각각은, 피압압부(pressed portion; 242)를 구비하고 있다. 피압압부(242)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압압부(242)는, 조작자에 의해 압압(press)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압압부(242)에는 가압부(biasing portion; 24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244)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피압압부(24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가압부(244)는, 피압압부(242)가 압압되었을 때에 록 부재(270)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취급부(240)의 각각에는, 록 부재(270)를 수용하는 수용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50)는, 후단(204)으로부터 전단(202)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감합부(230)의 내부에 도달하고 있다. 감합부(23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면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슬릿(252)을 갖고 있다. 수용부(250)의 각각은, 슬릿(252)을 개재하여 보지 부재(200)의 외부와 연통(communicating)하고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감합부(230)에는, 2개의 수용부(보지 부재 계합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60)는,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가 커넥터(100)에 삽입된 삽입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0)를 닫힌 위치로 넘어뜨렸을 때에 돌기부(144)와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용부(260)는, 보지 부재(200)가 커넥터(100)에 감합한 감합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0)를 넘어뜨렸을 때에 돌기부(144)를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용부(260)는, 감합부(230)를 수직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구멍이다. 그러나, 수용부(260)는, 돌기부(144)의 형상에 대응한 다른 형상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용부(260)는, 바닥을 갖는 구멍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용부(260)는, 수용부(250)와 연통하고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수용부(260)는, 슬릿(252)이 놓여져 있는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놓여져 있다. 피치 방향에 있어서는, 수용부(260)는, 슬릿(252)의 내측에 놓여져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록 부재(270)는, 계지부(lock portion; 272)와, 계지부(272)를 지지하는 지지부(274)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계지부(272)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변위 가능해지도록 지지부(274)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계지부(272)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클로(claw) 형상을 갖고 있다. 수용부(250)에 수용된 계지부(272)는, 커넥터(100)의 계지공(160)에 계지 가능한 계지 위치(lockable position)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계지부(272)는, 기부(基部;base)(272a)와 훅(hook; 272b)을 갖고 있다.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기부(272a)는, 감합부(2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피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60)와 훅(272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계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계지부(272)의 훅(272b)은, 기부(272a)로부터 피치 방향을 따라서 외측을 향하여 슬릿(252)을 넘어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에 있을 때, 가압부(244)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50)의 외측으로부터 지지부(274)에 면하도록 하여, 지지부(27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피압압부(242)를 피치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여(즉, 지지부(274)를 향하여) 압압하면, 피압압부(242)에 가해진 압압력이 가압부(244)를 통하여 지지부(274)까지 전달되어, 계지부(272)가 내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지부(272)의 훅(272b)이 슬릿(25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동된다. 환언하면, 계지부(272)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계지부(272)는, 커넥터(100)의 계지공(160)에 계지할 수 없는 해제 위치에 놓여진다. 계지부(272)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계지부(272)는, 수용부(250)의 내부에 완전하게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지지부(274)는,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해지도록 계지부(272)를 지지하고 있다.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에 있을 때, 수용부(260)는, 계지부(272)의 기부(272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기부(272a)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60)와 슬릿(252)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용부(260)는,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계지부(272)가 통과하는 계지부(272)의 통과 영역과 중복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260)가 돌기부(144)를 수용하면, 돌기부(144)는, 계지부(272)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수용부(260)는, 수용부(260)에 수용된 돌기부(144)가 계지부(272)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에서 해제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계지부(272)가 아니라 지지부(274)가 통과하는 지지부(274)의 통과 영역 내에 수용부(260)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용부(260)를 지지부(274)의 통과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지지부(274)의 통과 영역과 중복되도록 놓여진 돌기부(144)는, 계지부(27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러나, 계지부(272)의 통과 영역과 중복되도록 하여(예를 들면, 계지부(272)의 통과 영역의 내부에) 수용부(260)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용부(260)에 수용된 돌기부(144)는, 계지부(272)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버(280)는, 2개의 감입편(282)과 2개의 고정부(286)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감입편(282)은, 커버(280)의 후부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감입편(282)의 각각은, 하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감입편(282)의 각각에는 구멍(28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86)는, 커버(280)의 전부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86)의 각각은, 하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2개의 감입편(282)은, 베이스(210)의 2개의 감입홈(224)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입편(282)은, 각각의 감입홈(224)에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고정부(286)는, 베이스(210)의 2개의 고정부 수부(222)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286)가 각각의 고정부 수부(222)의 위에 놓여져 있을 때, 감입편(282)은, 각각의 감입홈(224)의 위에 놓여져 있다. 감입편(282)을 감입홈(224)에 삽입하면, 구멍(284) 내에 볼록부(226)가 끼워지고, 이에 따라 감입편(282)은 감입홈(224)에 끼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FPC/FFC(50)는,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커넥터(100)에 삽입?접속된다.
우선, FPC/FFC(50)가 베이스(210)의 재치부(220)에 올려놓여지고, 이에 따라 보강부(54)의 2개의 오목부(56)가 2개의 고정부 수부(222)의 위에 각각 놓여진다. 다음으로, 커버(280)의 고정부(286)가 오목부(56)를 통하여 고정부 수부(222)에 삽입됨과 함께, 감입편(282)이 감입홈(224)에 끼워넣어진다. FPC/FFC(50)는, 베이스(210)와 커버(280)와의 사이에 단단히 끼워진다. 또한, 고정부(286)에 의해, FPC/FFC(50)의 보지 부재(20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환언하면, FPC/FFC(50)는, 보지 부재(200)에 강고하게 보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지 부재(200)가 커넥터(100)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 맞춤되었을 때,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는, 커넥터(100)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 맞춤된다.
FPC/FFC(50)를 보지한 보지 부재(200)를 커넥터(100)에 대하여 삽입?감합하면(즉, 보지 부재(200)가 감합 상태에 있을 때), FPC/FFC(50)의 단자(52)는, 커넥터(100)의 제1 콘택트(110) 및 커넥터(100)의 제2 콘택트(120)의 쌍방에 대하여 위치 맞춤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록 부재(270)는, 삽입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00)에 형성된 계지공(160)과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록 부재(270)의 계지부(272)는, 삽입 상태에 있어서 계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커넥터(100)의 계지공(160)에 계지한다. 록 부재(270)의 계지부(272)와 계지공(160)의 계지가 FPC/FFC(50)를 커넥터(100)에 대한 소정의 상대 위치에 록한다. 환언하면, FPC/FFC(50)는, 록 부재(270)와 계지공(160)의 계지에 의해, 소정의 상대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FPC/FFC(50)가 소정의 상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FPC/FFC(50)의 단자(52)는, 제1 콘택트(110) 및 제2 콘택트(120)의 쌍방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FPC/FFC(50)는, 소정의 상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커넥터(100)와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삽입 상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40)를 넘어뜨려 닫힌 위치까지 회동(pivotting)시켰을 때, FPC/FFC(50)의 단자(52)는, 제1 콘택트(110) 및 제2 콘택트(120)의 양쪽과 각각 접속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보지 부재(200)에 보지된 FPC/FFC(50)와 접속 가능하다. 액츄에이터(140)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140)의 돌기부(144)는, 보지 부재(200)의 베이스(210)의 수용부(260)에 수용되어 계합한다. 액츄에이터(140)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144)의 수용부(260)에 대한 계합만에 의해 FPC/FFC(50)의 소정의 상대 위치를 유지함과 함께 FPC/FFC(50)가 무리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닫힌 위치에 놓여진 액츄에이터(140)의 돌기부(144)의 계합에 의해, FPC/FFC(50)가 커넥터(100)와 적절히 접속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40)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금속제의 록 부재(270)에 의한 계지가 FPC/FFC(50)의 소정의 상대 위치를 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액츄에이터(140)가 닫힌 위치에 회동되었을 때, 록 부재(270)에 의한 계지에 의해, 소정의 상대 위치를 보다 확실히 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돌기부(144)의 수용부(260)에 대한 계합 및, 계지부(272)의 계지공(160)에 대한 계지가, FPC/FFC(50)의 커넥터(100)에 대한 소정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수용부(260)는, 록 부재(270)와 계지공(160)이 계지하고 있는 계지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260)가 돌기부(144)를 수용했을 때, 수용부(260)에 수용된 돌기부(144)가 록 부재(270)와 계지공(160)과의 계지의 해제를 방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260)에 수용된 돌기부(144)는, 록 부재(270)의 계지부(272)가 계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돌기부(144)는, 계지부(272)와 계지공(160)과의 계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40)를 열린 위치까지 회동하지 않는 한, 피압압부(242)가 내측을 향하여 밀렸다고 해도, 계지부(272)와 계지공(160)의 계지는 의도치 않게 해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40)에는 돌기부(액츄에이터 계합부)(144)가 설치되어 있어, 보지 부재(200)에는 수용부(보지 부재 계합부)(2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140)에 수용부(액츄에이터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보지 부재(200)에 돌기부(보지 부재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부 수부(222)는, 재치부(220)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그러나, 고정부 수부(222)는, 커버(280)의 고정부(286)를 적절히 받을 수 있는 한, 재치부(220)를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은 2010년 9월 9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2010-202464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액츄에이터 계합부(engaged portion)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삽입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림으로써(turning over) 상기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을 보지(holding)하도록 구성된 보지 부재로서,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삽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와 계합하도록 구성된 보지 부재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의 계합이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소정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보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제의 록 부재(locking member)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커넥터에 설치된 커넥터 록부와 상기 삽입 상태에 있어서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커넥터 록부의 계합이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소정의 상대 위치에 록하는 보지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수직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넘어뜨렸을 때에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이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커넥터 록부가 계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를 수용했을 때,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가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커넥터 록부와의 계지(係止)의 해제를 방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지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지지부와, 계지부(lock portion)를 갖고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와 상기 커넥터 록부가 계지 가능한 계지 위치(lockable position)와, 상기 계지부와 상기 커넥터 록부를 계지할 수 없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해지도록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는, 상기 계지부가 상기 계지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상기 계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삽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계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커넥터 록부에 계지하는 보지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는, 상기 보지 부재 계합부에 수용된 상기 액츄에이터 계합부가 상기 계지부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지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기부(base)와 훅(hook)을 갖고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와 상기 훅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훅은,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기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보지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보지 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10086992A 2010-09-09 2011-08-30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KR101235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2464 2010-09-09
JP2010202464A JP5634179B2 (ja) 2010-09-09 2010-09-09 保持部材及び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47A true KR20120026447A (ko) 2012-03-19
KR101235604B1 KR101235604B1 (ko) 2013-02-21

Family

ID=4580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92A KR101235604B1 (ko) 2010-09-09 2011-08-30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35059B2 (ko)
JP (1) JP5634179B2 (ko)
KR (1) KR101235604B1 (ko)
CN (1) CN102403622B (ko)
TW (1) TWI4452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4179B2 (ja) * 2010-09-09 2014-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及び組立体
JP5920568B2 (ja) * 2011-06-22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46953B2 (ja) * 2011-11-01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2776B2 (ja) * 2013-08-22 2017-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6452393B2 (ja) * 2014-11-13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0333B1 (ja) * 2016-06-22 2016-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CN108346901B (zh) * 2018-01-30 2020-01-21 深圳市永尧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vds连接器
JP7134934B2 (ja) * 2019-10-08 2022-09-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KR102560489B1 (ko) * 2021-02-04 2023-07-28 이미경 Ffc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90B2 (ja) * 1985-09-06 1994-08-22 Fpcコネクタ
US4695112A (en) * 1986-12-29 1987-09-22 Chrysler Motors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edgeboard connector therefor
JPH10302909A (ja) * 1997-04-23 1998-11-13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JPH1174043A (ja) * 1997-08-29 1999-03-16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におけるロック構造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654493B2 (ja) * 1999-03-16 2005-06-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2001118619A (ja) * 1999-10-18 2001-04-27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3536209B2 (ja) 2001-06-07 2004-06-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6558186B1 (en) * 2001-10-11 2003-05-06 Molex Incorporated Keyed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JP4065966B2 (ja) * 2003-06-06 2008-03-26 大宏電機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JP2005056618A (ja) * 2003-08-08 2005-03-03 Funa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05116495A (ja) *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JP4722552B2 (ja) * 2004-10-14 2011-07-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結合体
JP2006147407A (ja) * 2004-11-22 2006-06-08 Taiko Denki Co Ltd コネク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JP4692079B2 (ja) * 2005-05-31 2011-06-0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88981U (en) * 2005-06-28 2006-03-21 Compal Electronics Inc Connector
JP4783096B2 (ja) * 2005-09-08 2011-09-28 山一電機株式会社 可撓性導体用コネクタ
JP4931417B2 (ja) 2005-12-27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08123843A (ja) 2006-11-13 2008-05-29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平形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625231B2 (en) * 2007-06-29 2009-12-0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Adaptor for cable connector
CN201323266Y (zh) * 2008-10-16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887351B2 (en) * 2008-10-30 2011-02-15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TWM380605U (en) * 2009-11-12 201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634179B2 (ja) * 2010-09-09 2014-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及び組立体
JP2012221752A (ja) * 2011-04-08 2012-11-12 Hosiden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9578A (ja) 2012-03-22
CN102403622B (zh) 2014-05-14
JP5634179B2 (ja) 2014-12-03
US20120064748A1 (en) 2012-03-15
CN102403622A (zh) 2012-04-04
US8435059B2 (en) 2013-05-07
TWI445262B (zh) 2014-07-11
TW201223017A (en) 2012-06-01
KR101235604B1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04B1 (ko) 보지 부재와, 이 보지 부재에 보지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
US86788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KR20120112052A (ko)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
KR101882622B1 (ko) 전기 커넥터
KR101478042B1 (ko) 커넥터
JP2010238512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7109522A (ja) 電気コネクタ
GB2441878A (en) Connector with locking lever
KR101366052B1 (ko) 커넥터
WO2015093125A1 (ja) 圧着端子用コンタクトと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WO2010007732A1 (ja) ホルダ装置
KR20100022841A (ko) 커넥터
KR20130118377A (ko) 특히 차량 제어 장치용의 직결식 플러그 소자
KR20120024458A (ko)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JP2015011889A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1406362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091804A (ja) コネクタ
JP2013089460A (ja) 電気コネクタ、アタッチメント及び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JP6135015B2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H1167346A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5896229B2 (ja) コネクタ装置
US20160365659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mechanism of flat circuit body and connector
JP4925982B2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