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678A -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678A
KR20120012678A KR1020100074800A KR20100074800A KR20120012678A KR 20120012678 A KR20120012678 A KR 20120012678A KR 1020100074800 A KR1020100074800 A KR 1020100074800A KR 20100074800 A KR20100074800 A KR 20100074800A KR 20120012678 A KR20120012678 A KR 2012001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rogress information
terminal
game progre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576B1 (ko
Inventor
표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7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tagging characters, objects or locations in the game scene, e.g. displaying a circle under the character controll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단말과,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단말이 존재하며, 게임 서버는 제1 단말이 게임의 종류 및 게임 진행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한정하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며, 상기 제2 단말의 미리 진행된 게임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게임 진행 상황을 참조하여 게임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for offering information of playing game, server thereof, terminal thereof,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게임 진행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온 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대방이 게임을 진행하는 모습을 담은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IP(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인터넷 신문/잡지, 검색서비스, 포탈 서비스, 전자 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들 중 최근 들어 가정용 PC의 증가, PC방의 활성화, 저렴한 초고속 통신망의 폭넓은 이용 등의 인프라 확대로 인하여 게임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게임의 종류에는 업소용 게임(또는 아케이드 게임), 가정에서 TV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비디오게임,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는 휴대용 게임 및 컴퓨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게임,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등이 있다. 특히, 온라인 게임은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으로 수만 명의 사용자들이 일정한 시나리오 내에서 각자의 역량에 따라 수많은 사용자들과 경쟁할 수 있는 게임이다. 온라인 게임은 스탠드 얼론(Stand-alone) 게임과는 달리, 사용자 스스로 어떤 상황을 만들고 해결하는 능동적인 사고를 유발하거나, 혼자가 아닌 다수의 참가자 간에 게임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근래의 온라인 게임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게임 상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한 설정 방법, 조작 방법 등이 복잡하고,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그 게임의 정보를 제공하는 팬 사이트(pan site) 등에서 얻을 수 있으나, 그 정보들은 단순한 정지 영상이나 스크립트로 설명한 것들이어서 초심자가 그 정보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기에 수월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상에서 사용자의 게임 진행을 돕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한 상황을 담은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게임의 종류 및 게임 진행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한정하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키는 제1 단말;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2 단말의 미리 진행된 게임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게임 서버; 및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2 단말의 미리 진행된 게임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진행을 완료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 및 노하우를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표시하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헤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가 기술되는 식별자, 상기 제1 단말이 요청하는 게임 진행 정보의 게임 종류가 기술되는 게임 종류 및 상기 제1 단말이 필요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한정하는 요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게임 종류 및 상기 요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건은 상기 게임 종류가 사용자 기록 게임인 경우, 사용자 기록 게임의 단계, 사용자 기록 게임의 게임 실행 환경, 사용자 기록 게임의 팀 및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기록 게임은 전략 시뮬레이션(RTS, Real Time Strategy) 게임, 1인칭 슈팅(FPS, First Person Shooting) 게임, 3인칭 슈팅(TPS, Third Person Shooting) 게임, 레이싱(racing) 게임, 및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건은 상기 게임 종류가 캐릭터 기록 게임인 경우, 캐릭터 기록 게임의 임무, 캐릭터 기록 게임의 캐릭터의 위치 및 캐릭터 기록 게임의 특정 장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릭터 기록 게임은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및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ORPG,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헤더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게임 진행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식별자를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의 발신자가 상기 제1 단말임을 확인하고,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게임 진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게임 진행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며, 전송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영상 및 상기 도움말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도움말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가이드 영상을 게임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으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유선으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망 통신부; 무선 랜 방식에 따라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통신부; 및 무선 팬 방식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팬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상기 게임 서버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이 미리 진행한 게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서버가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이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게임 실행 중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상기 가이드 영상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도움말을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명이 같이 게임을 즐기는 온라인 게임에서, 같이 게임을 하고자 하는 지인 또는 특정 대상의 게임 서버에 접속 여부 또는 게임 실행 여부를 알 수 있어, 해당 상대방이 게임 서버에 접속하거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상대방을 초대하여, 같이 게임을 진행하고자 소망하는 상대방과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임 진행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게임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의 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의 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실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한 화면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게임 서버(100) 및 단말(200)을 포함하며, 단말(200)은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네트워크(300) 상에 존재하며, 다양한 게임을 단말(100)에 서비스 한다. 게임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서로 연동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말(200)에 각 게임 별로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단말(200)은 게임 서버(100)에서 게임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말(200)은 동일한 게임 환경에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컨텐츠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game application)이 될 수 있다.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임 컨텐츠를 제공 받은 후,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게임 컨텐츠가 설치된 단말(200)은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데이터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이며, 사용자의 점수, 랭킹, 국적, 위치, 사용자 평판, 채팅 메시지, 캐릭터 설정 정보, 획득한 장비 및 아이템 리스트 등 게임의 진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단말(200)은 게임을 종료할 시, 게임 데이터를 게임 서버(100)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다시 게임을 이어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200)은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 후, 해당 게임을 이어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00)는 특정 단말(200)의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는 가이드 영상 및 도움말을 포함한다. 가이드 영상은 특정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한 경우, 그 게임이 진행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도움말은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Tip)을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생성한 것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200)은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가이드 영상 및 도움말을 통해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를 정보 제공자라고 하면,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를 정보 수신자라고 할 수 있다.
정보 수신자는 정보 제공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얻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게임 서버(100)는 이 요청 메시지에 따라, 특정 게임의 정보 제공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정보 수신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게임 서버(100)는 정보 제공자에게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질의를 통해 정보 제공자의 동의를 구할 수 있다. 정보 제공자가 동의한 경우, 게임 서버(100)는 정보 수신자에게 정보 제공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상술한 정보 수신자의 단말(200)을 제1 단말(201)이라고 하며, 상술한 정보 제공자의 단말(200)을 제2 단말(202)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제1 단말(201)은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200)이며, 제2 단말(202)은 자신의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한 단말(200)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201)은 복수의 제2 단말(202)의 정보를 조합한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게임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통신 모듈(110), 인증 모듈(120) 및 패치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100)는 저장 모듈(140) 및 제어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단말(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특정 게임의 특정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 각 단말(200)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 게임 컨텐츠, 게임 데이터, 각 종의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10)은 네트워크(300)의 종류에 따라서,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120)은 게임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가입 절차에 의해 사용자를 등록한다. 인증 모듈(120)은 단말(200)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 등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ID)와 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한다.
패치(patch) 모듈(130)은 게임의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되는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의 갱신을 실행한다. 즉, 패치 모듈(130)은 접속된 단말(200)에 설치된 게임 응용 프로그램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의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접속된 단말(200)로 전송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저장 모듈(1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인증 정보, 게임 컨텐츠, 및 게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140)의 저장 형태는 파일(fil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다.
제어 모듈(15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제1 단말(201)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제1 단말(201)에 통신 모듈(11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50)은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에 기술된 조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제1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진행 정보는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제2 단말(202)에서 그 진행이 완료된 게임을 재현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는 특정 파일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파일 형식은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하다. 이러한 게임 진행 정보는 가이드 영상 및 도움말을 포함한다. 가이드 영상은 제2 단말(202)의 사용자가 진행한 게임의 영상이며, 이 가이드 영상은 제1 단말(201)에 게임 진행 상황을 직관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이다. 제어 모듈(150)은 가이드 영상을 해당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게임 컨텐츠, 즉, 게임 응용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파일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영상은 해당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가이드 영상이 실행되면 제2 단말(202)이 진행한 게임을 재현된다.
도움말은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Tip)과 노하우(Knowhow)를 제1 단말(201)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제어 모듈(150)은 상술한 팁과 노하우가 기록된 도움말을 텍스트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영상과 마찬가지로, 게임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형식의 파일로 생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도움말을 실행시키면, 그 도움말이 텍스트로 표시되거나,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50)은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의 대상이 되는 제2 단말(202)의 사용자에게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 여부에 대한 동의를 구할 수 있다. 제2 단말(202)가 동의한 경우, 제어 모듈(150)은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여, 제1 단말(201)에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의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PC, TV, 노트패드, 휴대용 게임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게임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기기들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40), 출력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와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신하거나, 다른 단말(200)과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이다. 이 데이터는 게임 진행 정보, 인증 정보, 게임 컨텐츠, 게임 데이터, 각 종의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부(220) 및 유선 통신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망 통신부(22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부(222) 및 무선 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부(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20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망 통신부(221), 무선 랜 통신부(222) 및 무선 팬 통신부(22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망 통신부(221)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부(221)는 제어부(2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게임 서버(100) 또는 다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망 통신부(221)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랜 통신부(222)는 무선 랜(WLAN)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랜 통신부(222)는 제어부(2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부(222)는 접속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팬 통신부(223)는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망 통신부(221) 및 무선 랜 통신부(222)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200)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것이다. 무선 팬 통신부(223)는 다른 단말(200)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팬 통신부(223)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팬 통신부(223)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230)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통신부(230)는 특히,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00) 또는 다른 단말(2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200)이 PC, TV 등과 같은 휴대하기 어렵고, 그 설치가 고정된 기기인 경우, 단말(200)은 유선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30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예컨대, 입력부(2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통상적인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단말(20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사용자가 여러 감각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수단이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250)는 동영상, 이미지 등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251),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25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51)는 게임 실행 시,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251)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251)는 입력부(24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253)를 통해 게임 화면과 게임 실행음(배경음악 또는 효과음 등)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250)는 게임 진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표시 장치(251)를 통해 게임 진행 정보 중 가이드 영상 및 텍스트 파일 형식의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오디오 장치(253)를 통해 도움말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는 운영 체제, 게임 컨텐츠, 게임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60)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게임 진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에 저장되는 게임 컨텐츠, 게임 데이터, 게임 진행 정보 등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운영 체제 및 게임 컨텐츠 등을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단말(2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를 저장부(26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게임 실행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부(260)에 미리 저장된 게임 컨텐츠를 불러 오고, 게임 서버(100)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후,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게임 실행을 위해,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임 컨텐츠 및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시, 인증 정보를 게임 서버에 제공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200)이 제1 단말(201)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게임 서버(100)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다른 단말(200), 즉, 제2 단말(202)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이 게임 진행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이 제2 단말(202)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다른 단말(200)인 제1 단말(201)에 게임 진행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한 의도에 따라, 질의 메시지에 대한 동의 또는 거절 여부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게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는 헤더(410), 제1 단말의 식별자(420),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을 포함한다.
헤더(410)는 본 메시지가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내용을 수납한다.
단말 식별자(420)에는 제1 단말(201)의 식별자가 기술되며, 게임 서버(100)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한 후, 이 식별자(420)가 지시하는 단말(200)에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한다.
게임 종류(430)에는 게임 서버(100)가 서비스하는 게임의 종류가 기술되며, 게임 서버(100)는 이 게임 종류(430)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는 제1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요건(440)은 제1 단말(201)이 필요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 서버(100)는 이 요건(440)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는 제1 단말(20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요건(440)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의 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설명하는 요건은 사용자에 대한 기록이 게임 데이터로 저장되는 게임을 가정하며,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기록 게임”이라고 칭한다. 사용자 기록 게임은 1명의 사용자가 게임 컨텐츠의 가상의 상대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록 게임은 적어도 2명의 사용자 또는 2 진영의 사용자들이 서로 대결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기록 게임은 전략 시뮬레이션(RTS, Real Time Strategy) 게임, 1인칭 슈팅(FPS, First Person Shooting) 게임, 3인칭 슈팅(TPS, Third Person Shooting) 게임, 레이싱(racing) 게임,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 등을 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부호 (a)를 살펴보면, 사용자 기록 게임 중 아케이드 게임은 그 게임이 복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스테이지(Stage), 스텝(Step), 페이즈(Phase) 등으로 표현될 수 도 있다. 이러한 게임에서 각 단계를 완료하기 위한 팁(Tip)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단계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스테이지를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단계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해당 단계를 완료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면 부호 (b)를 살펴보면, 사용자 기록 게임 중 상호간에 대결을 펼쳐 승 패를 결정짓는 방식의 게임의 경우, 다수의 게임 실행 환경이 존재하며, 이 실행 환경을 소위 “맵(MAP)”이라고 칭한다. 예컨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경우, 적어도 2 진영간의 대전으로 게임이 진행되며, 특정 게임 실행 환경에서 대전이 펼쳐진다. 이러한 게임에서 각 게임 실행 환경 별로 게임 진행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 승리를 위한 팁(Tip)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실행 환경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게임 실행 환경을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게임 실행 환경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해당 게임 실행 환경에서 승리를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면 부호 (c)를 살펴보면, 사용자 기록 게임 중 개인간 또는 팀간 대결을 펼쳐 승 패를 결정짓는 방식의 게임의 경우, 유명한 게이머 또는 유명한 팀간의 대결을 펼칠 수 있다. 여기서, 팀의 경우, 소위 클랜(Clan) 또는 길드(Guild)라고 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사용자 또는 팀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사용자 또는 팀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특정 사용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유명한 게이머 또는 팀의 게임을 관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요청 메시지의 요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설명하는 조건은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기록이 게임 데이터로 저장되는 게임을 가정하며, 설명의 편의상 “캐릭터 기록 게임”이라고 칭한다. 캐릭터 기록 게임은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ORPG,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기록 게임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는 캐릭터들이 각각의 역할을 가지고,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의 게임이다.
도면 부호 (가)를 참조하면, 캐릭터 기록 게임에서는 각 캐릭터는 게임에서 부여한 임무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점수를 획득하여 캐릭터의 레벨이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임무는 게임 별로 미션(Mission), 퀘스트(Quest)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초보자가 특정 임무를 아무런 설명 없이 수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해당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팁(Tip)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실행 환경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임무를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게임 실행 환경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해당 임무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면 부호 (나)를 참조하면, 캐릭터 기록 게임에서는 각 캐릭터는 게임상의 세계에서 실제 세상과 유사하게, 직업 활동 및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캐릭터는 게임 자체에서 운영되는 특정 캐릭터를 만나야만 한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캐릭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캐릭터를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게임 실행 환경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해당 캐릭터의 위치 또는 현 위치로부터 해당 캐릭터의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
도면 부호 (다)를 참조하면, 캐릭터 기록 게임에서는 각 캐릭터는 게임상의 세계에서 장거리의 여행을 해야만 한다. 따라서, 게임의 특정 장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201)은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에 해당 게임을 기술하고, 요건(440)에 특정 장소를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게임 실행 환경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해당 장소의 위치 또는 현 위치에서 해당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 특정 게임 진행 정보를 얻기 위한 요건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게임의 종류에 따른 요건 설정 방법에 기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요건 설정 방법을 각각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각 요건 설정 방법을 조합하여 요건을 설정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실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제1 및 제2 단말(201, 202)는 각각 게임 서버(100)에 등록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단말(201, 202) 각각은 게임 서버(100) 접속을 위한 식별자(ID)를 부여 받고, 비밀번호(Password)를 설정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201)은 S701 단계에서 게임 서버(100)에 접속한다. 게임 서버(100)에 접속은 제1 단말(201)이 인증 정보인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면, 게임 서버(100)의 인증 모듈(120)이 이를 인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게임 서버(100)에 접속한 제1 단말(201)은 S703 단계에서 게임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제1 단말(201)은 S705 단계에서 게임을 실행한다.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게임 진행에 어려움이 있어, 특정 게임 진행 정보를 얻기 위해, 입력부(240)의 조작을 통해 요청 메시지 작성을 위한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201)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S707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100)에 전송한다.
한편, 요청 메시지가 특정 사용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것인 경우, 게임 서버(100)는 S709 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의 제2 단말(202)에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202)은 S711 단계에서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게임 진행 정보에 대해 허여하거나 불허하는 응답 메시지를 게임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S709 및 S711 단계는 선택적인 것이며, 게임 서비스를 제공 받는 모든 사용자가 게임 서버(100)의 게임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가입 절차 시, 게임 서버(100)가 일괄적으로 게임 진행 요청에 대한 동의 여부를 제2 단말(202)에 질의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도 있다.
게임 서버(100)는 S713 단계에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게임 서버(100)는 S715 단계에서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 메시지의 식별자(420)에 의거하여 제1 단말(201)에 전송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201)은 S717 단계에서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소망하는 게임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100)는 S801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요청 메시지의 헤더(410)를 통해 해당 메시지가 게임 진행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알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S803 단계에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를 참조하여, 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한다.
즉, 게임 종류(430)에 기술된 게임의 종류가 사용자 기록 게임인 경우, 요건(440)에 기술된 해당 게임의 특정 단계, 해당 게임의 특정 게임 실행 환경, 및 해당 게임의 특정 사용자 및 팀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게임 진행 정보는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모습이 담긴 파일이 될 수 있으며, 이 파일을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시키는 경우, 해당 게임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게임 서버(100)는 S805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의 요청 메시지의 식별자(420)를 참조하여, 요청 메시지의 식별자(420)에 기술된 제1 단말(201)에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한 화면 예이다.
도 9에서 단말(200)은 제1 단말(201)의 경우를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단말(201)은 S901 단계에서 인증 정보인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게임 서버(100)에 접속한다. 이 인증은 게임 서버(100)의 인증 모듈(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게임 서버(100)에 접속한 제1 단말(201)은 S903 단계에서 게임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게임을 실행한다.
게임 실행 중,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특정 게임 진행 정보를 얻기 위해 얻고자 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한정하는 게임 종류 및 요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요청 메시지의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에 기술된다.
따라서 제1 단말(201)은 S905 단계에서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을 입력 받고, S907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청 메시지는 헤더(410), 식별자(420),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말(201)은 헤더(410)에 이 메시지가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알리는 내용을 기술하며, 식별자(420)에 제1 단말(201) 자신의 식별자를 기술한다. 또한, 제1 단말(201)은 게임 종류(430) 및 요건(440)에 앞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내용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록한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제1 단말(201)은 S909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201)은 S911 단계에서 앞서 전송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는 제1 단말(201)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파일이며, 다른 사용자의 게임 진행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파일은 해당 게임의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단말(201)은 S913 단계에서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가 실행되면, 가이드 영상(1020)은 제1 단말(201)의 사용자가 실행 중인 게임 영상(1010)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영상(1020)이 제1 단말(201)의 사용자가 실행 중인 게임 영상(1010)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201)은 게임 진행 정보가 실행되면, 큰 크기의 화면과 큰 크기의 화면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작은 크기의 화면으로 이루어진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큰 크기의 화면에는 제1 단말(201)의 사용자가 실행 중인 게임 영상(1010)이 표시되며, 작은 크기의 화면에는 가이드 영상(1020)이 게임 영상(1010)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가이드 영상(1020)은 제1 단말(201)이 요청한 게임의 실행 모습이 재현된다. 또한, 도면 부호 1030은 도움말을 나타내며, 도움말(1030)은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과 노하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움말(1030)은 필요한 경우 가이드 영상(1020)의 필요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도움말(1030)은 텍스트로 표시될 수 도 있으나,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말(201)의 게임 영상(1010) 중 일부 영역에 가이드 영상(1020)을 표시하며, 가이드 영상(1020) 내에 도움말(1030)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도움말(1030)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이드 영상(1020) 및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인 도움말(1030)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참조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201)의 사용자는 특정 동물을 사냥하라고 하는 임무를 부여 받았지만, 해당 동물의 모습과 해당 동물이 있는 위치를 알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201)은 해당 임무를 수행한 다른 사용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실행시킬 수 있다. 게임 진행 정보의 실행에 따라, 가이드 영상(1020) 및 도움말(1030)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해당 동물을 사냥하는 모습과 사냥하는 곳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영상(1020) 및 도움말(1030)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심자의 경우에도 게임 진행 정보를 통해 그대로 따라 하면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단말은 게임 진행 상황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게임 서버에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임 서버는 게임 진행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의 사용자는 게임 진행 정보를 통해 게임 진행을 위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요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게임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게임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인증 모듈
130: 패치 모듈 140: 저장 모듈
150: 제어 모듈
200, 201: 단말
210: 통신부 220: 무선 통신부
221: 무선 망 통신부 222: 무선 랜 통신부
223: 무선 팬 통신부 230: 유선 통신부
240: 입력부 250: 출력부
260: 저장부 270: 제어부
300: 네트워크
410: 헤더 420: 식별자
430: 게임 종류 440: 요건

Claims (21)

  1.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의 종류 및 게임 진행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한정하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키는 제1 단말;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2 단말의 미리 진행된 게임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게임 서버; 및
    상기 제2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2 단말의 미리 진행된 게임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진행을 완료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 및 노하우를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표시하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헤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자가 기술되는 식별자,
    상기 제1 단말이 요청하는 게임 진행 정보의 게임 종류가 기술되는 게임 종류; 및
    상기 제1 단말이 필요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한정하는 요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게임 종류 및 상기 요건에 부합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건은
    상기 게임 종류가 사용자 기록 게임인 경우,
    사용자 기록 게임의 단계,
    사용자 기록 게임의 게임 실행 환경,
    사용자 기록 게임의 팀 및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록 게임은
    전략 시뮬레이션(RTS, Real Time Strategy) 게임, 1인칭 슈팅(FPS, First Person Shooting) 게임, 3인칭 슈팅(TPS, Third Person Shooting) 게임, 레이싱(racing) 게임, 및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건은
    상기 게임 종류가 캐릭터 기록 게임인 경우,
    캐릭터 기록 게임의 임무,
    캐릭터 기록 게임의 캐릭터의 위치 및
    캐릭터 기록 게임의 특정 장소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기록 게임은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및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ORPG,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헤더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게임 진행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식별자를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의 발신자가 상기 제1 단말임을 확인하고,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게임 서버.
  1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게임 진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게임 진행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며, 전송된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이드 영상 및 상기 도움말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도움말을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가이드 영상을 게임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으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유선으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망 통신부;
    무선 랜 방식에 따라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랜 통신부; 및
    무선 팬 방식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18.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이 미리 진행한 게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서버가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의 제공을 허여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21.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이 진행한 게임을 재현하는 영상인 가이드 영상 및 게임 진행에 필요한 팁이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도움말을 포함하는 게임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게임 실행 중 상기 게임 진행 정보를 실행시켜, 상기 가이드 영상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도움말을 텍스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00074800A 2010-08-02 2010-08-0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7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800A KR101478576B1 (ko) 2010-08-02 2010-08-0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800A KR101478576B1 (ko) 2010-08-02 2010-08-0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78A true KR20120012678A (ko) 2012-02-10
KR101478576B1 KR101478576B1 (ko) 2015-01-06

Family

ID=4583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4800A KR101478576B1 (ko) 2010-08-02 2010-08-02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41B1 (ko) * 2012-12-11 2014-08-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게임기기 테스트 관리시스템
KR101444747B1 (ko) * 2012-12-26 2014-09-30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WO2018080270A1 (ko) * 2016-10-31 2018-05-03 넷마블 주식회사 애니메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210019358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5410A1 (en) * 2005-12-22 2012-01-11 PKR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on-line gaming
KR20090050154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게임 플레이 영상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41B1 (ko) * 2012-12-11 2014-08-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게임기기 테스트 관리시스템
KR101444747B1 (ko) * 2012-12-26 2014-09-30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서버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WO2018080270A1 (ko) * 2016-10-31 2018-05-03 넷마블 주식회사 애니메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210019358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576B1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147B2 (en) Media-aware interface
US20210245059A1 (en) Dynamic interfaces for launching direct gameplay
JP2007505673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ゲーム・システム
KR20150024345A (ko) 인터렉티브 게임플레이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07527258A (ja) ゲームコンテンツをリモートで実行し無線携帯装置で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255716B1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8576B1 (ko)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8108150A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5250132B1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67489B1 (ko)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0744A (ko) 게임 접속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3236834A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0151B1 (ko) 아바타 춤동작 제작기능을 제공하는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JP202315990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4582A (ko) 게임 데이터 저장을 위한 게임 시스템, 이의 게임 서버, 이의 단말, 이의 게임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576419B2 (ja) ゲームサーバシステム
KR101854375B1 (ko) 게임 접속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63979B1 (ko) 구간 저장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20009212A (ja) 連動設定方法、連動用サーバ、ゲームサーバ、マネージメント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5629347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29749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983543B1 (ko)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9973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친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JP723262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ゲーム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