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791A -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 - Google Patents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791A
KR20120018791A KR1020117029681A KR20117029681A KR20120018791A KR 20120018791 A KR20120018791 A KR 20120018791A KR 1020117029681 A KR1020117029681 A KR 1020117029681A KR 20117029681 A KR20117029681 A KR 20117029681A KR 20120018791 A KR20120018791 A KR 20120018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charge unit
outlet
barri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392B1 (ko
Inventor
옌 렝 팡
아지트 팔 싱
분 테크 탄
로엘 알렉산더 레스메이어
아속 쿠마르 카세반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1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rons (AREA)

Abstract

증기 배출 유닛(1)은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물-증기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10), 챔버(10)로의 입구(11) 및 챔버(10)로부터의 출구(12)를 포함한다. 물 액적이 증기의 유동과 함께 챔버(10)로부터 출구(12)를 통해 나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에서 챔버(10) 내부에 배열된 배리어(20) 및 바람직하게는 출구(12)에 근접한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특정 수단이 취해진다. 물 액적이 챔버(10) 내부에 잔류하여 출구(12)를 향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 챔버(10)로부터 물 액적의 실제 방출은 언급된 바와 같이 배리어(20) 및 소수성 표면(30)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STEAM DISCHARGE UNIT FOR USE IN A SOLEPLATE OF A STEAM IRON}
본 발명은 증기 발생 디바이스에 사용을 위한 배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물-증기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
- 챔버에 물-증기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구, 및
- 챔버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하는 배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증기 배출 유닛을 구비하는 증기 다리미에 사용을 위한 밑판(soleplate)에 관한 것이다.
증기 발생기로부터 소위 습윤 증기, 즉 물-증기 혼합물을 수용하고 건조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HU 193751호는 응축기 용기로서 나타내고 원통형 내부 캐비티 및 캐비티 내로 습윤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입구를 갖는 증기 배출 유닛을 갖는 증기 발생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증기 발생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회전 운동이 응축기 용기의 캐비티에 공급된 습윤 증기에 부여되어, 물 액적이 원심력에 의해 증기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물은 용기로부터 배출되거나 가열에 의해 증발되고, 증기는 회전 운동의 축과 정렬하여, 즉 중심 위치에서 배출된다. 특히, 응축기 용기는 원통형 캐비티, 접선방향 증기 입구 파이프 및 동심 건조 증기 배출 파이프를 갖는 하우징의 형태이다. HU 193751호는 더욱이 그 베이스에 디스크형 증발기 캐비티를 구비하는 수동 증기 다리미를 개시하고 있고, 각각의 캐비티는 전술된 응축기 용기로서 작용한다.
HU 19375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응축기 용기의 단점은 스피팅(spitting)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피팅은 증기 다리미의 분야에서 잘 알려진 문제점이고, 밑판으로부터 방출되는 증기와 함께 물 액적이 운반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수반하고, 그 결과 다림질될 품목이 습윤될 수 있고 심지어 얼룩질 수 있게 된다. 응축기 용기는 단지 건조 증기만을 배출하도록 설계되지만, 실제로 물 액적이 증기의 유동과 함께 용기로부터 탈출하는 것이 발생한다. 문제점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팩터가 존재한다. 무엇보다도, 응축기 용기가 다리미의 밑판 내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응축기 용기는 얕은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는다. 그 결과, 입구와 출구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지고, 물-증기 혼합물은 물이 용기의 배출을 향해 증발하고 그리고/또는 유동하기에 충분히 길게 용기 내에 유지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증기가 개별적으로 생성되고 예를 들어 증기 다리미의 밑판일 수 있는 배출 유닛으로 호스 또는 다른 적합한 중간 부재를 거쳐 전달되는 증기 발생 디바이스에서, 응축은 증기 유동 경로를 따라 발생할 수 있어, 물이 비교적 높은 속도로 증기와 함께 배출 유닛에 진입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스케일(scale) 및 불순물의 농도에 기인하여 증기 발생기 내에 발포가 발생할 수 있어, 물이 증기와 함께 배출 유닛으로 운반되게 한다. 다리미에서, 사용자가 저온 설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에 의해, 낮은 에너지 함량이 얻어져서, 배출 유닛의 챔버에 진입하는 물의 충분히 고속의 증발을 실현하는 것이 어렵고/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한다. 임의의 전술된 팩터에 기인하여, 증기 발생이 활성화되는 동안 배출 유닛으로부터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증기 배출 유닛의 얕은 콤팩트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스피팅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이 배출 유닛의 챔버 내에 효과적으로 보유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 챔버와 관련된 입구 및 출구,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에서 챔버 내부에 배열된 배리어, 및 마찬가지로 챔버 내부에 위치된 소수성 표면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유닛에 의해 성취된다.
챔버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 내의 배리어의 존재에 기초하여, 물은 증기 입구에 근접한 챔버의 벽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없고 이어서 배출될 수 있는 것이 성취된다. 배리어는 출구를 향한 직접적인 경로 내에 있고 이를 차단하도록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리어는 출구 주위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배리어는 튜브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출구가 위치되는 챔버의 벽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배리어는, 유동이 배리어가 위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챔버의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 내의 장애물, 즉 유동이 직접적인 경로보다 다른 경로를 따르도록 강요하는 물체를 구성하지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피해나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리어의 위치에서, 초기 방향으로 유동의 연속을 허용하지 않는 배리어의 차단 기능에 기인하여 유동 방향의 변화가 발생한다. 제 1 경우에, 유동은 배리어와 충돌하고, 제 2 경우에, 제 1 유동은 유동이 배리어를 통과할 수 있을 때까지 배리어를 따른다.
더욱이, 소수성 표면의 존재에 기초하여, 증기와 함께 챔버로부터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는 물의 연속적인 필름의 형성이 회피되는 것이 성취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테스트는 소수성 표면이 존재하여 누수가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신에, 물 액적은 단지 함께 결합되어 더 큰 액적으로 형성하고, 더 큰 액적은 물의 시트를 생성하기보다는 챔버 내부의 하부 위치로 낙하하는 것이 발생한다. 출구가 비교적 높은 레벨에 위치될 때, 물이 출구를 통해 통과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리어와 소수성 표면의 조합이 적용되고, 그 결과 스피팅이 완전히 회피된다. 소수성 표면은 챔버의 벽부에 도포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같은 소수성 코팅을 가짐으로써 또는 PTFE와 같은 고온 저항성 및 소수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가짐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 옵션이 동일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사실의 견지에서 양 옵션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챔버 내부의 몇몇 위치에 소수성 효과를 갖는 것이 유리하고, 이 이유로 소수성 특성을 갖는 표면이 제공되고, 양 옵션은 언급된 바와 같이 코팅 또는 부분의 외부면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한 소수성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표면이 소수성 특성을 갖는 코팅을 도포함으로써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지는지 여부에 무관하다.
소수성 표면에 대한 대안적인 재료, 예를 들어 다른 소수성 폴리머 및 마감부, 예를 들어 연꽃잎 효과(lotus leaf effect)를 생성하도록 적용된 마감부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배리어가 출구 주위에 배열되는 상황에서, 소수성 표면은 예를 들어 배리어를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주위부에 도달하는 임의의 물 액적이 출구를 향해 유동하고 챔버를 나오는 기회를 최대화하기 위해 소수성 표면이 출구의 중간 주위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챔버는 만곡된 벽을 포함하는 소위 사이클로닉 증기 챔버이다. 증기 발생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벽이 가열되고, 만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물로의 열 전달은 물이 벽에 대해 확산되고 원심력의 원리에 의해 벽에 대해 압박됨에 따라 향상된다. 만곡된 벽은 챔버의 가열된 표면으로서 기능하고, 이는 가열 요소로부터 에너지를 직접 추출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만곡된 벽에 대해 증기 발생을 위한 에너지 이용 가능성이 보장된다.
사이클로닉 증기 챔버는 챔버 내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의 원활한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만곡된 벽에 대해 접선 방향을 갖는 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입구는 고속의 유동을 유지하고,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원심 효과를 최대화한다.
유리하게는, 사이클로닉 증기 챔버에서, 출구는 만곡된 벽보다 챔버의 다른 벽에 위치된다. 이 특징은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입구와 조합하여, 물이 만곡된 벽을 따라 챔버 내부에 반복적인 루프를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증기 발생을 위해 이용 가능한 길이는 챔버의 콤팩트한 디자인에서 거대한데, 이는 열 전달의 견지에서 매우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출구는 챔버의 만곡된 벽에 대해 중심 위치를 갖는다. 물은 만곡된 벽에서 챔버에 진입하고, 원심력에 기인하여 만곡된 벽에 구속된다. 중심 위치에서, 출구는 가능한 한 만곡된 벽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물이 출구에 도달하는 가능성이 최소화되게 된다.
사이클로닉 증기 챔버의 만곡된 벽은 만곡된 벽에 연결되는 다른 벽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테이퍼를 구비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테이퍼는 출구로부터 멀리 이격하여 물을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표면 이외에, 배출 유닛은 증기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친수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출구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실용적인 실시예에서, 챔버는 2개의 단부벽 및 단부벽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만곡된 측벽을 갖는 실린더형으로 성형되고, 배리어는 실린더의 단부벽들 중 하나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튜브형으로 성형된다. 이 실시예에서, 소수성 표면은 튜브형 배리어에 위치될 수 있고, 튜브형 배리어는 예를 들어 출구를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물 액적이 출구에 도달하고 증기 유동과 함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실용적으로 불가능하다. 배리어의 존재에 기인하여, 출구를 향한 경로가 차단되고, 물 액적은 이들이 더 큰 물 액적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이 소수성 표면에 도달하자마자 출구 영역을 떠나도록 강요되고, 이는 이어서 표면으로부터 탈착되게 된다.
배출 유닛은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챔버 내부에 위치된 추가의 배리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챔버가 사이클로닉 챔버인 경우에, 배리어가 만곡된 안내면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물 액적이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위험을 더욱 더 감소시키기 위해, 출구를 둘러싸는 챔버의 내부면의 부분이 홈 및 리브의 패턴을 구비하면 유리하다. 달리 말하면, 챔버의 내부면이 출구에 근접한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주름져서 출구가 홈 및 리브의 패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면 유리하다. 편평한 표면과는 달리, 홈 및 리브를 포함하는 표면은 순환하는 물 액적을 포획하고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고, 출구를 향한 고속 증기에 의한 물 액적의 운반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및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다수의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이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이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배출 유닛의 배리어의 디자인 및 배출 유닛의 챔버의 벽으로의 배리어의 연결의 다양한 옵션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각각의 도면의 좌측 및 우측 섹션은 형상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증기 다리미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밑판의 2개의 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증기 발생기 및 2개의 배출 유닛을 갖는 밑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모든 도면에서, 물-증기 혼합물 및/또는 물 액적 및/또는 증기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에 의해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1)의 제 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배출 유닛(1)은 챔버(10), 챔버(10)로의 입구(11) 및 챔버(10)로부터의 출구(12)를 포함한다. 작동 중에, 물-증기 혼합물이 입구(11)를 경유하여 챔버(10)에 공급되고, 단지 건조 증기만이 출구(12)를 경유하여 챔버(10)로부터 배출된다. 챔버(10)는 2개의 단부벽(13, 14) 및 단부벽(13, 14) 사이로 연장하는 만곡된 측벽(15)을 갖는 실린더와 같이 성형된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15)은 원형 원주를 갖는다. 더욱이, 입구(11)는 측벽(15) 내에 위치되고, 측벽(15)에 대해 접선 배향을 갖는다. 도 2에서, 입구(11) 및 측벽(15)은 점선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챔버(10)의 기능의 기본이 이하에 설명된다. 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에 도입되는 물-증기 혼합물은 챔버(10)의 측벽(15)의 만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원형 경로 또는 실제로 나선형 경로를 따르게 된다. 프로세스에서, 원심 효과가 발생한다. 입구(11)가 측벽(15)에 대해 접선 배향을 갖는 사실은 챔버(10) 내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원활한 진입에 기여한다. 더욱이, 원심 효과가 이 사실에 기초하여 최대화되고, 챔버(10)로 공급된 유동의 속도는 가능한 한 높게 유지되어, 챔버(10) 내부의 유동의 속도가 가능한 한 높게 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모든 양태는 물-증기 혼합물 내의 물 액적의 증발 프로세스에 기여하고, 이는 적어도 측벽(15)을 가열하도록 적용된 하나 이상의 적합한 가열 요소(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열의 영향 하에서 발생한다. 가열 요소(들)로부터 물 액적으로의 열 전달은 측벽(15)으로의 물 액적의 접촉의 기간에 직접 관련되고, 따라서 강렬한 접촉을 위한 기회를 생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출구(12)의 위치는 가능한 한 측벽(15)으로부터 멀리 있다. 출구(12)의 이러한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또는 동심 위치이다. 이 위치에 의해, 배출 유닛(1)으로부터 물 액적의 예기치 않은 방출인 스피팅이라 칭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그러나, 스피팅 현상을 완전히 회피하기 위해, 배출 유닛(1)은 물 액적이 출구(12)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인 특정 특징부를 갖는다. 특정 상황 하에서, 측벽(15)의 만곡된 형상, 측벽(15)에 대한 입구(11)의 접선 배향 및 출구(12)의 중심 위치 설정과 같은 팩터는 스피팅을 회피하기 위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특정 상황 하에서, 모든 물 액적을 충분히 빠르게 증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물 액적은 챔버(10)로부터 출구(12)를 통해 유동하는 증기와 함께 운반된다. 이러한 상황은 전혀 바람직하지 않고, 특정한 수단이 모든 환경 하에서 이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취해진다.
첫째로, 배리어(20)가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의 경로에 있는 위치에서 배리어(20)가 챔버(10) 내부에 배치된다. 배리어(2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배리어(20)는 출구(12) 주위에 배치되고 출구(12)가 존재하는 단부벽(14)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튜브와 같이 설계된다. 챔버(10)의 입구(11)는 튜브형 배리어(20)의 입구보다 다른 레벨에 위치되어, 챔버(10) 내로의 이들의 도입 직후에 물 액적이 출구(12)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대신에, 물 액적이 순환 유동을 따라 취해져서, 증발 프로세스가 발생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및 충분한 열 전달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 보장된다.
둘째로, 소수성 표면(30)이 챔버(10) 내부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소수성 표면(30)은 출구(12)의 중간 주위부에 배열되지만, 표면(30)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챔버(10)의 내부의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위치에 위치된 다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배리어(20)와, 출구(12) 및 배리어(20)가 위치되어 있는 단부벽(14)의 모두는 소수성 층을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언급된 바와 같은 배리어(20) 및 단부벽(14)이 소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출구(12)의 중간 주위부 내의 소수성 표면(30)의 존재에 의해, 출구(12) 부근의 연속적인 물 필름의 형성 및 부착이 회피된다. 소수성 표면은 물 액적이 결합되어 예를 들어 더 큰 액적을 형성하게 하고, 물 액적은 이들이 커짐에 따라 낙하하여, 출구(12)에 비교적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거되고 물이 출구(12)에 도달하는 위험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출구(12) 및 배리어(20)가 존재하는 단부벽(14)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단부벽(13)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선택적으로 친수성 층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물 액적의 증기 발생을 지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배리어(2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출구(12)가 도시된 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짧은 튜브를 포함하고 배리어(20)가 마찬가지로 튜브형일 때, 튜브의 직경은 동일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리어(20)가 출구(12)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더욱이, 배리어(20)로부터 출구(12)로의 전이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직 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또한 예를 들어 원형 에지 또는 경사진 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리어(20)의 표면은 예를 들어 출구(12)로부터 이격하여 물의 유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이퍼질 수 있다. 다양한 옵션의 예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각각의 도면의 각각의 섹션은 상이한 가능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2)의 제 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1)과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2)은 챔버(10), 입구(11), 출구(12), 배리어(20) 및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한다. 더욱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2)은 출구(12)로의 이들의 경로에서 물 액적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20)가 위치되어 있는 단부벽(14)으로부터 이격된 챔버(10)의 다른 단부벽(13)에 위치된 추가의 배리어(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배리어(40)는 튜브형이고 원형 외주부를 가져, 배출 유닛(2)의 물-분리 효율이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에 수행되는 향상된 안내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향상될 수 있다. 추가의 배리어(40)의 원형 외부면은 원심 효과에 기여하고 유동이 측벽(15)을 따라 순환하는 것을 돕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3)의 제 3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2)과 마찬가지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3)은 챔버(10), 입구(11), 출구(12), 배리어(20), 소수성 표면(30) 및 추가의 배리어(40)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닛(3)에서, 출구(12) 및 배리어(20)가 위치되는 단부벽(14)의 내부면은 홈(51) 및 리브(52)의 패턴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홈(51) 및 리브(52)는 출구(12) 주위에 동심 배열로 위치된다. 홈(51) 및 리브(52)는 물 액적을 수집하고 출구(12)로의 고속 증기에 의한 물 액적의 용이한 운반을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 방식으로, 홈(51) 및 리브(52)의 패턴(50)은 배리어(20)의 물 차단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1, 2, 3)은 다양한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유닛(1, 2, 3)은 증기 다리미의 밑판의 부분이 되도록 의도될 수 있지만, 또한 증기 발생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도 11은 증기 다리미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밑판(61)의 2개의 부분의 도면을 도시한다. 밑판(6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유닛(2, 3), 즉 2개의 단부벽(13, 14) 및 만곡된 측벽(15)에 의해 경계 형성된 챔버(10), 챔버(10)로의 입구(11), 챔버(10)로부터의 출구(12), 배리어(20) 및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배출 유닛(2, 3)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밑판(61) 내부에 배열된 배출 유닛(2, 3)은 또한 추가의 배리어(40)를 포함한다.
도 12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방식으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기 발생기(71)와, 다수의 증기 통기구를 구비하는 다림질될 물체에 접촉하기 위한 다림판(63)을 갖는 밑판(6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 디바이스(70)의 도면을 도시한다. 더욱이, 밑판(62)은 배리어(20) 및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2개의 배출 유닛(1a, 1b)을 갖는다. 배출 유닛(1a, 1b) 중 하나는 주 배출 유닛(1a)이고 다림질 프로세스 중에 증기의 다소 연속적인 공급을 위한 역할을 하고, 배출 유닛(1a, 1b)의 다른 하나는 보조 배출 유닛(1b)이고, 사용자에 의해 이와 같이 요구되면 다림질 프로세스 중에 증기의 발사를 위한 역할을 한다. 증기 발생 디바이스(70)에서, 편향기(72)가 증기 발생기(71)로부터 배출 유닛(1a, 1b) 중 어느 하나에 물-증기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편향기(72)는 주 배출 유닛(1a)에 물-증기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에 있다. 증기의 발사가 요구될 때, 편향기(72)의 상태는 물-증기 혼합물이 보조 배출 유닛(1b) 상으로 통과되도록 변경된다. 편향기(72)는 호스(73) 또는 다른 적합한 중간 부재를 통해 증기 발생기(7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에 설명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보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이거나 설명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 또는 요소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단수 표현은 복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특정 수단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에서 인용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장점을 갖고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지는 않는다. 청구범위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증기 배출 유닛(1, 2, 3)은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물-증기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10), 챔버(10)로의 입구(11) 및 챔버(10)로부터의 출구(12)를 포함한다. 물 액적이 증기의 유동과 함께 챔버(10)로부터 출구(12)를 통해 나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에서 챔버(10) 내부에 배열된 배리어(20) 및 바람직하게는 출구(12)에 근접한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특정 수단이 취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0)는 만곡된 측벽(15)을 가져, 순환 유동이 챔버(10) 내부에서 얻어질 수 있게 되고, 물-증기 혼합물로의 열 전달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효과적인 물 증발 프로세스가 실현된다. 이에 불구하고, 물 액적이 챔버(10) 내부에 잔류하여 출구(12)를 향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 챔버(10)로부터 물 액적의 실제 방출은 배리어(20) 및 소수성 표면(30)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 유닛(1, 2, 3)이 예를 들어 증기 다리미의 밑판(61, 62)에 적용될 때, 공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스피팅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성취이고, 동시에 밑판 디자인은 종래의 디자인보다 덜 복잡하고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물-증기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10), 챔버(10)에 물-증기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구(11), 챔버(10)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12),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의 경로 내에서 장애물로서 작용하기 위한 위치에서 입구(11)로부터 출구(12)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 내에서 챔버(10) 내부에 존재하는 배리어(20), 및 소수성 특성을 갖는 코팅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과 같은 소수성 물체의 외부면의 형태의 마찬가지로 챔버(10) 내부에 존재하는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 디바이스(70) 내에 사용을 위한 배출 유닛(1, 2, 3)에 관한 것이다.
1, 2, 3: 배출 유닛 10: 챔버
11: 입구 12: 출구
13, 14: 단부벽 15: 측벽
20: 배리어 30: 소수성 표면
40: 추가의 배리어 50: 패턴
51: 홈 52: 리브
62: 밑판 63: 다림판
70: 증기 발생 디바이스 71: 증기 발생기
72: 편향기 73: 호스

Claims (15)

  1. 증기 발생 디바이스(70)에 사용을 위한 배출 유닛(1, 2, 3)으로서,
    -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수용하고 상기 물-증기 혼합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10);
    - 상기 챔버(10)에 물-증기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구(11);
    - 상기 챔버(10)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12);
    - 상기 입구(11)로부터 상기 출구(12)로의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 경로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에 배열된 배리어(20); 및
    - 또한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된 소수성 표면(30)을 포함하는 배출 유닛(1, 2, 3).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표면은 상기 출구(12)의 중간 주위부에 위치되는 배출 유닛(1, 2,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20)는 상기 출구(12)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소수성 표면(30)은 상기 배리어(20)를 둘러싸는 배출 유닛(1, 2, 3).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20)는 튜브형으로 성형되는 배출 유닛(1, 2, 3).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는 만곡된 벽(15)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11)는 상기 챔버(10)의 상기 만곡된 벽(15)에 대해 접선 배향을 갖는 배출 유닛(1, 2, 3).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2)는 상기 만곡된 벽(15) 이외의 상기 챔버(10)의 벽(14)에 위치되는 배출 유닛(1, 2, 3).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2)는 상기 챔버(10)의 상기 만곡된 벽(15)에 대해 중심 위치를 갖는 배출 유닛(1, 2, 3).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상기 만곡된 벽(15)은 테이퍼를 구비하는 배출 유닛(1, 2, 3).
  9.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되는 친수성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출 유닛(1, 2, 3).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2개의 단부벽(13, 14) 및 상기 단부벽들(13, 14) 사이에서 연장하는 만곡된 측벽(15)을 갖는 실린더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배리어(20)는 상기 실린더의 상기 단부벽들(13, 14) 중 하나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튜브형으로 성형되는 배출 유닛(1, 2, 3).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표면(30)은 상기 튜브형 배리어(20)에 위치되는 배출 유닛(1, 2, 3).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배리어(20)는 상기 출구(12)를 둘러싸는 배출 유닛(1, 2, 3).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증기 혼합물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된 추가의 배리어(40)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출 유닛(2, 3).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2)를 둘러싸는 상기 챔버(10)의 내부면의 부분은 홈들(51) 및 리브들(52)의 패턴(50)을 구비하는 배출 유닛(3).
  15. 증기 다리미에 사용을 위한 밑판(61, 62)으로서,
    제 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출 유닛(1a, 1b)을 구비하는 밑판(61, 62).
KR1020117029681A 2009-05-14 2010-04-30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 KR101733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0197A EP2251482A1 (en) 2009-05-14 2009-05-14 Steam discharge unit for use in a soleplate of a steam iron
EP09160197.1 2009-05-14
PCT/IB2010/051893 WO2010131148A1 (en) 2009-05-14 2010-04-30 Steam discharge unit for use in a soleplate of a steam ir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791A true KR20120018791A (ko) 2012-03-05
KR101733392B1 KR101733392B1 (ko) 2017-05-11

Family

ID=4113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681A KR101733392B1 (ko) 2009-05-14 2010-04-30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15909B2 (ko)
EP (2) EP2251482A1 (ko)
JP (1) JP5676574B2 (ko)
KR (1) KR101733392B1 (ko)
CN (1) CN102421959B (ko)
BR (1) BRPI1007127A2 (ko)
RU (1) RU2534055C2 (ko)
WO (1) WO2010131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8870A1 (en) * 2011-11-08 2013-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team generator iron
EP2674529A1 (en) * 2012-06-12 2013-12-18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iron with a steam-permeable screen
US10240278B2 (en) 2014-08-26 2019-03-26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iron head
EP3194647B1 (en) * 2014-08-26 2018-10-10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iron
JP2017525457A (ja) * 2014-08-26 2017-09-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スチームアイロンヘッド
RU2695391C2 (ru) 2014-10-31 2019-07-23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паром
CN107075781B (zh) * 2014-10-31 2019-08-1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蒸汽熨斗头
KR101597108B1 (ko) *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371364A1 (en) 2015-11-04 2018-09-12 Arçelik Anonim Sirketi A steam iron
FR3053704B1 (fr) * 2016-07-07 2019-07-19 Seb S.A. Fer a vapeur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tenue de gouttelettes d'eau
FR3053705B1 (fr) * 2016-07-07 2018-07-06 Seb S.A. Fer a vapeur pourvu d'un dispositif de retenue de gouttelettes d'eau
FR3072102B1 (fr) 2017-10-05 2020-07-31 Seb Sa Tete de defroissage comprenant une chambre interne pourvue de canaux d'expulsion de vapeur
FR3072100B1 (fr) * 2017-10-05 2020-07-31 Seb Sa Appareil de defroissage equipe d'une chambre de vaporisation munie d'un orifice de nettoyage
JP7236661B2 (ja) * 2019-02-27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チーム噴出器およびスチームアイロン
CN113440065B (zh) * 2021-06-30 2022-06-03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洗机、地刷及喷气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7427A (en) * 1925-03-23 1926-08-24 Orson W Brenizer Steam iron
US1674092A (en) * 1926-03-12 1928-06-19 Cannon Engineering Co Sadiron
US1749639A (en) * 1929-11-18 1930-03-04 Leprestre Rene Steaming iron
US2271289A (en) * 1940-10-02 1942-01-27 Dowinsky Samuel Pressing iron
GB658299A (en) 1948-10-06 1951-10-03 Jose Tajada Aladren Improvements in ironing apparatus
US3002302A (en) * 1957-06-19 1961-10-03 Gen Electric Liquid spray steam iron
GB1069535A (en) * 1964-07-20 1967-05-17 Richard Line Humme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eat transfer surfaces
US3299549A (en) * 1966-06-06 1967-01-24 Blank William Steam pressing iron
CA1030055A (en) * 1973-12-13 1978-04-25 William E. Davidson Steam iron
JPS5935702A (ja) * 1982-08-21 1984-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チ−ム発生装置
JPS59103700A (ja) * 1982-12-03 1984-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チ−ムアイロン
DE3435051A1 (de) * 1984-09-24 1986-04-03 Veit GmbH & Co, 8910 Landsberg Dampfbuegeleisen
HU193751B (en) 1985-04-15 1987-11-30 Csepel Muevek Kerekpar Es Konf Steamy hand iron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dry steam for steamy hand iron
JP2888243B2 (ja) * 1988-12-27 1999-05-10 株式会社東芝 スチームアイロン
DE19901590C1 (de) 1999-01-16 2000-07-27 Draeger Medizintech Gmbh Wasserfalle für einen Probengasstrom
JP3894066B2 (ja) * 2002-07-30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及び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装置
JP2004218917A (ja) * 2003-01-14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過熱蒸気調理装置及び過熱蒸気調理方法
US6953527B2 (en) 2003-02-17 2005-10-11 Tecumseh Products Company Fuel tank with water trap
EP1622762B1 (en) * 2003-04-25 2011-0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ating for a steam-generating device
JP2005023334A (ja) * 2003-06-30 2005-01-27 Hokkaido Technology Licence Office Co Ltd 蒸発器および熱交換器
CN1973079B (zh) * 2004-06-23 2011-06-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蒸汽熨烫过程期间用于控制熨烫温度的方法和相应的蒸汽熨斗
DE102004032361B4 (de) * 2004-07-03 2009-12-10 Braun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Dampf und entsprechendes Dampfbügeleisen
EP1750018A3 (en) * 2005-08-03 2011-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Surfaces and articles resistant to impacting liquids
DE102005062641A1 (de) * 2005-12-23 2007-07-05 Braun Gmbh Bügeleisen
CN101191612A (zh) * 2006-11-20 2008-06-04 游图明 用于家用电器的蒸汽形成方法及装置
DE102007036007A1 (de) * 2007-07-30 2009-02-19 Miele & Cie. Kg Einspül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und Wasc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50830A (ru) 2013-06-20
RU2534055C2 (ru) 2014-11-27
CN102421959A (zh) 2012-04-18
CN102421959B (zh) 2015-12-09
BRPI1007127A2 (pt) 2018-06-05
WO2010131148A1 (en) 2010-11-18
US8615909B2 (en) 2013-12-31
KR101733392B1 (ko) 2017-05-11
JP5676574B2 (ja) 2015-02-25
EP2430229B1 (en) 2017-03-01
JP2012526586A (ja) 2012-11-01
US20120042547A1 (en) 2012-02-23
EP2430229A1 (en) 2012-03-21
EP2251482A1 (en)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8791A (ko) 증기 다리미의 밑판에 사용을 위한 증기 배출 유닛
US4154003A (en) Combined drum washer and drying arrangement
US10246815B2 (en) Steam iron head
CN107002346B (zh) 蒸汽熨斗头
RU2689064C2 (ru) Рабочая часть парового утюга
EP0873773B1 (en) Vertical evaporator
RU2643972C2 (ru) Паровой гла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EP3088598B1 (en) Clothes dryer
WO2008065619A1 (en) Steaming device
KR100656868B1 (ko) 건조기
US20190106836A1 (en) Smoothing head comprising an inner chamber provided with steam discharge ducts
CN114059331A (zh) 冷凝器以及衣物处理设备
JP4310316B2 (ja) 清浄蒸気発生装置
SU1763850A1 (ru) Теплова труба
KR940007748Y1 (ko) 역류방지용 트랩을 갖춘 디퓨젼펌프
HU193751B (en) Steamy hand iron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dry steam for steamy hand i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