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83A -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83A
KR20120019383A KR1020110083794A KR20110083794A KR20120019383A KR 20120019383 A KR20120019383 A KR 20120019383A KR 1020110083794 A KR1020110083794 A KR 1020110083794A KR 20110083794 A KR20110083794 A KR 20110083794A KR 20120019383 A KR20120019383 A KR 2012001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ank
amount
remaining amount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치 고가네히라
다쿠 이시자와
료헤이 이토
마사하루 이와모토
다이스케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G06F3/1235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caused by end of consumables, e.g. paper, ink, to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6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based on the amount printed or to be pr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과제) 인쇄 장치의 잉크 탱크에 열화된 잉크가 보충되는 것을 회피한다.
(해결 수단) 잉크 탱크로부터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하면, 잉크의 분사를 금지한다. 그리고 인쇄 장치의 조작자에게 잉크 탱크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하여, 잉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의 선택에 의해, 잉크량의 계수치를 일정량만큼 복귀시킨다. 이렇게 하면, 잉크 탱크의 잉크가 충분히 적어지고 나서 잉크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병 내의 잉크를 전부 보충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병 내에 남은 잉크가 열화되어, 그 잉크가 보충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PRINT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본 발명은, 분사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와 같이 분사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사되는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라고 불리는 전용 용기에 수용되어 있고, 잉크의 자체 중량에 의해, 혹은 송액 펌프에 의해 분사 헤드에 공급되고 있다.
분사 헤드의 내부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미세한 분사 노즐이나, 분사 노즐에 잉크를 유도하기 위한 가는 잉크 통로가 형성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상이 열화된 잉크가 공급되면 분사 노즐이나 잉크 통로 등을 막히게 하고, 최종적으로는 분사 헤드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성상이 열화된 잉크가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가 없어진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째 교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 잉크가 없어지면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게 된다.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는, 장착되지 않는 한, 긴 기간에 걸쳐 적절한 성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항상 적절한 성상의 잉크를 분사 헤드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잉크 카트리지로는 수용 가능한 잉크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몇 번이나 인쇄를 중단하여 잉크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다. 그래서, 인쇄 장치에 마련한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를 공급하도록 해 두고, 인쇄 중에 잉크가 적어지면, 별도로 준비해 둔 잉크병으로부터 잉크 탱크에 잉크를 보충하는 것으로, 연속하여 인쇄 가능하게 하는 기술도 존재한다(특허 문헌 1).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11155호 공보
그러나, 잉크병 등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함으로써 연속 인쇄를 가능하게 한 경우, 성상이 열화된 잉크가 보충되어, 분사 헤드의 내부를 막히게 하여버릴 우려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예컨대, 잉크병 내의 잉크를 반만 보충했다고 한다. 잉크병이 미개봉이면 내부의 잉크를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성상으로 유지해 둘 수 있지만, 일단 개봉한 후는, 잉크병 내에 남은 잉크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그 후, 반 남아 있는 잉크병 내의 잉크가 잉크 탱크에 보충되면, 성상이 열화된 잉크가 분사 헤드에 공급되어, 분사 헤드의 내부를 막히게 하여버리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잉크병 등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하는 것으로 연속 인쇄가 가능하면서, 열화가 진행된 잉크가 보충되어 분사 헤드의 내부에서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한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다음 구성을 채용했다. 즉, 외부로부터 잉크를 보충 가능한 잉크 탱크와, 그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를 구비하고, 그 잉크 탱크로부터 그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그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의 동작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적어도 판별 가능한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한 경우에는,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를 재촉하는 소정의 확인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확인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동작, 혹은 상기 계수치를 상기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수정 동작을 상기 인쇄 장치에 지시하는 제 3 기능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달하면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의 동작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우선,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별 가능한 정보를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한다. 여기서, 인쇄 장치의 내부에서 잉크량을 계수하는 것에 있어서는,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의 유량을 직접 계측함으로써 잉크량을 계수하더라도 좋지만, 분사 헤드가 잉크를 분사하는 동작으로부터,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량을 간접적으로 계수하더라도 좋다(1도트에서 분사되는 잉크량과 분사 도트수를 곱하는 것에 의해 계수되는 잉크량). 또한, 잉크량을 계수하는 형태는, 분사 헤드에 잉크가 공급됨에 따라, 계수치가 증가하는 형태로 계수하더라도 좋고, 반대로, 계수치가 감소하는 형태로 계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인쇄 장치 내에서의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별 가능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따라서, 잉크량의 계수치를 취득하더라도 좋고, 혹은, 잉크량의 계수치와 한계치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나,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만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했다고 판정하면, 잉크 탱크 내의 실제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인쇄 장치의 조작자를 재촉하는 내용의 소정의 화상(확인 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잉크량의 계수치를 초기화하는 동작(초기화 동작), 혹은 계수치를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동작(수정 동작)을 인쇄 장치에 지시한다.
이렇게 하면, 잉크량의 계수치에 포함되는 오차의 영향으로, 잉크 탱크 내에 잉크가 남아 있는데도,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한 경우에도,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여, 잉크가 남아 있으면, 계수치를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것에 의해, 다시 인쇄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잉크 탱크 내의 잉크가 없어지거나, 또는, 가득 찬 잉크병 내의 모든 잉크를 보충할 수 있는 양이 되고 나서 잉크를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병 내의 잉크를 전부 보충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병 내에 남은 잉크가 열화되어, 그 잉크가 보충되어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더라도 좋다.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용이하게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잉크 탱크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하면,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에 근거하여, 잉크의 보충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재촉하는 확인 화상을 표시한다. 그 결과,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초기화 동작(계수치의 초기화)을 행하게 하고,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수정 동작(계수치의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더라도 좋다.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용이하게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잉크 탱크를 형성해 둔다. 또한, 잉크 액면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잉크의 보충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하한 라인을, 잉크 탱크에 표시해 둔다. 그리고,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하면,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와 하한 라인을 비교하여, 잉크의 보충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재촉하는 확인 화상을 표시한다. 그 결과,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초기화 동작(계수치의 초기화)을 행하게 하고,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수정 동작(계수치의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잉크 탱크의 하한 라인과 잉크 액면을 비교함으로써,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의 보충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잉크를 보충하는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기 때문에, 잉크병 내의 잉크를 전부 보충할 수 없어, 남은 잉크가 잉크병 내에서 열화되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더라도 좋다. 우선, 잉크 탱크에 표시된 하한 라인의 아래쪽에도, 소정량의 잉크가 예비 잉크로서 수납되도록 잉크 탱크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잉크 액면과 하한 라인을 비교한 결과,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인쇄 장치 내의 잉크량의 계수치를, 예비 잉크의 잉크량에 상당하는 계수치만큼 한계치로부터 되돌리는 동작을, 인쇄 장치에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잉크량의 계수치가 되돌려져버린 경우에도, 계수치가 다시 한계치에 달할 때까지는, 잉크 탱크 내의 예비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를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 헤드가 빈 상태가 되어 손상을 입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더라도 좋다. 우선, 인쇄 장치에, 복수의 잉크 탱크를 탑재하고, 각각의 잉크 탱크에 대하여 분사 헤드를 마련하여 놓는다. 그리고, 잉크량을 계수하는 것에 있어서는, 잉크 탱크마다 잉크량을 계수하고, 어느 하나의 잉크 탱크에서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에 달하면, 그 잉크 탱크에 대한 확인 화상(잉크 탱크로의 잉크의 보충을 행할지 여부를 인쇄 장치의 조작자에게 확인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한다. 그 결과, 확인 화상이 표시된 잉크 탱크에 대하여, 잉크 탱크마다, 초기화 동작 또는 수정 동작을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인쇄 장치에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복수 종류의 잉크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이더라도, 개개의 잉크 탱크 내의 잉크가 충분히 적어질 때까지 인쇄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인쇄 장치나,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의 형태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쇄 장치에 내장된 인쇄 시스템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로 파악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잉크 탱크에 보충된 잉크를, 분사 헤드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인쇄부와, 그 인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을 계수하는 잉크량 계수 수단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분사 정지 수단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인쇄 시스템의 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소정의 확인 화상을 표시하는 확인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확인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인쇄 시스템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를 초기치까지 되돌리거나, 혹은 그 계수치를 상기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동작을 행하는 계수치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도, 잉크 탱크로부터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을 계수하여, 그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가 정지되고,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재촉하는 확인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 내에서 계수되고 있는 잉크량의 계수치가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려져, 다시 분사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인쇄 장치에, 그 인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를 접속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접속된 컴퓨터와, 인쇄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부 중에서 잉크량을 계수하여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이,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응하고, 인쇄 장치 중에서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이, 본 발명의 인쇄부에 대응한다. 또한, 인쇄 장치 자신이 컴퓨터를 탑재하고 있어, 외부의 컴퓨터에 접속하지 않고서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에 탑재된 컴퓨터가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응하고, 그 이외의 부분이 본 발명의 인쇄부에 대응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인쇄 장치에서의 잉크량의 계수치에 포함되는 오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잉크 탱크 내의 잉크가 충분히 적어지고 나서 잉크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 탱크에는 하한 라인이 마련되고, 잉크 탱크에는 잉크병으로부터 잉크가 보충되고, 잉크 탱크에 수용 가능한 잉크 용량과 미개봉 잉크병에 수용되는 잉크의 용량의 관계가, 잉크 탱크 내의 잉크의 액면이 하한 라인의 위치에 있을 때, 미개봉 잉크병을 잉크 탱크 내에 모두 충전 가능한 관계로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병 내의 잉크를 전부 보충할 수 없어 잉크가 남아버려, 그 잉크가 잉크병 내에서 열화되어, 다음번에 보충되어버리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실행하는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잉크 잔량 관리 처리 중에서 실행되는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탱크 케이스의 확인창으로부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잔량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탱크 케이스의 확인창으로부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잉크 액면과 하한 라인이 매우 접근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뒤에 표시되는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잉크 잔량 관리 처리 중에서 실행되는 잉크 보충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탱크 케이스를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뗀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잉크 보충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보충 잉크가 수용된 잉크병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모니터 화면상에서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표시되는 입력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모니터 화면상에서 잉크 ID 번호의 재입력을 재촉하기 위해 표시되는 재입력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된 보충 완료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잉크 탱크에 잉크를 보충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이,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에 달하고 있지 않은 잉크 잔량을 증가시키는 분량과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유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탱크 케이스의 확인창으로부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잔량을 확인 가능한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탱크 케이스를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뗀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잉크젯 프린터에 탱크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원 발명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A. 장치 구성 :
A-1.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의 구조 :
A-2.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 :
B. 잉크 잔량 관리 처리 :
B-1. 잉크 잔량 수정 처리 :
B-2. 잉크 보충 처리 :
A. 장치 구성 :
A-1.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의 구조 :
도 1은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100)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100)는, 대략 상자 모습의 외관 형상을 하고 있고, 전면의 거의 중앙에는 전면 커버(103)가 마련되고, 배면측에는, 인쇄 용지(1)를 세트하는 급지 트레이(10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0)의 전면측에서, 전면 커버(103)의 이웃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105)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조작 버튼(105)이 마련된 부분의 상면측에는, 터치 패널식의 모니터 화면(104)이 마련되어 있다. 전면 커버(103)는 하단측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단측을 앞으로 쓰러뜨리면, 인쇄 용지(1)가 배출되는 가늘고 긴 용지 배출구(102)가 나타난다. 급지 트레이(101)에 인쇄 용지를 세트하여, 모니터 화면(104) 혹은 조작 버튼(105)을 조작하면, 급지 트레이(101)로부터 인쇄 용지(1)가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터(100)의 내부에서, 인쇄 용지(1)의 표면에 화상이 인쇄된 후,용지 배출구(102)로부터 배출되게 되어 있다.
잉크젯 프린터(100)의 측면에는, 상자 형상의 탱크 케이스(150)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탱크 케이스(150)의 내부에는 복수의 잉크 탱크가 마련되어 있어, 잉크젯 프린터(100)가 인쇄에 이용하는 잉크는, 이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인쇄하는 화상의 데이터(화상 데이터)는, 잉크젯 프린터(100)에 접속된 컴퓨터(200)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된 후, 잉크젯 프린터(100)에 공급된다. 잉크젯 프린터(100)는, 컴퓨터(200)로부터 화상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인쇄 용지(1)상에 잉크에 의한 도트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나타낸 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얻어진 도트 데이터에 따라 인쇄 용지(1)상에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도트를 형성한다. 그 결과, 인쇄 용지(1)상에 화상이 인쇄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프린터(100)와,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에 공급하는 컴퓨터(200)에 의해 인쇄 시스템(10)이 구성되어 있게 된다.
A-2.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 :
도 2는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면 중에는, 잉크젯 프린터(100)의 대략적인 내부 구조도 나타나 있다. 우선 처음으로, 잉크젯 프린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내부에는, 인쇄 용지(1)의 위에서 왕복 운동하는 캐리지(110)가 마련되어 있고, 캐리지(110)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11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100)에서는, 시안(이하 C), 옐로(이하 Y), 마젠타(이하 M), 흑색(이하 K)의 4색의 잉크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 가능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잉크의 색마다 분사 헤드(112)가 마련되어 있다.
캐리지(110)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고, 가이드 레일(1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인쇄 용지(1)의 위에서 왕복 운동을 반복한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0)에는 도시하지 않는 용지 이송 기구도 마련되어 있어, 캐리지(110)가 왕복 운동하는 움직임에 맞춰 인쇄 용지(1)가 조금씩 이송되어 간다. 그리고, 캐리지(110)가 왕복 운동하는 움직임과, 인쇄 용지(1)가 이송되는 움직임에 맞춰, 분사 헤드(112)로부터, C의 잉크(이하, C 잉크), Y의 잉크(이하, Y 잉크), M의 잉크(이하, M 잉크), 혹은 K의 잉크(이하, K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인쇄 용지(1)에 화상이 인쇄된다.
분사 헤드(112)로부터 분사되는 잉크는, 탱크 케이스(150) 내에 마련된 잉크 탱크(151)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100)에서는, C 잉크, Y 잉크, M 잉크, K 잉크의 4종류의 잉크를 사용하므로, 잉크 탱크(151)도 잉크의 종류마다, C 잉크용 잉크 탱크(151C), Y 잉크용 잉크 탱크(151Y), M 잉크용 잉크 탱크(151M), 및 K 잉크용 잉크 탱크(151K)의 4개의 잉크 탱크(15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는, 특별히 잉크의 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잉크의 종류마다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를 합쳐 간단히 잉크 탱크(151)라 칭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는, 잉크의 종류마다 마련된 잉크 튜브(117)를 통해, 잉크의 종류마다의 분사 헤드(112)에 공급된다.
또한, 캐리지(110)가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인쇄 용지(1)의 외측까지 이동한 위치에는, 홈 포지션이라고 불리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잉크젯 프린터(100)가 화상을 인쇄하지 않고 있는 동안은, 캐리지(110)는 홈 포지션에 이동하여 있다. 홈 포지션에는, 캡(1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캡(122)은 도시하지 않는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110)가 홈 포지션에 이동한 상태에서, 캡(122)을 캐리지(110)의 저면측으로 밀면 분사 헤드(112)를 덮도록 폐공간이 형성되어, 분사 헤드(112) 내의 잉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캡(122)에는, 부압 튜브(124)를 사이에 두고 부압 펌프(120)가 접속되어 있고, 캐리지(110)의 저면측으로 캡(122)을 민 상태에서 부압 펌프(120)를 작동시킴으로써, 분사 헤드(112) 내의 잉크를 빨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사 헤드(112) 내에서 건조가 진행되어 잉크의 점도가 증가하여버린 경우에도, 그와 같은 잉크를 빨아내어, 분사 헤드(112) 내의 잉크를 적절한 점도로 유지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0)에는, 논리 연산이나 산술 연산을 행하는 CPU나,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ROM, EEPROM, CPU가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 등에 의해 구성된 제어부(140)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컴퓨터(200)로부터 화상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받으면, 그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잉크의 도트에 의해 표현한 화상 데이터(도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도트 데이터에 따라, 캐리지(110)가 왕복 운동하는 동작이나, 인쇄 용지(1)를 이송하는 동작, 분사 헤드(112)가 잉크를 분사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잉크의 도트를 형성하면, 그만큼의 잉크가 소비되어,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이 감소하여 간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제어부(140)에서는, 잉크의 종류마다의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잉크의 종류마다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을 계수하여 EEPROM에 기억하고 있어,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한계치)에 달하면(계산상으로 잉크가 없어지면), 분사 헤드(112)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분사 헤드(112)가 구동되기 때문에, 분사 헤드(112)가 큰 손상을 받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컴퓨터(200)는, CPU나, ROM, RAM 등이 버스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고,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컴퓨터(200)에는, 모니터 화면(202)도 탑재되어 있다. ROM에 기억된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는, 프린터 드라이버(204)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컴퓨터(200)의 조작자(잉크젯 프린터(100)의 조작자이기도하다. 즉, 컴퓨터(200)와 잉크젯 프린터(100)로 이루어지는 인쇄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사용자이다. 이하, 간단히 조작자라 기재한다.)가,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 등으로부터 도큐먼트의 인쇄를 실행하면, CPU가 프린터 드라이버(204)를 기동한다. 프린터 드라이버(204)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에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동작을, 그 기능에 착안하여 분류하면,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에 관한 부분(화상 변환 모듈)이나, 잉크젯 프린터(100)와 서로 통신하면서 잉크 탱크(151)의 잉크 잔량을 관리하는 기능에 관한 부분(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나, 잉크 잔량 관리 모듈로부터 기동되어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하기 위한 기능에 관한 부분(잉크 보충 모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모듈」이란,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동작을, 기능에 착안하여 대략적으로 분류한 가상적인 개념이며, 실제로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현화할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기능이 실현되도록 복수의 커맨드를 늘어놓은 프로그램 코드군으로서 구현화할 수도 있고, 혹은, 원하는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LSI군으로서 구현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변환 모듈에서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에 출력하고 있지만, 이 처리 자체는, 일반적인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행해지고 있는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204)에서는, 잉크 잔량 관리 모듈(또는 잉크 보충 모듈)이 잉크젯 프린터(100)와 데이터를 통신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터(100)에서 잉크 부족이 발생하여 인쇄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하기 위한 인쇄 시스템(10)의 조작을 조작자에게 안내하고 있다. 또한, 적정하지 않은 성상의 잉크가 보충되어 분사 헤드(112)의 내부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쇄 시스템(10)의 조작을 조작자에게 안내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내부에서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 실행하고 있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B. 잉크 잔량 관리 처리 :
도 3은 본 실시예의 프린터 드라이버(204) 중에서 행해지는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와 통신하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 관리 처리에서는, 우선 처음으로,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로부터,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을 잉크의 종류마다 취득한다(단계 S100).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에서는, 컴퓨터(20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를 도트 데이터(화상을 잉크 도트에 의해 표현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분사 헤드(112)나 캐리지(110)의 동작 등을 제어함과 아울러,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잉크 탱크(151)의 잉크 잔량을 잉크의 종류마다 계수하고, 그것을 누적하여 기억하고 있다. 또한, 분사 헤드의 클리닝을 위해, 부압 펌프에 의해 분사 헤드로부터 빨아낸 잉크의 양도 포함시켜 잉크 잔량을 계수하고 있다. 이하, 제어부(140)에서 계수하여 EEPROM 내에서 기억하고 있는 각 잉크 탱크마다의 잉크 잔량을 간단히 잉크 잔량 또는 잉크량의 계수치라고 한다. 또, 이하의 처리는, 전부 각 색의 잉크마다 행해지고 있으므로, 특별히 잉크의 종류를 특정하지 않고서 행한 설명은, 모든 잉크에 대하여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로부터 잉크 잔량을 취득하면, 취득한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그 결과, 어느 하나의 잉크 탱크(151)의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까지 감소하고 있는 경우는(단계 S102 : 예), 잉크 잔량 수정 처리(단계 S200)를 개시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잉크 잔량 수정 처리란, 조작자에게 잉크 탱크(151)의 잉크 잔량을 확인시켜, 실제로는 아직 잉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에서 계수하고 있는 잉크 잔량을 수정하는 처리이다.
한편,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취득한 잉크 잔량이 아직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단계 S102 : 아니오),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 조작자에 의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4).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란, 예컨대, 조작자가 컴퓨터(200)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204)를 기동하여 프린터 드라이버의 윈도우를 열어, 열린 윈도우로부터 잉크 잔량 확인의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조작이다. 그 결과,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단계 S104 : 아니오), 처리의 선두로 되돌아가, 다시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잉크 잔량을 취득한 후(단계 S100),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에 비하여, 조작자가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는(단계 S104 : 예),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은, 제어부(140)로부터 취득한 잉크 잔량에 근거하여, 대략적인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고, 잉크를 보충하는 잉크(보충 잉크)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한다(단계 S106).
도 4는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는, C 잉크, Y 잉크, M 잉크, 및 K 잉크의 각각에 대하여,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하측에는 체크박스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자가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는 잉크 탱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잉크 잔량이 줄어 있지 않은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를 보충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이러한 잉크에 대해서는, 체크박스를 선택할 수 없는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 중에서, C, Y, M, K의 각 잉크의 체크박스가 가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이들 체크박스를 선택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Y 잉크 및 M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 잔량이 소정치(예컨대 가득 찬 상태의 3% 이하)로 감소하고 있고, 이들 잉크의 체크박스가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 중에서 체크박스가 굵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잉크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한 잉크에 대해서는, 삼각형의 속에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이,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위에 그려져 있어, 잉크 잔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5에서는, Y 잉크 및 M 잉크의 잉크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다른 잉크(예컨대 C 잉크)의 잉크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잉크(C 잉크)에 대한 체크박스가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잉크(C 잉크)의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위에, 삼각형과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이 그려져 표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낸 잉크 잔량 관리 처리에서는, 조작자가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단계 S104 : 예), 그 시점에서 잉크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여 있는 잉크가 없으면, 도 4에 나타낸 형태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반대로, 잉크 잔량이 소정치 이하로 감소하여 있는 잉크가 있으면, 도 5에 예시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106). 그리고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도 4에 나타낸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어떤 잉크의 체크박스도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는,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의 「다음으로」라고 표시된 버튼(이하, 「다음으로」 버튼)을 선택한다. 이에 비하여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도 5에 예시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조작자가 보충하고자 생각한 잉크의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된 후,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의 「다음으로」 버튼이 선택된다. 물론, 조작자가 어떤 잉크도 보충하고자 생각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잉크의 체크박스에도 체크가 입력되지 않고서, 「다음으로」 버튼이 선택되게 된다.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에서는, 도 4 또는 도 5에 예시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하면(단계 S106), 조작자에 의해 「다음으로」 버튼이 클릭되기까지의 사이에는, 단계 S108에서는 「아니오」라고 판단되어,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해 「다음으로」 버튼이 눌리면,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 이것을 검출하여(단계 S108 : 예), 이번에는, 잉크를 보충하도록 선택된 잉크(보충 잉크 선택 화면의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된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그 결과,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한다고 해서 선택한 잉크 탱크(보충하는 잉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단계 S110 : 예), 후술하는 잉크 보충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300).
이에 비하여,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를 선택할 수 없는 형태로 표시된 경우나, 혹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를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었지만, 어떤 잉크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0에서는, 보충해야 할 잉크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다(단계 S110 : 아니오). 그리고, 이 경우는, 후술하는 잉크 보충 처리는 행하지 않고서, 그대로 잉크 잔량 관리 처리의 선두로 되돌아가,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잉크 잔량을 취득한 후(단계 S100),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에서는, 인쇄 시스템(10)의 조작자가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단계 S104 : 예),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조작자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취득한 잉크 잔량의 값에 관계없이,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에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열어, 언제라도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취득한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에 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단계 S102 : 예), 이하에 설명하는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00). 우선, 모니터 화면에,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자동적으로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잉크 잔량 수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B-1. 잉크 잔량 수정 처리 :
도 6은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잔량 관리 처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잉크의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에 달했다고 판단된 경우(도 3의 단계 S102 : 예)에, 프린터 드라이버(204)의 잉크 잔량 관리 모듈(도 2를 참조한 것)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개시하면, 우선 처음으로,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에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02). 여기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란, 조작자에게,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잉크 탱크 내에 실제로 남아 있는 잉크 잔량을 확인하도록 재촉하는 화면이다. 이하, 잉크 탱크 내에 실제로 남아 있는 잉크 잔량을 실제의 잉크 잔량이라고 한다.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조작자에게, 육안에 의해 실제의 잉크 잔량을 확인시키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우선, 프린터 드라이버(204)가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취득한 잉크 잔량은,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가 인쇄용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계수한 잉크의 분사량(잉크 분사량)과, 분사 헤드(112)로부터 클리닝을 위해 흡인되는 잉크의 양을 가산하여 산출하고, 그 잉크 분사량을 누적함으로써 구한 잉크 잔량이다. 그러나 실제의 잉크 분사량은, 잉크젯 프린터(100)가 사용되는 환경(예컨대 주위의 온도 등)이나, 잉크젯 프린터(100)의 개체차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계산상의 잉크 분사량에는 다소의 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차가 집적되는 것에 의해, 계산에 의해 구한 잉크 잔량이, 실제의 잉크 잔량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실제로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까지 내려가 있는지 여부를 조작자의 육안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실제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도 7은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도, 도 4 혹은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보충 잉크 선택 화면과 마찬가지로, C 잉크, Y 잉크, M 잉크, 및 K 잉크의 각각에 대하여, 대략적인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면 중에 표시된 C 잉크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 및 Y 잉크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에는, 원의 안에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이 그려져 있고, 이들 잉크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까지 감소하여 있는(잉크 탱크(151)가 거의 비어 있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또한, M 잉크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에는, 삼각형의 안에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보충 잉크 선택 화면과 마찬가지로, 잉크를 보충 가능한 레벨까지 잉크 잔량이 감소하여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또한, K 잉크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에는, 어떤 화상도 그려져 있지 않고, 이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를 보충 가능한 레벨까지 잉크 잔량이 감소하지 않고 있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들 각 잉크의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아래쪽에는, 네모난 체크박스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위쪽에는, 「잉크 탱크(151) 내에 남아 있는 잉크량을 확인하여, 아직 하한 라인까지 감소하지 않고 있는 잉크가 있으면,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도록」 조작자를 재촉하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도 1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탱크(151)는 탱크 케이스(150)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탱크 케이스(150)에는 후술하는 확인창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각각의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탱크 케이스(150)에 마련된 확인창(152)으로부터 잉크젯 프린터(100)를 본 도면이다. 확인창(152)으로부터, 잉크 탱크(151) 내의 실제의 잉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의 측면에는 큰 확인창(152)이 형성되어 있고, 탱크 케이스(150) 내에 수용된 C 잉크의 잉크 탱크(151C), Y 잉크의 잉크 탱크(151Y), M 잉크의 잉크 탱크(151M), K 잉크의 잉크 탱크(151K)를, 조작자가 각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에 남은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에는, 하한 라인(153)이 표시되어 있다. 이 하한 라인(153)은, 도 3에 나타낸 잉크 잔량 관리 처리 중에서 잉크 잔량에 대하여 판단된 「하한치」에 대응하고 있다. 즉, 하한 라인(153)은, 잉크 탱크(151)가 가득 찬 상태로부터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잉크 분사량을 감산하여 가, 잉크 잔량이 하한치까지 감소했을 때에,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의 액면이 정확하게 저하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즉, 소정의 환경에서, 표준의 잉크젯 프린터(100)를 사용했을 때에, 잉크 탱크(151)에 처음으로 잉크병으로부터 잉크병 내의 모든 잉크가 충전되었을 때의, 잉크 탱크의 실제의 잉크량에 대응하는 제어부(140)에서의 잉크 잔량(잉크 잔량 100%)으로부터, 잉크 분사량을 감산하여 가,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까지 감소했을 때에, 실제의 잉크 탱크(151)의 잉크의 액면이 위치하는 부분이 하한 라인보다 약간 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는 탱크 케이스(150)의 확인창(152)으로부터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 중에 나타낸 파선은, 탱크 케이스(150) 내에 수용된 잉크 탱크(151)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탱크(151)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확인창(152)으로부터는 잉크 탱크(151)에 마련된 하한 라인(153)도, 육안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각각의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151)의 하한 라인(153)은, 잉크 탱크(151)의 저면보다 조금만 위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더라도, 그 잉크 탱크(151) 내에는, 아직 일정량(Vrs)의 잉크가 예비 잉크로서 남아 있도록, 하한 라인(153)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잉크 탱크(151)의 하한 라인(153)이, 이러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이, 제어부(140)가 계산하고 있는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까지 저하되었다고 판단하면, 도 7에 예시하는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표시되고, 그리고, 조작자는, 확인창(152)으로부터 각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가, 하한 라인(153)에 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계산상으로는 잉크 잔량이 하한치까지 저하되어 있지만(즉,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여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잉크 액면이 아직 하한 라인(153)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7의 화면상에서, 대응하는 잉크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를 하회하고 있는 것이, C 잉크와, Y 잉크의 2개의 잉크이며, 이들 잉크에 대한 체크박스만이, 체크를 입력하여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은 잉크(M 잉크 및 K 잉크)에 대해서는, 체크박스를 선택할 수 없는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 잉크 및 Y 잉크 중 Y 잉크에 대해서는, 실제로 확인한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여 있지 않다고 해서, 조작자에 의해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되어 있다(도 9를 참조한 것). 이렇게 하여 조작자는, 탱크 케이스(150)의 확인창(152)으로부터 각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한 후, 화면의 아래쪽에 「다음으로」라고 표시된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도 6에 나타낸 잉크 잔량 수정 처리에서는, 「다음으로」 버튼이 눌렸다고 판단한다(단계 S204 : 예). 또한,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한 후(단계 S202), 조작자에 의해 「다음으로」 버튼이 클릭되기까지의 사이에는, 단계 S204에서는 「아니오」라고 판단되어,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버튼이 눌렸다고 판단하면(단계 S204 : 예), 이번에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의 수정이 필요한 잉크(즉,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상에서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된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6). 그 결과, 잉크 잔량의 수정이 필요한 잉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단계 S206 : 예),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를 향해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잉크 잔량의 수정을 지시한다(단계 S208). 제어부(140)는 이 지시를 받아, 대응하는 잉크의 잉크 잔량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킨다. 이렇게 하면, 계산상의 잉크 잔량과, 잉크 탱크(151)에 남아 있는 실제의 잉크 잔량에 차이가 생긴 경우에도,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실제의 잉크 잔량에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잉크 잔량의 수정이 필요한 잉크가 존재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단계 S206 : 아니오), 잉크 잔량을 수정하지 않고서, 즉시 도 6의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종료하여,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로 복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 헤드(112)의 잉크 분사량은 실제보다 약간 많게 어림잡혀 있고, 따라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은, 실제로 잉크 탱크(151) 내에 남아 있는 잉크의 잉크 잔량보다 항상 약간 적은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아직 잉크가 남아 있는 단계로부터 약간 이르게 보충 잉크의 준비를 재촉함으로써, 잉크 부족에 의해 인쇄를 속행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 3에 나타낸 잉크 잔량 관리 처리에서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소정의 하한치에 달한 경우에만(도 3의 단계 S102 : 예),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개시하여, 조작자에게 실제의 잉크 액면을 확인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다만,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잉크 탱크(151) 내에 남은 실제의 잉크량보다 많아져버리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실제로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까지 저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는 아직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모니터 화면(202)상에서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실제의 잉크 잔량에 맞춰지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사용자가 화면에서 바(bar)로 표시되어 있는 잉크 잔량의 바를 클릭&드래그하여, 바의 높이를 조정하면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잉크 탱크(151)에서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더라도, 잉크 탱크(151) 내에 일정량(Vrs)의 예비 잉크가 남는 위치에, 하한 라인(153)이 설정되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조작자에게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시키는 것에 의해, 실제의 잉크 잔량이 정말로 하한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잉크 액면의 위치를 하한 라인(153)과 비교하는 것으로,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잉크 액면의 위치와 하한 라인(153)이 매우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정이 약간 다른 것이 된다.
도 10은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와 하한 라인(153)이 매우 접근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C 잉크(지면상에서 가장 좌측의 잉크 탱크(151C)의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 액면의 위치와 하한 라인(153)이 매우 접근하고 있rg,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자가 잉크 탱크(151)를 잉크 액면보다 위쪽으로부터 관찰하거나, 아래쪽으로부터 관찰하는 것에 의해, 잉크 액면과 하한 라인(153)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어 보이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혹은, 탱크 케이스(150)가 약간 기울어 있거나, 탱크 케이스(150) 내에서 잉크 탱크(151)가 약간 기울어 탑재되어 있거나 하면, 실제로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아래에 있는데도, 하한 라인(153)보다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또,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정확하게 겹쳐 있는 경우, 조작자에 의해,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는 경우와, 체크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아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작자가,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위에 있다고 착각하여,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여버리면, 프린터 드라이버(204)로부터 잉크젯 프린터(100)에 커맨드가 송신되어, 그 잉크(여기서는 C 잉크)에 대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소정량만큼 증가한다(도 6의 단계 S208). 그 결과,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다시 하한치에 달할 때까지는 잉크 탱크(151)(여기서는 잉크 탱크(151C))에 잉크가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분사 헤드(112)를 계속 구동한다. 그리고,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다시 하한치에 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가 없어져버리면, 분사 헤드(112)가 잉크를 뿌리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큰 손상을 입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도 9에 예시한 C 잉크와 같이,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명확하게 아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한 것이면,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지시에 조작자가 따르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가령 분사 헤드(112)가 큰 손상을 받았다고 해도,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도 10에 예시한 C 잉크와 같이, 조작자에게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위에 있는 듯이 보이기 때문에,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한 경우에는, 조작자에게 있어서는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지시에 따라 조작한 것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사 헤드(112)가 손상을 받아버리는 것은 큰 문제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 잉크 탱크(151)에는 하한 라인(153)보다 아래쪽에 일정량(Vrs)의 예비 잉크가 남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예비 잉크의 잉크량은, 조작자가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했을 때에, 잉크젯 프린터(100)의 내부에서 증가하는 잉크 잔량에 상당하는 잉크량(혹은, 그 잉크량보다도 약간 많은 잉크량)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매우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 조작자가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했다고 해도, 예비 잉크가 없어지기 전에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여, 다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보다 명확하게 아래쪽에 와 있어, 조작자가,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체크박스를 잘못하여 체크하여버릴 우려는 없다. 그 결과, 분사 헤드(112)가 잉크를 뿌리지 못하여 중대한 손상을 받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7의 잉크 잔량 수정 처리에서 잉크 잔량을 수정한 후(도 7의 단계 S208),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로 복귀하면,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에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도 3의 단계 S106). 즉,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조작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표시되어, 조작자가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의 「다음으로」 버튼을 선택하면, 이번에는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도 11은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뒤에 표시되는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 혹은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4 혹은 도 5에 나타낸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은,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기 전에, 조작자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므로, 어떤 잉크에 대해서도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는 취지의 화상(원의 안에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비하여,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뒤에 표시되는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는 취지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도 7에 예시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 따라, 조작자가 육안에 의해 잉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까지 저하되어 있는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 잔량이 수정되지 않고서, 보충 잉크 선택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이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C 잉크에 대해서는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되지 않은 결과, 도 11의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 있어서도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Y 잉크에 대해서는,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된 결과, 도 11의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는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지만, 잉크를 보충 가능한 취지를 나타내는 화상(삼각형에 ! 표시를 조합한 도형의 화상)으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조작자가, 도 11의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여, 잉크를 보충하는 잉크를 선택한 후,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에 표시되어 있는 「다음으로」 버튼을 선택하면, 잉크를 보충하기 위한 잉크 보충 처리(단계 S300)가 개시되게 된다. 다시 말해,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은,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 조작자가 잉크 보충을 하고 싶은 잉크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버튼이 눌렸다고 판단하면, 잉크 보충 모듈을 기동한다. 여기서는, 조작자가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 C 잉크와 M 잉크를 선택한 것으로 한다.
B-2. 잉크 보충 처리 :
도 12는 잉크 보충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잉크 잔량 관리 처리 중에서, 컴퓨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20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보충 모듈에 의해 실행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잉크 보충 처리(단계 S300)를 개시하면, 우선 처음으로, 탱크 케이스(150)의 록을 해제하는 커맨드(록 해제 커맨드)를 잉크젯 프린터(100)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S302).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는, 잉크젯 프린터(100)와는 별체(別體)로 구성되어 있고, 잉크젯 프린터(100)의 측면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된다. 그리고, 통상시는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록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탱크 케이스(150)가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탱크 케이스(150) 내의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할 수 없다. 그래서, 잉크를 보충할 때에 있어서는, 탱크 케이스(150)를 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200)로부터 잉크젯 프린터(100)를 향해 록 해제 커맨드를 송신한다.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는 록 해제 커맨드를 받으면, 잉크젯 프린터(100)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는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탱크 케이스(150)의 록 상태를 해제한다. 그 결과, 조작자가 탱크 케이스(150)를 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3은 탱크 케이스(150)를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뗀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는, 탱크 케이스(150)를 뗀 후,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되어 있었던 쪽의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탱크 케이스(150)를 회전시킨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가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되는 면에는, 4부분에 작은 돌기(15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0)의 면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154)의 삽입 구멍(109)이 마련되어 있다.
탱크 케이스(150)를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할 때에는, 돌기(154)의 위치와 삽입 구멍(109)의 위치를 맞춰, 돌기(154)를 삽입 구멍(109)에 밀어 넣도록 한다. 그러면, 돌기(154)의 선단에 마련된 작은 관통 구멍의 부분이, 삽입 구멍(109)의 내부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록 기구에 끼워 맞춰져 록된 상태가 되어, 탱크 케이스(150)가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탱크 케이스(150)를 뗀 상태에서는, 탱크 케이스(150)의 상면에 마련된 상면 커버(155)를 쓰러뜨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면 커버(155)를 쓰러뜨리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151)가 나타난다. 그 결과, 각각의 잉크 탱크(151)의 측면에 표시된 상한 라인(157)을 육안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면 커버(155)를 쓰러뜨리는 것에 의해, 잉크 탱크(151)의 상면측에 마련된 캡(156)을 용이하게 떼는 것이 가능해진다.
컴퓨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204)는, 이렇게 해서 잉크젯 프린터(100)에 록 해제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탱크 케이스(150)의 록 상태를 해제하면(도 12의 단계 S302), 이번에는,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상에 잉크 보충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04).
도 14는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잉크 보충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 보충 화면에는, 탱크 케이스(150)를 떼어, 잉크 탱크(151)의 캡(156)(도 13 참조)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하도록 재촉하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의 아래쪽에는, 잉크를 보충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서, 후술하는 잉크병(160)의 잉크를 전부 보충하여 잉크병(160) 내에 잉크가 남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나, 잉크 탱크(151)에 마련된 상한 라인(157)(도 13 참조)을 잉크 액면이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고 하는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보충용의 잉크가 수용된 잉크병(160)이 나타나 있다. 잉크병(160)은, 기밀성이나 차광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용기이며, 용기의 꼭대기에는 캡(16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잉크병(160)의 측면에는, 종이로 된 라벨(164)이 부착되어 있고, 이 라벨(164)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잉크 ID 번호가 인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병(160)은, 캡(162)이 잉크병(160)에 고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는 잉크병(160)의 내부가 기밀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잉크를 보충할 때에는, 캡(162)을 비틀도록 하여 떼어내면, 가운데로부터 가늘고 긴 주입구가 나타난다. 거기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를 뗀 후, 잉크 탱크(151)마다 마련된 캡(156)을 떼어내어, 잉크병(160) 내의 잉크를 주입한다.
여기서, 잉크병(160) 내의 잉크량은,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까지 저하된 상태에서 잉크병(160) 내의 모든 잉크를 주입하면, 잉크 탱크(151)가 거의 가득 차게 되어, 잉크 액면이 상한 라인을 넘지 않는 잉크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잉크병(160)의 캡(162)은 잉크병(160)에 고착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잉크병(160)으로부터 일단 떼어버리면, 다시 캡(162)을 부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4에 나타낸 잉크 보충 화면에서 표시되는 잉크병(160) 내의 모든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의 주의 사항에 따라, 조작자는 자연히, 잉크병(160) 내의 잉크를 모두 잉크 탱크(151) 내에 보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충이 필요한 모든 잉크를 보충 완료하면, 조작자는, 도 14의 잉크 보충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에 표시된 「다음으로」 버튼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12의 잉크 보충 처리에서는, 잉크 보충 모듈이 「다음으로」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306 : 예), 보충한 잉크의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화면을, 모니터 화면(202)상에 표시한다(단계 S308). 또한, 도 14의 잉크 보충 화면을 표시한 후(단계 S302), 조작자에 의해 「다음으로」 버튼이 클릭되기까지의 사이에는, 단계 S306에서는 「아니오」라고 판단되어,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6은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된 잉크 ID 번호의 입력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 ID 번호의 입력 화면에는, 상술한 보충 잉크 선택 처리에서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잉크(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는 것을 선택한 잉크)에 대하여, 잉크 ID 번호를 입력 가능한 상태로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C 잉크 및 M 잉크의 입력란이, 잉크 ID 번호를 입력 가능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보충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잉크(여기서는, Y 잉크 및 K 잉크)에 대해서는, 잉크 ID 번호를 입력할 수 없는 상태로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조작자는, 잉크병(160)의 라벨(164)을 확인하여, 라벨(164)의 외측에 인쇄되어 있는 잉크 ID 번호를 입력한 후, 화면의 우측 아래 구석에 표시된 「다음으로」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낸 잉크 보충 처리에서는, 「다음으로」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310 : 예), 입력된 잉크 ID 번호를 판독한 후(단계 S312), 판독한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4). 잉크 ID 번호는, 복수의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된 언뜻 보기에는 의미가 없는 코드이지만, 잉크의 종류(색)나, 잉크병(160)에 충전된 일시(초 단위까지 포함한다)나, 사용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100)의 기종 등의 정보가 포함된 일종의 암호 데이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특정한 열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독한 경우에만, 이들 정보를 복호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프린터 드라이버(204)가 컴퓨터(200)에 인스톨될 때에, 이 열쇠 데이터는 컴퓨터(200) 내의 ROM에 기억되어 있고, 잉크 ID 번호를 판독하면, 열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독한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해독이 완료되어, 얻어진 각종 정보(예컨대 잉크의 종류나, 잉크젯 프린터(100)의 기종 등)가 정확하면, 잉크 ID 번호가 적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잉크 ID 번호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나, 일단 해독은 할 수 있지만, 예컨대 잉크의 종류나 잉크젯 프린터(100)의 기종이 실제와는 다른 경우 등과 같이, 해독에 의해 얻어진 각종 정보가 모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잉크 ID 번호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잉크 보충 처리의 단계 S314에서는, 이렇게 하여,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가령 적정한 잉크 ID 번호이더라도, 한번 사용된 적이 있는 잉크 ID 번호가 다시 입력된 경우에는, 그 잉크 ID 번호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그 결과, 입력된 잉크 ID 번호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단계 S314 : 아니오), 잉크 ID 번호의 재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을, 모니터 화면(202)상에 표시한 후(단계 S316), 다시, 「다음으로」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단계 S310)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가 된다.
도 17은 모니터 화면(202)상에서 잉크 ID 번호의 재입력을 재촉하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재입력 화면)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재입력 화면에는, 먼저 입력된 잉크 ID 번호에 더하여, 그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C 잉크에 대하여 입력한 잉크 ID 번호는 적정하다고 판단되고 있지만, M 잉크에 대한 잉크 ID 번호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되고 있다. 그래서, 조작자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된 M 잉크의 잉크 ID 번호를 다시 입력한 후, 다시 「다음으로」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프린터 드라이버(204)는 「다음으로」 버튼이 눌렸다고 판단하여(도 12의 단계 S310 : 예), 재입력된 잉크 ID 번호를 판독한 후(단계 S312),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4).
그 결과, 모든 잉크 ID 번호가 적정하다고 판단하면(단계 S314 : 예), 이번에는, 적정하다고 판단된 잉크 ID 번호를, 사용이 끝난 ID 번호로서, 컴퓨터(200)의 ROM에 기억한다(단계 S316). 이렇게 해서 기억된 사용이 끝난 ID 번호는, 다음번 이후에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314의 처리에서 참조되어, 입력된 잉크 ID 번호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고, 또한, 해독된 내용에 모순이 없더라도, 사용이 끝난 ID 번호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잉크 ID 번호는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프린터 드라이버(204)는,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를 향해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가 계수하고 있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가득 찬 상태로 초기화시킨다(단계 S320).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분사 헤드(112)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동작을 정지하여버리지만, 이렇게 해서 프린터 드라이버(204)로부터 커맨드를 송신하여,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초기화하는 것에 의해 인쇄를 재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입력된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 경우에만, 잉크 잔량을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잉크 ID 번호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초기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에서 계수되고 있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복귀시키면, 이번에는, 잉크의 보충이 완료된 취지를 통지하는 화면(보충 완료 화면)을 모니터 화면(202)상에 표시한다(단계 S322). 도 18에는, 컴퓨터(200)의 모니터 화면(202)상에 표시된 보충 완료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보충 완료 화면을 표시하면, 도 12에 나타낸 잉크 보충 처리를 종료하여,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로 일단 복귀한 후, 잉크 잔량 관리 처리의 선두로 되돌아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10)에서는, 분사 헤드(112)로부터 분사한 잉크량에 근거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가 잉크 잔량을 계수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200)의 프린터 드라이버(204)는, 상술한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실행하면서, 잉크젯 프린터(100)로부터 잉크 잔량을 취득함으로써,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잔량을 감시하고 있다. 그 결과,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적어지면, 도 12의 잉크 보충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에게 잉크를 보충시킨다. 더구나,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한 경우에는, 도 6의 잉크 잔량 수정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잉크 탱크(151) 내에 남아 있는 실제의 잉크량을 조작자에게 확인시켜, 실제로는 아직 잉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소정량만큼 증가시킴으로써,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실제의 잉크 잔량에 가깝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잉크 탱크(151)에 잉크병(160)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상이 적절하지 않은 잉크가 보충되어 분사 헤드(112) 내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는 도트 데이터에 근거하여 잉크 잔량을 계수하고 있고, 계수한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분사 헤드(112)에서 잉크를 분사하는 동작을 정지하여버린다. 따라서, 인쇄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에서 계수되고 있는 잉크 잔량을 초기화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위해서는,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하면, 보충한 잉크의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모니터 화면(202)상에 나타난다. 입력한 잉크 ID 번호는 프린터 드라이버(204)에 의해 적정한지 여부가 판단되어, 잉크 ID 번호가 적정한 경우에만, 잉크 잔량이 초기화되어, 다시 분사 헤드(112)로부터 잉크를 분사 가능해진다. 즉,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하더라도, 적정한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를 분사 헤드(112)로부터 분사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ID 번호는, 복수의 숫자나 알파벳이 언뜻 보기에 무의미하게 배열된 일종의 암호 데이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병(160)의 라벨(164)에 인쇄된 잉크 ID 번호를 보고 입력하는 것이 아닌 한, 적절한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 결과, 조작자는, 자연히, 순정품(혹은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조사 추천품)의 잉크병(160)을 구입하게 된다. 물론, 한번 구입한 순정품의 잉크병(160)의 잉크 ID 번호가 몇 번이나 사용되었다면, 적정하지 않은 성상의 잉크가 보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그러나, 한번 적정한 것으로서 접수된 잉크 ID 번호는, 사용이 끝난 ID 번호로서 기억되어, 다음에 그 잉크 ID 번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적정하지 않은 잉크 ID 번호라고 판단된다. 이 때문에, 잉크를 보충할 때에는, 반드시 새롭게 구입된 순정품(혹은 제조사 추천품)의 잉크병(160)으로부터 잉크가 보충되게 되기 때문에, 적정하지 않은 성상의 잉크가 분사 헤드(112)에 공급되어, 분사 헤드(112)를 막히게 하여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10)에서는,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까지 저하되면 비로소, 보충하는 잉크를 선택하는 화면이 모니터 화면(202)상에 표시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잉크병(160) 내의 모든 잉크를 잉크 탱크(151)에 보충하면,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으로부터 상한 라인(157)의 거의 앞까지 오도록, 잉크병(160)의 잉크 수용량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는, 잉크를 보충할 때에는 자연히, 잉크병(160) 내의 잉크를 모두 보충하게 된다. 더구나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202)상에서는, 잉크병(160) 내의 모든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가 표시되기 때문에, 잉크병(160) 내에 잉크를 조금 남기는 경우는 없다.
더하여, 잉크젯 프린터(100)의 제어부(140)에서 계수되고 있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면, 도 7에 예시한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표시되어,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의 위치가 하한 라인(153)에 달하여 있는지 여부를, 조작자가 확인한다. 그리고, 잉크 액면이 아직 하한 라인(153)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소정량만큼 늘리도록 수정한다. 이와 같이, 잉크 탱크(151)에 잉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소정량만큼 늘리는 것에 의해 인쇄를 계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잉크 탱크(151) 내에 많은 잉크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잉크가 보충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가 거의 없어진 후에, 잉크가 보충되게 된다.
따라서, 잉크병(160) 내의 잉크를, 전부 잉크 탱크(151)에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령, 잉크병(160) 내의 모든 잉크를 보충하기 전에, 잉크 탱크(151)가 가득 차게 되었기 때문에, 잉크병(160) 내에 잉크가 남아버렸다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정품의 잉크병(160)이더라도, 일단 개봉하면, 잉크병(160) 내의 잉크의 성상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열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일단 개봉된 후, 잉크병(160) 내에 남은 잉크가 보충되면, 분사 헤드(112)의 내부를 막히게 하여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10)에서는, 조작자가 잉크를 보충할 때에, 잉크병(160) 내에 잉크를 남기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잉크병(160)이 일단 개봉되었기 때문에, 잉크병(160) 내에서 잉크의 열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분사 헤드(112) 내가 막히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 입력되어 접수된 잉크 ID 번호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번의 보충 때에는 반드시 새로운 잉크병(160)이 구입되고, 그리고, 그 잉크병(160) 내의 잉크를 모두 투입하면,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은 거의 상한 라인(157)에 달하여버린다. 더구나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202)상에서는,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 액면이 상한 라인(157)을 넘지 않도록 주의하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오래된 잉크병(160) 내에 잉크가 조금 남아 있었다고 해도, 그 오래된 잉크가 잉크 탱크(151)에 보충되어, 분사 헤드(112) 내를 막히게 하여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1병째의 잉크병(160)의 잉크를 전부 보충하더라도 잉크 탱크(151)가 가득 찬 상태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2병째의 잉크병(160)을 개봉하여 보충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 경우, 당연히, 2병째의 잉크병(160)에는 잉크가 남아버린다. 그리고, 잉크 ID 번호는, 1병째의 잉크병(160)에 첨부되어 있던 잉크 ID 번호를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2병째의 잉크병(160)의 잉크 ID 번호가 사용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다음번의 잉크 보충시에, 2병째의 잉크병(160)에 남아 있던 잉크가 보충되어, 2병째의 잉크병(160)의 잉크 ID 번호가 입력되면, 결과적으로, 성상이 열화된 잉크가 공급되어, 분사 헤드(112)를 막히게 하여버릴 우려가 생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도 5의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 체크박스를 선택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 잉크 탱크(151)의 상한 라인(157)의 위치, 및 잉크병(16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이, 다음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우선, 도 5의 보충 잉크 선택 화면에서 체크박스를 선택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이하에서는, 이 잉크 잔량을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은, 도 7에 나타낸 잉크 잔량 확인 화면에서 선택된 잉크(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고 있지 않은 잉크)에 대하여, 잉크 잔량이 증가하는 분량과 같은 잉크 잔량(이하에서는, 이 잉크 잔량을 「증분 잉크 잔량 dI」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도 19는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보충 가능잉크 잔량 R)이,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하고 있지 않은 잉크 잔량을 증가시키는 분량(증가분 잉크 잔량 dI)과 같게 설정되어 있는 이유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컨대, 어떤 잉크(여기서는 C 잉크로 한다)에 대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했을 때의 잉크 액면이, 도 19(a)에 나타내는 상태였다고 한다. 즉,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한 잉크(여기서는 C 잉크)의 잉크 액면은, 아주 약간만 하한 라인(153)의 위에 있고, 그리고, 그 잉크보다 조금만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많은 잉크(여기서는 Y 잉크)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C 잉크의 잉크 액면은 하한 라인(153)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도 7의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C 잉크에 대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은, 증분 잉크 잔량 dI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그대로 인쇄가 계속되면, 이번에는, Y 잉크에 대한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여,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당연히, C 잉크의 잉크 액면은, 이전에 확인했을 때보다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하한 라인(153)보다 아래에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C 잉크를 보충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전에 잉크 액면을 확인했을 때에 C 잉크의 잉크 잔량이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계산상의 잉크 잔량은 아직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다. 즉, 실제의 잉크 액면의 위치를 확인하여,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늘리고 있는 관계상,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하고 있지 않더라도 잉크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가장 엄격한 조건으로서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을 늘린 직후에 잉크를 보충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좋다. 결국,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하한치로부터 증가된 직후의 잉크 잔량(하한치보다 증분 잉크 잔량 dI만큼 많은 상태)인 경우에도, 잉크를 보충 가능하게 하여 놓으면 좋다. 즉,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잉크가 보충 가능하게 되는 잉크 잔량)을, 하한치에 증분 잉크 잔량 dI를 더한 잉크 잔량과 같거나 혹은, 보다 큰 값으로 설정해 두면 좋게 된다. 또, 도 10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증분 잉크 잔량 dI는, 잉크 탱크(151)의 예비 잉크(하한 라인(153)보다 아래에 있는 잉크)의 잉크량(Vrs)에 대응하는 잉크 잔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은, 하한치의 잉크 잔량에 증분 잉크 잔량 dI를 더한 값과 같거나, 또는 보다 큰 값으로 설정해 두면 좋은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은, 하한치에 증분 잉크 잔량 dI를 더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우선, 이상적인 상태로서, 잉크 잔량이 하한치에 달한 시점에 잉크병(160)으로부터 잉크가 보충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잉크를 보충하는 시점에 잉크 탱크(151)에 남아 있는 잉크량은,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있을 때의 잉크량이기 때문에, 예비 잉크의 잉크량 Vrs가 된다. 따라서, 잉크 보충 후의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량은, 예비 잉크의 잉크량 Vrs에, 잉크병(16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더한 잉크량이 된다. 다음으로, 잉크를 보충하는 시점에 잉크 탱크(151)의 잉크량이 가장 적은 상태는, 예비 잉크를 다 쓴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잉크 보충 후의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량은, 이상적인 상태보다, 예비 잉크의 잉크량 Vrs만큼 적은 잉크량이 된다. 한편, 잉크를 보충하는 시점에 잉크 탱크(151)의 잉크량이 가장 많은 상태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이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에 달한 직후의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잉크 보충 후의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량은, 이상적인 상태보다,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에 상당하는 잉크량만큼 많은 잉크량이 된다. 또, 엄밀하게는, 계산상의 잉크 잔량인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과, 실제의 잉크량의 편차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여기서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잉크병(160)의 잉크를 전부 보충하더라도, 잉크 탱크(151)의 잉크 액면이 상한 라인(157)을 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한 라인(157)은, 이상적인 상태(즉, 잉크 액면이 하한 라인(153)에 달한 시점에 잉크가 보충된 상태)에서 잉크 액면이 있는 위치보다,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에 상당하는 잉크량의 분량만큼 위의 위치에 마련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한편, 잉크 보충 후의 잉크 액면은, 이상적인 상태의 잉크 액면보다, 예비 잉크의 잉크량 Vrs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아래에 있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병(160)의 잉크를 전부 보충하더라도, 잉크 액면은 상한 라인(157)보다 아래에 있다. 그리고 이 차이는,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에 상당하는 잉크량과 예비 잉크의 잉크량 Vrs를 더한 잉크량에 상당한다. 이 차이가 너무 커지면, 1병째의 잉크병(160)을 보충하더라도,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조작자가 생각하여, 2병째의 잉크병(160)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하여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을 가능한 한 작은 값으로 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유로부터, 보충 가능 잉크 잔량 R의 값이, 취할 수 있는 범위의 안에서 가장 작은 값(즉, 증분 잉크 잔량 dI와 같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아래의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C. 장치 구성 :
C-1.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의 구조 :
C-2.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 :
D. 잉크 잔량 관리 처리 :
D-1. 잉크 잔량 수정 처리 :
D-2. 잉크 보충 처리 :
C. 장치 구성 :
C-1.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의 구조 :
도 20은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특히 탱크 케이스(150)의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잉크 탱크(151)는,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잉크 탱크(151)에 마련된 하한 라인이 없다. 그 대신, 조작자가 잉크 탱크(151) 내에 남아 있는 실제의 잉크의 잔량의 확인을 할 때에, 잉크의 액면의 위치(즉, 잉크 잔량에 상당한다)를 공지의 측정 도구로 확인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자의 눈금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제 2 실시 형태의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 탱크 내에 수용되어 있는 실제의 잉크 잔량 측정을 위한 자를 수용하는 자 수용부를 갖는 점, 탱크 케이스를 잉크젯 프린터에 고정하는 구성이 다르다.
그 밖의 점은, 제 1 실시 형태와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의 장치 구성과, D. 잉크 잔량 관리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과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붙어 있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의 측면에는 큰 확인창(개구)(152)이 형성되어 있고, 탱크 케이스(150) 내에 수용된 C 잉크의 잉크 탱크(151C), Y 잉크의 잉크 탱크(151Y), M 잉크의 잉크 탱크(151M), K 잉크의 잉크 탱크(151K)를 각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는, 투명 혹은 반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에 남은 잉크의 액면 Lv의 위치(즉 잉크의 잔량)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와 탱크 케이스(150)가 평면 PF에 놓여 있다. 이 상태에서 후술하는 자 수용부에 수용된 자(300)를 꺼내어, 자(300)의 일단을 평면 PF에 대고, 각각의 잉크 탱크(151C, 151Y, 151M, 151K)에 남아 있는 잉크의 액면에 대응하는 자의 눈금(310)을 확인하는 것으로, 잉크 탱크(151)의 수위 Lv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 형태의 하한 라인 상당의 잉크 잔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탱크의 수위 Lv의 정량적 확인에 필요하게 되는 정밀도를 고려하여, 10㎜ 간격으로 눈금(21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 PF로부터 20㎜의 위치를 제 1 실시 형태의 하한 라인에 상당하는 위치로 한다. 조작자는, 자로 잉크 수위 Lv를 측정함으로써, 제어부(140)에서 계수하고 있는 잉크 잔량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지, 또한,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 수용부와 탱크 케이스의 잉크젯 프린터에 대한 고정> :
도 21은 잉크젯 프린터(100)에 탱크 케이스(150)를 고정하는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에는, 탱크 케이스(150)를 뗀 후,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되어 있었던 쪽의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탱크 케이스(150)를 회전시킨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150)가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되는 면에는, 탱크 케이스(150)의 상면측의 2부분에 후크(15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0)의 측면(탱크 케이스(150)가 부착되는 면)에는 고정 커버(170)가 마련되어 있고, 고정 커버(170)에는, 후크(158)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부(172)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커버(170)에는, 바닥부(178)와 바닥부(178)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벽부(177)에 의해 오목부(17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79)가 자(300)를 수용하는 「자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 오목부(179)를 자 수용부(179)라고도 한다. 벽부(177)의 한쪽의 고정부(172)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자(300)를 자 수용부(179)에 안내하는 안내 개구(17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안내 개구(176)에 의해, 자(300)를 자 수용부(179)에 수용하고, 자 수용부(179)로부터 자(300)를 꺼낼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자(300)의 전부가 자 수용부(179)에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자(300)의 일부가 자 수용부(179)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더라도, 자(300)의 자세가 안정되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잉크젯 프린터(100)에 대한 탱크 케이스(150)의 고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탱크 케이스(150)를 잉크젯 프린터(100)에 고정할 때에는, 후크(158)가 고정부(172)의 조금 위에 오도록 탱크 케이스(150)를 들어 올려 두고, 여기로부터 잉크젯 프린터(100)가 탑재되어 있는 평면 PF의 방향으로 탱크 케이스(150)를 강하시킨다. 이렇게 하면, 위로부터 후크(158)가 고정부(172)에 끼워 맞춰져, 탱크 케이스(150)가 잉크젯 프린터(100)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잉크젯 프린터(100)에 탱크 케이스(150)가 부착된 상태에서 인쇄를 행하고 있는 중에, 잉크 탱크(151) 내의 잉크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잉크 잔량 관리 모듈의 가이드에 따라, 잉크 탱크(151)에 잉크를 보충한다. 우선, 탱크 케이스(150)를 들어 올려 고정 커버(170)로부터 떼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0) 쪽의 면이 위를 향하도록 탱크 케이스(150)를 쓰러뜨린다. 그러면, 탱크 케이스(150)의 상면에 마련된 상면 커버(155)가 쓰러져, 잉크 탱크(151)의 상면측에 마련된 캡(156)을 떼기 쉬워지기 때문에, 캡(156)을 떼고, 잉크 탱크(151) 내에 잉크병(160)으로부터 잉크를 보충한다.
도 22는 잉크젯 프린터(100)를 평면 PF에 탑재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탱크 케이스(150)의 후크(158)와 고정 커버(170)의 고정부(172)가 끼워 맞춰지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젯 프린터(100)에서는, 탱크 케이스(150)와 잉크젯 프린터(100)를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탱크 케이스(150)의 후크(158)의 밑동의 위치가 고정 커버(170)의 고정부(172)의 선단의 위치보다 조금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100)를 지면에 탑재한 상태에서는 탱크 케이스(150)가 지면에 자립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대부분의 시간(잉크젯 프린터(100)가 평면 PF에 놓여 있는 시간)은 탱크 케이스(150)의 무게가 고정 커버(170)에 걸리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커버(170)를 사이에 두고 잉크젯 프린터(100)에 탱크 케이스(150)의 무게가 계속 걸림으로써, 크립(creep)에 의해 잉크젯 프린터(100)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2.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 :
제 2 실시 형태의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 시스템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D. 잉크 잔량 관리 처리 :
D-1. 잉크 잔량 수정 처리 :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 드라이버(204)가 실행하는 잉크 잔량 처리는 제 1 실시 형태의 도 3,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지만,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자에게 실제의 잉크 잔량의 확인을 재촉할 때에 잉크 탱크(151)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 잔량이 잉크 탱크(151)의 하한 라인에 대하여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의해 확인하는 것을 재촉하고 있었던 것에 비하여,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자를 이용하여 실제의 잉크 잔량의 확인을 재촉한다. 이에 의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S202에서 표시하는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이 다르다. 도 23은 제 2 실시의 형태에 의한 모니터 화면(202)에 표시되는 잉크 잔량 확인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잉크 잔량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의 표시,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아래에 □의 체크박스가 표시되는 점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잉크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위에 나타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탱크 내에 남아 있는 잉크의 양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만약 잉크 수위가 잉크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20㎜ 이상일 때에는 체크박스에 체크를 입력하여 주십시오. 잉크의 양의 확인을 위해, 프린터에 동봉되어 있는 자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제 1 실시 형태의 하한 라인에 의해 잉크 레벨을 확인하고 있던 것 대신에,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자에 의해 잉크 레벨을 확인하는 점만이 다르고, 뒤의 처리나 효과는 제 1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잉크 보충 처리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는, 우선, 「탱크 케이스의 록 해제」 처리를 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이 단계는 생략된다.
D-2. 잉크 보충 처리 :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보충 처리는, 제 1 실시 형태의 잉크 보충 처리와 공통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E. 변형예 :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의 인쇄 시스템(10)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204)가 컴퓨터(200)상에서,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터(100)에도, CPU나 RAM, ROM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140)나, 모니터 화면(104), 조작 버튼(105) 등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잉크젯 프린터의 제어부(140)가 잉크젯 프린터(100)상에서, 도 3의 잉크 잔량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의 공지의 측정 도구로서, 눈금이 매겨진 자로서 설명했지만, 측정 도구는 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평면 PF로부터 하한 라인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물체이면 되고, 블록 등이더라도 좋다.
이상, 각종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인쇄 용지
10 : 인쇄 시스템
100 : 잉크젯 프린터
101 : 급지 트레이
102 : 용지 배출구
103 : 전면 커버
104 : 모니터 화면
105 : 조작 버튼
109 : 삽입 구멍
110 : 캐리지
112 : 분사 헤드
117 : 잉크 튜브
120 : 부압 펌프
122 : 캡
124 : 부압 튜브
130 : 가이드 레일
140 : 제어부
150 : 탱크 케이스
151 : 잉크 탱크
152 : 확인창
153 : 하한 라인
154 : 돌기
155 : 상면 커버
156 : 캡
157 : 상한 라인
160 : 잉크병
162 : 캡
164 : 라벨
200 : 컴퓨터
202 : 모니터 화면
204 : 프린터 드라이버

Claims (6)

  1. 외부로부터 잉크를 보충 가능한 잉크 탱크와,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의 동작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적어도 판별 가능한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한 경우에는,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를 재촉하는 소정의 확인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확인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동작, 혹은 상기 계수치를 상기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수정 동작을 상기 인쇄 장치에 행하게 하는 제 3 기능
    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탱크는,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가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육안 확인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확인 화상으로서,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잉크의 보충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조작자를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조작자가 상기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초기화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상기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수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기능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탱크는,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가 육안 확인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잉크 액면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잉크의 보충의 필요 여부를 판단 가능한 하한 라인이 표시된 잉크 탱크이며,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확인 화상으로서,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 액면의 위치와 상기 하한 라인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잉크의 보충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를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상기 잉크를 보충하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초기화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가 상기 잉크를 보충하지 않는 취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수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기능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탱크는, 상기 하한 라인의 아래쪽에도 소정량의 잉크가 예비 잉크로서 수용되어 있는 잉크 탱크이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수정 동작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 내의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를, 상기 예비 잉크의 잉크량에 상당하는 계수치만큼 상기 한계치로부터 되돌리는 동작을, 상기 인쇄 장치에 행하게 하는 기능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복수의 상기 잉크 탱크와, 상기 잉크 탱크마다 마련된 상기 분사 헤드와, 상기 잉크 탱크마다 계수한 상기 잉크량이 상기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잉크 탱크마다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기능은,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적어도 상기 잉크 탱크마다 판별 가능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한 상기 잉크 탱크에 대하여, 상기 확인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확인 화상이 표시된 상기 잉크 탱크에 대하여, 상기 인쇄 장치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잉크 탱크마다, 상기 초기화 동작 또는 상기 수정 동작을 상기 인쇄 장치에 행하게 하는 기능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6. 외부로부터 잉크 탱크에 보충된 잉크를, 분사 헤드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 헤드에 공급된 잉크량을 계수하는 잉크량 계수 수단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소정의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분사 헤드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를 정지하는 분사 정지 수단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가 상기 한계치에 달하면,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잉크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인쇄 시스템의 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소정의 확인 화상을 표시하는 확인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확인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인쇄 시스템의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잉크량의 계수치를 초기치까지 되돌리거나, 혹은 상기 계수치를 상기 한계치로부터 소정치만큼 되돌리는 동작을 행하는 계수치 변경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인쇄 시스템.
KR1020110083794A 2010-08-24 2011-08-23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019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6922 2010-08-24
JP2010186922 2010-08-24
JPJP-P-2011-004591 2011-01-13
JP2011004591A JP2012066563A (ja) 2010-08-24 2011-01-13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83A true KR20120019383A (ko) 2012-03-06

Family

ID=4569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794A KR20120019383A (ko) 2010-08-24 2011-08-23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6735B2 (ko)
JP (1) JP2012066563A (ko)
KR (1) KR20120019383A (ko)
CN (1) CN102371772B (ko)
TW (1) TWI4417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6230A (en) 2012-08-10 2018-06-22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liquid consuming apparatus, liquid supply system and liquid container unit
JP5978863B2 (ja) 2012-08-31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部
JP6064448B2 (ja) * 2012-08-31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9421781B2 (en) 2012-10-15 2016-08-2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5987625B2 (ja) 2012-10-16 2016-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液体収容体ユニット及び液体消費装置
TW201733819A (zh) 2013-03-01 2017-10-01 Seiko Epson Corp 液體收容容器
US9481180B2 (en) 2013-03-01 2016-11-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unit, liquid ejecting system,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15080906A (ja) 2013-10-23 201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噴射装置
JP6492393B2 (ja) 2013-10-23 2019-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5080905A (ja) 2013-10-23 201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260196B2 (ja) 2013-10-23 2018-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303520B2 (ja) * 2014-01-16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ならびに収容ユニット
JP2015199261A (ja) *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9925786B2 (en) * 2015-01-14 2018-03-27 Seiko Epson Corporation Remaining amount of ink display apparatus, printing system
JP6557978B2 (ja) 2015-01-21 2019-08-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28293B2 (ja) 2015-01-21 2018-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47303B2 (ja) 2015-01-21 2019-07-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90445B2 (ja) * 2015-01-21 2018-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623691B2 (en) 2015-01-21 2017-04-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with cover and method therefor including inquiry and notification features
JP6922867B2 (ja) 2015-01-21 2021-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28294B2 (ja) 2015-01-21 2018-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90444B2 (ja) 2015-01-21 2018-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31019B2 (ja) * 2015-03-12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
JP6641950B2 (ja) * 2015-12-07 2020-0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17136787A (ja) * 2016-02-05 2017-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における液体使用量の算出方法
JP6797554B2 (ja) * 2016-05-06 2020-12-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6361752B2 (ja) * 2017-01-24 2018-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900748B2 (ja) * 2017-03-31 202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972619B2 (ja) 2017-03-31 2021-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972709B2 (ja) * 2017-06-30 2021-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025699B2 (ja) * 2018-03-20 2022-02-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774353B1 (en) * 2018-03-29 2023-09-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WO2020013862A1 (en) * 2018-07-13 2020-0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substance reservoirs
JP7224945B2 (ja) * 2019-02-04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113840734B (zh) * 2019-05-23 2023-02-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可从外部着色剂供应源填充的储存器的打印设备的可选择的填充模式
CN113535097B (zh) * 2020-04-18 2023-07-14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墨水用量自动监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938A (en) * 1978-08-26 1980-03-05 Ricoh Co Ltd Ink jet recording device
JPS6125846A (ja) * 1984-07-16 1986-02-04 Ricoh Co Ltd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US5434603A (en) * 1991-06-19 1995-07-18 Hewlett-Packard Company Ink cartridge with passageway for ink level indicator
US7283258B1 (en) 1998-08-28 2007-10-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 system capable of notifying user of required ink amount
JP2000071568A (ja) 1998-08-31 2000-03-07 Brother Ind Ltd プリントシステム
JP3804737B2 (ja) 1999-01-27 2006-08-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7280243B2 (en) 2002-05-09 2007-10-09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6168266A (ja) * 2004-12-17 2006-06-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803108B2 (ja) * 2005-01-14 2006-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流体吐出装置、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流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KR101023290B1 (ko) 2008-05-16 2011-03-18 안현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잉크 공급 시스템
JP2011056721A (ja) * 2009-09-08 2011-03-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印刷可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1772A (zh) 2012-03-14
TWI441740B (zh) 2014-06-21
CN102371772B (zh) 2014-07-30
JP2012066563A (ja) 2012-04-05
US8596735B2 (en) 2013-12-03
TW201210848A (en) 2012-03-16
US20120050359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383A (ko) 인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
JP5908202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6567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装置
US9573380B2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5966397B2 (ja) プログラム、記憶媒体、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5621495B2 (ja) プリンター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87900A1 (en) Control unit
KR102139622B1 (ko) 액체 분사 장치
JP6525143B2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JP6620533B2 (ja) 液体消費装置
JP2014156124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3558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JP2015163483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140724B (zh) 液体喷射装置和订货系统
CN111791597B (zh) 打印设备及其墨量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