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78A -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778A
KR20120015778A KR1020100078190A KR20100078190A KR20120015778A KR 20120015778 A KR20120015778 A KR 20120015778A KR 1020100078190 A KR1020100078190 A KR 1020100078190A KR 20100078190 A KR20100078190 A KR 20100078190A KR 20120015778 A KR20120015778 A KR 2012001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oor
opening
hin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특장
Priority to KR102010007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778A/ko
Publication of KR2012001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12Conjoint motion of lids, flaps, and shutters on vehicle and on receptacle; Operation of closures on vehicle conjointly with tipping of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86Means mounted on the vehicle for opening the lid or cover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의 후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 이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어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부재, 및 이 도어와 작동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호퍼를 개폐하는 도어를 쇽업쇼바나 실린더로 개폐함으로써 자동 개폐를 실현하고, 스프링을 이용한 보조개폐부를 구비하여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쇽업쇼바나 실린더의 고장시 수동 개폐에 따른 외부 미는 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HOPER DOOR OPENING DEVICE OF WASTE COLLECTING VEHICLE}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를 개폐하는 도어를 쇽업쇼바나 실린더로 개폐함으로써 자동 개폐를 실현하고, 스프링을 이용한 보조개폐부를 구비하여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쇽업쇼바나 실린더의 고장시 수동 개폐에 따른 외부 미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특수차량이 사용되며, 그 가운데 쓰레기를 압착하여 운반하게 되는 압착진개차(Roll Pack)와 압축진개차(Press Pack)가 주로 사용된다.
압축진개차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1999-0078896호에 제시되어 있다.
즉, 기존의 압축진개용 쓰레기 수거 운반차는 운전실의 후방에 쓰레기의 적재를 위한 적재탱크를 구비하고, 이 적재탱크의 후단부에는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투입장치를 구비한다.
이 투입장치는 케이스와 투입기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는 상단부가 적재탱크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함과 더불어 후면에는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투입구를 구비하고, 적재탱크와 개방용 실린더에 의해 연결되어 개방용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쓰레기의 배출시 적재탱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입기구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를 적재탱크로 밀어 넣는 것으로, 회전구동용 실린더와 회전판 및 압축구동용 실린더로 구성되어 회전구동용 실린더와 압축구동용 실린더에 의해 회전판이 이동하여 쓰레기를 적재탱크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런데, 쓰레기의 수거작업으로 인해 오염된 투입기구나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국내등록특허 제0883088호에는 커버가 케이스의 투입구를 개폐 가능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고, 이 커버가 실린더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기존 쓰레기 수거차는 케이스의 투입구 양측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이 커버를 밀어 올리는 힘으로 개폐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커버의 개폐 작업시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압축진개용 쓰레기 수거차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커버의 열림에 따른 작업자의 힘을 저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스프링력의 약화로 인해 커버의 개폐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탱크에 형성된 호퍼를 여닫는 도어를 쇽업쇼바나 실린더로 개폐 조작함으로써 호퍼의 자동 개폐를 실현할 수 있어 쓰레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쇽업쇼바나 실린더의 고장시를 대비하여 도어가 호퍼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쉽게 도어를 올려 호퍼를 개방할 수 있어 비상시에도 적은 힘으로 도어를 올려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는: 호퍼의 후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어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작동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쇽업쇼바, 또는 자동이나 수동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피벗돌기,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기, 대응되는 상기 피벗돌기와 상기 힌지돌기에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시 상기 커넥팅로드를 호 궤적를 따라 왕복 이동 안내하도록 상기 커넥팅로드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힌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의 작동오류시 보조적으로 회동 안내되도록 보조개폐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제 1지지돌기, 상기 연결부재를 형성한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 2지지돌기, 및 상기 제 1지지돌기와 상기 제 2지지돌기에 양측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전진을 위해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는 인렛과 후진을 위해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는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인렛은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 안내하도록 자동 스위칭되는 제 1삼방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아웃렛은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 안내하도록 자동 스위칭되는 제 2삼방밸브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적재탱크에 형성된 호퍼를 여닫는 도어를 쇽업쇼바나 실린더로 개폐 조작함으로써 호퍼의 자동 개폐를 실현할 수 있어 쓰레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쇽업쇼바나 실린더의 고장시를 대비하여 도어가 호퍼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쉽게 도어를 올려 호퍼를 개방할 수 있어 비상시에도 적은 힘으로 도어를 올려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작동부재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의 작동부재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10)의 호퍼도어 개폐장치는 도어(100), 작동부재(200) 및 힌지부(300)를 포함한다.
도어(100)은 레기 수거차(10)에 형성된 호퍼(3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호퍼(30)는 쓰레기를 담는 적재탱크(20)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쓰레기를 일차적으로 적재한 후 적재탱크(20)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적재탱크(20)와 호퍼(30) 및 도어(100)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호퍼(30)는 후측을 개방되게 형성하고, 도어(100)은 이 호퍼(30)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한다.
또한, 작동부재(200)는 호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어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전후진된다.
여기서, 작동부재(200)는 쇽업쇼바, 또는 자동이나 수동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로 한다.
편의상, 호퍼(3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부재(200)만을 도시한다.
한편, 힌지부(300)는 도어(100)과 작동부재(200)를 힌지 연결하여 도어(100)의 개폐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동부재(200)가 후진하게 되면, 도어(100)은 힌지부(300)와 연계되어 호퍼(30)의 개방측부위를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작동부재(200)가 전진하게 되면, 도어(100)은 힌지부(300)와 연계되어 호퍼(30)의 개방측부위를 닫는다.
여기서, 힌지부(300)는 피벗돌기(310), 힌지돌기(320), 커넥팅로드(330) 및 연결부재(340)를 포함한다.
피벗돌기(310)는 호퍼(30)의 개방된 후측에 인접한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편의상, 피벗돌기(310)는 작동부재(200)를 형성한 호퍼(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만 도시한다.
물론, 피벗돌기(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호퍼(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돌기(320)는 도어(100)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힌지돌기(320)는 피벗돌기(310)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힌지돌기(320)는 도어(100)의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힌지돌기(320)는 피벗돌기(310)에 근접하도록 도어(100)의 상측 모서리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팅로드(330)는 대응되는 피벗돌기(310)와 힌지돌기(320)에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커넥팅로드(330)는 일측을 피벗돌기(310)에 연결하고, 타측을 힌지돌기(320)에 연결한다. 이때, 커넥팅로드(3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피벗돌기(310)와 힌지돌기(320)에 힌지 연결된다.
물론, 커넥팅로드(3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연결부재(340)는 작동부재(200)의 작동시 커넥팅로드(330)를 호 궤적를 따라 왕복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연결부재(340)는 커넥팅로드(33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작동부재(200)를 힌지 연결한다.
즉, 작동부재(200)가 커넥팅로드(330)의 연결부재(340)에 연결됨에 따라, 커넥팅로드(330)는 작동부재(200)에 연동되어 피벗돌기(310)를 기준으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작동부재(200)가 연결부재(340)와 연결되는 방식은 핀 결합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작동부재(200)는 차체나 운전석 등에 형성되는 스위치 등에 의해 쉽게 작동함으로써 도어(100)를 개폐 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34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커넥팅로드(3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처럼, 작동부재(200)가 외부 조작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연결부재(340)는 이에 연동되어 밀리게 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330)는 피벗돌기(310)를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힌지돌기(320)가 커넥팅로드(330)와 함께 호 궤적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도어(100)은 하강하면서 호퍼(30)의 개방된 부위를 닫게 된다.
반대로, 도 4에서처럼, 작동부재(200)가 외부 조작에 의해 후진하게 되면, 연결부재(340)는 이에 연동되어 당겨지게 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330)는 피벗돌기(310)를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힌지돌기(320)가 커넥팅로드(330)와 함께 호 궤적을 따라 타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도어(100)은 상승하면서 호퍼(30)를 열게 된다.
이때, 도어(100)의 가장자리는 호퍼(30)의 개방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어(100)이 호퍼(30)를 막도록 하강한 상태 즉, 작동부재(200)가 전진한 상태에서 고장나면, 도어(100)은 수동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이때, 작업자가 도어(100)을 들어올릴 경우 힘이 너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커넥팅로드(330)는 도어(100)의 닫힘 상태에서 힌지부(300)의 작동오류시 보조적으로 회동 안내되도록 보조개폐부(4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개폐부(400)는 제 1지지돌기(410), 제 2지지돌기(420) 및 탄성부재(430)를 포함한다.
제 1지지돌기(410)는 호퍼(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편의상, 제 1지지돌기(410)는 호퍼(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제 1지지돌기(410)는 작동부재(200)도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지지돌기(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호퍼(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지지돌기(420)는 커넥팅로드(33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 2지지돌기(420)와 연결부재(340)는 커넥팅로드(330)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한 원 궤적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2지지돌기(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커넥팅로드(3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430)는 제 1지지돌기(410)와 제 2지지돌기(420)에 양측이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탄성부재(430)는 제 1지지돌기(410)에 대해 제 2지지돌기(420)를 탄성적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부재(430)는 코일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부재(200)가 후진하면, 도어(100)은 상승하게 되고, 탄성부재(430)는 초기상태로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200)가 전진하게 되면, 도어(100)은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재(430)는 인장되어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200)가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탄성부재(430)는 탄성 복원되지 않게 된다.
특히, 작동부재(200)가 전진된 상태에서 고장나면, 작업자는 도어(100)를 수동으로 들어올릴 경우, 탄성부재(430)가 탄성 복원되려는 힘 때문에, 도어(100)는 적은 힘으로도 상승하게 된다.
물론, 작동부재(200)가 후진된 상태에서 고장나면, 작업자는 도어(100)를 잡아당겨 닫을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30)가 늘어난 상태로 수축되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도어(100)는 호퍼(30)에 잠금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100)은 수동적으로 개폐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작동부재(200)는 고장난 상태로 강제로 작동할 경우 쉽게 전후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처럼, 작동부재(200)는 제 1지지돌기(410)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작동부재(200)는 전진 작동하기 위해 공기나 작동유를 공급받는 인렛(210)과, 후진 작동하기 위해 공기나 작동유를 공급받는 아웃렛(220)을 구비한다.
인렛(210)은 공기나 작동유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제 1탱크(250)를 연결하고, 아웃렛(220)은 공기나 작동유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제 2탱크(260)를 연결한다.
따라서, 외부 조작이나 자동 제어에 의해, 제 1탱크(250)가 인렛(210)으로 공기나 작동유를 공급하게 되면, 작동부재(200)는 전진하게 된다.(실선 화살지시선) 이때, 작동부재(200) 내부의 공기나 작동유는 아웃렛(220)을 통해 제 2탱크(260)로 배출된다.
반대로, 외부 조작이나 자동 제어에 의해, 제 2탱크(260)가 아웃렛(220)으로 공기나 작동유를 공급하게 되면, 작동부재(200)는 후진하게 된다.(점선 화살지시선) 이때, 작동부재(200) 내부의 공기나 작동유는 인렛(21O)을 통해 제 1탱크(250)로 배출된다.
특히, 작동부재(200)가 고장나면, 사용자는 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해 강제로 작동부재(200)를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동부재(200)는 쉽게 후진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렛(210)과 제 1탱크(250) 사이에는 제 1삼방밸브(230)가 구비되고, 아웃렛(220)과 제 2탱크(260) 사이에는 제 2삼방밸브(240)가 구비된다.
제 1삼방밸브(230)는 외부 조작이나 자동 제어에 따라 제 1탱크(250)로부터 공기나 작동유를 인렛(210)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작동부재(200) 고장시 인렛(210)으로부터 강제로 토출되는 공기나 작동유를 대기배출하도록 스위칭된다.(일점쇄선 화살지시선) 이때, 제 2삼방밸브(240)는 대기(외기)를 아웃렛(220)으로 유입하도록 자동 스위칭된다.
마찬가지로, 제 2삼방밸브(240)는 외부 조작이나 자동 제어에 따라 제 2탱크(260)로부터 공기나 작동유를 아웃렛(220)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작동부재(200) 고장시 아웃렛(220)으로부터 강제로 토출되는 공기나 작동유를 대기배출하도록 스위칭된다.(이점쇄선 화살지시선) 이때, 제 1삼방밸브(240)는 대기(외기)를 인렛(210)으로 유입하도록 자동 스위칭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쓰레기 수거차 20: 적재탱크
30: 호퍼 100: 도어
200: 작동부재 300: 힌지부
310: 피벗돌기 320: 힌지돌기
330: 커넥팅로드 340: 연결부재
400: 보조개폐부 410: 제 1지지돌기
420: 제 2지지돌기 430: 탄성부재

Claims (6)

  1. 호퍼의 후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어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작동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쇽업쇼바, 또는 자동이나 수동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피벗돌기;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기;
    대응되는 상기 피벗돌기와 상기 힌지돌기에 양측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시 상기 커넥팅로드를 호 궤적를 따라 왕복 이동 안내하도록 상기 커넥팅로드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힌지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의 작동오류시 보조적으로 회동 안내되도록 보조개폐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호퍼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제 1지지돌기;
    상기 연결부재를 형성한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제 2지지돌기; 및
    상기 제 1지지돌기와 상기 제 2지지돌기에 양측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전진을 위해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는 인렛과 후진을 위해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는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인렛은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 안내하도록 자동 스위칭되는 제 1삼방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아웃렛은 작동유나 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 안내하도록 자동 스위칭되는 제 2삼방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KR1020100078190A 2010-08-13 2010-08-13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KR20120015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90A KR20120015778A (ko) 2010-08-13 2010-08-13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90A KR20120015778A (ko) 2010-08-13 2010-08-13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78A true KR20120015778A (ko) 2012-02-22

Family

ID=4583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90A KR20120015778A (ko) 2010-08-13 2010-08-13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77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05B1 (ko) 2016-02-02 2016-10-20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CN109533736A (zh) * 2018-12-20 2019-03-29 上海美迅环境设备有限公司 利用车辆底盘动力操作垃圾集装箱卸料门的上装装置
KR102029811B1 (ko) 2019-02-15 2019-10-08 장종기 밀어내기식 쓰레기 수거차량과 덤프식 수거 트레일러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2029817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압축팩커 하강 안전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5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협착사고 방지 압축팩커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3B1 (ko) 2019-02-15 2019-10-08 장종기 밀어내기식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23555B1 (ko) 2020-10-12 2021-03-05 장종기 압축팩커에 승강버킷과 도어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7195B1 (ko) 2021-08-25 2021-12-09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쓰레기 수거차량의 쓰레기통 리프트 장치
KR102338853B1 (ko) 2021-06-17 2021-12-13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회전식 버킷과 쓰레기 이송 및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05B1 (ko) 2016-02-02 2016-10-20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전동식 셔터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CN109533736A (zh) * 2018-12-20 2019-03-29 上海美迅环境设备有限公司 利用车辆底盘动力操作垃圾集装箱卸料门的上装装置
CN109533736B (zh) * 2018-12-20 2024-03-15 上海美迅环境设备有限公司 利用车辆底盘动力操作垃圾集装箱卸料门的上装装置
KR102029811B1 (ko) 2019-02-15 2019-10-08 장종기 밀어내기식 쓰레기 수거차량과 덤프식 수거 트레일러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2029813B1 (ko) 2019-02-15 2019-10-08 장종기 밀어내기식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7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압축팩커 하강 안전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29815B1 (ko) 2019-04-24 2019-10-08 장종기 협착사고 방지 압축팩커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23555B1 (ko) 2020-10-12 2021-03-05 장종기 압축팩커에 승강버킷과 도어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8853B1 (ko) 2021-06-17 2021-12-13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회전식 버킷과 쓰레기 이송 및 압축장치를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337195B1 (ko) 2021-08-25 2021-12-09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쓰레기 수거차량의 쓰레기통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778A (ko) 쓰레기 수거차의 호퍼도어 개폐장치
US2750055A (en) Refuse compressor mechanism for vehicles
US20190009983A1 (en) Shield for three compartment rear load packer
US20240166435A1 (en) Refuse vehicle pressure feedback loop for pump control
JP5792512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投入箱
JP6730011B2 (ja) 塵芥収集車
US7025447B2 (en) Ink cartridge holder
JP2011126669A (ja) 塵芥収集車の安全スイッチ取付構造
JP5501776B2 (ja) 塵芥投入箱およびこれを備えた塵芥収集車
CA2679507C (en) Partial control system for a pneumatic waste compressor
US3822797A (en) Control valve operating mechanism
JP4531580B2 (ja) 塵芥収集車の排出板後退制御装置
JP5926019B2 (ja) 塵芥収集車
JPS5810322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排出装置
JP5259320B2 (ja) 塵芥収集車
WO1998042597A1 (en) Refuse compactor
JP7198108B2 (ja) 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荷役車両
JP5909743B2 (ja) 空港用ダンプ車両
JP2019218146A (ja) 塵芥収集車
JP2011126668A (ja) 塵芥収集車
KR20170063274A (ko) 쓰레기 수거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JP2024041936A (ja) 塵芥収集車
JPH0753829Y2 (ja) プレス装置
JP6418933B2 (ja) 塵芥収集車
KR960002891Y1 (ko) 쓰레기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