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036A -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 Google Patents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036A
KR20120008036A KR1020117025166A KR20117025166A KR20120008036A KR 20120008036 A KR20120008036 A KR 20120008036A KR 1020117025166 A KR1020117025166 A KR 1020117025166A KR 20117025166 A KR20117025166 A KR 20117025166A KR 20120008036 A KR20120008036 A KR 2012000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lifestyle
polymerization
mannose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529B1 (ko
Inventor
토시오 쿠마오
카즈토 오자키
이치로 아사노
시게요시 후지이
나오토 이무라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또 제네럴 푸즈, 인크.
크래프트 푸드 글로벌 브랜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또 제네럴 푸즈, 인크., 크래프트 푸드 글로벌 브랜드 엘엘씨 filed Critical 아지노모또 제네럴 푸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0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제공한다.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FESTYLE-RELATED DISEASE, AND FOOD USEFUL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FESTYLE-RELATED DISEASE}
본 발명은 특정한 중합도의 만노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음식의 서구화에 의한 고지방성 식사의 섭취, 일상의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 과다에 의한 과식 등이 원인이 되어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만은 간장 중에 많은 지질을 축적하여, 당뇨병, 고혈압증, 고지혈증, 나아가 심질환이나 뇌졸중 등의 생활 습관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비만을 방지하는 것은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생활 습관병의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어, 예방 의학 측면에서도 비만을 방지하는 수단이 주목받고 있다. 이 때문에 다양한 식품 중으로부터 비만 방지에 관계되는 물질의 탐색이나 그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그 중에서도 만노올리고당이 주목받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9256은 만노올리고당이 혈청 지질 개선 작용을 갖는 것을 개시하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22778은 만노올리고당이 당뇨병 예방 작용을 갖는 것을 개시하며,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83127은 만노올리고당이 체내 지방 감소 작용 등 비만에 기인하는 생활 습관병 예방의 효과를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문헌 [일본 식품 공학회지. 6(4), 301-304(2005)]는 만노올리고당이 섭취된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보고하고, 문헌 [의학과 약학. 54(4), 505-509(2005)]는 만노올리고당이 간장 지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만노올리고당의 중합도의 차이에 의해서 그 작용의 정도가 크게 변동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9256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22778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83127
일본 식품 공학회지. 6(4), 301-304(2005) 의학과 약학. 54(4), 505-509(2005)
본 발명은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생활 습관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미 보고되어 있는 만노올리고당의 당 구성을 엄선하고, 중합도가 3 내지 10으로 구성되는 단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지방이나 당질의 체내로의 도입을 억제하여, 간장 중에 축적되는 지질을 보다 강력히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러한 혼합물이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효 성분은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당은 만난을 가수분해 처리함으로써 얻어지고, 그 만난은 바람직하게는 커피 원두 및/또는 커피 추출 잔사로부터 얻어진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만노올리고당은 β-1,4-만노올리고당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예방 또는 치료되는 생활 습관병은 지방 흡수 및/또는 당질 흡수에 의한 것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간장 지질의 증가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생활 습관병에 걸릴 우려가 있거나 또는 걸린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사용으로서,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의 제조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포함하는 식품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강력한 지질 및/또는 당질의 흡수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간장 중에 축적되는 지방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내장 지방 저하 작용, 혈청 지질 개선 작용, 혈당값 저하 또는 상승 억제 작용, 혈압 저하 또는 상승 억제 작용 등을 발휘하고, 나아가 비만증, 대사 증후군, 고지혈증, 당뇨병,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졸중, 협심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생활 습관병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비피더스균 증식 촉진 작용을 갖기 때문에, 장내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암 등의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에도 유용하다. 또한, 매일 식사에 의해 섭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식품은 생활 습관병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도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분획의 투여에 의한 지질 흡수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 2]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획의 투여에 의한 간장 지질의 감소를 나타낸다.
[도 3]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획의 투여에 의한 당질 흡수의 억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은, 만노오스 이외에 글루코오스, 과당 및 갈락토오스와 같은 단당류의 적어도 1종을 구성 단위로 한다.
그러한 당은, 중합도 1 내지 10의 만노오스를 주체로 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만난의 가수분해물로부터 중합도 2 이하의 당을 최대한 제거하여 얻어지는 분획이다. 가수분해되는 만난은, 어떠한 공급원으로부터의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피 원두, 커피 추출 잔사, 코코넛 야자로부터 얻어지는 코프라밀(copra meal), 또는 남아프리카산 야자과 식물 후아크라 야자(Huacra Palm)에 포함되는 만난, 마만난, 참마만난을 들 수 있다. 특히, 커피 원두 및/또는 커피 추출 잔사로부터 얻어지는 만난이 바람직하다.
이 분획은, 통상 만노오스 단위가 3 내지 10인 만노올리고당의 각 단체, 즉 만노트리오스, 만노테트라오스, 만노펜타오스, 만노헥사오스, 만노헵타오스, 만노옥타오스, 만노노나오스 및 만노데카오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지만, 추가로 각 단체로 분획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획에는, 중합도 2 이하의 올리고당이 약간이라도 잔존할 수도 있지만, 최대한 적은 것이 좋고,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90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이 바람직하며, 95 %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은, 바람직하게는 커피 생두, 배전(Roasting)한 커피 원두 또는 사용 완료 커피 잔사 중에 포함되는 만난을 산 가수분해, 고온 가열 가수분해, 효소 가수분해, 미생물 발효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활성탄 처리, 흡착 수지 처리, 이온 교환 수지 처리, 이온 교환막 처리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후, 커피 잔사와 분리하고,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에탄올 등의 용제 처리로 중합도 2 이하의 분획을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산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산으로는 황산, 염산을 들 수 있다. 산성의 정도는 pH 0 내지 2이다. 고온 가열 가수분해의 온도는 190 내지 250 ℃이다. 효소 가수분해는, 만난 또는 만난의 공급원을 수성 매체에 현탁시키고,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 등을 가하여 교반함으로써 행해진다. 사용되는 산소의 농도는 0.01 % 내지 1 %이고, 온도는 30 내지 80 ℃이다. 미생물 발효로 사용하는 균주로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리조푸스 오리재(Rhizopus oryzae)를 들 수 있다.
흡착 수지 처리에서 사용되는 수지로는, 스티렌디비닐벤젠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서 사용되는 이온 교환 수지로는 SK-1B를 들 수 있다.
중합도 2 이하의 분획을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하는 충전제로는 UBK-530, UBK-510L을 들 수 있다. 2종의 이온 교환 수지를 각각 충전하고, 직렬로 접속한 칼럼에 수회 통과시킴으로써, 더욱 고순도의 분획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분획을 함유하는 반응액은, 필요에 따라서 정제할 수 있다. 정제법으로는 골탄, 활성탄, 탄산 포충법, 흡착 수지, 마그네시아법, 용제 추출법 등으로의 탈색·탈취, 이온 교환 수지, 이온 교환막, 전기 투석 등으로의 탈염 또는 탈산을 들 수 있다. 정제 조건은, 반응액 중 색소, 염, 및 산 등의 양 및 그 밖의 요인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정제법을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중합도 4 이상의 단체가, 지방 흡수 억제 효과 및 당질 흡수 억제 효과를 강하게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90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분획이 간장 지질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지방 및 당질의 흡수를 억제하여, 간장 중의 지질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혼합물 또는 단체가 유용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본 발명에서의 생활 습관병 예방 또는 치료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경구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지질 흡수 및 당질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섭취한 식사의 지방이나 당질의 양에 관계없이, 체내 흡수되는 지질량이나 당질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사의 기호를 바꾸지 않고, 비만에 기인하는 생활 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간장 지질 감소란, 체내에 흡수되는 지질량 및/또는 당질량이 억제됨으로써, 간장 중에 축적되는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장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 고지혈증이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직접적인 예방 효과뿐만 아니라, 당뇨병, 동맥경화, 간부전 등의 생활 습관병을 망라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들은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4 이상의 단체가, 비피더스균의 증식도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촉진시켜 장내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대장암 등의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는 것에도,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혼합물 또는 단체가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생활 습관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은, 부형제 및 그 밖의 첨가제와 함께,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시럽제 등의 임의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부형제 및 첨가제로서, 젖당, 자당, 결정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한천, 펙틴,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레시틴, 염화나트륨 등의 고형인 것, 글리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올리브유,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물 등의 액상의 것을 들 수 있다. 의약 조성물 중에서의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분획의 양은, 의약 조성물 전량의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람에게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분획의 양은, 연령, 체중, 성별, 투여 방법 등에 의존하여 변동되지만, 예를 들면 성인 남성 1명당 1일 섭취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0 mg/k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 mg/kg 체중이다.
본 발명에서의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액체 커피, 인스턴트 커피 및 커피믹스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커피로는, 캔 또는 이른바 페트병 용기에 담겨 시판되고 있는 커피 음료 또는 커피 함유 음료라 불리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인스턴트 커피로는, 배전 분쇄 커피를 열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분무 또는 동결 건조 방법에 의해 수분을 제거한 가용성 분말 커피라 불리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커피믹스 음료로는, 가용성 분말 커피에 당, 크리밍 파우더 등을 첨가하여 혼합한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식품 중에서의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비율은, 식품 전량의 0.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중량%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만노올리고당의 고순도 분획
통상법에 의해 얻은 배전 분쇄 커피 10 kg을, 상업상 사용되는 퍼콜레이션계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커피 추출 잔사 7 kg(건조 중량)을 얻었다.
이를 입경을 약 1 mm로 분쇄한 후 4 m의 열 플러그 플로우 반응기(plug flow reactor)에 보냈다. 이어서, 물을 가하여 총 고형분 농도가 약 14 중량%인 슬러리로 한 후 열 처리하였다. 체류 시간 8 분에 대응하는 속도로 고압 증기와 함께 플러그 플로우 반응기에 펌프 수송하고, 6.35 mmφ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약 210 ℃로 유지하였다. 그 후, 대기압하에 분출함으로써, 반응을 급정지시켰다. 만노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액 1 kg에 활성탄 200 g을 가하여 60 ℃로 가온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규조토를 가하여 교반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강양이온 교환 수지(다이어 이온 SK-1B)를 충전한 칼럼 및 약음이온 교환 수지(다이어 이온 SA-12A)를 충전한 칼럼에 순차 통과시킨 후 진공 동결 건조하고, 만노오스 및 만노올리고당만을 포함하는 고형분 650 g을 얻었다.
내경 40Φ, 길이 1500 mm의 칼럼에 2종의 이온 교환 수지(다이어 이온 UBK-510L과 UBK-530)를 직렬로 접속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다양한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이하, "DP"라 함)의 고순도 분획을 얻었다.
이 조작에 있어서, 칼럼 및 이동상을 65 ℃로 유지하였다. 유속은 20 ㎖/분으로 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부가하는 시료는 상기 고형분 10 g에 물을 20 g 가하여 용해시킨 것이었다. 특정한 DP의 만노올리고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획을 얻은 후, 그것을 재차 칼럼에 주입하는 조작을 반복하고, DP2, DP3, DP4 및 DP5를 각각 단독으로 90 % 이상 함유하는 고순도 분획을 얻었다. DP6 이상의 분획에 대해서는 DP6 내지 10이 합계로 90 % 이상이 되는 것을 얻었다. 여기서, 예를 들면 DP3은, 3의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만노올리고당을 의미한다. 각 분획을 각각 진공 동결 건조하였다. 각 분획의 건조물 중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분획의 투여에 의한 지질 흡수의 억제
SD계 수컷 위스터 래트(Wistar rat)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검역 및 순화 기간을 겸하여 7일간의 예비 사육을 행하고, 체중의 추이 및 일반 상태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개체를 1군 10마리, 6군으로 나눠 실험에 제공하였다. 동물은 온도, 습도, 환기 횟수 및 조명 시간이 조절된 환경하에 사육되었다. 옥수수유 6 ㎖에 콜산 80 mg, 콜레스테롤 올리에이트 2 g을 가하고, 그 후 주사용 물 6 ㎖의 비율로 가하고, 10 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현탁 상태로 한 것을 대조액으로 하였다. 실험 시료는, 이 대조액에 미분획품, 실시예 1에서 얻어진 DP2, DP3, DP4, DP5 및 DP6 이상의 각 분획을 700 mg/2 ㎖ 대조액/kg 체중이 되도록 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각 실험 시료의 투여는, 무마취하의 동물에게 주사통(syringe barrel) 및 경구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로 행하였다. 투여 전, 투여 후 30, 60, 120, 180, 240 및 330 분에 비마취하에서 꼬리정맥으로부터 채혈하고, 시판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 키트를 이용하여, 혈청 중의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고, 그 시간 내에 존재한 총 지방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혈중 중성지방량에 있어서, 미분획품 및 분획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게 추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DP3 이상의 각각의 군은, 미분획품군 및 DP2군과 비교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미분획품이나 각 분획 투여로도 혈중 중성지방량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DP3 이상을 혼합물이나 단체로 투여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지방 흡수의 억제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명백하게 하고 있다.
실시예 3
DP 분획, 중 DP 분획, 저 DP 분획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만노오스 및 만노올리고당만을 포함하는 고형분 10 g에 물을 20 g 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단, 용출액은 프랙션 콜렉터를 이용하여 50 ㎖씩 분획하고, 용출 용량 1200 내지 1450 ㎖의 분획을 고DP 분획, 1450 내지 1650 ㎖의 분획을 중DP 분획, 1650 내지 2100 ㎖까지를 저DP 분획으로 하였다. 각 분획을 각각 진공 동결 건조하고, 시험에 이용하였다. 건조물 중 함유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획의 투여에 의한 간장 지질의 감소
ICR계 암컷 마우스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검역 및 순화 기간을 겸하여 7일간의 예비 사육을 행하고, 체중의 추이 및 일반 상태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개체를 1군 8마리, 5군으로 나눠 실험에 제공하였다. 동물은 온도, 습도, 환기 횟수 및 조명 시간이 조정된 환경하에 사육되었다. 실험 사료는 40 % 우지를 포함한 고지방 사료를 베이스로 하여, 미분획품, 저DP, 중DP 및 고DP의 각 분획 1 %를 배합한 사료 및 분획 무첨가 사료(대조 사료)를 56일간에 걸쳐 자유 섭취시켰다. 투여 기간 종료 후, 간장을 채취하고, 약 0.5 g의 간장 조직에 대하여 4.5 ㎖ 냉 0.1 MPBS를 가하여 동질화한 후, 3000 rpm 원심하여 상청을 채취하였다. 상청을 시료로 하여 시판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 키트를 이용하여 지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간장 중지질은, 미분획품 및 각 분획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졌다. 또한 중DP 분획군 및 고DP 분획군은 미분획품군 및 저DP 분획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어졌다. 이 결과로부터, 각 분획을 투여함으로써 간장 중지질이 적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중DP 분획 및 고DP 분획의 투여가 간장 중지질을 보다 감소시키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는 중DP 분획 이상, 즉 DP3 이상을 90 % 이상 함유하는 혼합물을 장기간 투여함으로써, 더욱 현저한 간장 지질의 감소 작용을 발휘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고DP 분획의 투여에 의한 당질 흡수의 억제
위스터계 수컷 래트를 이용하였다. 검역 및 순화 기간을 겸하여 7일간의 예비 사육을 행한 후, 체중 증가 및 일반 상태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개체를 1군 10마리, 3군으로 나눠 실험에 제공하였다. 동물은 온도, 습도, 환기 횟수 및 조명 시간이 조정된 환경하에 사육되었다. 대조군에 전분 12 g/kg 체중을 물로 용해시킨 시료를 투여하고, 미분획군에 전분 12 g/kg 체중 및 만노올리고당 미분획품 1.7 g/kg 체중을 물로 용해시킨 시료를 투여하고, 그리고 고DP군에는 전분 12 g/kg 체중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고DP 1.7 g/kg 체중을 물로 용해시킨 시료를 투여하였다. 주사통 및 경구 존데를 이용하여 무마취하에서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전, 투여 후 15 분, 30 분, 60 분, 120 분, 180 분 및 240 분에 무마취하에서 각각의 동물의 꼬리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키트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고, 그 시간 내에 존재한 총 혈당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고DP군은, 대조군 및 미분획군과 비교하여 총 혈당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고DP인 DP3 이상의 혼합물을 투여함으로써 당질 흡수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분획의 장내 균총에 대한 영향
실시예 4의 대조 사료군 및 고DP 분획군에 대해서, 그의 투여 기간 종료 후에 맹장 내용물을 전량 채취하고, 즉시 빙냉하여 균총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미쯔오까의 방법("장내균의 세계" 미쯔오까 도모따리 편, 1984년 발행, 도지쇼보신사)에 따랐다. 총 혐기성 균수(EG 배지 또는 BL 배지 상의 집단수)와 총 호기성 균수(TS 배지 상의 집단수)의 합을 총 균수로 하였다. 그 중, BL 배지 상의 집단의 형상, 그램 염색성 및 세포의 형태에 의해서 비피더스균군을 동정하고 계수하여 비피더스균수로 하고, 총 균수에 차지하는 비피더스균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고DP 분획군에서는, 비피더스균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7
정제의 제조 방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DP6 이상의 분획 파우더 50 %에, 젖당 20 %, 전분 20 %, 결정 셀룰로오스 6 %를 혼합한 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 % 에탄올 용액을 3 %가 되도록 가하고 치대어 조립하고, 직경 0.8 mm의 스크린으로 압출하여 과립을 제조·건조한 후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1 %의 양으로 첨가하여 압축 성형함으로써, 1정 300 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 정제는, 1일 3정 정도 복용함으로써, 생활 습관병 예방 효과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8
분말제의 제조 방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DP6 이상의 분획 파우더 90 %에 덱스트린 10 % 및 물을 가하여, 유동층 조립기에 의한 혼화, 가열, 조립에 의해 조립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립물을 그대로 또는 분쇄한 분말을 스틱 충전기를 이용하여, 1스틱당 2 g이 되도록 충전하였다. 이 분말제는 1일 1포 정도 복용함으로써, 생활 습관병 예방 효과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9
커피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DP6 이상의 분획 파우더 3 g을 농축 커피 추출액(커피 고형분 11 g) 및 인공 감미료 0.17 g에 물 1000 ㎖를 가하여 희석하여 UHT 살균한 후, 페트병에 충전하였다. 이 커피 음료는, 본래의 커피 음료보다도 진한 커피맛을 가지고 있으며, 매일 계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활 습관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생활 습관병 예방 또는 치료제 기능을 갖는 조성물은,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음식품, 사료 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비만에 기인하는 생활 습관병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이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90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이 만노오스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이 β-1,4-만노올리고당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이 만난을 가수분해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난이 커피 원두 및/또는 커피 추출 잔사로부터 얻어지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습관병이 지방 흡수에 의한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습관병이 당질 흡수에 의한 것인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습관병이 간장 지질의 증가에 의한 것인 조성물.
  10. 생활 습관병에 걸릴 우려가 있거나 또는 걸린 환자에게, 유효량의 제1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1.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의,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12. 만노오스 단위가 수를 기준으로 하여 66 % 이상을 차지하는 중합도 3 내지 10의 당을 포함하는 식품.
KR1020117025166A 2009-03-26 2010-03-24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KR10172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6115 WO2010109626A1 (ja) 2009-03-26 2009-03-26 生活習慣病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に役立つ食品
WOPCT/JP2009/056115 2009-03-26
PCT/JP2010/055078 WO2010110313A1 (ja) 2009-03-26 2010-03-24 生活習慣病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に役立つ食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36A true KR20120008036A (ko) 2012-01-25
KR101723529B1 KR101723529B1 (ko) 2017-04-05

Family

ID=4278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166A KR101723529B1 (ko) 2009-03-26 2010-03-24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01648B2 (ko)
EP (1) EP2412375A4 (ko)
KR (1) KR101723529B1 (ko)
CN (1) CN102448468B (ko)
BR (1) BRPI1009843A2 (ko)
WO (2) WO20101096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27A (ja) * 2001-03-13 2002-09-17 Ajinomoto General Foods Inc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血清脂質改善組成物
JP2006083127A (ja) 2004-09-17 2006-03-30 Ajinomoto General Foods Inc 体内脂肪低減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JP2006169256A (ja) 2006-01-16 2006-06-29 Ajinomoto General Foods Inc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血清脂質改善剤
JP2008022778A (ja) 2006-07-21 2008-02-07 Ajinomoto General Foods Inc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5485A5 (de) 1978-08-22 1983-04-15 Coffex Ag Verfahren zum entcoffeinieren von rohkaffee.
JPS62111671A (ja) 1985-11-11 1987-05-22 Ajinomoto General Foods Kk 生コ−ヒ−豆からの食品用天然抗酸化剤の製造方法
CA1324287C (en) 1988-09-14 1993-11-16 Howard Dave Stahl Process for hydrolyzing a partially extracted roasted and ground coffee
JP3477628B2 (ja) 1995-06-19 2003-12-1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ホップ苞より得られるポリフェノール製剤とその製造法
JPH09143465A (ja) 1995-11-21 1997-06-03 Dainippon Ink & Chem Inc 抗酸化性組成物
JP3855293B2 (ja) 1996-02-14 2006-12-06 長谷川香料株式会社 酸化防止剤組成物
US6576275B1 (en) 1999-02-02 2003-06-10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Process for extracting polyphenolic antioxidants from purine-containing plants
DE19961182B4 (de) 1999-12-18 2006-01-12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Galactomannan-Oligosaccharid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JP4179741B2 (ja) 2000-09-22 2008-11-12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リンゴポリフェノールを含有する飲料
JP3691453B2 (ja) 2002-04-30 2005-09-07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7177A (ja) 2003-03-04 2004-09-30 Servicetec Japan Corp 液体中のポリフェノールの除去方法
JP4113829B2 (ja) 2003-10-24 2008-07-09 株式会社 伊藤園 グルタミン酸含有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8252769B2 (en) 2004-06-22 2012-08-28 N. V. Nutricia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JP2006042624A (ja) 2004-08-02 2006-02-16 Ajinomoto General Foods Inc クロロゲン酸含有飲料
JP4960591B2 (ja) * 2004-12-14 2012-06-27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マンノオリゴ糖類を含有する抗アレルゲン組成物
JP2006193502A (ja) 2004-12-17 2006-07-27 Asahi Breweries Ltd アディポネクチ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
WO2006064761A1 (ja) 2004-12-17 2006-06-22 Asahi Breweries, Ltd. アディポネクチ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
US8029829B2 (en) 2005-02-03 2011-10-04 Taiyo Kagaku Co., Ltd. Preventive, relieving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diabetes mellitus and/or diabetic nephropathy
JP4955928B2 (ja) 2005-03-01 2012-06-20 花王株式会社 クロロゲン酸類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306799A (ja) 2005-04-28 2006-11-09 Kao Corp クロロゲン酸類組成物の製造方法
US20060286238A1 (en) 2005-06-20 2006-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es for isolating bitter quinides for use in food and beverage products
EP1980258A4 (en) * 2006-01-24 2010-03-10 Ajinomoto General Foods Inc COMPOSITION FOR IMPACTING BLOOD PRESSURE AND / OR PREVENTING BLOOD PRESSURE INCAPATION AND FOOD OR BEVERAGE CONTAINING THEREOF
JP5021223B2 (ja) 2006-03-16 2012-09-05 ユニチカ株式会社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及び抗動脈硬化剤
JP4851215B2 (ja) * 2006-03-27 2012-01-11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組成物
CN101808653B (zh) 2007-09-26 2014-03-05 高砂香料工业株式会社 植物提取物及其用途
JP5054499B2 (ja) 2007-12-10 2012-10-24 花王株式会社 脂質代謝改善剤
JP4667514B2 (ja) 2009-05-07 2011-04-13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クロロゲン酸含有飲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27A (ja) * 2001-03-13 2002-09-17 Ajinomoto General Foods Inc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血清脂質改善組成物
JP2006083127A (ja) 2004-09-17 2006-03-30 Ajinomoto General Foods Inc 体内脂肪低減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KR20070083684A (ko) * 2004-09-17 2007-08-24 아지노모또 제네럴 푸즈, 인크. 체지방 감소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식음료
JP2006169256A (ja) 2006-01-16 2006-06-29 Ajinomoto General Foods Inc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血清脂質改善剤
JP2008022778A (ja) 2006-07-21 2008-02-07 Ajinomoto General Foods Inc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사노 이치로 외 5명, ‘Effects of "Coffee Beverage" Containing Mannooligosaceharicles from Coffee on Human Abdominal Fat by Long Term Ingestion’ 일본식품공학회지, 2005, Vol.6, No.2, pp.133-141* *
의학과 약학. 54(4), 505-509(2005)
일본 식품 공학회지. 6(4), 301-304(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9843A2 (pt) 2016-03-15
WO2010110313A1 (ja) 2010-09-30
EP2412375A1 (en) 2012-02-01
CN102448468A (zh) 2012-05-09
CN102448468B (zh) 2014-12-03
US9101648B2 (en) 2015-08-11
KR101723529B1 (ko) 2017-04-05
EP2412375A4 (en) 2012-09-26
WO2010109626A1 (ja) 2010-09-30
US20120101058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1882B2 (ja)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EP0382355B1 (en) Growth promoting agent for bacteria containing pullulan with or without dextran
KR100970455B1 (ko) 초고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JP5214978B2 (ja) 血圧の降下作用及び/または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EP2011500A1 (en) Fat accumulation inhibitor
JPWO2007138905A1 (ja) 腸管内好酸球抑制組成物
JP5916288B2 (ja) 自然免疫促進作用が増強された自然免疫活性化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ローヤルゼリー由来の自然免疫活性化剤
TWI330085B (ko)
JP5702713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を促進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に役立つ食品
KR101905863B1 (ko) 히알루론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염증질환 및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3279694B2 (ja) ラクチュロースオリゴ糖を有効成分と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剤
KR101723529B1 (ko) 생활 습관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그것에 도움이 되는 식품
JP4673753B2 (ja) マンノオリゴ糖を含有する血清脂質改善剤
JP5738180B2 (ja) 生活習慣病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に役立つ食品
JP3142192B2 (ja) 血中脂質改善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06228181A (ja) 新規なグルクロン酸含有オリゴ糖、その製造法及びその利用
CN111107854A (zh) 包含β-葡聚糖作为有效成分的宿醉解除用组合物或酒精性肝病预防、改善或治疗用组合物
JP3279695B2 (ja) 分岐ガラクトオリゴ糖を有効成分と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剤
JP2006117566A (ja) 糖代謝改善剤
JP2006241020A (ja) 免疫系賦活剤
JP6303714B2 (ja) Dna損傷抑制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19875A (zh) 以含有硫酸软骨素的猪软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血压上升抑制剂及含有其的食品组合物
CN111526736A (zh) 肠道屏障功能改善用组合物
KR20200138467A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5189747A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アシル基転移酵素抑制剤、及び脂肪肝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