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895A - 리튬 이온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95A
KR20120020895A KR1020100084817A KR20100084817A KR20120020895A KR 20120020895 A KR20120020895 A KR 20120020895A KR 1020100084817 A KR1020100084817 A KR 1020100084817A KR 20100084817 A KR20100084817 A KR 20100084817A KR 20120020895 A KR20120020895 A KR 20120020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lithium ion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594B1 (ko
Inventor
김학관
김배균
민홍석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94B1/ko
Priority to US13/137,562 priority patent/US20120050950A1/en
Publication of KR2012002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며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커패시터{lithium ion capacitor}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모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완제품 기기의 핵심부품이다. 또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미래형 전기자동차 및 휴대용 전자장치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고품질 에너지원으로써 확실하게 사용될 것이다.
전기화학적 에너지 장치는 전기화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리튬 이온 전지와 전기화학 커패시터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리튬 이온 전지는 리튬 이온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충방전할 수 있는 에너지 장치로써, 단위무게 혹은 부피당 축적할 수 에너지 밀도가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비해 우수하여 유력한 전원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리튬 이온 전지는 안전성 저하, 짧은 사용기간, 긴 충전시간 및 작은 출력밀도와 같은 단점이 있어, 상용화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최근,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는 작으나, 우수한 순간 출력을 가지며 장수명 특성을 가질 수 있어, 리튬 이온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전기화학 커패시터 중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다른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비해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에너지 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단위 체적당 음극의 정전용량이 양극의 정전용량보다 약 3~4배 크므로, 실제 최대 용량발현을 위해 양극의 두께는 음극의 두께보다 3~4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양극이 음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므로, 양극내에 도전재가 균일하게 분포된다 할지라도 내부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여, 양극의 정전 용량을 증대시켜 양극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수단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며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라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도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재는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및 금속분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및 난흑연성 카본 및 탄소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활물질은 상기 제 1 활물질에 비해 1 내지 5배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여, 양극의 정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정전 용량을 유지하며 양극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양극 내의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고, 결국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층은 이 제 1 및 제 2 활물질을 포함하여, 제 1 활물질만을 포함할 경우보다 슬러리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극 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극 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는 하우징(150), 하우징(150)에 의해 밀봉된 전극셀(110), 전극셀(110)에 함침된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셀(110)은 세퍼레이터(1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111) 및 음극(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극(111) 및 음극(112)은 서로 일부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기화학 커패시터, 즉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경우, 양극(111)은 캐소드(cathode) 또는 포지티브 전극(positive electrode)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음극은 애노드(anode) 또는 네가티브 전극(negative electrode)로 불릴 수 있다.
양극(111)은 양극 집전체(111a)와 양극 집전체(111a)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111a)는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 니켈, 타이타늄, 탄탈륨, 니오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합금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 집전체(111a)는 박막 또는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111b)은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A1)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A2)을 함유할 수 있다.
제 1 활물질(A1)은 리튬금속산화물(A12)과 탄소소재(A11)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량 및 출력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리튬금속산화물(A12)은 산화 및 환원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함에 따라 표면 흡착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활성탄에 비해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리튬금속산화물(A12)의 예로서는 LiMn2O4 또는 LiMnO2일 수 있다.
또한, 탄소소재(A11)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재질, 예컨대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라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리튬금속산화물(A12)와 양극 집전체(111a)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전기 저항을 낮출 수 있어, 출력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리튬금속산화물(A12)은 서로 얽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탄소소재(A11)에 흡착됨에 따라, 리튬금속산화물(A12)과 탄소소재(A11)는 서로 균일하게 분포되며 양극 집전체(111a)와 연결될 수 있어, 출력 특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리튬금속산화물(A12)은 나노 사이즈를 가짐에 따라, 충방전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양극 활물질층(111b) 제 1 활물질(A1)만을 구비할 경우, 탄소소재(A11) 간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슬러리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리튬금속산화물(A12) 입자간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도전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소재(A11)간의 응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양극 물질층( 111b)은 제 2 활물질(A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활물질(A2)이 포함됨에 따라, 양극 활물질층(111b)을 형성하기 위한 슬러리에서 제 1 활물질(A1)의 양은 감소될 수 있어 제 1 활물질(A1)간의 응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양극 활물질층(111b) 에서 제 1 활물질(A1)의 함량이 낮아짐에 따라, 제 1 활물질(A1)간의 응집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활물질(A2)을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활성탄일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은 표면 흡착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제 1 활물질(A1)에 비해 충방전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제 2 활물질(A2)은 슬러리의 제조시 제 1 활물질(A1)의 응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충방전 속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활물질(A2)은 제 1 활물질(A1)에 비해 1 내지 5배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활물질(A2)이 제 1 활물질(A1)에 비해 1배 미만의 중량비를 가질 경우, 제 1 활물질(A1)의 응집으로 인해 슬러리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제 2 활물질(A2)이 제 1 활물질(A1)에 비해 5배를 초과할 경우, 양극 활물질층(111b) 용량을 증대시키는 데 효과가 없다.
이에 더하여, 양극 활물질층(111b)은 전기전도도 특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도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전재 재질의 예로서는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및 금속분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 활물질층(111b)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등의 열가소성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등의 고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VP)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111)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양극 단자(120)를 구비할 수 있다. 양극 단자(120)는 양극 집전체(111a)로부터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양극 단자(120)는 각각의 양극 집전체(111a)로부터 연장되어 다수개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접촉되기 위해 적층된 양극 단자(120)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 단자(120)는 별도의 외부단자를 구비하여, 양극 단자(120)는 외부단자와 융착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음극(112)은 음극 집전체(112a)와 음극 집전체(112a)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집전체(112a)는 금속, 예컨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112a)는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음극 집전체(112a)는 이온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균일한 도핑 공정을 위해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층(112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음극 활물질층(112b)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및 난흑연성 카본 및 탄소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층(112b)에 리튬이온이 프리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극(112)의 전위는 리튬의 전위, 즉 OV에 가깝게 낮춰질 수 있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음극(112)의 전위는 리튬 이온의 프리도핑공정을 제어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112)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음극 단자(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음극 단자(130)는 음극 집전체(112a)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음극 집전체(112a)와 음극 단자(13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극셀(110)은 파우치 타입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셀(110)은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가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 타입일 수도 있다.
전극셀(110)은 전해액에 함침되어 있다. 이때, 전해액은 양극의 활물질층, 음극의 활물질층 및 세퍼레이터에 함침되어 있을 수 있다.
전해액은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은 LiPF6, LiBF4 및 LiCIO4 중 어느 하나의 리튬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튬 염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충전시 음극으로 도핑되는 리튬 이온의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은 고전압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키지 않아 리튬 이온을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액의 용매는 카보네이트계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및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 단자(120) 및 음극 단자(130) 각각의 상하부의 일부 영역에 절연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재(140)는 양극 단자(120) 및 음극 단자(130)와 후술 될 하우징(150)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13)는 양극(111)과 음극(112)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13)는 종이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113)의 종류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극셀(110)은 파우치 타입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셀(110)은 양극(111), 음극(112) 및 세퍼레이터(113)가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 타입일 수도 있다.
전극셀(110)은 전해액에 함침되어 있다. 이때, 전해액은 양극(111)의 양극 활물질층(111b), 음극(112)의 음극 활물질층(112b) 및 세퍼레이터(113)에 함침되어 있을 수 있다.
전해액은 리튬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은 LiPF6, LiBF4 및 LiCIO4 중 어느 하나의 리튬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튬 염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충전시 음극으로 도핑되는 리튬 이온의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의 용매로 사용되는 재질의 예로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및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전해액에 함침된 전극셀(110)은 하우징(150)으로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50)은 두 장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50)의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하우징(150)은 금속 캔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여, 정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정전 용량을 유지하며 양극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활물질을 포함하여, 제 1 활물질만을 포함할 경우보다 슬러리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극 활물질의 용량 증대로 인해 양극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양극 내의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고, 결국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리튬 이온 커패시터 110 : 전극셀
111 : 양극 111a : 양극 집전체
111b : 양극 활물질층 112 : 음극
112a : 음극 집전체 112b : 제 1 음극 활물질층
113 : 세퍼레이터 120 : 양극 단자
130 : 음극 단자 140 : 절연부재
150 : 하우징 A1 : 제 1 활물질
A2 : 제 2 활물질

Claims (8)

  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며 탄소/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제 1 활물질과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제 2 활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라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및 금속분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및 난흑연성 카본 및 탄소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하고 있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활물질은 상기 제 1 활물질에 비해 1 내지 5배의 중량비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1020100084817A 2010-08-31 2010-08-31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10113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17A KR101138594B1 (ko) 2010-08-31 2010-08-31 리튬 이온 커패시터
US13/137,562 US20120050950A1 (en) 2010-08-31 2011-08-25 Lithium ion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17A KR101138594B1 (ko) 2010-08-31 2010-08-31 리튬 이온 커패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95A true KR20120020895A (ko) 2012-03-08
KR101138594B1 KR101138594B1 (ko) 2012-05-10

Family

ID=4569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17A KR101138594B1 (ko) 2010-08-31 2010-08-31 리튬 이온 커패시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50950A1 (ko)
KR (1) KR101138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743B1 (ko) * 2012-05-16 2014-05-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4142523A1 (ko) * 2013-03-11 2014-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의 프리도핑 방법,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US9705154B2 (en) 2013-03-11 2017-07-11 Lg Chem, Ltd. Method for prelithiation, method for fabricat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fabricated from the fabrica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110A (zh) * 2012-06-26 2014-01-1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Li2MoO3/石墨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容器
JP6326632B2 (ja) * 2012-09-28 2018-05-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キャパシタ用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パシタ
US20170112194A1 (en) * 2015-10-21 2017-04-27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chargeable lithium-ion capacito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0918134B2 (en) * 2015-10-21 2021-02-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uppl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EP3392897B1 (en) 2016-01-22 2020-06-0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Nonaqueous lithium-type power storage element
TWI627648B (zh) 2016-01-22 2018-06-21 Asahi Chemical Ind 正極前驅體
CN108475587B (zh) 2016-01-22 2019-07-09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锂型蓄电元件
WO2017126686A1 (ja) 2016-01-22 2017-07-27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リチウム蓄電素子
TWI641008B (zh) 2016-01-22 2018-11-11 旭化成股份有限公司 非水系鋰蓄電元件
CN110022706B (zh) * 2016-12-01 2022-10-04 莱战略控股公司 用于气溶胶递送设备的可再充电的锂离子电容器
KR102576896B1 (ko) * 2019-03-29 2023-09-11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알칼리 금속 축전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1115B2 (ja) 2003-05-23 2009-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4362859A (ja) * 2003-06-03 2004-12-24 Nissan Motor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0367543C (zh) * 2004-08-17 2008-02-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负极材料、负极结构体及锂二次电池
KR20060076680A (ko) * 2004-12-29 2006-07-04 한국전기연구원 하이브리드 전원 저장 장치
JP4924966B2 (ja) * 2005-10-17 2012-04-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KR100854540B1 (ko) * 2007-01-30 2008-08-2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743B1 (ko) * 2012-05-16 2014-05-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4142523A1 (ko) * 2013-03-11 2014-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의 프리도핑 방법,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US9705154B2 (en) 2013-03-11 2017-07-11 Lg Chem, Ltd. Method for prelithiation, method for fabricat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fabricated from the fabric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594B1 (ko) 2012-05-10
US20120050950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94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US8526166B2 (en) Lithium ion capacitor
US8288032B2 (en) Energy storage device ce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461877B2 (ja) 多層電極膜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EP2228862B1 (en) Wound-type electric storage device with an additional ion source
WO1999060652A1 (fr) Pile secondaire non aqueuse et son procede de controle
JP2019021805A (ja) 電極体及び蓄電デバイス
KR20080081297A (ko) 리튬이온 커패시터
JP5308646B2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KR20160027364A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KR101138477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3423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09188141A (ja) 蓄電デバイス
KR101138482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12028366A (ja) 蓄電デバイス
US20230387475A1 (en) Lithium supercapattery with stacked or wound negative and positive electrodes sets along with separator
US20220165511A1 (en) Advanced lithium-ion energy storage device
KR102028677B1 (ko) 그래핀 전극을 적용한 적층형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18078029A (ja) 負極及び非水電解質蓄電素子
JP2010141065A (ja) 蓄電デバイス
CN114597554A (zh) 电容器辅助锂-硫电池组
KR101205846B1 (ko) 플레이트형 집전체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19114400A (ja) 蓄電デバイス
WO2023190871A1 (ja) 二次電池
JP2019067608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