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814A - 다방향 조인트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조인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3814A KR20090073814A KR1020070141873A KR20070141873A KR20090073814A KR 20090073814 A KR20090073814 A KR 20090073814A KR 1020070141873 A KR1020070141873 A KR 1020070141873A KR 20070141873 A KR20070141873 A KR 20070141873A KR 20090073814 A KR20090073814 A KR 200900738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ver
- bus bar
- terminal
- termin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인트장치는 다각형 판상의 몸체(2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20)에는 버스바(3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몸체(20)에 인서트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30)는 인서트부(32)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20)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단자부(34)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부(34)에는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삽입슬릿(36)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50)의 삽입을 위해 상기 삽입슬릿(36)의 입구에 해당되는 단자부(34)의 선단에는 삽입가이드경사(38)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2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측벽(22)에는 와이어인출구(24)가 여러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연결되게 상기 몸체(20)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26)가 쌍을 이뤄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의 사이에는 와이어(50)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여러방향으로 할 수 있어 조인트장치에 의해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설치방향 및 위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를 직접 버스바의 단자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조인트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조인트, 커넥터, 방향, 와이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회로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여러 방향으로 할 수 있는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서 각종 전장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조인트 커넥터가 사용된다. 조인트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전부 또는 몇개씩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그 내부의 터미널들이 전부 또는 몇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인서트몰드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된다. 즉, 조인트 커넥터는 특정 제품의 회로에 필요한 갯수의 터미널을 구비하여 정해진 갯수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조인트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 징(3)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에는 단자(5)가 일체로 인서트몰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단자(5)는 전체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단자(5)가 열을 지어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5)들은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몇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조인트커넥터(1)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각종 벌브들을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벌브들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기 조인트커넥터(1)로 상기 벌브들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길게 연장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조인트커넥터(1)는 일방향으로 상기 단자(5)들이 연장되어 있어, 그 방향에 맞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와이어의 선단에 상대 커넥터를 연결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조인트커넥터(1)에는 이에 맞는 상대 커넥터를 사용하여야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미리 설계된 대로의 와이어 연결을 위해서만 조인트커넥터(1)가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의 연장방향이 여러 방향으로 될 수 있는 조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조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각형의 판상으로 되고 그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된 측벽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인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자부가 상기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단자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에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 쌍이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인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를 눌러주는 누름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압입되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릿으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삽입가이드경사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와 커버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상기 걸이돌기가 끼워지는 걸이통공이 형성된 걸이구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조인트장치는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여러방향으로 할 수 있어 조인트장치에 의해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설치방향 및 위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를 직접 버스바의 단자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조인트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즉, 부품에서 연장된 와이어를 직접 조인트장치의 단자부에 결합할 수도 있고, 부품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설치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연결된 와이어를 조인트장치의 단자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몸체(2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2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부로 돌출되게 측벽(22)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22)은 상기 몸체(20)의 상면과 협력하여 내부공간(23)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22)의 일부에는 와이어인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내부공간(23)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측벽(22)을 따라 각각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 측벽(22)중 세개의 측벽(22)에 와이어인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0)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2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적어도 2개가 한 쌍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50)가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3줄의 와이어(50)가 나란히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가이드리브(26) 사 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연통된다.
상기 몸체(20)의 측벽(22) 외면에는 걸이돌기(2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간섭되지 않는 상기 측벽(22)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버스바(30)는 상기 몸체(20)에 일체로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인서트부(32)가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부(32)에서 직립되게 형성된 단자부(34)는 상기 몸체(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23)에 위치한다. 상기 단자부(34)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단자부(34)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슬릿(3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36)은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슬릿(36)의 폭은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이어(50)의 심선이 압입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자부(34)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슬릿(36)의 입구를 향해 삽입가이드경사부(38)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경사부(38)는 와이어(50)가 상기 삽입슬릿(36)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30)의 양단에 단자부(34)가 한 쌍씩 모두 4개가 형성되어 있고, 3개의 버스바(30)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상기 버스바(30)들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커버(4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2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23)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30)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몸체(30)의 측벽(22)을 둘러싸도록 커버측벽(4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측벽(42)은 상기 몸체(30)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20)의 와이어인출구(24)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측벽(42)은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와이어(5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측벽(42)에 의해 상기 와이어인출구(24)에서 빠져나온 와이어(50)가 눌러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는 않다.
상기 커버(40)에서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벽(42)대신에 걸이구(4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44)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걸이돌기(28)가 삽입되는 걸이통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20)의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안착된 와이어(5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리브(48)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리브(48)는 단자부(34)가 위치된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아, 단자부(34)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방향 조인트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의 회로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각각의 부품들에서 연장된 와이어(50)가 상기 버스바(30)의 단자부(34)에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34)의 삽입슬릿(36)에 삽입되는 와이어(50)는 상기 부품과 직접 연결된 와이어(50)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부품에서 나온 와이어의 선단에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34)에 연결된 와이어(50)의 선단에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들 커넥터가 서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50)를 상기 몸체(20)의 단자부(34)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40)를 몸체(20)에서 분리하고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상기 단자부(34)중 어느 하나에 결합한다. 즉,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상기 단자부(34)의 삽입슬릿(36)에 압입한다. 이때, 상기 단자부(34)의 삽입가이드경사(38)는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와이어(50)가 들어가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드러내지 않고, 와이어(50)의 외피를 형성하는 인슐레이션을 그대로 둔 상태로 와이어(50)를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삽입하여 단자부(34)와 와이어(50)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슬릿(36)의 양측 내면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이 절개되어 심선이 직접 삽입슬릿(36)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인슐레이션을 제거한 상태로 심선을 상기 삽입슬 릿(36)에 삽입하여도 된다.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단자부(3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인출구(24)을 통해 상기 몸체(2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몸체(20)의 측벽(22)들에 형성되어 있어 여러방향으로 와이어(50)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50)가 상기 몸체(20)에서 여러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음에 의해 조인트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부품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부품들의 회로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부품과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50)를 상기 단자부(34)들에 각각 연결한 후에는 상기 커버(40)를 상기 몸체(20)에 결합한다. 이때에는 상기 커버(40)를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20)의 측벽(22)을 상기 커버측벽(42)이 둘러싸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40)의 걸이구(44)가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걸이구(44)는 상기 커버(40)가 상기 몸체(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돌기(28)에 의해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걸이돌기(28)가 상기 걸이통공(46)에 삽입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40)의 걸이구(44)가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에 걸어지면서 커버(40)가 몸체(20)에 체결된다.
상기 커버(40)가 상기 몸체(20)에 체결되면, 상기 커버(40)의 내면에 형성된 누름리브(48)가 상기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안착된 와이어(50)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20)의 형상이 사각형 판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몸체(20)에 인서트되어 있으나, 융착돌기 등을 사용하여 상기 버스바(30)를 상기 몸체(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6)는 반드시 직선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50)를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곡선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걸이돌기(28)와 상기 커버(40)에 형성된 걸이구(44)는 서로 반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몸체 22: 측벽
23: 내부공간 24: 와이어인출구
26: 가이드리브 28: 걸이돌기
30: 버스바 32: 인서트부
34: 단자부 36: 삽입슬릿
38: 삽입가이드경사 40: 커버
42: 커버측벽 44: 걸이구
46: 걸이통공 48: 누름리브
Claims (6)
- 다각형의 판상으로 되고 그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된 측벽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인출구가 형성된 몸체와,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자부가 상기 몸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버스바와,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단자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버스바의 단자부에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 쌍이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인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를 눌러주는 누름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압입되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릿으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삽입가이드경사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커버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상기 걸이돌기가 끼워지는 걸이통공이 형성된 걸이구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ko) | 2007-12-31 | 2007-12-31 | 다방향 조인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ko) | 2007-12-31 | 2007-12-31 | 다방향 조인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3814A true KR20090073814A (ko) | 2009-07-03 |
KR100952434B1 KR100952434B1 (ko) | 2010-04-14 |
Family
ID=4133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ko) | 2007-12-31 | 2007-12-31 | 다방향 조인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24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78738A (zh) * | 2016-07-12 | 2019-03-15 |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 连接器及具备该连接器的电连接组件 |
KR20220006202A (ko) * | 2020-07-08 | 2022-01-17 | 에이에스티주식회사 | 전선커플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26101A (ja) * | 1991-01-30 | 1993-12-10 | Hitachi Lighting Ltd | 電線の挟入工具およびその接続器 |
JP3414525B2 (ja) * | 1994-10-14 | 2003-06-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
KR200142801Y1 (ko) * | 1996-02-16 | 1999-06-01 | 이의근 |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JP2002025640A (ja) * | 2000-07-07 | 2002-01-25 | Yazaki Corp | 電線導体の接続構造 |
-
2007
- 2007-12-31 KR KR1020070141873A patent/KR1009524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78738A (zh) * | 2016-07-12 | 2019-03-15 |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 连接器及具备该连接器的电连接组件 |
KR20220006202A (ko) * | 2020-07-08 | 2022-01-17 | 에이에스티주식회사 | 전선커플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2434B1 (ko) | 2010-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28674B2 (ja) | アース接続装置及びこれを含むワイヤハーネス | |
US5098316A (en) | Equipment terminal plug | |
CN107732482B (zh) | 具有分线元件的线缆连接器组件 | |
TW201703374A (zh) | 電連接器及其組合 | |
CN101552390A (zh) | 具有护套支座的插接连接器 | |
US20090170354A1 (en) |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 |
US20180040996A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100689236B1 (ko) |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 |
CN100585947C (zh) | 端子板部件和无螺钉连接器 | |
KR100952434B1 (ko) | 다방향 조인트장치 | |
KR20160092282A (ko) |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 |
KR20190052235A (ko) | 커넥터 | |
US10971849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2010157367A (ja) | 電気コネクタ | |
US5605479A (en) | Panel mount connector | |
JP5473638B2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0988794B1 (ko) | 커넥터 | |
KR200467964Y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090009562U (ko) | 전선연결구 | |
US7607945B2 (en) | Connector | |
KR101714402B1 (ko) |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 |
KR200432944Y1 (ko) | 버스바 | |
JP2000083313A (ja) | 電気接続箱 | |
KR200444217Y1 (ko) | 커넥터하우징 | |
KR20230058773A (ko) | 커넥터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