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415A -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415A
KR20120025415A KR1020110088297A KR20110088297A KR20120025415A KR 20120025415 A KR20120025415 A KR 20120025415A KR 1020110088297 A KR1020110088297 A KR 1020110088297A KR 20110088297 A KR20110088297 A KR 20110088297A KR 20120025415 A KR20120025415 A KR 20120025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light source
scene
white bal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130B1 (ko
Inventor
유스케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광원에 대응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1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광원에 대응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색 평가값을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서 가산 및 평균하여 각 블록의 색 평가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 제2 광원 하의 백색의 색 평가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합성 비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합성 비율에 따라 제1 현상 화상 데이터와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 보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 촬상소자를 사용하는 촬상장치는, 촬영 동작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이 화이트 밸런스 제어에는, 미리 백색 피사체를 촬상해서 화이트 밸런스 계수를 취득하고, 산출한 화이트 밸런스 계수를 화면 전체에 적용하는 메뉴얼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있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에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백색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자동 검출하고, 화면 전체의 각 색 성분의 평균값으로부터 화이트 밸런스 계수를 산출하며, 산출한 화이트 밸런스 계수를 화면 전체에 적용하는 오토 화이트 밸런스 제어도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A/D(analog/digital) 변환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각 블록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 화소로 구성되어 있고, 블록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식(1)에 의해, 색 평가값(Cx[i], Cy[i])이 산출된다.
[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 식에서, i는 블록의 번호를 나타내고, R[i], G[i], 및 B[i]는 각각 블록 i에 포함된 RGB 화소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
그리고, 산출한 색 평가값(Cx[i], Cy[i])이 미리 설정한 백색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블록이 백색 블록이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그 블록에 포함되는 색 화소의 적분값(SumR, SumG, SumB)이 산출되어서, 이하의 식(2)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 계수(WBCo_R, WBCo_G, WBCo_B)이 산출된다.
[식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이 식에서,
Figure pat00007
.)
그렇지만, 이러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 제어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촬상장치는, 화상 내에 서로 다른 복수의 광원이 존재하는 씬(scene)에서도, 상기 산출한 화이트 밸런스 계수를 화면 전체에 적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한다. 이 때문에, 각 광원 모두에 대해서 적정한 컬러 틴트(color tint)을 달성하도록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촬상장치가 높은 색 온도를 갖는 광원인 플래시 광을 발광하고 있는 씬에서, 환경 광에 전구색 광원과 같은 낮은 색 온도 광원이 존재할 경우, 플래시 광에 의거해서 화이트 밸런스가 제어되면, 환경 광의 낮은 색 온도 광원에 화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된다. 한편, 환경 광의 낮은 색 온도 광원에 의거해서 화이트 밸런스가 제어되면, 플래시 광에 화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된다. 또한, 촬상장치가 양쪽 광원의 중간에 화이트 밸런스를 맞춰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더라도, 양쪽 광원에 화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아, 플래시 광이 조사된 영역은 푸른 빛을 띠고, 낮은 색 온도 광원이 조사된 영역은 붉은빛을 띠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540485호에 기재된 기술은, 플래시 발광 화상과 플래시 비발광 화상을, 임의의 피사체 영역마다 비교해서 데이터의 비를 산출하고, 산출한 비의 값에 의거해 플래시 광의 기여도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기술은 기여도에 따라 플래시 발광해서 노광시켰을 때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영역마다 화이트 밸런스 제어 값을 선택해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허 제3540485호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플래시 광을 발광했을 때 촬영된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플래시 광을 발광하지 않는 경우에 촬영된 화상에는 적용될 수 없다. 또한, 이 종래의 기술은 화이트 밸런스 제어 값을 영역마다 가변시킨 후에 현상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색의 재현 등 그 밖의 제어가 화이트 밸런스 제어 값에 대하여 적정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래의 기술은, 적정한 틴트(tint)를 충분하게 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 국면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이 있는 경우에도, 적정한 컬러 틴트를 달성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지향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는, 씬(scene) 화상 데이터로부터, 씬의 제1 광원에 대응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1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씬의 제2 광원에 대응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서 상기 씬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값을 가산 및 평균하여 상기 각 블록의 색 평가값을 산출하는 색 평가값 산출 수단과, 상기 색 평가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 상기 제2 광원 하에서의 백색의 색 평가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합성 비율을 산출하는 합성 비율 산출 수단과, 상기 합성 비율에 따라 상기 보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현상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국면은, 여기에서 기술한 방법 중 어느 것인가를 수행하고 및/또는 여기에서 기술한 장치 특징 중 어느 것인가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여기에서 기술한 방법 중 어느 것인가를 수행하고 및/또는 여기에서 기술한 장치 특징 중 어느 것인가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매체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국면은 실질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방법, 장치 및/또는 용도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있어서의 어떤 특징은 어떤 적절한 결합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방법 국면의 특징은 장치 국면에도 적용되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있어서의 특징 구현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반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특징을 참조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 및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다.
도 2는 화상을 합성하는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3은 R, G, B의 색 화소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백색 검출을 행하기 위한 색 평가값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다.
도 5는 제1 WB 보정값을 결정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다.
도 6은 합성 비율의 산출에 사용하는 색 평가값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합성 비율의 산출에 사용하는 색 평가값의 관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낮은 색 온도를 갖는 광원을 사용해 화상을 촬영했을 경우의 색 평가값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낮은 색 온도를 갖는 광원을 이용해 화상을 촬영했을 경우의 입력과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차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에 있어서, 고체촬상소자(101)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으로 구성되는 촬상소자이다. 고체촬상소자(101)의 표면은 예를 들면 베이어(Bayer) 배열과 같은 RGB 칼라 필터로 덮여 있어, 컬러 촬영이 가능하다. 피사체 화상이 고체촬상소자(101)위에서 결상되면, 고체촬상소자(101)는 메모리(102)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14)는, 화상 전체가 밝아지는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을 계산하는 동시에, 포커싱 영역 내에 있는 피사체에 포커싱하도록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14)에 의해 계산된 정보, 즉 노출 값(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 및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이 촬영제어회로(113)에 전달되고, 각 값에 의거하여 각각 대응하는 유닛 및 부분이 제어된다. 화이트 밸런스(WB) 제어부(103)는, 메모리(102)에 기억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WB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WB 보정값을 사용하여, 메모리(102)에 기억된 화상 신호에 대하여 WB 보정을 행한다. 한편, 이 WB 제어부(103)의 상세한 구성 및 WB 보정값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색 변환 매트릭스 회로(104)는, WB 제어부(103)에 의해 WB 보정된 화상신호를, 화상 신호가 최적의 색으로 재현될 수 있도록 색 게인을 화상 신호에 곱해서 색차 신호 R-Y/B-Y로 변환한다. 로우 패스 필터(LPF) 회로(105)는, 색차 신호 R-Y/B-Y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한 회로다. CSUP(Chroma Suppress) 회로(106)는, LPF 회로(105)에 의해 대역이 제한되는 화상신호 중, 포화 부분의 의사(false) 색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다.
한편, WB 제어부(103)에 의해 WB 보정된 화상 신호는, 휘도신호 생성회로(111)에도 출력된다. 휘도신호 생성회로(111)는, 입력된 화상 신호로부터 휘도신호 Y를 생성한다. 에지 강조회로(112)는, 생성된 휘도신호 Y에 대하여 에지 강조 처리를 행한다.
RGB 변환 회로(107)는, CSUP 회로(106)로부터 출력되는 색차 신호 R-Y/B-Y와, 에지 강조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 Y를 RGB 신호로 변환한다. 감마 보정회로(108)는, 변환된 RGB 신호에 대하여 계조 보정을 행한다. 그 후에, 색 휘도 변환 회로(109)는, 계조 보정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한다. 한층 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압축 회로(110)는, JPEG 방식 등에 의해 변환된 YUV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외부 또는 내부의 기록 매체(115)에 화상 신호로서 기록한다.
다음에, WB 제어부(103)에 의한 WB 보정값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5는, WB 제어부(103)가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제1 WB 보정값)을 결정하는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여기에서, 제1 WB 보정값이란, 제1 광원 하에 촬영된 화상에 대한 통상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에 의해 산출되는 보정값이다.
우선, 스텝 S501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메모리(102)에 기억된 화상 신호를 판독하고, 그 화상 공간을 임의의 m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스텝 S502에 있어서, m개의 블록마다, WB 제어부(103)는 화소값을 각 색에 가산해서 평균하여 색 평균값(R[i], G[i], B[i])을 산출한다. 그리고, WB 제어부(103)는 이하의 식(3)을 사용해서 한층 더 색 평가값(Cx[i], Cy[i])을 산출한다.
[식 3]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이 식에서,
Figure pat00010
.)
다음에, 스텝 S503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백색 검출을 행하여, 색 평가값이 백색 검출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백색 검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백색 검출에 사용하는 색 평가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다. 도 4a에 있어서, x축(Cx)의 부(-)방향은, 높은 색 온도 피사체의 백색을 촬영했을 때의 색 평가값을 나타내고, x축의 정(+) 방향은 낮은 색 온도 피사체의 백색을 촬영했을 때의 색 평가값을 의미한다. 또한, y 좌표(Cy)는 광원의 녹색 성분의 정도를 나타낸다. 이 값이 y축의 부(-)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녹색 성분이 커지는데, 이것은 광원이 형광등인 것을 나타낸다. 스텝 S503에서는, WB 제어부(103)는, 스텝 S502에서 산출한 i번째의 블록의 색 평가값(Cx[i], Cy[i])이, 도 4a에 나타낸 미리 설정한 백색 검출 범위(401)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도 4a에 나타낸 백색 검출 범위(401)는, 미리 상이한 광원 하에서 백색 화상을 촬영하고 산출한 색 평가값을 흑체 방사축에 따라 플롯(plot)함으로써 정의된다. 한편, 이 백색 검출 범위(401)는 촬영 모드에 의존해 상이한 범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산출한 색 평가값(Cx[i], Cy[i])이 이 백색 검출 범위(401)에 포함될 경우에는(스텝 S503에서 YES), WB 제어부(103)는, 그 블록이 백색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나서, 스텝 S504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그 블록의 색 평균값(R[i], G[i], B[i])을 가산해서 산출한다. 한편, 산출한 색 평가값이 백색 검출 범위(401)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503에서 NO), 그 블록의 색 평균값을 가산하지 않고 처리가 스텝 S505로 진행된다. 이 스텝 S504의 산출 처리에서는, WB 제어부(103)는, 이하의 식(4)을 사용해서 색 평균값(R[i], G[i], B[i])을 가산한다.
[식 4]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이 식(4)에 있어서, 색 평가값(Cx[i], Cy[i])이 백색 검출 범위(401)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Sw[i]을 1로 설정하고, 색 평가값(Cx[i], Cy[i])이 백색 검출 범위(401)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Sw[i]을 0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Sw[i]을 설정하면 WB 제어부(103)가 색 평가값(R[i], G[i], B[i])의 가산 처리를 행하거나 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505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색 평가값이 모든 블록에 대해서 색 검출 범위(401)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스텝 S505에 있어서의 판단의 결과, 미처리의 블록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S5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2로 돌아간다. 모든 블록의 처리가 완료한 경우는(스텝 S505에서 YES), 처리가 다음 스텝 S506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WB 제어부(103)가 모든 블록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에는, 식(4)에 나타내는 적분값(SumR1, SumG1, SumB1)이 결정된다.
다음에 스텝 S506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결정된 색 평가값의 적분값(SumR1, SumG1, SumB1)으로부터, 이하의 식(5)을 사용하여, 제1 WB 보정값(WBCol_R1, WBCol_G1, WBCol_B1)을 산출한다.
(식 5)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이 식에서,
Figure pat00017
. )
또한, 플래시 광을 발광할 때에는, WB 제어부(103)는,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래시 광에 대응하는 백색 검출 범위(402)를 사용하여, 상기의 WB 보정값 산출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1 WB 보정값을 산출한다. 이것은 플래시 광이 공지의 광원이므로, 백색 검출 범위를 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플래시 광을 발광할 때에는, 공지의 값을 제1 WB 보정값으로서 플래시 광의 WB 보정값으로 미리 설정해도 된다.
다음에, 제2 광원에 대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제2 WB 보정값)의 결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WB 제어부(103)는 광원마다 미리 결정된 값을 사용해서 제2 WB 보정값을 결정한다. 이 값은, 미리 각 광원 하에서 백색 화상을 촬영하고, 보정 값을 산출해서 얻은 값이다. 우선, 광원을 추정하기 위해서 씬 판별을 행한다. 예를 들면, 씬 판별의 결과, 광원을 수은등으로서 판별했을 경우에는, WB 제어부(103)는 수은등에 대해서 미리 정해져 있는 WB 보정값을 제2 WB 보정값으로서 사용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종류의 광원이 있는 경우에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제2 WB 보정값을 가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은등에 2개의 종류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수은등에 따라 WB 보정값을 가변한다.
또한, 플래시 광을 발광할 때 배경에 전구색 광원과 같은 낮은 색 온도 광원이 조사되는 경우에, 틴트(tint)를 유지해서 씬의 분위기를 보존하도록 제2 WB 보정값을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관계와 같이, 입력된 화상을 색 온도가 다른 화상으로서 출력하도록 색 온도의 관계가 설정된다. 이렇게, 제2 WB 보정값의 색 온도가 낮은 경우에 틴트를 유지하도록 화이트 밸런스를 제어하면, 예를 들면, 전구색 광원의 붉은빛을 보존하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화상 합성 처리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WB 제어부(103)에 의해 화상을 합성하는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WB 제어부(103)는, 스텝 S201에 있어서, 메모리(102)에 기억된 화상 신호로부터 씬을 판별하고, 광원 판별이 가능한지 아닌지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광원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스텝 S2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208로 진행되어서, WB 제어부(103)가 화상합성처리를 행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낸 순서에 의해 산출된 제1 WB 보정값을 사용해서 통상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한다. 한편, 스텝 S201의 판단의 결과, 광원이 판별 가능한 경우에는(스텝 S201에서 YES), WB 제어부(103)가 화상합성처리를 행하는 스텝 S20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다음에, 스텝 S202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메모리(10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1 WB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행하고, 제1 현상 화상 데이터로서 현상 화상 신호 Yuv1을 생성한다. 그리고, 스텝 S203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마찬가지로 화상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WB 보정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행하고,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로서 현상 화상 신호 Yuv2을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 S204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메모리(10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 현상 화상 신호 Yuv1, 및 현상 화상 신호 Yuv2을 각각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다음에, 스텝 S205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메모리(10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에서, 블록마다 화소값을 각 색에 가산해서 평균하여 색 평균값(R[i], G[i], B[i])을 산출한다. 또, WB 제어부(103)는, 전술한 식(3)을 사용해서 한층 더 색 평가값(Cx[i], Cy[i])을 산출한다. 한편, WB 제어부(103)는 스텝 S501에서 산출한 색 평가값(Cx[i], Cy[i])을 어떤 추가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사용해도 된다. 이때, 포화(saturated)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WB 제어부(103)는 그 포화 화소의 화소값과 그 포화 화소에 대응하는 또 다른 색의 화소의 화소값을 가산 처리로부터 제외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R 화소가 포화 화소일 경우에는, WB 제어부(103)는, R 화소의 화소값과 그 R 화소에 대응하는 G 화소의 화소값 및 B 화소의 화소값을 가산 처리로부터 제외시킨다.
다음에, 스텝 S206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각 광원에 따라 평가 프레임을 설정하고, 상기의 제2 WB 보정값과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의 차분에 근거해 블록마다의 합성 비율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서 수은등을 사용한 씬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WB 제어부(103)는, 제2 WB 보정값으로서 미리 결정된 수은등 아래에서 취득된 백색의 색 평가값을 중심으로 한 수은등에 대한 평가 프레임(601)을 설정한다. 그리고, WB 제어부(103)는, 미리 결정된 수은등 아래에서 취득된 백색의 색 평가값과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의 거리에 근거해서 각 블록의 합성 비율을 산출한다. 한편, 평가 프레임(601)은 미리 수은등 아래에서 백색 피사체를 촬영해 그 색 평가값을 산출함으로써 준비된 색 평가값에 근거해 설정된다.
우선, 블록의 색 평가값이 수은등 아래에서 취득된 백색의 색 평가값과의 작은 차분을 갖고, 도 6에 나타낸 내부 프레임(602) 내에 존재하는 경우, WB 제어부(103)는, 이 블록의 합성 비율 α[i]로서 1을 설정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내부 프레임(602)과 평가 프레임(601)과의 사이의 영역에 블록의 색 평가값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WB 제어부(103)는, 아래와 같이 이 블록의 합성 비율α[i]을 산출하고; WB 제어부(103)는, 내부 프레임(602)이 합성 비율 α[i]=1을 나타내고, 평가 프레임(601)이 합성 비율α[i]=0을 나타내도록, 내부 프레임(602)으로부터 평가 프레임(601)을 향해서 합성 비율을 선형적으로 감소시켜, 해당 블록의 합성 비율α[i]을 산출한다. 또, 평가 프레임(601)의 외부에 블록의 색 평가값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WB 제어부(103)는, 이 블록의 합성 비율α[i]로서 0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평가 프레임(601)과 내부 프레임(602)은 4변형의 형상 대신에 임의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가 프레임(601)이 타원형(원형) 형상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전구색 광원과 같은 낮은 색 온도 광원을 사용한 씬의 경우에도, 도 8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가 프레임(601) 및 내부 프레임(602)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수은등을 광원으로서 사용해서 한 씬에 있어서의 합성 비율 산출 방법과 같은 처리에 의해 합성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207에 있어서, WB 제어부(103)는, 블록마다의 합성 비율α[i]을 사용해서 현상 화상 신호 Yuv1과 현상 화상 신호 Yuv2를 합성하여, 합성 화상 신호 Yuv3을 생성한다. 합성 화상 신호 Yuv3의 색 평가값(Y3[i], u3[i], v3[i])을, 현상 화상 신호 Yuv1의 색 평가값(Y1[i], u1[i], v1[i])과 현상 화상 신호 Yuv2의 색 평가값(Y2[i], u2[i], v2[i])을 사용해서 산출한다. 즉, 이하의 식(6)에 의해 합성 화상 신호 Yuv3의 색 평가값(Y3[i], u3[i], v3[i])을 산출한다.
(식 6)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여기에서, WB 제어부(103)는, 블록의 경계부분에 발생하는 틴트 변동(tint variation)을 줄이기 위해서, 스텝 S207에서 한층 더 화소 보간 처리를 행함으로써, 각 블록의 합성 비율α[i]로부터 각 화소의 합성 비율α'[j]을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WB 제어부(103)는, 화소 보간 처리로서 바이리니어(bilinear) 보간을 사용하여, 각 블록의 합성 비율α[i]로부터 각 화소의 합성 비율α'[j]을 산출한다. 이때, 스텝 S207에서는, 각 화소의 합성 비율α'[j]을 사용해서 현상 화상 신호 Yuv1과 현상 화상 신호 Yuv2를 합성하여, 합성 화상 신호 Yuv3을 생성한다. 합성 화상 신호 Yuv3의 색 평가값(Y3[j], u3[j], v3[j])을, 현상 화상 신호 Yuv1의 색 평가값(Y1[j], u1[j], v1[j])과 현상 화상 신호 Yuv2의 색 평가값(Y2[j], u2[j], v2[j])을 사용해서 산출한다. 즉, 이하의 식(7)에 의해 합성 화상 신호 Yuv3의 색 평가값(Y3[j], u3[j], v3[j])을 산출한다.
(식 7)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또한, WB 제어부(103)는, 회로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서, 색 성분인 u성분 및 v성분만을 합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합성처리에 있어서, 합성 화상신호 Yuv3의 색 평가값(Y3[i], u3[i], v3[i])을 이하의 식(8)에 의해 산출한다.
(식 8)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또한, 전술한 화상합성처리는 현상 화상 신호에 대해서 Yuv 형식을 사용했지만, 예를 들면, 화상 형식으로서 RGB 형식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WB 제어부(103)는, 스텝 S207에 있어서 사용한 식(6) 대신에, 이하의 식(9)을 사용한다. 즉, WB 제어부(103)는, 우선, 제1 WB 보정값을 사용해서 현상한 현상 화상 신호 RGB1의 색 평가값(R1[i], G1[i], B1[i])과, 제2 WB 보정값을 사용해서 현상한 현상 화상 신호 RGB2의 색 평가값(R2[i], G2[i], B2[i])을 산출한다. 그리고, WB 제어부(103)는, 합성 화상 신호 RGB3의 색 평가값(R3[i], G3[i], B3[i])을 식(9)에 의해 산출한다.
(식 9)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또한, 전술한 화상합성처리에서는, WB 제어부(103)는 광원이 2종류 이상 존재할 경우에, 2매 이상의 현상 화상을 생성해서 합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은등을 사용한 씬에 있어서 플래시 광을 발광할 때에는, WB 제어부(103)는, 상기 제1 WB 보정값 및 제2 WB 보정값에 더해서, 상기 제2 WB 보정값을 결정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플래시 광에 대응한 제3 WB 보정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WB 제어부(103)는, 3개의 WB 보정값을 각각 사용해서 3매의 화상을 현상해서 화상합성처리를 행한다. 3개의 WB 보정값의 각각에 대한 합성 비율은 3개의 광원의 광량 간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에 의하면, 상이한 복수의 광원이 있는 씬에 있어서도, 주 피사체와 배경을 모두 적정한 컬러 틴트라고 하는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유저에 있어서 바람직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혹은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의 스텝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씬의 제1 광원에 대응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1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씬의 제2 광원에 대응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서 상기 씬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값을 가산 및 평균하여 상기 각 블록의 색 평가값을 산출하는 색 평가값 산출 수단과,
    상기 색 평가값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 상기 제2 광원 하에서의 백색의 색 평가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합성 비율을 산출하는 합성 비율 산출 수단과,
    상기 합성 비율에 따라 상기 보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현상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광원에 대응한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제1 결정 수단과,
    상기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광원에 대응한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제2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수단은 흑체 방사축을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수단은, 광원마다 미리 결정된 값을 이용해서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씬 화상 데이터의 광원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합성을 행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비율 산출 수단은, 보간 처리에 의해 화소마다의 합성 비율을 산출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 평가값 산출 수단은, 포화 화소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포화 화소의 화소값과 상기 포화 화소에 대응한 또 다른 색의 화소의 화소값을, 색 평균값의 산출로부터 제외시키는, 화상처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수단은, 광원의 틴트를 보존하도록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제1 현상 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현상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만을 합성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씬의 제3 광원에 대응한 제3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3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제1, 제2, 및 제3 현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광원마다 미리 결정된 값을 이용해서, 상기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및 제3 광원에 대응한 상기 제2 및 제3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수단을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1 씬 광원에 대응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1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씬 광원에 대응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해서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씬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씬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값을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서 가산 및 평균하여 상기 각 블록의 색 평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각 블록의 색 평가값과 상기 제2 씬 광원 하에 있는 백색의 색 평가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합성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합성 비율에 따라 상기 보정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현상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현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씬 광원에 대응한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씬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씬 광원에 대응한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KR20110088297A 2010-09-02 2011-09-01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1388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6827A JP5761946B2 (ja) 2010-09-02 2010-09-02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JP-P-2010-196827 2010-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15A true KR20120025415A (ko) 2012-03-15
KR101388130B1 KR101388130B1 (ko) 2014-04-23

Family

ID=4465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8297A KR101388130B1 (ko) 2010-09-02 2011-09-01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41756B2 (ko)
EP (1) EP2426928B1 (ko)
JP (1) JP5761946B2 (ko)
KR (1) KR101388130B1 (ko)
CN (1) CN102387373B (ko)
RU (1) RU2491760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098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1241B2 (ja) 2011-09-07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4857B2 (ja) * 2011-09-07 2015-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4856B2 (ja) 2011-09-07 2015-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2787B2 (ja) * 2012-02-28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083974B2 (ja) * 2012-04-24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4044A (ja) * 2012-07-05 2014-01-2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841390B (zh) * 2014-02-22 2015-06-17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和拍摄装置
JP6494181B2 (ja) * 2014-05-30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531759B2 (ja) * 2014-06-13 2019-06-1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10074165B2 (en) * 2014-09-10 2018-09-11 Morpho, Inc. Image composition device,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425571B2 (ja) * 2015-02-02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780353B (zh) * 2015-03-26 2017-11-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6595880B2 (ja) * 2015-10-22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CN109151426B (zh) 2017-06-28 2020-05-2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白平衡调整方法、装置、相机及介质
CN107371007A (zh) * 2017-07-25 2017-11-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处理方法、装置和终端
JP6944350B2 (ja) * 2017-11-13 2021-10-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撮影画像表示システム、電子ミラーシステム及び撮影画像表示方法
KR102663537B1 (ko) 2019-01-31 2024-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JP7492344B2 (ja) * 2020-02-26 2024-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871A (en) * 1989-04-28 1991-10-01 Canon Kabushiki Kaisha Still video camera with automatic exposure control and flicker detection
JP3540485B2 (ja) 1995-04-13 2004-07-0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スチルカメラ
JP3664582B2 (ja) * 1998-03-17 2005-06-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4063418B2 (ja) * 1998-09-11 2008-03-19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EP1035409B1 (en) * 1999-02-12 2008-07-02 FUJIFIL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light from illuminated specimen eliminating influence of background light
KR100363826B1 (ko) * 1999-06-07 2002-12-06 히다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넓은 다이내믹레인지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텔레비젼신호처리장치와 그 신호처리장치를 가지는텔레비젼카메라 및 텔레비젼신호처리방법
JP4048407B2 (ja) * 2001-01-18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228180B2 (ja) * 2001-08-24 2009-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プリンタ
EP1311111A3 (en) * 2001-11-08 2004-12-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white balance, method for correcting density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WO2004010711A1 (ja) * 2002-07-18 2004-01-29 Sony Corporation 撮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撮像データ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83166B1 (en) * 2002-10-15 2007-10-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 bombarded charge coupled device (“EBCCD”) sensor
JP4049257B2 (ja) * 2002-12-02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026516B2 (ja) * 2003-03-07 2007-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5033609A (ja) * 2003-07-08 2005-02-03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3838243B2 (ja) * 2003-09-04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67476A (ja) * 2003-12-01 2005-06-23 Canon Inc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US7423674B2 (en) 2003-12-08 2008-09-09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having color adjustment function and program therefor
US8675059B2 (en) * 2010-07-29 2014-03-18 Careview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ideo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and manage decubitus ulcers in patients
JP4433883B2 (ja) * 2004-05-31 2010-03-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方法、プログラム、電子カメラ装置
US7728880B2 (en) * 2004-06-25 2010-06-01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white balance method and apparatus
JP2006129442A (ja) * 2004-09-30 2006-05-1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補正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補正プログラム
CN101088297A (zh) 2004-12-22 2007-12-1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自动白平衡控制
KR100639111B1 (ko) * 2005-03-14 2006-10-30 주식회사 코아로직 이미지 센서의 노출 조절 장치 및 그의 조절 방법
JP4217698B2 (ja) 2005-06-20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7443443B2 (en) 2005-07-28 2008-10-2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flash and ambient images
US20070047803A1 (en) 2005-08-30 2007-03-01 Noki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with automatic white balance
JP4635828B2 (ja) * 2005-11-07 2011-02-2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832899B2 (ja) 2006-01-05 2011-12-07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ゲイン算出装置
US7590344B2 (en) * 2006-02-28 2009-09-15 Microsoft Corp. Adaptive processing for images captured with flash
TW200820797A (en) 2006-10-23 2008-05-01 Benq Corp Photographing methods and systems, and machine readable medium thereof
JP4677391B2 (ja) * 2006-10-26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1179663A (zh) 2006-11-07 2008-05-14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拍照方法及系统及其机器可读取介质
JP2008135824A (ja) * 2006-11-27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位相調整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位相調整方法
US8049789B2 (en) * 2006-12-15 2011-11-01 ON Semiconductor Trading, Ltd White balance correction using illuminant estimation
JP5021338B2 (ja) * 2007-03-02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方法
JP5066398B2 (ja) * 2007-06-29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02635B2 (ja) 2007-07-17 2011-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値算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US8040391B2 (en) * 2007-08-06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White balance adjustment device, image capture device, white balance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JP5178170B2 (ja) * 2007-12-11 2013-04-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
JP2009147608A (ja) * 2007-12-13 2009-07-02 Sony Corp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113514B2 (ja) * 2007-12-27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および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5398156B2 (ja) 2008-03-04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10050798A (ja) 2008-08-22 2010-03-04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JP4688044B2 (ja) * 2009-04-21 2011-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098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6928A2 (en) 2012-03-07
US20150116536A1 (en) 2015-04-30
CN102387373B (zh) 2015-03-25
RU2491760C2 (ru) 2013-08-27
KR101388130B1 (ko) 2014-04-23
JP5761946B2 (ja) 2015-08-12
CN102387373A (zh) 2012-03-21
US8941756B2 (en) 2015-01-27
US9438875B2 (en) 2016-09-06
JP2012054827A (ja) 2012-03-15
US20120057045A1 (en) 2012-03-08
EP2426928B1 (en) 2020-04-22
EP2426928A3 (en) 2016-04-13
RU2011136503A (ru) 201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130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1352440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JP574369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485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485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3327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8397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2513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44308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43593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5471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323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657031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52434B2 (ja) 色補正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カメラ
JP2015119436A (ja) 撮像装置
JP602188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3453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0489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