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90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908A
KR20120022908A KR1020117026801A KR20117026801A KR20120022908A KR 20120022908 A KR20120022908 A KR 20120022908A KR 1020117026801 A KR1020117026801 A KR 1020117026801A KR 20117026801 A KR20117026801 A KR 20117026801A KR 20120022908 A KR20120022908 A KR 2012002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ight shielding
display devic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헤이 마츠이
카오루 핫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Patterning using multi-mask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광 헤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조립 오차에 의한 표시 불균일이 없고, 표시 품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 (1)은, 서로 대향하도록 접합되는 컬러 필터 (2) 및 TFT 기판 (3)과,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봉입되는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컬러 필터 (2)는, 기판 (4)와, 기판 (4) 상에 설치되는 블랙 매트릭스 (5)와, 각 화소 위치에서 블랙 매트릭스 (5)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복수의 착색층 (6 및 7)을 포함한다. 착색층 (6 및 7)과 블랙 매트릭스 (5)와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릿지 (18a 및 28a)의 정점의 각각이 Y축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상단부 엣지 (19a 및 29a)가 TFT 기판 (3)의 차광부 (10a)에 의해서 차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컬러 필터와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컬러 필터는, 기판 상에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녹색?청색의 3색의 착색층과, 각 화소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한다. 이 컬러 필터와 대향하도록,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화소 전극,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 절연막층을 포함함)와, 소스 배선 및 게이트 배선을 갖는 TFT 기판이 배치되고, 양자간에는 액정이 봉입된다.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서 착색층 및 블랙 매트릭스를 패터닝하는데, 이 때 소형 포토마스크를 복수 이용하는 노광 방법(이하,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이라 함)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 6은, 컬러 필터 제조 공정에서의 노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형 마스크 노광 방식에서 이용하는 노광 장치에서는, 기판 (94)보다 작은 마스크를 갖는 복수의 노광 헤드 (90)이 복수행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각 포토마스크에 형성된 마스크 패턴의 피치가 일정해지도록, 인접하는 노광 헤드 (90) 사이에는 다른 행의 노광 헤드 (90)이 간극없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렬된 복수의 노광 헤드 (90)에 대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기판 (94)를 Y축 플러스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복수회 노광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기판 (94)의 전체면에 걸쳐 패턴을 소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13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6593호 공보
컬러 필터의 착색 패턴을 상기한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으로 행하는 경우, 노광 헤드 (90)의 연결 부분에서 노광된 부분(도 6의 이점 쇄선 근방. 이하, 이 개소도 "연결 부분"이라 함)에는, 노광 헤드 (90)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서 착색 패턴의 형성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7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이점 쇄선은 도 6에 나타낸 이점 쇄선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며, 기판 상의 연결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점 쇄선의 좌측에 표시되는 컬러 필터의 일부와, 이점 쇄선의 우측에 표시되는 컬러 필터의 일부는, 각각 상이한 노광 헤드에 의해서 노광된 것이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91)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컬러 필터 (92)와 TFT 기판 (93)을 구비한다. 컬러 필터 (92)의 기판 (94)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 (95a 및 95b)와, 착색층 (96a, 96b, 97a 및 97b)가 형성되고, TFT 기판 (93)을 구성하는 기판 (99)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 (95a 및 95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차광부 (100a 및 10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차광부 (100a 및 100b)는, TFT 기판 (93) 상에 설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금속 배선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우선, 연결 부분(이점 쇄선)보다 좌측의 화소 영역에서, 기판 (94) 상의 각 화소 위치에 형성되는 착색층 (96a 및 97a)는, 모두 블랙 매트릭스 (95a)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착색층 (96a)가 블랙 매트릭스 (95a)에 중첩됨으로써, 상단부 엣지 (119a)를 정점으로 하는 릿지 (118a)(도면의 태선 부분)가 형성되어, 착색층 (97a)가 블랙 매트릭스 (95a)에 중첩됨으로써, 상단부 엣지 (129a)를 정점으로 하는 릿지(128a)가 형성된다. 또한, 상단부 엣지 (119a 및 129a)는, Y축 방향에 선 상에 연속해 있다. 또한, 착색층 (96a)와 블랙 매트릭스 (95a)와의 중첩 부분의 오버랩 폭은 W91이고, 착색층 (97a)와 블랙 매트릭스 (95a)와의 중첩 부분의 오버랩 폭은 W92이다.
다음으로, 연결 부분(이점 쇄선)보다 우측의 화소 영역에서도, 기판 (94) 상의 각 화소 위치에 형성되는 착색층 (96b 및 97b)는, 모두 블랙 매트릭스 (95b)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착색층 (96b 및 97b)가 블랙 매트릭스 (95b)에 중첩됨으로써, 각각 상단부 엣지 (119b)를 정점으로 하는 릿지 (118b)와, 상단부 엣지 (129b)를 정점으로 하는 (128b)가 형성된다. 착색층 (96b)와 블랙 매트릭스 (95b)와의 중첩 부분의 오버랩 폭은 연결 부분보다 좌측의 화소 영역과 마찬가지로 W91인데 착색층 (97b)를 노광할 때에 노광 헤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착색층 (97a)와 블랙 매트릭스 (95a)와의 중첩 부분의 오버랩 폭은 W93(<W92)이다. 또한, 상단부 엣지 (129b)가 차광부 (100b)에 차광되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착색층과 블랙 매트릭스와의 중첩 부분의 오버랩 폭이 연결 부분의 양측에서 상이한 경우, 연결 부분의 좌측을 투과하는 광 L91과 우측을 투과하는 광 L92와의 나오는 모양이 다르다. 또한, 상단부 엣지 (119b)가 차광부의 차광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광 L92는 상단부 엣지 (119b)를 경유한다. 이 결과, 연결 부분의 좌측을 투과하는 광 L91과 우측을 투과하는 광 L92와의 나오는 모양의 차는 더욱 커진다. 이 연결 부분의 양측에서의 광의 출력의 차이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 불균일의 원인이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구조의 컬러 필터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다.
도 8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시에는, TFT 기판 (93)의 차광부 (100c)의 중심선과 블랙 매트릭스 (95c)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기판끼리의 접합이 행해지지만, 도 4와 같이, 조립 오차에 의해서 양자의 중심선끼리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착색층 (96c)와 블랙 매트릭스 (95c)와의 중첩 부분과, 착색층 (97c)와 블랙 매트릭스 (95c)와의 중첩 부분에서 오버랩 폭이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차광부 (100c)로부터의 비어져 나온 폭 W94 및 W95가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블랙 매트릭스의 양측에서 광 L93 및 L94의 나오는 모양이 크게 달라, 화상의 표시 불균일의 원인이 된다. 또한, 조립 오차가 더욱 커진 경우에는, 상단부 엣지 (119c 또는 129c)가 차광부의 차광 영역의 외측에 비어져 나온 경우도 상정된다. 차광 영역의 외측에 비어져 나온 상단부 엣지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광의 투과성이 현저히 변화되기 때문에, 표시 불균일의 증대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노광 헤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조립 오차에 의한 표시 불균일이 없고, 표시 품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차광층과, 적어도 제1 방향에서 차광층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복수의 착색층이 형성된 컬러 필터와, 차광층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차광부를 갖는 TFT 기판과, 컬러 필터와 TFT 기판 사이에 봉입되는 액정을 구비한다. 착색층과 차광층이 제1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가 형성되고, 릿지의 적어도 상단부 엣지가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 매트릭스와 착색층과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릿지의 상단부 엣지가 배선의 배후에 배치되어 차광되기 때문에, 노광시에 있어서의 포토마스크의 위치 어긋남이나, 조립 오차에 의해서 중첩 부분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릿지의 상단부 엣지에 기인하는 광의 출사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아, 표시 품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다른 예에 따른 릿지에 대해서, 상단부 엣지의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컬러 필터 제조 공정에서의 노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도 7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다른 예에 따른 릿지에 대해서, 상단부 엣지의 위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a)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것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접합되는 컬러 필터 (2a) 및 TFT 기판 (3a)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봉입되는 액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TFT 기판 (3a)의 외면측(도 1의 상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이 배치된다.
컬러 필터 (2a)는, 기판 (4a)와, 기판 (4a) 상에 설치되는 블랙 매트릭스 (5a)와, 각 화소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착색층 (6a 및 7a)를 포함하고 있다. 착색층 (6a 및 7a)는, X축 방향에서, 블랙 매트릭스 (5a)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중첩부 (11a 및 12a)를 각각 구성한다. 또한, 착색층 (6a 및 7a)가 블랙 매트릭스 (5a)에 중첩됨으로써, 착색층이 융기한 릿지 (18a 및 28a)가 형성된다(도면의 태선 부분). 릿지 (18a 및 28a)의 정점은, 각각 Y축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선상의 상단부 엣지 (19a 및 29a)를 구성한다.
또한, 착색층 (6a 및 7a)는,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서 기판 (4a) 상에 코팅한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1색째(예를 들면, 적색)와 2색째(예를 들면, 녹색)의 화소를 소형 포토마스크를 복수 이용하는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도 6)으로 행하고, 3색째(예를 들면, 청색)의 화소를 프록시미티 노광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 마스크 노광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4a)를 Y축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각 노광 헤드에 장착된 포토마스크의 개구부 패턴을 상등식 광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전사한다. 이 결과, 1색째 및 2색째의 착색층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점멸식 광원에 의해서, 포토마스크의 개구부 패턴을 간헐적으로 전사함으로써, 도트상의 착색층을 형상할 수도 있다. 그 후, 예를 들면 1매의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프록시미티 노광 방식에 의해서, 3색째의 착색층을 일괄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적색, 청색 및 녹색에 추가로, 4색째(예를 들면, 황색)의 착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층 (6)과 착색층 (7)은, 블랙 매트릭스 (5) 상에서 X축 방향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각 착색층의 상단부 엣지는,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착색층 (6)과 착색층 (7)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에도, 도 1과 마찬가지로, 기판 (4)로부터 착색층 (6) 표면까지의 거리가 최대(H1)가 되는 위치를 상단부 엣지 (19)로 하고, 기판 (4)로부터 착색층 (7) 표면까지의 거리가 최대(H2)가 되는 위치를 상단부 엣지 (29)로 한다.
TFT 기판 (3a)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차광부 (10a)를 포함한다. 차광부 (10a)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금속 배선(소스 배선 또는 게이트 배선 또는 그의 둘 다)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TFT 기판 (3a) 상의 차광부 (10a)의 폭 W1a는, 블랙 매트릭스의 폭 W2a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컬러 필터 (2a) 상의 중첩부 (11a 및 12a)에는, 차광부 (10a)에 의해서 차광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단부 엣지 (19a 및 29a)는, 차광부 (10a)에 의해서 차광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단부 엣지 (19a 및 29a)는, 차광부 (10a)의 X축 방향의 단부 엣지를 기판 (4a)에 투영한 라인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차광부 (10a)의 폭 W1a와, 상단부 엣지 (19a 및 29a)의 간격 W3a에 차(W1a-W3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부 (10a)의 X축 방향의 단부 엣지를 기판 (4a)에 투영한 라인과, 상단부 엣지 (19a 및 29a)에 간격 W4a 및 W5a가 생긴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a)에서도, 각 노광 헤드의 기판에 대한 위치 정렬 정밀도 등에 기인하는 착색층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노광 헤드에서 노광된 제1 영역에서의 착색층이 형성되는 위치와,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다른 노광 헤드에서 노광된 영역)에 있어서의 착색층이 형성되는 위치가 변동된다. 이 결과, 제1 영역의 상단부 엣지의 위치와, 제2 영역의 상단부 엣지의 위치가 변동된다. 또한, 컬러 필터 (2a)와 TFT 기판 (3a)와의 접합 오차에 기인하여, 차광부와 상단부 엣지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a)에서는, 차광부 (10a)의 폭 W1a와 상단부 엣지 (19a 및 29a)의 간격 W3a와 차(W1a-W3a)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위치 어긋남을 어느 정도 허용하여, 상단부 엣지 (19a 및 29a)를 차광부 (10a)에 의한 차광 영역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상단부 엣지를 경유한 광이 표시 화소에 출력되는 것에 기인하는, 화상의 표시 불균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차(W1a-W3a)의 값은 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노광 헤드의 기판에 대한 위치 정렬 정밀도 등에 기인하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4 ㎛ 이상의 차(W1a-W3a)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컬러 필터 (2a)와 TFT 기판 (3a)와의 접합시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4 ㎛ 이상의 차(W1a-W3a)를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컬러 필터 (2a) 제작시의 노광 처리를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으로 행하는 경우에, 노광 헤드의 연결 부분에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이것에 기인하는 화질의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아, 표시 품질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 (1a)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착색층과 블랙 매트릭스와의 중첩부가 차광되는 범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중첩부의 전체가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부 (10b)의 폭 W1b는, 블랙 매트릭스 (5)의 폭 W2b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중첩부 (11b 및 12b)는 차광부 (10b)에 의해서 차광된다. 상세하게는, 중첩부 (11b 및 12b)는, 차광부 (10b)의 X축 방향의 단부 엣지를 기판 (4b)에 투영한 라인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차광부 (10b)의 폭 W1b와, 블랙 매트릭스 (5b)의 폭 W2b에 차(W1b-W2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부 (10b)의 X축 방향의 단부 엣지를 기판 (4b)에 투영한 라인과, 중첩부 (11b 및 12b)에 간격 W8 및 W9가 생긴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b)에서도, 착색층 (6b 및 7b)의 노광시에 생긴 노광 헤드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중첩부 (11b 및 12b)의 오버랩 폭 W6b 및 W7b가 규정값보다 변동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b)에서는, 중첩부 (11b 및 12b)의 전체가 차광부 (10b)의 사영(射影)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광되어 있다. 따라서, 중첩부 (11b 및 12b)를 경유한 광의 나오는 모양의 차에 기인하는 화상의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 (10b)의 폭 W1b와, 블랙 매트릭스 (5b)의 폭 W2b와 차(W1b-W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결과, 컬러 필터 (2b)와 TFT 기판 (3b)와의 접합시의 위치 어긋남을 어느 정도 허용하고, 중첩부 (11b 및 12b) 전체를 차광부 (10b)에 의한 차광 영역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차(W1b-W2b)의 값은, 조립 오차를 고려하여 4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차광부의 증가에 의한 개구율의 저하를 고려하여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1b)에서는, 차광부 (10b)가 중첩부 (11b 및 12b) 전체를 차광하고 있다. 따라서, 릿지의 상단부 엣지를 경유하는 광의 출력에 기인하는 화상의 표시 불균일을 방지할 뿐 아니라, 중첩부의 폭의 차이에 기인하는 화상의 표시 불균일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보다 표시 품질이 좋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층으로서 블랙 매트릭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판 상에 형성되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층일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시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소형 마스크 연속 노광 방식 및 프록시미티 노광 방식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착색층을 설치한 컬러 필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소스 또는 게이트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차광부가 기판 상에 설치된 TFT 기판을 제작하였다. 이 때, 차광부의 폭, 블랙 매트릭스의 폭, 및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의 단부 엣지를 기판에 투영한 라인과의 거리를,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나타내는 값으로서, 각각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 불균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음, ○: 표시 불균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 ×: 표시 불균일이 발생함"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차광부의 폭, 블랙 매트릭스의 폭, 및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 단부 엣지와의 거리는, 전부 X축 방향의 값이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릿지의 상단부 엣지는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비교예 1에서는 릿지의 상단부 엣지는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차광부의 폭(W1a)을 22 ㎛, 블랙 매트릭스의 폭(W2a)을 16 ㎛,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 (10)의 단부 엣지를 기판에 투영한 라인과의 거리(W4a 및 W5a)를 4 ㎛(상단부 엣지는 차광부의 내측에 위치함)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차광부의 폭(W1b)을 18 ㎛, 블랙 매트릭스(W2b)의 폭을 28 ㎛,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 (10)의 단부 엣지를 기판에 투영한 라인과의 거리(W4b 및 W5b)를 4 ㎛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차광부의 폭(W1c)을 22 ㎛, 블랙 매트릭스의 폭(W2c)을 22 ㎛,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 (10)의 단부 엣지를 기판에 투영한 라인과의 거리(W4c 및 W5c)를 4 ㎛로 하였다.
(비교예)
비교예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5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차광부의 폭(W1d)을 18 ㎛, 블랙 매트릭스의 폭(W2d)을 28 ㎛, 릿지의 상단부 엣지와 차광부 (10)의 단부 엣지를 기판에 투영한 라인과의 거리(W4d 및 W5d)를 -4 ㎛(상단부 엣지는 차광부의 외측에 위치함)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릿지의 적어도 상단부 엣지가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어 있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 불균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개선되었다. 또한, 중첩부 전체가 차광되어 있는 실시예 1은, 표시 품질이 보다 크게 개선되었다.
본 발명은 컬러 필터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a, 1b: 액정 표시 장치
2a, 2b: 컬러 필터
3a, 3b: TFT 기판
4a, 4b: 기판
5a, 5b: 블랙 매트릭스
6a, 6b, 7a, 7b: 착색층
9a, 9b: 기판
10a, 10b: 차광부
11a, 11b, 12a, 12b: 중첩부
18a, 18b, 28a, 28b: 릿지
19a, 19b, 29a, 29b: 상단부 엣지

Claims (7)

  1.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기판에, 차광층과,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차광층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복수의 착색층이 형성된 컬러 필터와,
    상기 차광층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차광부를 갖는 TFT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TFT 기판 사이에 봉입되는 액정을 구비하고,
    상기 착색층과 상기 차광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릿지가 형성되어,
    상기 릿지의 적어도 상단부 엣지가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과 상기 차광층이 상기 제1 방향에서 중첩되는 부분의 전체가 상기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부의 폭이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층의 폭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부의 폭과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층의 폭과의 차가 4 ㎛ 이상, 또한 8 ㎛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수(predetermined number)의 화소열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중첩 폭으로, 상기 착색층과 상기 차광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소정수의 화소열을 포함하는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중첩폭과 상이한 제2 중첩폭으로, 상기 착색층과 상기 차광층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차광부의 폭과, 상기 차광부에 의해서 차광되어 있는 한쌍의 릿지의 상단부 엣지의 간격과의 차가 8 ㎛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의 두께가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감소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17026801A 2009-04-30 2010-04-28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22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0488 2009-04-30
JPJP-P-2009-110488 2009-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08A true KR20120022908A (ko) 2012-03-12

Family

ID=4303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801A KR20120022908A (ko) 2009-04-30 2010-04-2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3322B2 (ko)
JP (1) JPWO2010125824A1 (ko)
KR (1) KR20120022908A (ko)
CN (1) CN102422208A (ko)
TW (1) TWI493246B (ko)
WO (1) WO2010125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02A (ko) * 2013-08-29 2015-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98B1 (ko) 2012-12-27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리스 노광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CN105319631B (zh) * 2014-07-08 2019-02-0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基板与显示面板
TWI536078B (zh) * 2014-07-08 2016-06-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彩色濾光基板與顯示面板
CN104297996B (zh) * 2014-11-10 2018-03-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698673A (zh) * 2015-03-18 2015-06-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彩膜基板的制备方法及液晶显示器
CN107632453B (zh) * 2017-10-31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制造方法和显示装置
JP7263120B2 (ja) * 2019-05-23 2023-04-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2685A (ja) * 1982-04-01 1983-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体装置
JPH07244213A (ja) 1994-03-02 1995-09-19 Toray Ind Inc 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ックマトリクス基板形成用樹脂
JP3027541B2 (ja) 1995-09-27 2000-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202924B1 (en) 1999-03-17 2007-04-10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3812444B2 (ja) * 2002-01-16 2006-08-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62240B1 (ko) 2002-07-31 2008-10-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3962801B2 (ja) * 2003-08-06 2007-08-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液晶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KR100698052B1 (ko) * 2003-11-12 2007-03-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4939A (ko) * 2004-09-15 2006-03-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5430B1 (ko) 2004-11-26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cb 모드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4844016B2 (ja) 2005-06-03 2011-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82899B2 (ja) 2005-10-25 2014-01-08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露光装置
JPWO2007113941A1 (ja) 2006-04-05 2009-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用の基板、この基板を備える表示パネル、表示パネル用の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2073176A (zh) 2006-10-17 2011-05-25 夏普株式会社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4971835B2 (ja) 2007-03-02 2012-07-1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露光方法及び露光装置
TWI368051B (en) * 2007-07-04 2012-07-11 Chimei Innolux Corp Color filter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8605237B2 (en) * 2009-04-30 2013-12-10 Toppan Printing Co., Ltd.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xposure ma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402A (ko) * 2013-08-29 2015-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3246B (zh) 2015-07-21
WO2010125824A1 (ja) 2010-11-04
CN102422208A (zh) 2012-04-18
US20120038864A1 (en) 2012-02-16
US8743322B2 (en) 2014-06-03
JPWO2010125824A1 (ja) 2012-10-25
TW201100916A (en) 201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908A (ko) 액정 표시 장치
JP5633820B2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露光マスク
WO2018014554A1 (zh) 掩膜板及其制作方法
JP5757245B2 (ja) 露光方法および露光装置
US8767324B2 (en) Color filter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exposure method
US9519180B2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9230124A (ja) カラーフィルタ
JP5403286B2 (ja) 露光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露光装置
WO2010098093A1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20140065302A1 (en) Mask and fabrication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TWI402918B (zh) 光罩及薄膜電晶體基板之製造方法
TWI514015B (zh) 彩色濾光片基板之曝光方法
JP5542456B2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露光方法
US20090155933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5691280B2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フォトマスクセット
JP2017223887A (ja) 表示装置及びフォトマスク
JP2009216762A (ja) フォトマスク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210052799A (ko) 마스크, 마스크를 포함하는 패터닝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09092973A (ja) 積層フォトスペーサー付きカラーフィルタ
JP2010072299A (ja) フォトマスク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5165013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19045571A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35057A (ja) 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