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56B1 - 횡편기의 복합바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복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156B1
KR101516156B1 KR1020110055435A KR20110055435A KR101516156B1 KR 101516156 B1 KR101516156 B1 KR 101516156B1 KR 1020110055435 A KR1020110055435 A KR 1020110055435A KR 20110055435 A KR20110055435 A KR 20110055435A KR 101516156 B1 KR101516156 B1 KR 10151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lade
hook
blades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157A (ko
Inventor
겐지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여 텅에 의한 훅의 개폐정밀도도 높일 수 있는 횡편기의 복합바늘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블레이드(1, 2)는 텅(1a, 2a)의 휘어짐이 없고, 텅(1a, 2a)의 후방에는 만곡되지 않은 직선형상부(1b, 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성 형상이 안정되어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블레이드(1, 2)의 하부가 블레이드 홈 내에서 만곡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텅(1a, 2a) 뒤쪽 부분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블레이드 홈 외부로 나가는 어깨부(1c, 2c)는, 전단측이 접근하여 접촉되도록 대향하는 상호간에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져서 접촉부(1f, 2f)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텅(1a, 2a)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훅(3a)이 텅(1a, 2a) 사이를 열 때의 저항을 작게 하여 훅(3a)의 개폐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의 복합바늘{A COMPOUND NEEDLE FOR 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어, 훅(hook)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가 2장의 블레이드(blade)에 의하여 형성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는 편침을, 니들홈 내를 슬라이딩 하도록 구동하여, 전단(前段)의 훅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시켜서,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훅에 공급되는 편사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다. 편침으로서는, 전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相對移動)이 가능하고 전단에 훅을 개폐하는 텅(tongue)을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조합하는 복합바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복합바늘에는, 훅의 양측을 사이에 두고 갈라져서 훅을 넘어서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2장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형성하는 슬라이더도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참조).
특허문헌1,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2장의 블레이드는, 앞쪽 부분에 텅을 구비하고, 텅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서로가 이반(離反)되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는 벤딩부(bending部)가 형성되어,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홈에 수용된다. 벤딩부를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 홈에 2장의 블레이드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벤딩부의 외측면이 블레이드 홈의 측벽면에 슬라이딩 되어 폭방향으로의 확대가 제한되어, 그 반력(反力)에 의하여 텅의 전단(前端) 부근 상호간이 접근하여 접촉된다. 텅에는, 접촉부분보다 전방에서 텅 사이가 열리도록 복수의 휘어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홈 내에서 슬라이딩 시키더라도 벤딩부의 블레이드 홈의 측벽면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텅의 전단 부근 상호간의 접촉부는, 블레이드 홈의 중심선 상을 이동하여 훅의 개구단(開口端)에 접촉되면, 훅의 양측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의 벤딩부는, 텅의 접촉부분에 대하여 훅의 개구단과의 위치 어긋남 방지 또는 가로로 흔들림 방지 등의 센터링(centering)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바늘본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홈 내에 바늘본체의 훅보다 두께가 얇은 분리벽을 형성하여 블레이드 홈을 2개로 나누어서, 2장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일본국 특허 제337994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23207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32897호 공보
2장의 블레이드를 만곡시켜서 벤딩부를 형성하여 두면, 텅의 접촉부분으로의 센터링 효과에 의하여 훅의 개폐 또는 훅을 넘어서 텅을 더 전진시키는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더가 이동할 때에 슬라이딩 저항이 커지게 되어, 구동의 부하가 증대되어 버린다. 또한 벤딩부의 부분에서 블레이드가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홈에서의 측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여 강성(剛性)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또한 텅이나 벤딩부의 휘어짐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완성 형상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여 텅에 의한 훅의 개폐정밀도도 높일 수 있는 횡편기의 복합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전후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용되고, 앞쪽 부분에 훅(hook)을 구비하고, 훅보다 후방에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이 형성되는 바늘본체(needle 本體)와,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에 하부가 수용되어 훅을 개폐함과 아울러, 스티치(stitch)의 결합도 가능한 텅(tongue)을 앞쪽 부분에 구비하는 2장의 블레이드(blade)를 나란하게 한 상태로 구비하고, 텅은 훅을 넘는 것과 같은 상대이동(相對移動)도 가능한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2장의 블레이드는,
외측면이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의 양쪽 외측벽에 각각 슬라이딩 하도록 나란하고,
텅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어깨부에서 블레이드 홈 외부로 나가는 부분에, 나란하게 되어 있는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접근하여 접촉되어, 적어도 텅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접촉부(接觸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부는, 상기 어깨부의 전단측(前端側)이 상기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구부려저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2장의 블레이드는, 상기 텅의 앞쪽 부분에서 전단을 향하여 상호간의 간격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에 있어서 2장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이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의 양쪽 외측벽에 각각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홈 내에서의 블레이드의 이동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텅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어깨부에서 블레이드 홈 외부로 나가는 부분에, 나란하게 되어 있는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접근하여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홈 내에서 블레이드의 하부를 만곡시키지 않고도 텅 부근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텅 부근의 강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늘본체에 대하여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더라도 위치 어긋남이나 가로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 상호간의 접촉에 의하여 텅의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전진시켜서 훅에 의하여 텅을 나눌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텅의 뒤쪽 부분의 어깨부에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블레이드의 하부를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 내에서 만곡시킬 필요가 없어,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여 텅에 의한 훅의 개폐정밀도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각 블레이드에는,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 외부로 나가는 부분의 전단측을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구부리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2장의 블레이드는, 텅의 앞쪽 부분에서 전단을 향하여 상호간의 간격이 증대되기 때문에, 훅의 선단을 넘어서 전진할 때에 받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5) 및 2장의 블레이드(1, 2)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복합바늘(5)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블레이드(1, 2)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 있다.
이하, 도1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5) 및 2장의 블레이드(blade)(1, 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에서는, 도1의 복합바늘(5)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3에서는, 도1의 블레이드(1, 2)의 동작을 나타낸다. 블레이드(1)와 블레이드(2)는 병행(竝行)하는 중앙에 형성되는 면(面)에 대하여 대칭이며, 블레이드(2)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더라도 블레이드(1)에 대응하는 부분은 블레이드(2)에도 존재한다.
또 각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참조부호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는 것이 언급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복합바늘(5)은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표시하지만, 니들홈 자체의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다만 횡편기의 니들베드는, 니들홈의 전방이 되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향하여 높아지고,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복합바늘(5)은 수평한 자세가 되도록 도면에 나타낸다. 이 자세에서, 우측방향이 니들베드 갭측의 전방(前方), 좌측방향이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後方)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상방은 니들홈으로부터 부상(浮上)하는 방향, 하방은 니들홈 내로 침하(沈下)하는 방향으로 한다.
(실시예)
도1(a) 및 도1(b)는 복합바늘(5)로서의 주요부분의 평면구성 및 정면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는, 바늘본체(needle 本體)(3)에 2장의 블레이드(1, 2) 및 기체(基體)(4)를 결합시켜서 형성되는 슬라이더(slider)가 상대적으로 가장 후퇴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1, 2)와 기체(4)는 도면의 좌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있고, 기체(4)로의 구동에 의하여 블레이드(1, 2)를 이동시키지만, 결합부분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도1(c) 및 도1(d)는 블레이드(1, 2)의 앞쪽 부분측의 평면구성 및 블레이드(1)의 앞쪽 부분측의 정면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1, 2)는, 텅(tongue)(1a, 2a)의 휘어짐이 없고, 텅(1a, 2a)의 후방에는 만곡(彎曲)되지 않은 직선형상부(直線形狀部)(1b, 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성 형상이 안정하여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텅(1a, 2a)에서는 도1(d)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스티치(stitch)를 결합하고, 그 상방에는 어깨부(1c, 2c)가 형성된다. 어깨부(1c, 2c)의 뒤쪽 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guide部)(1d, 2d)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가 바늘본체(3)에 대하여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퇴할 때에 가이드부(1d)가 안내되는 위치에서는, 바늘본체(3)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프레서(guide部 presser)(3c)에 의하여 가이드부(1d)가 하방으로 가압된다. 블레이드(1)에 있어서 가이드부(1d)의 후방으로부터는, 결합돌기(1e)가 세워져서 형성된다. 결합돌기(1e)는, 블레이드(1)와 기체(4)의 결합상태에서 기체(4)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4a)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블레이드(1)의 하부가 바늘본체(3)의 블레이드 홈(3b) 내를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때에, 블레이드(1)의 상부가 외측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블레이드(2)에 대해서도 동일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어깨부(1c, 2c)에는, 전단측에 접촉부(接觸部)(1f, 2f)도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f, 2f)는, 선단이 접근하여 접촉되어 텅(1a, 2a)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대향(對向)하는 상호간에 내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직선형상부(1b, 2b)가 블레이드 홈(3b)의 측벽에 슬라이딩 되어, 접촉부(1f, 2f)의 선단 상호간이 텅(1a, 2a)에 가까운 위치에서 접촉되기 때문에, 텅(1a, 2a)을 접촉시키지 않더라도 센터링(center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텅(1a, 2a)의 전단 내측에, 전단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전단을 향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텅(1a, 2a)을 외측을 향하여 만곡시키면, 상호간의 간격을 전단을 향하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전단에서의 간격의 증대에 의하여 훅(3a)의 개폐정밀도(開閉精密度)를 높일 수 있다.
도1(e)는 바늘본체(3)의 앞쪽 부분의 평면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單一)의 블레이드 홈(3b)에 2장의 블레이드(1, 2)를 수용하지만, 특허문헌3과 마찬가지로 2개의 홈을 형성하여 각 블레이드(1, 2)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도 좋다. 각 블레이드 홈의 외측벽에, 각 블레이드(1, 2)의 외측면을 슬라이딩 시켜서 내측면과 내측벽의 사이에는 간격을 둘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도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여 훅(hook)(3a)의 개폐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2(a) 및 도2(b)는, 도1(a) 및 도1(b)에 나타나 있는 후퇴상태로부터 블레이드(1, 2)를 바늘본체(3)에 대하여 전진시켜서, 텅(1a, 2a)의 전단에서 훅(3a)을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횡편기에서의 스티치(stitch) 형성 시에는, 훅(3a)을 열고,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는 훅(3a)에 편사를 공급받도록 바늘본체(3)를 블레이드(1, 2)에 대하여 전진시킨다. 훅(3a)에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으면, 바늘본체(3)의 전진에 의하여 스티치는 상대적으로 후퇴되어 텅(1a, 2a)으로 이동한다. 바늘본체(3)의 후퇴에 의하여 전단이 훅(3a)을 닫은 텅(1a, 2a)에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으면, 텅(1a, 2a)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는 녹 오버(knock over) 되어 이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 2)와 바늘본체(3)가 상대이동(相對移動)할 때에 접촉부(1f, 2f)의 선단 상호간을 접촉시켜 두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 또는 가로로 흔들림이 없고, 텅(1a, 2a)의 전단에서 훅(3a)의 개구단(開口端)에 접촉되어 훅(3a)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다.
도2(c) 및 도2(d)는, 텅(1a, 2a)이 훅(3a)의 위치를 넘어서 전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텅(1a, 2a)이 형성되는 블레이드(1, 2)의 앞쪽 부분은, 훅(3a)의 양측으로 갈라져서 전진한다. 블레이드 홈(3b)에 수용되는 블레이드(1, 2)의 하부는, 만곡된 부분이 없는 직선형상부(1b, 2b)가 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홈(3b)의 측벽과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은 상태에서 전진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1, 2)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3(a)는 블레이드(1, 2)를 병행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3(b)는 블레이드(1, 2)가 훅(3a)을 닫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3(c)는, 블레이드(1, 2)가 훅(3a)을 닫아서 더 전진하여 텅(1a, 2a) 사이를 여는 것을 나타낸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 2)는 대략적으로 직선 모양으로 병행하고, 접촉부(1f, 2f)만이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선단의 상호간이 접촉되어, 전체적인 강성(剛性)을 유지하여 위치 어긋남 또는 가로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1, 2)의 외측면의 간격(W)은 블레이드 홈(3b)의 폭과 동등하게 유지되고 있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 2)를 바늘본체(3)의 블레이드 홈(3b)에 각각 수용하더라도, 직선형상부(1b, 2b)가 형성되어 만곡되지 않는다. 직선형상부(1b, 2b)의 외측면은 블레이드 홈(3b)의 측벽면과 접촉되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접촉부(1f, 2f)도 선단 상호간이 접촉되기 때문에 간격이 없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 홈(3b) 내에 수용되는 텅(1a, 2a)은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예압(豫壓)되지 않기 때문에, 전단 사이의 간격(X)을 넓게 유지할 수 있어 중심선(5a)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블레이드(1, 2)를 바늘본체(3)에 대하여 전진시키더라도 간격(X) 내에 훅(3a)의 개구단이 확실히 들어가게 되어 탈선(脫線)을 피할 수 있다.
도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1, 2)에 대하여 훅(3a)에 의한 텅(1a, 2a) 사이의 열림이 시작되는 상태에서는, 텅(1a, 2a)의 내측과 훅(3a)의 외측이 길이(L)로 접촉된다. 블레이드(1, 2)에서는, 텅(1a, 2a) 사이를 닫는 방향의 예압이 작고 접촉 길이(L)도 충분히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 2) 사이를 열 때의 저항도 커지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접촉부(1f, 2f)는 어깨부(1c, 2c)의 전단측을 구부려서 형성하고 있지만, 타출(打出) 등 다른 방법으로 접촉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1, 2 : 블레이드
1a, 2a : 텅
1b, 2b : 직선형상부
1f, 2f : 접촉부
3 : 바늘본체
3a : 훅
3b : 블레이드 홈
5 : 복합바늘

Claims (3)

  1.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형성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에, 전후로 슬라이딩(sliding)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용되고, 앞쪽 부분에 훅(hook)을 구비하고, 훅보다 후방에 블레이드 홈(blade groove)이 형성되는 바늘본체(needle 本體)와,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에 하부가 수용되어 훅을 개폐함과 아울러, 스티치(stitch)의 결합도 가능한 텅(tongue)을 앞쪽 부분에 구비하는 2장의 블레이드(blade)를 나란하게 한 상태로 구비하고, 텅은 훅을 넘는 것과 같은 상대이동(相對移動)도 가능한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2장의 블레이드는,
    외측면이 바늘본체의 블레이드 홈의 양쪽 외측벽에 각각 슬라이딩 하도록 나란하고,
    텅의 뒤쪽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어깨부에서 블레이드 홈 외부로 나가는 부분에, 나란하게 되어 있는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접근하여 접촉되어, 적어도 텅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접촉부(接觸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부는, 상기 어깨부의 전단측(前端側)이 상기 상대측의 블레이드를 향하여 구부려저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2장의 블레이드는, 상기 텅의 앞쪽 부분에서 전단을 향하여 상호간의 간격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복합바늘.
KR1020110055435A 2010-06-18 2011-06-09 횡편기의 복합바늘 KR101516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9816A JP5525344B2 (ja) 2010-06-18 2010-06-18 横編機の複合針
JPJP-P-2010-139816 201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157A KR20110138157A (ko) 2011-12-26
KR101516156B1 true KR101516156B1 (ko) 2015-04-30

Family

ID=4465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435A KR101516156B1 (ko) 2010-06-18 2011-06-09 횡편기의 복합바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97589B1 (ko)
JP (1) JP5525344B2 (ko)
KR (1) KR101516156B1 (ko)
CN (1) CN102286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223A (zh) * 2013-07-04 2013-10-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编机的织针
CN104928841A (zh) * 2015-07-07 2015-09-2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针
CN109629099B (zh) * 2019-02-22 2024-03-01 泉州领布机械科技有限公司 新型毛绒多功能一体机
CN109750413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机的复合针
CN109706615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中的复合针
CN110438655B (zh) * 2019-08-13 2024-04-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的复合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057A (ja) * 1997-05-27 1998-12-08 Atelier Constr Steiger Sa 編機用スライダタイプの編針
WO2001031101A1 (fr) * 1999-10-27 2001-05-03 Shima Seiki Mfg., Ltd. Mecanisme de guidage d'un element de tricotage et aiguille composee incorporant ce mecanisme de guidage
JP2003055869A (ja) * 2001-06-23 2003-02-26 Groz Beckert Kg 特に編目形成繊維機械用のスライドニードル
WO2004057081A1 (ja) * 2002-12-20 2004-07-08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複合針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160A (ja) * 1989-10-03 1991-05-21 Shima Seiki Seisakusho:Kk 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
DE4100931A1 (de) * 1991-01-15 1992-07-16 Groz & Soehne Theodor Schiebernadel, insbesondere fuer strickmaschinen
DE4430705A1 (de) * 1994-08-30 1996-03-07 Scheller Gmbh Strickmaschine
US5937673A (en) * 1997-05-01 1999-08-1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ompound needle of a flat knitting machine
DE19913822C2 (de) * 1999-03-26 2001-02-22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geteiltem Schieber
US6422045B1 (en) 1999-04-15 2002-07-23 Shima Seiki Mfg., Ltd. Compound needle of knitting machine
TW528822B (en) * 1999-10-27 2003-04-21 Shima Seiki Mfg Compound needle
JP4348286B2 (ja) * 2004-12-09 2009-10-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101278086B (zh) * 2005-09-28 2010-12-0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可动导纱器的横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057A (ja) * 1997-05-27 1998-12-08 Atelier Constr Steiger Sa 編機用スライダタイプの編針
WO2001031101A1 (fr) * 1999-10-27 2001-05-03 Shima Seiki Mfg., Ltd. Mecanisme de guidage d'un element de tricotage et aiguille composee incorporant ce mecanisme de guidage
JP2003055869A (ja) * 2001-06-23 2003-02-26 Groz Beckert Kg 特に編目形成繊維機械用のスライドニードル
WO2004057081A1 (ja) * 2002-12-20 2004-07-08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複合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25344B2 (ja) 2014-06-18
EP2397589A2 (en) 2011-12-21
EP2397589B1 (en) 2015-10-21
CN102286842B (zh) 2015-01-28
CN102286842A (zh) 2011-12-21
EP2397589A3 (en) 2012-11-14
JP2012001858A (ja) 2012-01-05
KR20110138157A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156B1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KR101537938B1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US8646396B2 (en) Tufting machine for creating a cut pile carpet with two different pile heights
KR101061821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EP24233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JP4348286B2 (ja) 横編機
EP1574610B1 (en) Compound needle
KR101414026B1 (ko) 횡편기의 복합바늘
US6510713B1 (en) Compound needle
EP1640489B1 (en) Compound needle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JP5632277B2 (ja) 横編機の複合針
EP3719191B1 (en) Flat knitting machine
EP2415917A1 (en) Compound needle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CN110785099B (zh) 拉链
JP5637698B2 (ja) 横編機の編糸保持装置
EP3425097A2 (en) Compound needle
JP5766430B2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05048338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WO2010010681A1 (ja) 編針駆動用カムおよび横編機
JP2013060690A (ja) 編成部材のかしめ構造
JP2015025229A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14065987A (ja) 横編機の複合針
JP2012132126A (ja) 横編機の複合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