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543B1 -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543B1
KR100983543B1 KR1020080042943A KR20080042943A KR100983543B1 KR 100983543 B1 KR100983543 B1 KR 100983543B1 KR 1020080042943 A KR1020080042943 A KR 1020080042943A KR 20080042943 A KR20080042943 A KR 20080042943A KR 100983543 B1 KR100983543 B1 KR 10098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creenshot
game screen
ga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061A (ko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
Priority to KR102008004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54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8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top view, e.g. radar screens or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63F13/65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by importing photos, e.g. of the p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 이외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제공받고 싶은 경우,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를 지정받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게임서버와, 상기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스크린샷 서버, 그리고 상기 스크린샷이 저장되는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자신의 플레이어블캐릭터가 위치하는 곳의 게임상황뿐만 아니라 유저가 지정한 논플레이어블캐릭터가 위치하는 곳의 게임상황까지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 캐릭터, 게임상황, 플레이어블캐릭터, 논플레이어블캐릭터

Description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creenshot providing system using characters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의 시점에서 기록되는 게임화면을 출력하되, 유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유저가 지정한, 인공지능으로 동작하는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유저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유저가 자신의 플레이어블캐릭터가 위치하는 곳의 게임상황뿐만 아니라 유저가 지정한 논플레이어블캐릭터가 위치하는 곳의 게임상황까지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게임시장은 그 시장규모와 함께 제작규모도 방대한 양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렇듯 게임시장이 날로 확대되는 시장규모를 보이고 유저들은 점점 더 새로운 것, 더 재미있는 것을 찾게 되므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회사는 더욱 많은 그래픽 리소스와 비싼 기획으로 많은 투자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현재까지도 많은 유저 층을 가지고 있는 온라인 게임들이 대부분 다중접속 온라인 롤플레잉게임(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 이하 "MMORPG"이라 함) 종류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MMORPG은 다수의 유저가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보유하며, 월드(게임공간)에서 다른 유저들과 함께 이야기를 풀어나가거나, 어떤 때는 사냥으로 어떤 때는 자신만의 과제(Quest)를 풀어나가며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켜 나가는 게임이다.
이러한 MMORPG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크게 보면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이하 "NPC"라 함)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MMORPG에서 캐릭터를 플레이어블캐릭터와 NPC로 나누는 것은 유저가 캐릭터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느냐 아니면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정해진 동작만 알고리즘에 따라 움직이느냐에 따라 나누는 것으로, 유저가 직접 동작제어가 가능하면 플레이어블캐릭터, 그렇지 않고 인공지능에 의하여 동작이 결정되면 NPC이다.
그러나, 이러한 MMORPG에서는 유저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유저 자신의 플레이 어블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상황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출력하되 유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유저가 지정한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플레이어블캐릭터와 관찰캐릭터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플레이어블캐릭터와 관찰캐릭터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스크린샷 서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가 게임 진행이 진행되는 동안,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 즉, 스크린샷을 제공받기 위하여 특정 게임장소 또는 시간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제공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를 입력받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게임서버; 상기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스크린샷 서버; 및 상기 스크린샷이 저장되는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찰캐릭터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한 뒤, 특정시간에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여 스크린샷 서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유저로부터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촬영요청을 입력받은 시간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 간격을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는, 게임화면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유저들의 아이디 정보,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 게임화면을 구성하는 지형지물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는,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에 식별태그를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별태그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는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관찰 캐릭터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이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저가 상기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에 카메라아이템을 부착함을 감지하면, 그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를 유저의 관찰캐릭터로 지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스크린샷 제공방법은 (A)게임 중에 클라이언트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B)스크린샷 서버가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가 특정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고, 스크린샷 서버가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단계; (D)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찰 캐릭터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하고, 리스너가 특정시간에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고, 클라이언트가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여 스크린샷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에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를 첨부하여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유저로부터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촬영요청을 입력받은 시간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 간격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가 기록한 게임상황을 보고자 하는 조회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F)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 단계; (G)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시간 또는 장소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는 단계; 및 (H)상기 (G)단계에서 추출된 스크린샷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출력하되 유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유저가 지정한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플레이어블캐릭터와 관찰캐릭터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스크린샷을 생성하고, 플레이어블캐릭터와 관찰캐릭터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스크린샷 서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게임 진행이 진행되는 동안,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 즉, 스크린샷을 제공받기 위하여 특정 게임장소 또는 시간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제공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100), 게임 서버(200), 게임 데이터베이스(250), 스크린샷 서버(300) 그리고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0)는 게임 서버(200)가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 가입자가 사용하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등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게임 서버(200)에 접속하고,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아 게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100)는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로직을 구비하고, 게임이 선택되면 게임 서버(200)에 접속하여 구비한 게임 로직에 따라 게임을 수행하며,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 이 외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제공받고 싶은 경우, 유저로부터 관찰 캐릭터를 입력받는다. 관찰 캐릭터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일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100)는 유저가 상기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에 카메라 아이템을 부착함을 감지하면, 그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를 유저의 관찰캐릭터로 지정하는 것이 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게임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세 명의 유저가 게임을 수행하고 있고, 한 명의 유저가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악어 즉, NPC(20)에 카메라 아이템(30)을 부착하여 자신의 관찰캐릭터로 지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게임서버(200)는 상기 게임에 대한 게임 처리 로직을 구비하고, 상기 게임 처리 로직에 따라 게임을 제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0)로 하여금 게임이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게임 서버(200)는 게임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든 NPC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게임 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인공지능(AI)에 의하여 NPC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이러한 NPC의 인공지능 제어를 담당하는 인공지능시스템을 별도로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시스템은 게임 서버(200)내에서 NPC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게임데이터베이스(250)에는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캐릭터정보, 아이템정보, 게임화면 구성정보, 회원별 캐릭터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때, 캐릭터에는 플레이어블캐릭터, NPC, 몬스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캐릭터가 포함되며, 각 캐릭터는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스크린샷 서버(300)는 상기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200)에 요청하여 스크린샷으로 생성한다.
상기 특정 거리는 게임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되는 것으로서,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관찰캐릭터가 동일한 게임화면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스크린샷 서버가 상기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클라이언트(100)로 하여금 관찰캐릭터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하도록 하고,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을 생성하도록 처리한다.
리스너란, 플레이어블캐릭터가 받는 정보와 같은 종류의 정보를 받는 가상 개체를 의미한다. 리스너가 이러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스크린샷 서버(300)는 관찰캐릭터의 위치(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가 또는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가)에 따라, 리스너의 설치 신호를 클라이언트(1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특정시간이라 함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촬영요청을 입력받은 시간일 수 있고, 일정시간별로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게임화면 구성정보는 게임화면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유저들의 아이디 정보,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 게임화면을 구성하는 지형지물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스크린샷 서버(300)는, 게임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며, 그 스크린샷에 식별태그를 첨부한다.
이때, 상기 식별태그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샷 서버(300)는 스크린샷을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스크린샷 서버(300)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300)는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여 유저의 클라이언트(100)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임을 즐기고 싶은 유저는 클라이언트(100)를 조작하여 게임서버(200)에 접속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100)는 해당 게임 프로그램에 구비된 게임 로직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게임 서버(2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00)는 게임 서버(200)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와 게임을 진행할 준비를 마친 후, 게임 서버(200)에 의해 또는 유저의 클라이언트(100)의 키 입력을 통해, 게임을 실행하는 것이다(단계 S210).
게임이 실행되면, 클라이언트(100)는 유저로부터 자신의 플레이어블캐릭터 이외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관찰캐릭터(20)를 입력받는다(단계 S220).
그러면, 스크린샷 서버(300)가 관찰캐릭터(20)를 추적하고(단계 S230), 상기 관찰캐릭터(20)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단계 S240).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10)와 유저가 지정한 관찰 캐릭터(20)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의 게임상황이 벌어진 뒤, 소정 시간이 지난 후의 게임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공지능으로 움직이는 유저가 지정한 관찰캐릭터(20)가 인공지능의 조작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유저의 플레이어블캐 릭터(10)와 멀어지게 되어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10)와 관찰캐릭터(20)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단계 S240의 판단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찰캐릭터(20)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10)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300)는 유저의 촬영요청이 있는 경우, 관찰캐릭터(20)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 서버(200)에 요청하여 제공받는다(단계 S250).
이때, 스크린샷 서버(300)는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한다(단계 S252).
반면, 단계 S240의 판단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캐릭터(20)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10)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00)가 관찰캐릭터(20)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한다(단계 S260).
이후, 리스너가 관찰캐릭터(20)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 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다(단계 S262).
그리고 클라이언트(100)가 관찰캐릭터(20)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여 스크린샷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264).
그리면, 스크린샷 서버(300)가 스크린샷에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를 첨부하여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단계 S270).
상술한 바와 같은 식별태그를 첨부하면,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으면 그 시간 또는 장소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제공하여 줄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검색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스크린샷 서버(300)가 유저로부터 유저가 지정한 관찰캐릭터(20)가 기록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조회요청을 입력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샷 서버(300)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다(단계 S300).
그러면, 상기 스크린샷 서버(300)가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스크린샷에 첨부된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단계 S310), 입력받은 시간 또는 장소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스크린샷이 클라이언트(100)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단계 S320).
상술한 바에 따르면, 게임을 수행하는 유저는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자신의 플레이어블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되는 게임화면뿐만 아니라 유저가 지정한 관찰캐릭터(20)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까지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게임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게임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레이어블캐릭터 20 : 논플레이어블캐릭터
30 : 카메라 아이템 100 : 클라이언트
200 : 게임 서버 300 : 스크린샷 서버
350 :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를 입력받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가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게임서버;
    상기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특정 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스크린샷 서버; 및
    상기 스크린샷이 저장되는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찰캐릭터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한 뒤, 특정시간에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여 스크린샷 서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유저로부터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촬영요청을 입력받은 시간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 간격을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는,
    게임화면을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유저들의 아이디 정보,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 게임화면을 구성하는 지형지물의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는,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에 식별태그를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별태그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는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 이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여 유저에게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캐릭터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동작하는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유저가 상기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에 카메라 아이템을 부착함을 감지하면, 그 논플레이어블캐릭터(Non-Playable Character) 또는 몬스터를 유저의 관찰캐릭터로 지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A)게임 중에 클라이언트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B)스크린샷 서버가 관찰 캐릭터를 추적하고,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샷 서버가 특정시간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고, 스크린샷 서버가 제공받은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는 단계;
    (D)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관찰 캐릭터가 유저의 플레이어블캐릭터(Playable Character)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상기 관찰 캐릭터에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리스너를 설치하고, 리스너가 특정시간에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게임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게임서버로부터 제공받고, 클라이언트가 관찰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화면을 만들고, 그 게임화면을 스크린샷으로 생성하여 스크린샷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스크린샷 서버가 스크린샷에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태그 또는 상기 게임화면 구성정보가 기록된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태그를 첨부하여 스크린샷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유저로부터 관찰 캐릭터의 시점에서 기록된 게임화면을 보고자 하는 촬영요청을 입력받은 시간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단위 간격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관찰캐릭터가 기록한 게임상황을 보고자 하는 조회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F)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유저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를 입력받는 단계;
    (G)상기 스크린샷 서버가 시간태그 또는 장소태그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시간 또는 장소에 대응하는 스크린샷을 추출하는 단계; 및
    (H)상기 (G)단계에서 추출된 스크린샷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 시스템의 스크린샷 제공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42943A 2008-05-08 2008-05-08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43A KR100983543B1 (ko) 2008-05-08 2008-05-08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43A KR100983543B1 (ko) 2008-05-08 2008-05-08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061A KR20090117061A (ko) 2009-11-12
KR100983543B1 true KR100983543B1 (ko) 2010-09-24

Family

ID=4160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943A KR100983543B1 (ko) 2008-05-08 2008-05-08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0513A (zh) * 2018-03-28 2018-09-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录屏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749A (ko) * 2003-06-12 2004-12-23 방정철 온라인 상의 게임 Play를 온라인상에서 저장하고재생(Replay) 하는 시스템
KR20060018885A (ko) * 2003-06-11 2006-03-02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영상 표시 장치, 영상 표시 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KR20060100696A (ko) * 2005-03-17 2006-09-21 엔에이치엔(주) 게임 스크랩 시스템, 게임 스크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885A (ko) * 2003-06-11 2006-03-02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영상 표시 장치, 영상 표시 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KR20040107749A (ko) * 2003-06-12 2004-12-23 방정철 온라인 상의 게임 Play를 온라인상에서 저장하고재생(Replay) 하는 시스템
KR20060100696A (ko) * 2005-03-17 2006-09-21 엔에이치엔(주) 게임 스크랩 시스템, 게임 스크랩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061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8094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20210245059A1 (en) Dynamic interfaces for launching direct gameplay
KR102105525B1 (ko) 게임 영상 제공 방법 및 서버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2013529115A (ja) オンラインゲーム環境でサーバートランスファリングしてゲームを行う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2016047124A (ja) 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8684836B2 (en) Game server, game controlling method thereof,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game system
CA2949464A1 (en) Video game with dynamic quest clues based on number of completions
JP202402866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492274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と連動したアバター提供システム
JP2012045422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8000654A (ja) ゲームサーバ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1045792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web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0983543B1 (ko) 인공지능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를 이용한 스크린샷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KR20120012678A (ko)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90059662A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51534A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サーバ
JP202004898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18166875A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20070106550A (ko) 게임 시스템, 게임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JP717737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73627A1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game program, gam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allow execution of online mission with use of data in game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7274088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700492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