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822A - 전기 커넥터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822A
KR20110137822A KR1020117025762A KR20117025762A KR20110137822A KR 20110137822 A KR20110137822 A KR 20110137822A KR 1020117025762 A KR1020117025762 A KR 1020117025762A KR 20117025762 A KR20117025762 A KR 20117025762A KR 20110137822 A KR20110137822 A KR 2011013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unting block
pair
assembly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230B1 (ko
Inventor
비카스 아자드
영 타우르 에우
핑 첸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3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2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ferrule type en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01R13/6584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formed by conductive elastomeric members, e.g. flat gaskets or 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차폐 커버(26), 단자부(28), 및 체결 구조체(29)를 포함한다. 차폐 커버(26)는 캐비티(30) 및 캐비티 내 개구를 형성하고 베이스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 홀(26d)을 갖는 베이스 패널(26a)을 갖는다. 단자부(28)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을 갖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a)을 갖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 제1 단자 어셈블리(38) 및 제2 단자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4, 36)은 적층된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고 캐비티(30)에 배치된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a), 및 베이스 패널 홀(26d)이 서로 정합함에 따라서, 체결 구조체(29)는 이를 통해서 베이스 패널(26a)로부터 연장되고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콘센트{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 콘센트 중 하나는 Lin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618,2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카트리지 퓨즈이다. 이 카트리지 퓨즈 박스는 저부 쉘(bottom shell), 커버 쉘(cover shell), 홀더 프레임(holder frame), 다수의 단자 블록들, 퓨즈 커넥터, 다수의 카트리지 퓨즈들, 및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한다. 저부 쉘은 커버 셀로 커버되고 홀더 프레임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 블록들은 홀더 프레임 상의 각 수평 홀들에 장착되어 각 체결장치(fastner)에 의해 각 도체를 유지시키고, 각 나사에 의해 각 금속 소켓을 유지시켜, 도체를 금속 소켓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퓨즈 커넥터는 홀더 프레임과 이격된 저부 쉘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각 나사에 의해 다수의 금속 소켓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다수의 카트리지 퓨즈들은 퓨즈 커넥터의 금속 소켓과 단자 블록의 금속 소켓 사이에 연결된다. 다수의 클램프 각각은 홀더 프레임에 장착되어 단자 블록의 도체를 유지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여러 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저전압 장치들에 사용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대형이고 때때로 많은 구성 부품들을 포함한다. 많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차폐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지 못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외부 차폐재(outer shield)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연결되는 배선의 와이어 차폐재(wire shield) 사이는 접지되어 있지 않다.
고전압 장치들뿐만 아니라 저전압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소형이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 부품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폐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외부 차폐재와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연결되는 배선의 와이어 차폐재 사이를 접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들 장점들 및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 장치들뿐만 아니라 저전압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소형이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 부품들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은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폐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외부 차폐재와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연결되는 배선의 와이어 차폐재 사이를 접지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가 이하에 설명된다.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차폐 커버, 단자부 및 체결 구조체를 포함한다. 차폐 커버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 패널, 베이스 패널에 연결되고 베이스 패널에 매달린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들, 및 베이스 패널에 연결되고 베이스 패널에 매달려있고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에 연결되어 차폐 커버 내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대향 측벽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은 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베이스 패널 홀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및 제2 대향 측벽들은 모두 연결되어 캐비티 내로 개구를 형성하는 주변 측벽 에지부를 제공한다.
단자부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제1 단자 어셈블리, 및 제2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에는 자신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이 형성되고,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에는 자신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들은 적층된 방식으로 모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단자 어셈블리 및 제2 단자 어셈블리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에 장착된다. 또한, 체결 구조체는 체결 헤드 및 신장축(elongated shaft)을 갖는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이 서로 정합되면, 적층되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들은 캐비티에 배치되고,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 및 베이스 패널 홀이 서로 정합되면, 체결 구조체는 차폐 커버 및 단자부와 연동되어, 신장축이 베이스 패널 홀,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개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면에, 체결 헤드는 차폐 커버 외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패널과 마주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그외 다른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고전압 장치들뿐만 아니라 저전압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상대적으로 소형이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 부품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콘센트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외부 차폐재와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연결되는 배선의 와이어 차폐재 사이를 접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원의 블레이드 단자(blade terminal) 위에 배치되고 단지 예시를 위하여 회로 와이어의 조립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일 실시예의 하향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상향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원의 블레이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회로 와이어의 조립체에 연결되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하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차폐 커버, 체결 구조체, 및 차폐 커버 O-링을 도시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차폐 커버로부터 분리된 회로 와이어 및 차폐 커버로부터 분해된 접지 어셈블리(grounding assembly)의 조립체와 더불어, 차폐 커버 및 차폐 커버에 연결된 체결 구조체를 도시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차폐 커버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 회로 와이어 및 차폐 커버로부터 분해된 접지 어셈블리의 조립체와 더불어, 차폐 커버 및 차폐 커버에 연결된 체결 구조체를 도시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단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단자부 및 차폐 커버로부터 분해된 접지 어셈블리와 더불어 차폐 커버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배치된 퓨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상향 사시도이다.
도 13은 단자부 및 차폐 커버로부터 분해된 접지 어셈블리와 더불어 차폐 커버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배치된 퓨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확대 상향 사시도이다.
도 14는 단자부, 퓨즈 어셈블리, 및 한 쌍의 퓨즈를 지닌 차폐 커버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배치된 접지 어셈블리 및 차폐 커버로부터 분해된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상향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상향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전원의 블레이드 단자 위에 배치되고 단지 예시를 위하여 회로 와이어의 조립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하향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상향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단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 공통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들 및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공통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현되고 이들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판독 및 이해하는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와 같은 비기술적인 용어들이 아니라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이들 기술 용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기술적인 용어들을 단지 간략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선택된 용어로 손쉽게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1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배선 어셈블리(12), 및 한 쌍의 전기적-핫 단자(16)(electrically-hot terminal)가 장착되고 배터리와 같은 전원(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면(14)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장벽(20)은 한 쌍의 전기적-핫 단자(16) 뿐만 아니라 체결 홀(22) 및 키 구조체(24)를 둘러싼다.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전기적-핫 단자(16) 및 키 구조체(24)를 수용함으로써 전원(18)에 연결되도록 조정되고, 도 3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장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그 후,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체결 홀(22)을 통해서 지지면(1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차폐 커버(26), 단자부(28), 및 체결 구조체(29)를 포함한다. 차폐 커버(26)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 패널(26a), 베이스 패널(26a)에 연결되어 베이스 패널(26a)로부터 매달린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26b), 및 베이스 패널(26a)에 연결되어 베이스 패널(26a)로부터 매달려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26b)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대향 측벽(26c)을 포함하여, 차폐 커버(26) 내에 형성된 캐비티(30)를 한정한다. 베이스 패널(26a)은 도 7 및 도 8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패널(26a)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 홀(26d)을 갖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한 쌍의 제1 측벽(26b) 및 한 쌍의 제2 측벽(26c)이 함께 연결되어 주변 측벽 에지부(26e)를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주변 측벽 에지부(26e)는 캐비티(30) 내로의 개구(32)를 형성한다.
도 7 및 도 11에서, 단자부(28)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 제1 단자 어셈블리(38), 및 제2 단자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에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이 형성된다.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에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a)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4, 36) 각각은 적층 방식으로 모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단자 어셈블리(38) 및 제2 단자 어셈블리(40)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에 장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구조체(29)는 체결 헤드(42) 및 신장축(44)을 갖는 볼트이다.
도 7 및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a)은 서로 정합되어, 적층,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들(34 및 36)은 캐비티(30)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a) 및 베이스 패널 홀(26a)이 서로 정합됨에 따라서, 체결 구조체(29)는 차폐 커버(26) 및 단자부(28)와 연동되어, 체결 헤드(42)가 차폐 커버(26) 외부에 배치되고 신장축이 베이스 패널 홀(26d),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34a)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36)을 통과하여 연장되면서 베이스 패널(26a)과 대향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축(44)은 개구(3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도 7 및 도 9 내지 도 14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또한 접지 어셈블리(46)를 포함한다. 접지 어셈블리(46)는 캐비티(30) 내에 수용되고 탈착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크기가 설정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어셈블리(46)가 캐비티(30)에 수용되고 탈착가능하게 유지될 때, 접지 어셈블리(46)는 개구(3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탄성적으로 편향된 접지 소자(48)를 갖는다. 접지 어셈블리(46)는 접지 바 부재(50), 요크 부재(yoke member)(52), 및 한 쌍의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1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접지 바 부재(50)는 당업계에 공지된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요크 부재(52)는 당업계에 공지된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시트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시트 재료로 제조된다. 한 쌍의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54)는 통상적인 볼트이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접지 바 부재(50)는 이를 통해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50a)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 부재(52)는 한 쌍의 레그부(52a) 및 한 쌍의 레그부(52a)를 상호연결하는 접촉부(52b)를 갖는다. 각 레그부(52a)는 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레그부 홀(52c)을 갖는다. 게다가, 접촉부(52b)는 한 쌍의 외측 돌출 U-형성부(52b1) 및 내측 돌출 U-형상부(52b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외측 돌출 U-형상부(52b1)는 내측 돌출 U-형상부(52b2)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한 쌍의 레그부(52a) 각각은 외측 돌출 U-형상부(52b1) 각각에 연결되어 일반적으로 오메가 형상의 배열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또한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을 포함한다.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은 캐비티(30)에 배치되고 차폐 커버(26)의 베이스 패널(26a)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9에서,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은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나사산(threaded)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56a)을 갖는다. 특히,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접지 어셈블리(46) 및 차폐 커버(26)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54) 각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50a), 한 쌍의 나사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들(56a) 및 레그부 홀(52c)이 서로 정합되는 방식으로,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 및 접지 바 부재(50)는 서로 결합된다.
도 11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은 한 쌍의 아일렛(eyelet)(58)을 포함한다. 한 쌍의 아일렛(58)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3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어셈블리(46),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차폐 커버(26)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아일렛(58) 각각은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50a) 각각과 정합되고, 한 쌍의 나사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56a) 및 레그부 홀(52c)은 서로 정합된다. 한 쌍의 아일렛(58)은 접지 바 부재(50)와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 사이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어셈블리(46) 및 차폐 커버(26)가 서로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때, 외측 돌출 U-형상부(50b1a)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도 2, 4, 및 5)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반면, 내측 돌출 U-형상부(50b2)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부(52a)는 캐비티(30)의 안쪽으로 배치된다(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콘센트(10)는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60)를 포함한다.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60)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캐비티(30) 내에서 차폐 커버(26)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외측 돌출 U-형상부(50b1)의 일부(50b1a)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60)는 이를 통해서 형성된 한 쌍의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 홀(60a)을 가진다. 이와 동시에,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60)는 내측 돌출 U-형상부(52b2) 및 한 쌍의 레그부(52c)를 커버한다.
단지 예로 도시되어 제한되지 않지만,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5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측벽(26b) 또는 한 쌍의 제2 측벽(26c) 중 선택된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 도 4, 도 6, 및 도 7에서, 차폐 커버(26)는 차폐 커버 도관(62)을 포함한다. 차폐 커버 도관(62)은 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차폐 커버 통로(62a)(도 1)를 형성한다. 차폐 커버 도관(62)은 한 쌍의 제1 측벽들(26b) 및 한 쌍의 제2 측벽들(26c) 중 선택된 측벽에 일체로 연결된다. 차폐 커버 통로(62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0)와 연통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9, 도 10, 및 도 12에서, 접지 바 부재(50)는 평활면(50b) 및 반대의 부채꼴면(50c)을 갖는다.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50a)은 평활면(50b) 및 부채꼴면(50c)을 관통해서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7 및 도 11에서, 제1 단자 어셈블리(38)는 제1 단자 부재(38a) 및 제1 단자 부재(38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 부재 커넥터 연장부(38b)를 포함한다. 또한, 퓨즈 어셈블리(6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0) 내에 배치된다. 퓨즈 어셈블리(64)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에 연결되고 한 쌍의 퓨즈(66), 두 쌍의 퓨즈 홀더(68a, 68b) 및 퓨즈 클립 버스 바(7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11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퓨즈 홀더(68)는 라이브측(live-side) 퓨즈 클립(68a) 및 데드측(dead-side) 퓨즈 클립(68b)을 갖는다. 각 퓨즈 홀더(68)에 대해서, 라이브측 퓨즈 클립(68a) 및 데드측 퓨즈 클립(68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퓨즈(66)의 대향하는 전기 전도성 퓨즈 단부(66a)를 수용하도록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퓨즈 클립 버스 바(70)는 라이브측 퓨즈 클립(68a) 및 제1 단자 부재 커넥터 연장부(38b)를 전기적으로 상호접속시킨다.
도 7 및 도 11에서,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 및 반대의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s)을 갖는다.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은 그 내에 형성된 퓨즈 어셈블리 리세스(34f)를 갖는다. 퓨즈 어셈블리 리세스(34f)는 그 내에 한 쌍의 퓨즈 홀더(68)를 정합 가능하게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제2 단자 어셈블리(40)는 제2 단자 부재(40a), 제2 단자 부재(4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부재 커넥터, 및 제2 단자 부재 커넥터 연장부(4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40c)를 포함한다.
또한,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과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을 관통해서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단자 부재 통로(34p)를 갖는다.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은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에 형성되는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리세스(34r)를 갖는다.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리세스(34r)는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40c)를 그 내에서 정합 가능하게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단자 부재 통로(34p)는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으로부터 제2 단자 부재(40a)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단지 예로 도시되어 제한되지 않지만, 제1 및 제2 단자 부재(38a, 40a) 각각은 암 블레이드(female-blade) 수용 개구(38ao, 40ao) 각각을 갖는 암 블레이드-수용 단자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36u) 및 반대의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을 갖는다.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단자 슬롯(36s)을 포함하고,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36l) 사이로 연장된다. 암 블레이드 수용 개구(38ao 및 40ao) 각각은 한 쌍의 단자 슬롯(36s) 각각과 정합하여 연통한다.
도 11에서,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제1 키 홀(36fky) 및 제2 키 홀(36skh)을 갖는다. 제2 키홀(36skh)은 제1 키홀(36fkh)과 상이하게 구성된다. 제1 및 제2 키홀(36fkh, 36sky) 각각은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36l) 사이로 연장된다. 또한,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36l) 사이로 연장되는 제3 키홀(36tkh)을 갖는다. 제3 키홀(36tkh)은 제1 키홀(36fkh) 및 제2 키홀(36skh)과 상이하게 구성된다. 제3 키홀(36tkh)은 한 쌍의 단자 슬롯(36s)과 제3 키홀(36tkh)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단자 슬롯(36s)은 제1 키홀(36fkh)과 제2 키홀(36skh)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1에서,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은 제4 키홀(34rkh) 및 제4 키홀(34rkh)과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5 키홀(34fkh)을 갖는다. 제4 키홀(34rkh) 및 제5 키홀(34fkh)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과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 사이로 연장된다. 제4 키홀(34rkh)은 제1 키홀(36fkh)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와 정합하여 정렬되고, 제5 키홀(34fkh)은 제2 키홀(36skh)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와 정합하여 정렬된다. 또한,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과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34l) 사이로 연장되는 제6 키홀(34skh)을 갖는다. 제6 키홀(34skh)은 제4 키홀(34rkh) 및 제5 키홀(34fkh)과 상이하게 구성된다. 제6 키홀(34skh)은 제4 키홀(34rkh)과 제5 키홀(34fkh) 사이에 배치된다. 제6 키홀(34skh)은 제3 키홀(36tkh)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와 정합하여 정렬된다.
단지 예로 도시되어 제한되지 않지만,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한 쌍의 래치 소자(72)를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또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이 한 쌍의 래치 소자(72)를 포함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또한, 단지 예로 도시되어 제한되지 않지만,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은 한 쌍의 래치 소자(72)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조절되고 조정되는 한 쌍의 래치 수용홀(74)(각 쌍의 단지 하나 만이 도 11에 도시된다)을 포함한다. 그러나,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래치 소자들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조절되고 조정되는 한 쌍의 래치 수용홀(74)을 포함하여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 모두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4)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6)이 함께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때,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 및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36l)은 서로 면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적응성으로 인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34u) 및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36u)은 캐비티(30) 내에 배치되고 개구(32)와 마주본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커버(26)의 주변 측벽 에지부(26e)는 차폐 커버(26)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 측벽(26e1) 및 내주 측벽(26e1)에 연결되고 이와 이격되어 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주 측벽(26e2) 포함하여, 이들 간에 차폐 커버 O-링 수용 채널(26o)을 형성한다. 전기 커넥터 콘센트(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예로서, 외주 측벽(26e2)은 적어도 한 쌍의 제2 측벽(26c) 및 한 쌍의 제1 측벽들(26b) 중 하나를 따라서 연장된다. 그러나, 외주 측벽(26e2)은 한 쌍의 제1 측벽(26b) 중 나머지 한 측벽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특히, 도 8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측벽(26e2)은 근본적으로 대향하는 코너 주위로 연장되고 한 쌍의 제1 측벽(26b) 중 나머지 한 측벽을 따라서만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차폐 커버 O-링(76)은 O-링 수용 채널(26o)에 의해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조절되고 조정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체결 구조체(29)는 패스너 O-링(78) 및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fastener retainer clip)(80)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체결 구조체(29)가 하나 이상의 패스너 O-링(78)을 포함할 수 있다 라는 것을 인지한다. 신장축은 그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82)을 갖는다. 패스너 O-링(78)은 홈(82)에 배치되고 체결 헤드(42)에 인접한 신장축(44)을 둘러싼다.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80)은 패스너 O-링(78)에 인접한 신장축(44)에 연결된다. 특히, 체결 구조체(29)가 차폐 부재(26) 및 단자부(28)와 연동될 때, 패스너 O-링(78)은 체결 헤드(42)와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80) 사이에 배치된다. 패스너 O-링(78)은 차폐 커버(26)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80)은 차폐 커버(26)와 단자부(28) 사이의 캐비티(30)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21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콘센트(210)는 이하에 설명된 차이점을 제외하면 상술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10)와 유사하다.
도 16에서, 퓨즈 어셈블리(264)는, 제1 단자부 장착부 블록(234)에 연결되고, 한 쌍의 퓨즈(66), 한 쌍의 퓨즈 홀더(68) 및 퓨즈 클립 버스 바(70)를 포함한다. 각 데드측 퓨즈 클립(68b)은 데드측 퓨즈 클립(68b)으로부터 연장되는 퓨즈 클립 단자(84)를 갖는다. 제1 단자부 장착 블록(234)은 제1 단자 상부 장착면(234u) 및 반대의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234l)을 갖는다.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234u)은 그 내에 형성된 단자 수용 캐비티(234c)를 갖는다. 한 쌍의 단자 슬롯(86)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234u)과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234l) 사이에 배치되고 단자 수용 캐비티(234c)와 연통된다. 퓨즈 어셈블리 리세스(34f)는 그 내에 한 쌍의 퓨즈 홀더(68)를 정합가능하게 수용하고 유지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제2 단자 어셈블리(40)는 제2 단자 부재(40a) 및 제2 단자 부재(4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 클립 단자(84)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신장된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240a)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240a) 각각은 한 쌍의 단자 슬롯(86) 각각에 수용된다. 말단의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단부(240al)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 장착 블록(234)으로부터 돌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16에서, 제2 단자부 장착 블록(236)은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236u), 반대의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236l), 및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2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236l)을 통하여 이들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단자 수용 통로(236p)를 갖는다. 제2 단자부 장착 불록(236)은 또한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2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236l)을 통해서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퓨즈 수용 통로(236f)를 갖는다. 퓨즈 수용 통로(236f)는 한 쌍의 퓨즈 홀더(68)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제2 단자부 장착 블록(236)은 제2 단자부 상부 장착면(236u)과 제2 단자부 하부 장착면(236l)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퓨즈 클립 단자 수용 홀(88)을 갖는다. 한 쌍의 퓨즈 클립 단자 수용 홀(88)은 퓨즈 수용 통로(236f)와 연통된다. 게다가, 한 쌍의 퓨즈 클립 단자 수용홀(88) 각각은 퓨즈 클립 단자(84) 각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져, 퓨즈 클립 단자(84)가 도 17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부 장착 블록(236)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차폐 커버(26)는 한 쌍의 차폐 커버 도관(26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차폐 커버 도관(262) 각각은 이를 통해서 연장되는 차폐 커버 통로(262a)를 형성한다. 한 쌍의 차폐 커버 도관(262)은 제1 쌍의 측벽들(26b) 중 하나와 일체로 연결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한 쌍의 제1 측벽들(26b) 및 한 쌍의 제2 측벽들(26c) 중 어떤 선택된 측벽도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한 쌍의 차폐 커버 통로(262a)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0)와 연통되고, 하나의 퓨즈 클립 단자(84) 및 도 15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말단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단부(240a1)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31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콘센트(310)는 상술된 전기 커넥터 콘센트(10)와 유사하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돌출 U-형상부(50b1)의 일부(50b1a)를 개구(3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360)는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360)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 홀(360a)을 가진다.
도 20 및 도 21에서, 단자부(328)는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34),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6), 제1 단자 어셈블리(338) 및 제2 단자 어셈블리(340)를 포함한다. 단지 예로 도시되어 제한되지 않지만,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4, 336) 각각은 모두 초음파 용접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어셈블리(364)가 제1 단자부 장착 블록(334)과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6) 사이에 배치되고, 퓨즈(66), 두 쌍의 퓨즈 홀더(68a, 68b), 및 퓨즈 클립 버스 바(70)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들(334, 336)이 함께 초음파로 용접될 때, 퓨즈 어셈블리(364)가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4, 336)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4, 336) 내에 자리잡고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4, 336) 사이에 연결된다는 것을 인지한다. 도 20 및 21에서, 제2 단자부 장착 블록(336)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조립된 단자부(328)가 차폐 커버(26)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래치 소자(336a)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으로 이하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이 개시 내용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철저하고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10 전기 커넥터 콘센트 26 차폐 커버
26a 베이스 패널 26b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
26c 한 쌍의 제2 대향 측벽 26d 베이스 패널 홀
26e 주변 측벽 에지부 28 단자부
29 체결 구조체 30 캐비티
32 개구 34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34a 단자부 장착 블록 홀 36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36a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 38 제1 단자 어셈블리
40 제2 단자 어셈블리 42 체결 헤드
44 신장축

Claims (16)

  1. 전기 커넥터 콘센트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차폐 커버로서, 상기 차폐 커버 내로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 커버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매달린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 및 상기 베이스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매달리며, 상기 한 쌍의 제1 대향 측벽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대향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된 베이스 패널 홀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대향 측벽이 함께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 내로의 개구를 형성하는 주변 측벽 에지부를 제공하는, 상기 차폐 커버;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제1 단자 어셈블리, 및 제2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단자부로서,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에는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은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은 적층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단자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상기 단자부; 및
    체결 헤드 및 신장축을 구비한 체결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은 서로 정합되고, 적층되어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은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상기 제2 유닛 장착 블록 홀, 및 상기 베이스 패널 홀은 서로 정합되고, 상기 체결 구조체는 상기 차폐 커버 및 상기 단자부와 연동되며, 상기 신장축이 상기 베이스 패널 홀,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홀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홀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개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면에, 상기 체결 헤드는 상기 차폐 커버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과 마주보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고 탈착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 접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 내에 수용되어 탈착 가능하게 유지될 때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 부재는 전기 전도성 시트 재료로 제조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어셈블리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접지 바 부재 및 한 쌍의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바 부재는 상기 접지 바 부재를 관통해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을 구비하고, 상기 요크 부재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부를 상호연결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레그부 각각에는 레그부 홀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내측 돌출 U-형상부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한 쌍의 외측 돌출된 U-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부 각각은 상기 외부 돌출 U-형상부 각각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에 일체로 연결되는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나사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어셈블리 및 상기 차폐 커버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 상기 한 쌍의 나사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 및 상기 레그부 홀 각각이 서로 정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및 상기 접지 바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아일렛(eyelet)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어셈블리,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차폐 커버를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접지 어셈블리 체결장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아일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접지 바 부재 홀 각각과 정합되고, 상기 한 쌍의 나사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홀 및 상기 레그부 홀은 서로 정합되고, 상기 한 쌍의 아일렛은 상기 접지 바 부재 및 상기 접지 어셈블리 장착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지 어셈블리 및 상기 차폐 커버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외측 돌출 U-형상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상기 내측 돌출 U-형상부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의 상기 차폐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접지 어셈블리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돌출 U-형상부 및 상기 한 쌍의 레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외측 돌출 U-형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에는 한 쌍의 접지 어셈블리 패널 커버 홀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자 부재 및 상기 제1 단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 부재 커넥터 연장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래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중 적어도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래치 소자 각각을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로 조절되고 조정되는 한 쌍의 래치 수용 홀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 측벽 에지부는, 상기 차폐 커버를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 측벽, 및 상기 내주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내주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주 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내주 측벽과 상기 외주 측벽 사이에 차폐 커버 O-링 수용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 측벽은 한 쌍의 제1 측벽 및 한 쌍의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O-링 및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fastener retainer clip)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O-링은 상기 체결 헤드에 인접한 상기 신장축을 둘러싸고, 상기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O-링에 인접한 상기 신장축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O-링은 상기 체결 헤드와 상기 패스너 클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구조체가 상기 차폐 커버 및 상기 단자부와 연동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 O-링은 상기 차폐 커버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패스너 리테이너 클립은 상기 차폐 커버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퓨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퓨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에 연결되고, 한 쌍의 퓨즈, 한 쌍의 퓨즈 홀더, 및 퓨즈 클립 버스 바를 포함하며, 각 퓨즈 홀더는 하나의 퓨즈의 대향하는 전기 전도성 퓨즈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라이브측(live-side) 퓨즈 클립 및 데드측(dead-side) 퓨즈 클립을 가지며, 상기 퓨즈 클립 버스 바는 상기 라이브측 퓨즈 클립 및 상기 제1 단자 부재 커넥터 연장부를 전기적으로 상호연결시키며, 각각의 데드측 퓨즈 클립은 데드측 퓨즈 클립에서 연장되는 퓨즈 클립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은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 및 반대의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은 단자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한 쌍의 단자 슬롯이 상기 제1 단자부 상부 장착면과 상기 제1 단자부 하부 장착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 캐비티와 연통되며, 퓨즈 어셈블리 리세스는 상기 한 쌍의 퓨즈 홀더를 정합 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2 단자 어셈블리는 제2 단자 부재 및 상기 제2 단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 클립 단자들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긴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단자 슬롯 각각에 수용되고, 말단 제2 단자 어셈블리 버스 바 단부는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은 상기 단자부를 상기 차폐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동작되는 복수의 래치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용접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 및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 장착 블록과 상기 제2 단자부 장착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콘센트.
KR1020117025762A 2009-04-30 2010-04-28 전기 커넥터 콘센트 KR101204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33,393 US8052481B2 (en) 2009-04-30 2009-04-30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12/433,393 2009-04-30
PCT/US2010/032776 WO2010127010A1 (en) 2009-04-30 2010-04-28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822A true KR20110137822A (ko) 2011-12-23
KR101204230B1 KR101204230B1 (ko) 2012-11-27

Family

ID=4266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62A KR101204230B1 (ko) 2009-04-30 2010-04-28 전기 커넥터 콘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52481B2 (ko)
EP (1) EP2425495A1 (ko)
JP (1) JP4995358B1 (ko)
KR (1) KR101204230B1 (ko)
CN (1) CN102414931B (ko)
WO (1) WO201012701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072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170035070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170035071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가거치 구조를 갖는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170064224A (ko) * 2015-12-01 2017-06-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US10218130B1 (en) 2017-08-22 2019-02-26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US10511129B1 (en) 2018-08-28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679B1 (en) * 2008-10-07 2011-05-17 Arlington Industries, Inc. Grounding terminal block assembly including conduit adapter for multiple services
US8851934B2 (en) * 2012-03-20 2014-10-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module housing
US8608519B1 (en) * 2012-05-24 2013-12-1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Quick lock conductor receiver
US8690595B2 (en) 2012-06-25 2014-04-0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quid connector with coupling feature
DE102012013948A1 (de) * 2012-07-13 2014-01-16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WO2016025596A1 (en) * 2014-08-12 2016-02-18 Lenox Laser, Inc. Sup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rapid assembly of components and infrastructur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power and other instrumentalities
KR101869694B1 (ko) * 2016-07-14 2018-07-19 아톰 테크놀로지 인크. 복수의 도전성 슬롯 공용 열파괴 고정부재의 어셈블리 및 방법
US10770813B2 (en) * 2017-07-26 2020-09-08 Brewer Science, Inc. Environmentally sealed, reusable connector for printed flexible electronics
US11101606B2 (en) * 2017-08-02 2021-08-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harging inlet
DE112018003970T5 (de) * 2017-08-02 2020-04-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adestecker
US10283917B1 (en) * 2017-10-23 2019-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US20190123522A1 (en) * 2017-10-23 2019-04-2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US11258198B1 (en) * 2018-07-06 2022-02-22 New Concepts Development Corporation Peripheral cord lock
US10923863B2 (en) 2018-12-04 2021-02-16 J.S.T. Corporation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KR102634405B1 (ko) * 2018-12-10 202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통합형 정션 커넥터 조립체
US10720286B1 (en) * 2019-01-07 2020-07-2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i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disconnect switch assembly having a reversible fuse support block
US10923860B2 (en) 2019-02-25 2021-02-16 J.S.T. Corporation Method for shielding and grounding a connector assembly fro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using conductive seal and conductive housing
US10923847B2 (en) 2019-02-25 2021-02-16 J.S.T. Corporation Ma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for a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US10804655B2 (en) 2019-02-28 2020-10-13 J.S.T. Corporation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for a connector assembly using a conductive seal
US10916897B1 (en) * 2020-02-13 2021-02-09 Aees Inc. Battery mounted fus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127A (en) * 1990-04-20 1991-12-17 Amp Incorporated Strain relief assembly for flat cable connector
FR2685826B1 (fr) 1991-12-31 1994-02-11 Labinal Precision Mecanique Connecteur electrique.
GB9401647D0 (en) * 1994-01-28 1994-03-23 Amp Gmbh Fuse box connector assembly
US5618209A (en) * 1995-10-10 1997-04-08 Lin; Kuang T. Fuse box
JPH09147734A (ja) * 1995-11-27 1997-06-06 Yazaki Corp ヒューズボックス
DE19729800A1 (de) 1997-07-11 1999-02-04 Schaltbau Ag Stecker oder Dose für Steckverbinder
US6290512B1 (en) * 1999-08-24 2001-09-18 Hayco, Inc. Premold with covered crimp
JP2001314015A (ja) * 2000-04-27 2001-11-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仮止め構造付きの電気接続箱
US6652321B2 (en) * 2002-01-18 2003-11-25 Tzu-Chen Liu Waterproof safety plug
TW576574U (en) * 2003-02-21 2004-02-11 Wen-Tzung Jeng Power line distributor having fuse
US7568950B2 (en) * 2006-05-17 2009-08-04 Bel Fuse Ltd. High speed modular jack including multiple contact block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DE102006048318B4 (de) 2006-10-05 2009-12-10 Danfoss A/S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7654831B1 (en) * 2008-07-18 2010-02-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cross-talk
US7632148B1 (en) * 2009-02-18 2009-12-15 J.S.T. Corporatio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072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170035070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170035071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가거치 구조를 갖는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230042241A (ko) * 2015-09-22 2023-03-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170064224A (ko) * 2015-12-01 2017-06-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US10218130B1 (en) 2017-08-22 2019-02-26 Hyundai Motor Company High voltage connector
US10511129B1 (en) 2018-08-28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Power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230B1 (ko) 2012-11-27
JP2012525686A (ja) 2012-10-22
US20100279555A1 (en) 2010-11-04
CN102414931B (zh) 2014-09-03
US8052481B2 (en) 2011-11-08
JP4995358B1 (ja) 2012-08-08
EP2425495A1 (en) 2012-03-07
CN102414931A (zh) 2012-04-11
WO2010127010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30B1 (ko) 전기 커넥터 콘센트
US8105094B2 (en) Receptacle with antenna
US6227913B1 (en) Fuse bus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US10040412B2 (en) Utility vehicle power distribution module
EP0551768A1 (en) Circuit wiring device
FI120925B (fi) Pistorasia
CN1211348A (zh) 屏蔽式接线盒
CN103563040B (zh) 熔断体安装结构和电接线盒
JP2001176597A (ja) 交換可能なフェル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ー
US7804026B2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US9941604B2 (en) Electric receptacle having a mounting strap and a plurality of terminal openings
US5452175A (en) Construction of a panel
CN102652380B (zh) 电气设备
KR101794338B1 (ko) 조인트 커넥터
CN209896277U (zh) 灯组件、灯座及接线结构
AU677737B2 (en) Multisocket module for socket outlets
JP2014059995A (ja) コンセント
AU745816B2 (en) Connection mechanism, in particular for flex outlets or junction boxes
CN103378570A (zh) 电气接线箱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101830419B1 (ko) 조인트 커넥터
KR101830420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90073814A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JP3048470U (ja) パネルマウント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