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156A - 횡편기의 복합바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복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156A
KR20110138156A KR1020110055426A KR20110055426A KR20110138156A KR 20110138156 A KR20110138156 A KR 20110138156A KR 1020110055426 A KR1020110055426 A KR 1020110055426A KR 20110055426 A KR20110055426 A KR 20110055426A KR 20110138156 A KR20110138156 A KR 2011013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lider
groove
opening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938B1 (ko
Inventor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개폐체와 기체가 결합할 때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결합부에는 큰 힘이 인가되기 어려운 횡편기의 복합바늘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슬라이더(11)의 개폐체(12)가 되는 블레이드(13, 14)와 기체(15)의 결합부(16)는, 기체(15)의 일측면에, 상단(13e, 14e)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합홈(15b)에 형성되어, 상단(13e, 14e)을 결합홈(15b)에 결합시키고, 접속부(13d, 14d)의 후단을 접촉부(15c)에 접촉시켜서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한다. 블레이드(13, 14)의 뒤쪽 부분을 상단(13e, 14e)과 하단(13c,14c)으로 나누기 때문에, 전후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에 필요한 힘은 하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3, 14)의 전방이 슬라이더 홈(17d)의 저면 등으로부터 받는 힘도 하단(13c,14c)이 휘어져서 흡수하여, 결합부(16)에는 인가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의 복합바늘{A COMPOUND NEEDLE FOR 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어, 훅(hook)을 슬라이더(slider)에 의하여 개폐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에 다수의 니들홈을 형성하고, 각 니들홈에 수용되는 편침을, 전단(前端)의 훅이 니들베드 단부(端部)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하도록 구동하여, 니들베드 갭에서 훅에 공급되는 편사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다. 편침으로서는, 래치바늘(latch needle)이나 복합바늘이 사용된다. 훅을 슬라이더에 의하여 개폐하는 복합바늘을 사용하면, 래치바늘과 비교하여 훅을 개폐하기 위하여 편침으로서 하는 진퇴 스트로크(進退 stroke)를 저감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도7은 특허문헌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로부터의 복합바늘에 사용하는 슬라이더(1)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7(a)는 슬라이더(1)의 평면 구성, 도7(b)는 슬라이더(1)의 정면 구성, 도7(c)는 슬라이더(1)의 기체(基體)(5)의 정면 구성, 도7(d)는 도7(c)의 절단면의 선D-D로부터 본 단면 구성, 도7(e)는 슬라이더(1)의 결합부(6)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또 슬라이더(1)를 포함하는 복합바늘은,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홈 내를 도면의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니들베드는, 도면에서는 우측방향이 되는 측에서 니들베드 갭에 접하고, 니들베드 갭측이 높고,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떨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수평한 상태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니들홈 내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 가로방향에 관하여 니들베드 갭측인 도면의 우측방향을 앞쪽,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떨어지는 도면의 좌측방향을 뒤쪽으로 각각 대응시키고, 세로방향에 관하여 도면의 상하를 그대로 대응시킨다.
슬라이더(1)는, 도7(b)에서는 사선으로 나타나 있는 개폐체(開閉體)(2)를 2장의 블레이드(blade)(3, 4)에 의하여 형성하고, 개폐체(2)와 기체(5)를 결합부(6)에서 결합하여 형성된다. 각 블레이드(3, 4)는, 앞쪽 부분에 텅부(tongue部)(3a, 4a)를 각각 구비하고, 하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바늘본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에 수용되어, 슬라이더 홈 내에서 상대적으로 전후로 이동하여 텅부(3a, 4a)에 의하여 훅을 개폐한다. 블레이드(3, 4)에는, 텅부(3a, 4a)에 연속되어, 바늘본체에 대한 후퇴 시에 슬라이더 홈의 측벽으로부터의 안내에 의하여 슬라이더 홈 내로부터의 부상(浮上)을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부(guide部)(3b, 4b)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블레이드(3, 4)에 있어서 뒤쪽 부분의 꼬리부분(3c, 4c)은 중심선(1a)에 대하여 선대칭(線對稱)이 아니고, 일방(一方)의 블레이드(3)의 꼬리부분(3c)은 니들홈의 측벽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sliding) 되어 슬라이딩 저항이 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다. 꼬리부분(3c, 4c)의 전방에서는 결합버트(結合 butt)(3d, 4d)가 세워서 형성된다. 결합버트(3d, 4d)의 부근에서는 블레이드(3, 4) 사이가 간격 없이 접촉된다. 결합버트(3d, 4d)보다 전방에는 이반 휨부(離反 bending部)(3e, 4e)가 형성되고, 이반 휨부(3e, 4e)의 전방에서는 블레이드(3, 4)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다. 이반 휨부(3e, 4e)와 가이드부(3b, 4b)의 사이에서는, 결합돌기(3f, 4f)가 세워서 형성된다. 블레이드(3)의 꼬리부분(3c)은 결합버트(3d)보다 후방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7(c)는, 기체(5)에 대하여 후반(後半) 부분을 부분적으로 단축하고 있는 상태로 나타낸다. 기체(5)의 하방에는 슬라이딩 암(sliding arm)(5a)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암(5a)의 저면은,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더(1)가 상대이동할 때에, 바늘본체의 꼬리부분 상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면에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암(5a)의 일측면(一側面)에는 결합홈(5b)이 형성되어, 블레이드(3, 4)의 꼬리부분(3c, 4c)이 결합된다. 결합홈(5b)의 상부에는 투과구멍(5c)이 형성되어, 블레이드(3, 4)의 결합버트(3d, 4d)가 결합된다. 기체(5)의 후반부분에서는 버트(5d, 5e)가 세워서 형성되어, 니들베드에 접하면서 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기체(5)의 앞쪽 부분에는, 블레이드(3, 4)의 결합돌기(3f, 4f)를 결합시켜서 블레이드(3, 4)의 흔들림 방지를 하는 결합오목부(5f)가 형성되어 있다.
도7(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3, 4)와 기체(5)의 결합부(6)에서는, 슬라이딩 암(5a)의 결합홈(5b)에 꼬리부분(3c, 4c)을 수용한 상태에서 결합버트(3d, 4d)를 투과구멍(5c)에 결합시키고, 코킹(caulking) 등에 의하여 고정부(固定部)(6a, 6b, 6c)를 형성하여, 블레이드(3, 4)와 기체(5)를 서로 고정되는 상태에서 조합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2946323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77038호 공보
도7에 나타나 있는 블레이드(3, 4)는, 앞쪽 부분의 텅부(3a, 4a)로부터 뒤쪽 부분의 꼬리부분(3c, 4d)까지가 대략적으로 직선 형상이기 때문에,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버린다. 또한 결합부(6)에서는 2장의 블레이드(3, 4)와 기체(5)를 우수한 정밀도로 결합시킬 필요가 있지만, 꼬리부분(3c, 4c)이나 결합버트(3d, 4d)에 대하여, 이들이 결합되는 결합홈(5b)이나 투과구멍(5c)은 조금 크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꼬리부분(3c, 4c)이나 결합버트(3d, 4d)를 결합홈(5b)이나 투과구멍(5c)에 결합시킨 후에, 다시 한번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위치결정은 예를 들면 꼬리부분(3c, 4c)의 상면을 결합홈(5b)의 상측 벽면에 접촉시켜서 한다.
그러나 꼬리부분(3c, 4c)의 하면이 결합홈(5b)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꼬리부분(3c, 4c)에 바로 아래로부터 위치결정용의 상방을 향하는 힘을 가할 수 없다. 위치결정용의 상방을 향하는 힘은, 예를 들면 이반 휨부(3e, 4e)의 전방이 되는 가로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가할 필요가 있어, 우수한 정밀도의 위치결정이 곤란하게 된다. 블레이드(3, 4)의 전방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할 때에 슬라이더 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凹凸)이 캠이 되어 요동(搖動)한다. 이 요동에 의하여 결합부(6)에는 큰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인가되어 결합을 해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고정부(6a, 6b, 6c)에서는 코킹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체와 기체가 결합할 때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결합부에는 큰 힘이 인가되기 어려운 횡편기의 복합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고 앞쪽 부분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훅을 개폐하는 텅(tongue)을 앞쪽 부분에 구비하여 바늘본체에 대한 상대이동(相對移動)이 가능한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고,
슬라이더는, 니들홈 내에서 하방에 배치되고 앞쪽 부분에 텅을 구비하는 개폐체(開閉體)와, 니들홈 내에서 상방에 배치되고 앞쪽 부분이 개폐체의 뒤쪽 부분에 결합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뒤쪽 부분은, 상하 2단으로 형성되고, 하단(下段)은 앞쪽 부분의 텅측에 연속되고, 상단(上段)은 하단의 상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기체는, 일측방(一側方)의 측면에 개폐체의 뒤쪽 부분의 상단에 대응하는 길이의 홈을 구비하고,
슬라이더의 개폐체와 기체의 결합은, 기체의 홈에 개폐체의 뒤쪽 부분의 상단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상단은, 상기 하단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기체의 일측방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오프셋(offse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기체의 일측방에, 상기 니들홈의 측벽에 슬라이딩(sliding) 하여, 슬라이더가 니들홈 내에서 슬라이딩 할 때에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부(抵抗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는, 2장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뒤쪽 부분은 상하 2단으로 형성된다. 하단은 앞쪽 부분의 텅측에 연속되고, 상단은 하단의 상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폐체의 상단은 기체의 일측방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결합되어, 개폐체와 기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홈에 결합되는 상단의 위치결정은, 하단에 상방을 향하는 힘을 인가함으로써 바로 아래의 방향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개폐체와 기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폐체의 전방이 바늘본체의 슬라이더 홈의 저면 등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힘을 받아서 요동하더라도 하단이 휘어져서 흡수하기 때문에, 결합부에는 큰 힘이 인가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상단은 기체의 일측방으로 위치가 벗어나는 오프셋를 구비하기 때문에, 기체 측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를 얕게 하여, 기체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기체의 홈에 결합되는 개폐체의 뒤쪽 부분의 상단에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을 얻기 위하여 다른 부품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복합바늘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개폐체를 2장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서 형성하더라도 기체와 우수한 정밀도로 조합시켜서 결합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10) 및 슬라이더(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슬라이더(11)에 사용하는 기체(15)의 부분적인 평면도, 정면도 및 블레이드(13, 14)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슬라이더(11)의 부분적인 평면도 및 그 절단면인 선B-B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에 사용하는 슬라이더(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슬라이더(21)에 사용하는 기체(25),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9)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슬라이더(21)에 있어서, 기체(25)와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7)과의 결합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7은 종래로부터 복합바늘에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더(1)의 부분적인 평면도 및 정면도, 기체(5)의 정면도 및 단면도, 결합부(6)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1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10) 및 슬라이더(1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에서는, 도1의 슬라이더(11)에 사용하는 기체(15) 및 블레이드(13, 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3에서는, 도1의 슬라이더(11)에 사용하는 블레이드(13, 14)의 결합부(16)에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4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에 사용하는 슬라이더(2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5에서는 도4의 슬라이더(21)에 사용하는 기체(25),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9)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6은 도4의 슬라이더(21)에 있어서, 기체(25)와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7)의 결합부(26)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도6의 설명에서는, 이들 중에서 앞에서 설명한 부분 또는 도7에서 설명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 대상의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1 및 도4(a)에서는, 도7(b)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1, 21)의 개폐체(12, 21)를 각각 사선으로 나타낸다.
(실시예1)
도1(a)는 복합바늘(10)로서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1(b)는 슬라이더(11)의 구성을 나타낸다. 복합바늘(compound needle)(10)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고, 슬라이더(slider)(11)는 개폐체(開閉體)(12)를, 탄성을 구비하는 금속판 등에 의한 2장의 블레이드(blade)(13, 14)에 의하여 형성한다. 바늘본체(17)의 앞쪽 부분의 훅(hook)(17a)을 슬라이더(11)의 텅부(tongue部)(13a, 14a)에 의하여 개폐한다. 기체(基體)(15)는, 슬라이딩 암(sliding arm)(15a)의 저면을 바늘본체(17)의 꼬리부분(17b)의 상면에 슬라이딩 시키면서, 바늘본체(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꼬리부분(17b)에는 결합오목부(17c)도 형성되어, 니들잭(needle jack)(18)의 앞쪽 부분의 볼록부(18a)가 결합되어, 바늘본체(17)와 니들잭(18)이 연결되어 있다. 니들잭(18)의 뒤쪽 부분에는 구동용의 버트(butt) 등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복합바늘(10)에서는, 니들잭(18)의 앞쪽 부분을 얇은 두께 모양으로 하여, 바늘본체(17)와 니들잭(18)의 연결부가 니들홈 내에서 두께 방향의 일부를 일측방(一側方)측에서 차지하도록 하여, 타측방(他側方)측에는 기체(15)의 슬라이딩 암(15a)의 저면과의 슬라이딩 면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바늘본체(17)와 니들잭(18)의 연결부를, 두께 방향에서, 슬라이더(11)와 바늘본체(17)와의 슬라이딩부에 나란히 하는 구성에 의하여 복합바늘(10)로서 필요한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슬라이더(11)와 바늘본체(17)의 슬라이딩부는, 바늘본체(17)와 니들잭(18)의 연결부에 폭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부의 전방이 되도록 전후의 방향으로 나눌 수도 있다.
블레이드(13, 14)는, 앞쪽 부분의 텅부(13a, 14a)의 선단이 훅(17a)의 갈고리부의 선단에 접촉됨으로써 훅(17a)을 닫는다. 2장의 블레이드(13, 14)의 앞쪽 부분에 형성되는 텅부(13a, 14a)는, 훅(17a)의 양측으로 갈라져서 훅(17a)을 넘어서 니들베드 갭에 진출시킬 수도 있다. 블레이드(13, 14)의 하부는, 바늘본체(17)의 상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홈(17d) 내에 수용된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블레이드(13, 14)의 가이드부(guide部)(13b, 14b)는, 도7의 가이드부(3b, 4b)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홈(17d) 내에서 블레이드(13, 14)를 매우 후퇴시키면, 가이드부(13b, 14b)는 슬라이더 홈(17d)의 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프레서(guide部 pressor)(17e)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상태까지 안내된다.
블레이드(13, 14)의 뒤쪽 부분은, 앞쪽 부분의 텅부(13a, 14a) 또는 가이드부(13b, 14b)와 대략적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속되어 있는 하단(下段)(13c,14c)을 포함하고, 대략적으로 U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2단 형상을 구비한다. 즉 하단(13c,14c)의 후단(後端)에서는, 접속부(接續部)(13d, 14d)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단(上段)(13e, 14e)에 접속된다. 블레이드(13, 14)의 뒤쪽 부분을 2단 형상으로 함으로써 블레이드(13, 14)의 전후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접속부(13d, 14d)와 상단(13e, 14e)은, 기체(15)에 대하여 결합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결합부(16)는, 도7의 슬라이더(1)와 같이 하부의 슬라이딩 암(5a)이 아니라, 기체(15)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5b)에 형성한다. 결합홈(15b)은 일정한 깊이의 구간을 상단(13e, 14e)의 길이에 대응시켜서 형성한다. 결합홈(15b)의 폭은 상단(13e, 14e)의 폭보다 조금 커지게 되도록 한다. 결합홈(15b)의 후단측 하방에는 접촉부(15c)를 형성하여, 상단(13e, 14e)을 결합홈(15b)에 결합시킬 때에, 접속부(13d, 14d)의 후단을 접촉시켜서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한다.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은, 상단(13e, 14e)의 상면을 결합홈(15b) 상측 측벽에 접촉시켜서 한다. 이 위치결정에 필요한 상방으로의 힘은, 바로 아래의 하단(13c, 14c)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후의 이동에 의하여 블레이드(13, 14)의 전방이 바늘본체(17)의 슬라이더 홈(17d)의 저면 등으로부터 요동(搖動)되기 때문에 상방을 향하는 힘을 받더라도, 하단(13c,14c)이 휘어져서 흡수하므로 결합부(16)는 큰 힘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3, 14)가 기체(15)의 결합홈(15b)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코킹(caulking) 등에 의하여 결합홈(15b)의 하부와 상부에 고정부(16a, 16b)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부(16)를 고정한다.
기체(15)의 뒤쪽 부분에는, 도7의 기체(5)의 버트(5d, 5e)와 마찬가지로 구동용의 버트가 형성되지만, 버트(5d)에 대응하는 버트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버트(5e)에 대응하는 버트(15e)만 나타낸다. 기체(15)의 앞쪽 부분에는, 블레이드(13, 14)의 결합돌기(13f, 14f)와 결합하여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오목부(15f)도 형성된다.
도2(a)에 나타나 있는 기체(15)의 결합홈(15b)에는, 도2(b)에 나타나 있는 블레이드(14)의 상단(14e) 및 도2(c)에 나타나 있는 블레이드(13)의 상단(13e)을 각각 결합시킨다. 결합 시의 위치결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단(13e, 14e)의 상면에는, 전후의 단부(端部)로부터 조금 돌출되는 접촉부(13g, 13h ; 14g, 14h)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접촉부(13g, 13h ; 14g, 14h)를 형성함으로써 결합홈(15b)의 상측 벽면에 전후의 2점에서 접촉시키는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단(14e)을 결합홈(15b)의 안쪽에 결합시키는 블레이드(14)에서는, 니들홈의 폭방향의 중심보다 타측방측에 위치하는 하단(14c)에 대하여, 상단(14e)이 니들홈의 폭방향의 일측방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접속부(14d)에는 오프셋(offset)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홈(15b)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어, 결합홈(15b)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기체(15)의 강도 저하를 피할 수 있다.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단(13e)을 결합홈(15b)의 전방측에 결합시키는 블레이드(13)에서는, 블레이드(14)와 같은 오프셋은 형성하지 않지만, 상단(13e)의 중간 부분을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彎曲)시켜서 니들홈의 측벽에 접촉시킨다. 슬라이더(11)가 니들홈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상단(13e)은 니들홈의 측벽에 슬라이딩 되어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부(抵抗部)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블레이드(13)의 상단(13e)이 저항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을 얻기 위하여 다른 부품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복합바늘(10)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상단(13e)에 저항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체(15)의 상부에 형성되는 버트가 구동력을 받아서 슬라이더(11)를 전후로 이동시킬 때에 받는 슬라이딩 저항을, 버트와의 고저차(高低差)가 작은 상태에서 부여할 수 있다. 도7과 같이 기체(5)의 하방의 슬라이딩 암(5a)에 의하여 슬라이딩 저항을 부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버트를 전후로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回轉 moment)를 작게 할 수 있다.
블레이드(13, 14)와는 별체(別體)로 저항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블레이드(13)의 상단(13e)을 만곡시켜서 저항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어, 상단(13e, 14e)은 결합부(16)에 필요한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아,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단(13e)이 만곡되어 있지 않으면, 고정부(16a, 16b)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별체로 형성되는 저항부는, 상단(13e, 14e)으로부터 전후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하면, 버트와의 고저차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게 할 수 있다. 별체로 형성되는 저항부는, 도7과 마찬가지로 기체(5)의 슬라이딩 암(5a) 등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3은, 블레이드(14)의 접속부(14d)에 형성되는 오프셋에 대하여 슬라이더(11)의 폭방향의 중심선(11a)과 함께 나타낸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기체(15)의 결합홈(15b)에 결합되는 블레이드(13, 14)의 상단(13e, 14e)은, 절단면의 선B-B의 위치에서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간격 없이 접촉되어 있다. 일측방측의 블레이드(13)에서는, 적어도 접속부(13d)에서 하단(13c)과 상단(13e)이 폭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타측방측의 블레이드(14)에서는, 하단(14c)과 상단(14e)은 폭방향에 대하여 다른 위치를 차지하도록 접속부(14d)에 오프셋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13c, 14c)은 중심선(11a)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선대칭(線對稱)으로 배치된다. 다만 기체(15)에 형성되는 결합홈(15b)을 깊게 하고, 상단(13e, 14e)의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하도록 하면, 블레이드(14)의 접속부(14d)에 오프셋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개폐체(12)를 2장의 블레이드(13, 14)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텅부(13a, 14a)를 훅(17a)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트랜스퍼(transfer) 등에 이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개폐체(12)를 단일(單一)의 부재로 형성하여, 텅부는 훅(17a)의 개폐에만 이용하는 경우에도, 개폐체(12)와 기체(15)와의 결합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전후의 길이를 단축하여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개폐체(12)의 앞쪽 부분이 진퇴할 때에 슬라이더 홈(17d)의 저면으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결합부(16)에서는 힘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실시예2)
이하, 도4∼도6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기본적으로 동등한 점은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동등한 부분에는, 첫 번째 자리의 수치 이하가 동일하게 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에 사용하는 슬라이더(21)는, 개폐체(22)를, 탄성을 구비하는 금속판 등에 의한 2장의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抵抗片)(29)에 의하여 형성한다. 블레이드(23, 24)의 접속부(23d, 24d)에는, 오프셋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블레이드(23, 24)의 상단(23e, 24e)의 길이는 블레이드(13, 14)의 상단(13e, 14e)의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어, 결합부(26)는 단축될 수 있다. 기체(25)에 형성되는 결합홈(25b)은, 단축된 결합부(26)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단(24e)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결합홈(25b)보다 전방에는, 결합홈(25b)보다 얕고 슬라이딩 저항편(29)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하는 수용홈(25j)이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도4의 슬라이더(21)에 사용하는 기체(25)를 (a), 블레이드(24)를 (b), 슬라이딩 저항편(29)을 (c), 블레이드(23)를 (d)로 각각 나타낸다. 슬라이딩 저항편(29)은 측방으로 만곡하는 저항부(29a)와 지지부(支持部)(29b)를 구비한다. 지지부(29b)는, 개폐체(22)를 형성할 때에 블레이드(23)와 블레이드(24)의 사이에 삽입된다.
도6은, 도4의 슬라이더(21)에 의하여 기체(25)와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9)을 포개어서 고정하는 결합부(26)의 구성을, (a)에서는 결합상태, (b)에서는 비결합상태로 하여 각각 나타낸다. 또 상단(23e, 24e)의 전단 부근의 하부에는, 접촉부(23g, 24g)가 조금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비결합상태에서도, 하단(23c, 24c)의 접속부(23d, 24d)에 가까운 위치와 전방에 각각 형성되는 접촉부(23h, 24h) 및 접촉부(23i, 24i)와 기체(25)의 접촉부(25h, 25i)를 각각 접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단(23e, 24e)은 1도보다 작은 각도로 전방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어, 접촉부(23g, 24g)는 결합홈(25b)의 하부 벽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단(23e, 24e)을 결합홈(25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촉부(23g, 24g)를 조금 들어올리도록 탄성변형시키면 좋다.
결합상태에서는, 조금 탄성변형된 상단(23e, 24e)이 결합홈(25b)에 결합되고, 접촉부(23g, 24g)는 결합홈(25b)의 하부 벽면의 접촉부(25g)에 접촉된다. 하단의 접촉부(23h, 24h 및 23i, 24i)와 기체(25)의 접촉부(25h, 25i)의 접촉은 유지된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접촉부(23g, 24g)의 위치로부터 접촉부(23h, 24h)의 위치까지의 거리와 접촉부(23i, 24i)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대략 동일하다. 블레이드(23, 24)는, 기체(25)의 3군데의 접촉부(25g, 25h, 25i)로부터의 지지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안정한 위치결정이 된다. 위치결정이 안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26)에 의하여 고정부(26a, 26b)를 코킹하여 블레이드(23, 24) 및 슬라이딩 저항편(29)을 고정할 때에도, 블레이드(23, 24)가 회전하여 텅부(23a, 24a)측이 내려가는 것과 같은 사태를 피할 수 있다.
10 : 복합바늘
11, 21 : 슬라이더
12, 22 : 개폐체
13, 14, 23, 24 : 블레이드
13a, 14a, 23a, 24a : 텅부
13c, 14c, 23c, 24c : 하단
13d, 14d, 23d, 24d : 접속부
13e, 14e, 23e, 24e : 상단
13g, 13h, 14g, 14h, 23g, 23h, 23i, 24g, 24h, 24i, 25g, 25h, 25i : 접촉부
15, 25 : 기체
15b, 25b : 결합홈
15c, 25c : 접촉면
16, 26 : 결합부
16a, 16b, 26a, 26b : 고정부
17 : 바늘본체
17a : 훅
17d : 슬라이더 홈
25j : 수용홈
29 : 슬라이딩 저항편

Claims (4)

  1.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고 앞쪽 부분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훅을 개폐하는 텅(tongue)을 앞쪽 부분에 구비하여 바늘본체에 대한 상대이동(相對移動)이 가능한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고,
    슬라이더는, 니들홈 내에서 하방에 배치되고 앞쪽 부분에 텅을 구비하는 개폐체(開閉體)와, 니들홈 내에서 상방에 배치되고 앞쪽 부분이 개폐체의 뒤쪽 부분에 결합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뒤쪽 부분은, 상하 2단으로 형성되고, 하단(下段)은 앞쪽 부분의 텅측에 연속되고, 상단(上段)은 하단의 상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기체는, 일측방(一側方)의 측면에 개폐체의 뒤쪽 부분의 상단에 대응하는 길이의 홈을 구비하고,
    슬라이더의 개폐체와 기체의 결합은, 기체의 홈에 개폐체의 뒤쪽 부분의 상단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상단은, 상기 하단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기체의 일측방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오프셋(offse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의 상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기체의 일측방에, 상기 니들홈의 측벽에 슬라이딩(sliding) 하여, 슬라이더가 니들홈 내에서 슬라이딩 할 때에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부(抵抗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개폐체는, 2장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KR1020110055426A 2010-06-18 2011-06-09 횡편기의 복합바늘 KR10153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9815 2010-06-18
JP2010139815 201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156A true KR20110138156A (ko) 2011-12-26
KR101537938B1 KR101537938B1 (ko) 2015-07-20

Family

ID=4465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426A KR101537938B1 (ko) 2010-06-18 2011-06-09 횡편기의 복합바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97590B1 (ko)
JP (1) JP5732316B2 (ko)
KR (1) KR101537938B1 (ko)
CN (1) CN10228684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031B (zh) * 2013-11-21 2018-04-03 山德霓股份公司 用于针织机的控制设备
KR20190071603A (ko) * 2017-12-14 2019-06-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복합바늘
KR20220130238A (ko) * 2020-04-29 2022-09-26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편직기를 위한 복합 바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223A (zh) * 2013-07-04 2013-10-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编机的织针
DE102014115345B4 (de) * 2014-10-21 2019-04-25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nadel, Anordnung zur Maschenbildung sowie Verwendung dieser Anordnung in einer Strickmaschine
EP3597807B1 (de) * 2018-07-18 2021-02-24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CN109750413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机的复合针
CN109706615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中的复合针
CN110438655B (zh) * 2019-08-13 2024-04-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的复合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0931A1 (de) * 1991-01-15 1992-07-16 Groz & Soehne Theodor Schiebernadel, insbesondere fuer strickmaschinen
JP2946323B2 (ja) * 1997-05-01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JP3538730B2 (ja) * 1999-05-19 2004-06-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編成針
JP2001032154A (ja) * 1999-07-15 2001-02-06 Shima Seiki Mfg Ltd 編機用複合針
TW477845B (en) * 1999-10-27 2002-03-01 Shima Seiki Mfg Guide mechanism of knitting member and compound needle assembling the guide mechanism therein
FR2821093B1 (fr) * 2001-02-20 2003-05-09 Steiger S A C Atel Const Aiguille a coulisse pour machine a tricoter
DE60229537D1 (de) * 2001-08-24 2008-12-04 Shima Seiki Mfg Verbundnadel für strickmaschine
AU2003289227A1 (en) * 2002-12-20 2004-07-14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ompound needle
JP5057674B2 (ja) * 2006-02-28 2012-10-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出し装置
DE102007039973C5 (de) * 2007-08-23 2017-11-02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Strick- oder Kettenwirkmaschine zur Maschenstoffherstellung mit zugehörigen Schwinggliednadel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031B (zh) * 2013-11-21 2018-04-03 山德霓股份公司 用于针织机的控制设备
KR20190071603A (ko) * 2017-12-14 2019-06-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복합바늘
KR20220130238A (ko) * 2020-04-29 2022-09-26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편직기를 위한 복합 바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938B1 (ko) 2015-07-20
CN102286843B (zh) 2014-07-09
EP2397590A2 (en) 2011-12-21
EP2397590A3 (en) 2012-11-14
EP2397590B1 (en) 2014-10-01
CN102286843A (zh) 2011-12-21
JP2012021252A (ja) 2012-02-02
JP5732316B2 (ja)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8156A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EP289424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inker device
EP1835059B1 (en) Complex cam system
KR101516156B1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CN109537246B (zh) 锁定装置、机械锁及洗衣机
EP2471984B1 (en) Flat knitting machine
KR20060046564A (ko) 루프-형성 시스템용 니들
CN203799911U (zh) 一种心形槽滑块及自锁组件
CN203746698U (zh) 一种心形槽滑块及自锁组件
CN105082471A (zh) 抽芯结构和注塑模具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EP2372003B1 (en) Cam device for transfer receiving needle
JP5414697B2 (ja) 横編機
CN102560858A (zh) 电脑针织横编机的清针机构
JP5719557B2 (ja) 選針装置
CN214463349U (zh) 按压式自锁机构和锁合装置
JP5632277B2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20169431A (ja) 横編機
JP2012132126A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14065987A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13060690A (ja) 編成部材のかしめ構造
CN100503921C (zh) 横编机的机头改良结构
JP2012112060A (ja) 横編機の複合針
JP5418920B2 (ja) 編機用機能素子
JP2020169432A (ja) 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